KR101049474B1 -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74B1
KR101049474B1 KR1020080125275A KR20080125275A KR101049474B1 KR 101049474 B1 KR101049474 B1 KR 101049474B1 KR 1020080125275 A KR1020080125275 A KR 1020080125275A KR 20080125275 A KR20080125275 A KR 20080125275A KR 101049474 B1 KR101049474 B1 KR 10104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aine
cheonma extract
extract
drug addiction
methamphet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802A (ko
Inventor
김형춘
신은주
김명조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삼성생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물 중독에 따른 급성 중독증상을 억제하고 심리적 또는 육체적 의존성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약물 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상기의 조성물은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개선함으로써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천마 추출물, 약물 중독, 정신분열증

Description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 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RUG ADDICTION OR SCHIZOPHRENIA, CONTAINING THE EXTRACT OF GASTRODIA ELATA}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에서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은 약물중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약물중독은 직접적인 치료비용 이외에도, 생산성 소실과 범죄율 증가로 인해 신경 정신과 영역에서 가장 사회적 비용이 큰 질환으로서 인식되어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Ago Y, et al., J. Pharmacol. Sci., 106(1), 15-21, 2008). 중독성 약물에는 몰핀,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등과 같은 마약과 니코틴, 알코올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중추신경 흥분제인 코카인과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약물의존비율은 전세계적으로 대마초에 이어 2, 3위 에 해당한다(World Drug Report 2007, http:// www. unodc. org /pdf /research/ wdr07/ WDR_2007.pdf). 이러한 중독성 약물은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습관성과 탐닉성이 생기며 사용을 중단하면 격렬한 금단증세를 일으켜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폐인이 되게 하는 물질이므로 그 위험성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
약물 중독을 유발하는 약물 중 하나인 코카인(cocaine)은 코카나무에서 채취한 코카잎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로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마약 중의 하나이다. 코카인은 사람의 점막을 통하여 흡수되어 지각 신경 말단에 작용함으로써 통증과 미각 등의 감각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1862년부터 수술이나 진찰을 할 때 국부마취제로 쓰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많은 양을 흡수하거나 반복해서 사용하면 중독을 일으키는데 영양 장애와 함께 우울증·불안감·수면장애·만성피로·정신혼란 등의 정신 질환을 가져온다. 코카인 중독은 코카인의 주사·복용·비강흡입 등에 의해서 일어나는 마약중독의 하나로 중독량은 0.1g, 치사량 1.0g이다. 대량 사용에 의한 급성중독에서는 현기증·안면창백·동공산란 등으로 시작되어, 명정상태에 빠지고, 정신착란·환각·환청·실신 등을 볼 수 있으며, 호흡곤란이나 허탈을 일으켜 사망한다.
지속사용에 의한 습관성 중독은 몰핀 중독과 비슷하나, 힘이 빠지고 몸이 마르는 등 신체 소모가 두드러지며 정신적으로는 집중곤란이나 도덕감정의 황폐 등이 일어난다. 이외에도 벌레나 작은 동물이 몸 위에 기어다니는 것처럼 느끼는 체감환각 등 특유한 코카인 환각증을 볼 수 있다. 또한, 코카인의 경우에는 고용량에서 경련을 유도한다(Kramer LD, et al., Am J Drug Alcohol Abuse, 16: 307-317 [Medline]).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은 중추신경계 흥분활성을 지닌 교감신경 유사아민으로서 암페타민계 약물에 해당한다. 메스암페타민은 중추신경계의 노르에피네프린성 신경세포로부터 노르에피네프린을 유리시켜 중추신경계에 효과를 나타내고 고용량에서는 대뇌변연계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수면 발작의 치료나 외인성 비만증에 있어서 단기 보조치료 및 소아의 과운동성 집중력 결핍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다.
이러한 메스암페타민을 과량 투여하거나 반복해서 사용하면 중독을 일으키는데 중독 증상으로는 초초, 불안감, 불면, 공격성향, 환각, 공황상태, 발한, 산동, 고혈압 또는 저혈압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다가 부정맥, 경련, 혼수 등을 유발시켜 심할 경우 사망에도 이를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 복용시 내성 및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중독성 약물들이 반복적으로 투여될 경우 자발운동량(sponetaneous locomotor activity)을 증가시키고 행동적 민감화 현상을 유발시킨다. 행동적 민감화(behavioral sensitization)란 적은 양의 중독성 약물을 반복적, 간헐적으로 투여할 때 보행성 활동량(locomotor activity)과 반복적 행동 양식 (stereotype activity)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행동적 민감화는 활동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발달(development)단계와 증가 된 활동량이 장기간 유지되는 상태 인 발현(expression)단계로 구분된다(Karler R, Chaudhry IA, Calder LD, and Turkanis SA, 1990). 따라서 이러한 증상들은 약물중독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중독의 치료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서, 정신적 증상들의 완화를 위해 haloperidol과 같은 정신질환치료제나 발작이나 경련을 치료하기 위한 diazepam, phenytoin과 같은 경련을 억제약물 등이 약물 중독시 발생되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대증요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약물들은 그 자체에 의해서도 탐닉성이 유발될 수 있어 그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약물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정신분열증은 1% 정도의 인구가 평생 1번 이상 경험하는 정신질환으로서 (Rossler W, et al. Eur Neuropsychopharmacol., 15, 399-409, 2005), 그 증상은 크게 양성증상(환각, 망각, 사고장애 등)과, 음성증상(사회기능장애, 감정장애, 동기장애 등) 및 인지기능 저하 (주의력장애, 작동기억 장애 등)로 나타나게 된다(Pearson GD., Neurobiology of schizophrenia. Ann Neurol., 48, 556-566, 2000).
정신분열증의 대표적 동물모델은 펜싸이클리딘(PCP) 모델이다. PCP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이온채널 블러커(glutamaate receptor ion channel blocker)이며, PCP의 투여는 정신분열증의 양성 증상(자발 운동량, 행동 민감성 등으로 평가), 음 성증상(사회적 상호작용 테스트(social interaction test), 강제수영평가(forced swimming test) 등으로 평가) 및 인지기능 저하 (다양한 인지기억능 평가법 적용)을 모두 유도시키기 때문에 (Mouri A, et al., Neurochem Int. 51, 173-184, 2007), 정신분열증에 대한 약리효능 및 약리기전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신분열증의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물질로는 올란자핀, 할로페리돌과 같은 약물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항정신성 의약품의 탐닉성 때문에 그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으며, 올란자핀과 같은 약물 중 상당수는 체중 증가와 같은 부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되고 있고, 할로페리돌과 같은 약물들에 있어서는 강직성을 야기하는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MacGraw-Hill et al., Goodman & Gilman's the 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ition., 404-406, 1996)
따라서 정신 분열증과 같은 정신 의학적 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백합목 난초과 (Orchidachae)에 속하는 고등식물로서 잎과 뿌리가 없어 자가 영양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뽕나무 버섯균사와의 기생에 의해서 서식하는 기생식물에 해당된다. 키 30∼100 ㎝ 정도의 외줄기로 곧게 자라며, 뿌리는 고구마처럼 덩이져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마한 잎이 듬성듬성 난다. 5∼6 월에 싹이 나서 흰빛의 꽃이 피었다가 곧 시든다. 뿌리를 천마라고 하고, 줄기를 적전(赤箭), 또는 정풍초(定風草)라고 부른 다. 참나무 뿌리가 삭은 곳에서 다른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반기생식물이다.
천마는 뇌 질환 계통의 질병에 최고의 신약(神藥)이라 불리우며, 특히 두통, 중풍과 같은 두뇌의 질환에 뚜렷한 효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위궤양, 간질, 간경화증, 당뇨병, 식중독, 디스크, 백혈병, 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병에 뛰어난 효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마는 디아스타제가 풍부하여 소화기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작용을 나타내며, 천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끼쳐 동맥경화증을 개선해줄 뿐만 아니라 숙면을 유도하기도 하며, 심장 수축력 강화, 모세혈관의 확장을 도모하며, 특히 정력 증강효능을 나타내는 한약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천마의 효능과 관련하여, 천마가 약물 중독이나 정신 분열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물 중독이나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천마 추출물이 약물 중독시에 발생하는 의존성을 억제하고 정신 분열증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을 개선함으로써 약물 중독이나 정신 분열증을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중독 또는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물 중독에 따른 급성 중독증상을 억제하고 심리적 또는 육체적 의존성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약물 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상기의 조성물은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개선함으로써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 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천마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천마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제조예로서 천마 추출물은 천마 뿌리 건조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침지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추출액을 여과하고, 이를 다시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C1-C4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마 추출물은 코카인에 의한 급성중독증상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다. 코카인 유도 경련 평가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천마 추출물은 경련 개시시간을 지연시키고 경련 지속시간을 유의하게 단축시켰으며, 생존률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마 추출물은 약물에 대한 심리적 또는 육체적 의존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조건화된 장소 선호(심리적 의존성) 평가 실험으로부터 상기 천마추출물이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장소 선호도와 같은 심리적 의존성의 생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고(도 2 참조), 자발운동량 및 행동민감성 평가 실험으로부터 상기 천마 추출물이 약물에 의한 자발 운동성 및 행동 민감성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다(도 3 내지 도 5 참조).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천마추출물은 정신분열증에서 나타나는 양성증상(positive symptom) 또는 음성증상(negative symptom)을 개선할 수 있다. 행동 민감성 평가 실험으로부터 상기 천마추출물은 펜싸이클리딘(PCP)에 의해 유도된 행동민감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고(도 7 참조), 강제 수영 평가 실험으로부터 상기 천마 추출물이 펜싸이클리딘에 의해 유도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시킴음을 알 수 있다(도 8 참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정신 분열증에서 나타나는 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사물 위치 테스트 및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로부터 상기 천마추출물이 펜싸이클리딘에 의해 유도된 시각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억제함을 알 수 있다(도 9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물 중독에 따른 급성 중독증상을 억제하고 심리적 또는 육체적 의존성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약물 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천마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의 제제화법으로 제형화하여 정제, 연질캅셀, 주사제, 연고제, 경피투여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람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스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또는 포낭(ovules)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내 또는 혀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조된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해면체내, 근육내, 피하 및 관내를 통하여 주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무균의 수용액 형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용액은 혈액과의 등장성을 갖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예를 들면 염(salt) 또는 만니톨, 글루코오스와 같은 단당류)을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제로도 제조가 가능한 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글리세린, 메틸 파라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포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유동 파라핀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을 함유한 프라스타 제형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 회 내지 수 회로 분할투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평균 몸무게가 70 ㎏인 성인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정제, 연질캅셀 등으로 제형화하여 경구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주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50 ∼ 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연고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300 ∼ 2400 ㎎/일의 단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되고, 경피투여제로 투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150 ∼ 1200 ㎎/일의 단 위투여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 중독 또는 정신 분열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약물 중독 억제효과 또는 정신분열증의 억제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천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ㅇ일 수 있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천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천마 뿌리를 세절한 후 850 g을 추출용기에 넣고 메탄올 1.2 ℓ를 침지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진탕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Whatman No.2)하여 1차 추출액을 얻고, 1차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잔사를 추출하여 2, 3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1-3차 추출액을 모두 혼합한 후 회전 감압 농축기로 상기 혼압 추출액을 농축, 건조하여 천마 추출물(126 g)을 얻었다.
<실시예 1> 메스암페타민 혹은 코카인에 의해 유도된 약물중독에 대한 천마추출물의 효과측정
<1-1> 실험동물, 투여방법 및 통계적 계산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NIH의 "Human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규정에 의거해 실험에 이용되었다. 8주령 ICR 마우스 (SAMTAKO Bio KOREA, 오산, 경기)를 온도 22 ± 2 ℃, 습도 55 ± 5 %, 12시간 간격으로 주야를 바꾸어 주는 조건으로 2주간 적응시켰다.
코카인 및 메스암페타민은 주사용수에 녹여 사용되었으며 코카인는 경련 용량으로는 90 ㎎/㎏로 1회 복강투여하였으며, 약물 의존성 시험에서는 코카인의 경우 15 ㎎/㎏로, 메스암페타민은 1 ㎎/㎏로 복강투여하였다.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은 sodium-CMC에 현탁하여 1일 1회 500 혹은 10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하기의 실험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은 one-way ANOVA followed by Fischer's PLSD test 혹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으며 0.05 이하의 유의수준을 비교 대상으로 판정하였다.
<1-2> 코카인 유도 경련에 대한 천마추출물의 효과 관찰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코카인 유도 경련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있어서의 경련(convulsion)은 정위반응 (righting response)이 수반되지 않고 사지 발작이 적어도 3초간 발생했을 때로 정의하였다.(Kaminski, et al., Neuropharmacology., 52, 895-903, 2007). 제조예 1의 천마추출물은 코카인 투여 3일 전부터 1일 1회 경구 투여를 시작으로 실험 당일까지 총 4회 투여되었다. 경련 유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지막 천마추출물의 투여 90분 후에 코카인을 90㎎/㎏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였으며, 최초 경련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latency time)과 경련 지속 시간(Dur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경련 발생 개체수와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고용량의 코카인에 의해 유도된 경련에 대한 천마 추출물의 효과

투여약물
경련개시시간
(Seizure latency)
(sec.)
경련지속시간
(Seizure duration)
(sec.)
경련발생률
(convulsions)
(%)
생존률
(Survival)
(%)

코카인

195.1 ± 19.7

1163.1 ± 140.1

100

66.66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500 mg/kg) + 코카인
263.0 ± 21.3

197.1 ± 52.5

80

90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1000 mg/kg) + 코카인
229.5 ± 12.9

758.7 ± 47.7**

80

100*
각각의 수치는 10 ~ 15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임. *P < 0.05, **P < 0.01 vs. 코카인 (경련개시시간 및 경련지속시간은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으로 평가하였으며, 경련발생률 및 생존률을 Chi-square test 로 평가).
표 1에 의하면, 고용량 (90 ㎎/㎏)의 코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경련에 대하여, 천마 추출물은 경련 개시시간을 유의하게 지연시켰으며, 경련 지속시간 역시 유의하게 단축시켰고, 생존율 역시 유의하게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코카인 처리군 (n=15)에서는 평균 195.1초에 경련이 시작되어 평균 1163.1초 동안 지속되었고, 생존율은 66.66%이었다. 반면에,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를 처리한 군 (500 ㎎/㎏ 혹은 1000 ㎎/㎏)에서는 경련 지속시간이 각각 967.1초와 758.7초로 나타났고, 생존율은 각각 90 및 100%를 보여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이 코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경련을 억제하는데 유의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었다.
<1-3> 약물 의존성 유발 억제 효과의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약물 의존성 유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3-1> 투여 약물
약물의 의존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2주 동안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을 식염수 (saline)와 격일로 복강 투여하였다. 이후 1 주일 동안의 금단 (withdrawal) 기간을 거친 뒤 동량의 코카인과 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하여 행동 민감성 (behavioral sensitization)을 평가하였다.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은 코카인과 메스암페타민을 주사하기 3일 전 투여를 시작으로 의존성 유발 기간과 금단 (washout) 기간 동안 매일 경구 투여되었고, 코카인과 메스암페타민 및 식염수 (saline)의 투여 90분 전에 투여되었다. 자세한 실험 스케줄은 도 1에서 기재하였다.
<1-3-2> 조건화된 장소 선호(심리적 의존성) 평가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conditioned place preference; CPP)를 평가하기 위하여 회색벽의 터널(5 ㎝ * 5 ㎝ * 5 ㎝ ; W * L * H)과 2개의 기요틴형 문 (guillotine type door)으로 연결된 정방형 (15 ㎝ * 15 ㎝ * 15 ㎝)의 흰색과 검정색 방으로 구성된 실험 장치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일째 되는 날에는 쥐들을 5분 동안 실험장치에 적응시켰으며 쥐들이 두 구획들을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기요틴형 문을 개방하였다. 실험 2일째 되는 날에는 각각의 쥐가 각각 구획에서 보낸 시간을 15분 동안 기록하였다. 3, 5, 7, 9, 11 그리고 13일째 되는 날에는 쥐들이 선호하지 않는 흰색 구획에 20분간 가두기 전에 각각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을 주사하였으며 4, 6, 8, 10 그리고 12일째 되는 날에는 쥐들이 선호하는 검은색 구획에 20분간 가두기 전에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실험 14일째에 양쪽 기요틴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터널 부위에 넣은 후 두 구획에서 쥐들이 보낸 시각을 15분 동안 기록하였다. 기록을 토대로 테스트 및 테스트 전에 흰색 구획에서 보낸 시각의 차이를 수치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코카인 혹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발되는 장소 선호도 생성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의하면, 코카인 혹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발되는 장소 선호도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천마 추출물은 유발된 장소 선호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코카인(15 ㎎/㎏) 투여군에서는 약 150초 이상의 장소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메스암페타민(1 ㎎/㎏) 투여군에서는 약 100초 이상의 장소 선호도를 나타내어 식염수(saline)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서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장소 선호도가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P < 0.01 vs. 식염수)
반면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500 ㎎/㎏)을 투여한 군에서는, 천마추출물-식염수를 격일로 투여했던 투여한 대조군뿐만 아니라, 천마추출물-코카인 투여 실험군이나 천마추출물-메스암페타민 투여 실험군에 있어서도 장소선호도가 나타나지 않았는바, 제조예 1의 천마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코카인 혹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생성된 장소선호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P < 0.01 vs.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코카인 혹은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장소 선호도와 같은 심리적 의존성의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1-3-3> 자발운동량(locomotor activity) 및 행동민감성(behavioral sensitization)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약물 중독에 따른 자발 운동량 및 행동 민감성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발 운동량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3-2>의 조건화된 장소 선호 평가와 함께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자동화된 비디오 트래킹 시스템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 네덜란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시기는 실험 3일차 (첫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 투여), 9일차 (4번째 투여), 15일차 (7번째 투여) 시점에 평가하였다.
행동민감성은 실험 15일차 마지막 약물 투여 후 1주일간의 금단(washout) 기간을 거친 후 측정되었다.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의 투여 20분 후에 4개의 테스트 박스 (40 ㎝ * 40 ㎝ * 30 ㎝) 내에서 컴퓨터에 의해 동시에 30분 동안 측정하였다. 운동 활성은 동물들의 cm 단위 수평 이동거리를 분석하였고, 데이터를 09:00-17:00 시간 사이에서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EG)의 투여에 의한 코카인 (COC) 또는 메스암페타민 (MA)의 반복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자발운동량(Locomotor acitivity)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따르면, 코카인이나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자발운동량의 증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천마추출물은 자발운동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코카인 (15 ㎎/㎏) 투여군에서는 움직인 거리 (moved distance)가 1회, 4회 7회 반복투여한 경우 각각에 있어서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4000cm, 3500cm, 7000cm정도 증가되었고, 메스암페타민 (1 ㎎/㎏) 투여군에서도 움직인 거리가 식염수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약 7000cm, 7500cm, 9000cm 정도 증가되어,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의 투여가 장소 선호도를 유의하게 유발시켰다(P < 0.05 vs. 식염수).
반면,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500 ㎎/㎏)을 투여한 실험군에 있어서는, 코카인의 반복 투여에 의한 자발운동량의 변화는 유의하게 억제하지 않았으나, 천마추출물-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식염수-메스암페타민을 투여한 실험군과 비교하여 1회, 4회, 7회 반복투여한 경우 각각에 있어서, 움직인 거리를 약 5000cm, 5000cm, 4000cm정도 감소시켰는바, 메스암페타민의 반복투여에 의한 자발운동량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vs. 메스암페타민).
도 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메스암페타민 또는 코카인의 반복 투여에 의한 행동 민감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도 5에 따르면, 코카인 또는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되는 행동민감성의 증가에 대하여, 천마 추출물은 행동민감성의 증가를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메스암페타민 혹은 코카인을 1주일간 금단(wash-out)시킨 후 다시 메스암페타민 혹은 코카인을 투여 (8회차)하여 행동민감성을 관찰한 결과, 금단 후 8회차에 메스암페타민 (1 ㎎/㎏)을 투여한 실험군들에서는 30분간의 단위면적당 움직인 거리가 8회차에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7000cm 내지 약 10000cm 정도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도 4), 금단 후 코카인(15 ㎎/㎏)을 투여한 실험군들에서는 30분간의 단위면적당 움직인 거리가 8회차에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5000cm 정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도 5).
반면,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비록 코카인에 의한 행동 민감성의 증가에 대해서는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천마추출물-식염수를 7회 반복투여하고 메스암페타민(8회차)을 투여한 실험군"과 "천마추출물-메스암페타민을 7회 반복 투여하고-메스암페타민(8회차)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모두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증가된 단위면적당 움직인 거리를 각각 대략 5000cm 정도 감소시켰는바, 천마 추출물이 메스암페타민에 의해 유발되는 행동민감성의 증가를 억제하는데 유의한 약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P < 0.01 vs. Saline + 메스암페타민 x 7회 + 메스암페타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메스암페타민의 반복투여에 의한 심리적, 육체적 의존성 생성에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고, 코카인의 반복 투여에 의한 심리적 의존성에 유의한 약리효능을 나타내며, 고용량의 코카인에 의한 급성 중독증상을 억제하는 약리효능을 나타내므로 약물 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펜싸이클리딘(Phencyclidine,PCP)에 의해 유도된 정신분열증에 대한 천마 추출물의 효과
<2-1> 실험동물, 투여방법 및 통계적 계산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NIH의 "Human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규정에 의거해 실험에 이용되었다. 8주령 ICR 마우스 (SAMTAKO Bio KOREA, 오산, 경기)를 온도 22 ± 2 ℃, 습도 55 ± 5 %, 12시간 간격으로 주야를 바꾸어 주는 조건으로 2주간 적응시켰다.
Phencyclidine(PCP)은 주사용수에 녹여 사용되었으며, 10 ㎎/㎏로 1일 1회, 14일간 피하 주사하였다. 천마 추출물은 sodium-CMC에 현탁하여 1일 1회 10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였다. PCP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1일 후 (15일차)에 강제수영평가를 실시하였으며, PCP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3일 후 (17일차)에 PCP를 3 mg/kg으로 피하주사한 후 행동민감화 평가를 실시하였다. 15일차와 17일차에는 실험 1시간 전에 천마 추출물을 전투여하였다. 이와는 별도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PCP와 천마추출물을 14일간 상기의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PCP를 마지막으로 투여한 3일 후, 천마 추출물을 전투여하고 30분 뒤에 사물 위치 테스트 및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자세한 실험스케줄은 도 6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실험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은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를 이용하였으며 0.05 이하의 유의수준을 비교 대상으로 판정하였다.
<2-2> 행동민감성(behavioral sensitization)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천마추출물의 정신 분열증 동물 모델에서 보이는 양성 증상(positive symptom) 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행동 민감성 정도는 자동화된 비디오 트래킹 시스템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 네덜란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PCP를 14일간 1일 1회 반복투여(10 mg/kg, s.c.)하고 3일간 금단(withdrawal)시킨 후, 3mg/kg의 용량으로 피하주사한 후, 30분간 행동민감성을 측정하였다. 4개의 테스트 박스 (40 ㎝ * 40 ㎝ * 30 ㎝) 내에서 컴퓨터에 의해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운동 활성은 동물들의 cm 단위 수평 이동거리를 분석하였고(Jhoo WK, et al., Neurosci. Lett.,288, 76-80, 2000; Kim, et al., Life Sci., 69, 615-624, 2001; Kim et al., Life Sci., 72, 1883-1895, 2003), 데이터는 09:00-17:00 시간 사이에 수집되었다.
실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의하면, PCP에 의해 유도되는 행동민감성의 증가에 대하여 천마 추출물은 행동민감성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PCP를 반복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30초간 이동거리가 대략 8000cm정도를 보여 식염수만을 반복투여한 대조군의 이동거리인 6500cm와 비교하여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행동민감화가 유도되었다 (P < 0.05). 반면,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천마 추출물(1000mg/kg)을 투여한 경우에 있어서, 천마추출물-PCP를 투여한 실험군에서의 이동거리는 대략 6500cm 정도로서 식염수-PCP를 투여한 실험군과 비교할때 대략 1500cm 정도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는바, 천마 추출물에 의해서 행동민감화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 < 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마 추출물의 투여가 정신분열증의 동물모델에서 보이는 양성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3> 강제 수영 평가 (Forced swimming test)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음성 증상 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신 분열증 모델에서의 동기 및 정서장애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실험방법인 강제수영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은 자동화된 비디오 트래킹 시스템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 네덜란드)을 사용하였다. PCP를 14일간 1일 1회 반복투여(10 mg/kg, s.c.)하고, 1일 후 강제 수영 평가를 실시하여 동기장애 정도를 평가하였다. 지름 20 cm, 높이 40 cm의 투명한 원통에 물을 20 cm 높이로 채운 후, 5분간 ICR 마우스를 수영시켰다. 그 중 처음 1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에 수영을 하지 않는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측정하였다(Murai R, et al., Behav Brain Res., 2007; 180(2), 152-160, 2007).
실험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의하면, PCP의 반복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음성증상에 대하여, 천마 추출물은 부동시간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음성증상을 완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PCP 처리군에서는 수영을 하지 않는 부동시간이 대략 60초를 나타내어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면 부동시간이 대략 20초정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 0.05).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군에 있어서는(천마추출물-PCP투여군) 부동시간이 대략 40초 정도를 나타내어 PCP에 의해 증가된 부동시간을 대략 20초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 < 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투여가 정신분열증의 동물모델에서 보이는 음성증상(negtive symptom)을 완화시킴을 알 수 있다.
<2-4> 사물 위치 테스트(Object location test) 및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PCP에 의해 유도되는 시각 인지 기억능력(visual recognition memory) 저하에 대한 본 발명의 천마 추출물의 약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물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사물위치테스트(object location test) 및 2개의 사물 중 새로운 사물을 분별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를 수행하였다.
측정은 자동화된 비디오 트래킹 시스템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 네덜란드)을 사용하였다.
사물 위치 테스트(A)
PCP를 14일간 1일 1회 반복투여(10 mg/kg, s.c.)하고, 3일 후 테스트 박스 (30 ㎝ * 30 ㎝ * 20 ㎝)에서 4분간의 acquisition trial을 실시하였다. 같은 모양의 2개의 사물을 2개의 모퉁이에 위치시키고 ICR 마우스로 하여금 자유롭게 탐색하게 한 후, 다시 원래의 사육사에 위치시켰다. 5분 후에 2개의 사물 중 1개의 사물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ICR 마우스를 테스트 박스에 넣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4분간의 실험에서 ICR 마우스가 각각의 사물을 탐색한 시간을 측정한 후, 전체 탐색시간 중 위치를 이동시킨 사물을 탐색한 시간의 비율의 계산하였다(object location test).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B)
그 후 다시 ICR 마우스를 원래의 사육사에 위치시키고 5분 후, 2개의 사물 중 1개의 사물을 다른 사물로 변경하였다(novel object). 다시 ICR 마우스를 테스트 박스에 넣어 4분간 ICR 마우스가 각각의 사물을 탐색한 시간을 측정한 후, 전체 탐색시간 중 새로운 사물을 탐색한 시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novel object recognition test).(Barker, et al., J Neurosci., 27(11), 2948-2957, 2007)
실험 결과를 도 9에 기재하였다.
도 9에 의하면, 새로운 위치에 대한 탐색시간이나 신규 사물에 대한 탐색시간의 비율이 PCP의 투여에 의해 감소 되었던 것에 비하여, 천마 추출을 투여한 경우 탐색시간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물위치테스트(A)에서는 PCP를 반복 투여한 실험군에서 새로운위치에 대한 탐색시간의 비율이 대략 58%정도로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8%정도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고,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B)에서도 PCP를 반복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신규 사물 탐색 비율이 대략 45% 정도로 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20%정도 유의하게 신규 사물에 대한 탐색시간이 감소되었다(P < 0.05).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투여한 군(천마 추출물-PCP)에서는 사물 위치 테스트(A)에서 새로운 위치 탐색 비율이 대략 65%로 나타나 PCP를 투여한 실험군(식염수-PCP)에서 감소되었던 탐색 비율을 8% 정도 증가시켰고,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B)에서는 신규 사물에 대한 탐색 비율이 대략 70%로 나타나 PCP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감소되었던 탐색 비율을 25% 정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 < 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마추출물의 투여가 정신분열증의 동물모델에서 보이는 시각인지기억능력(visual recognition memory)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마 추출물은 정신분열증의 동물모델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들인 양성증상, 음성증상 및 인지기억능력의 저하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정신 분열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2 g
-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0 ㎎
- 옥수수전분 100 ㎎
- 유 당 100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 천마 추출물 10 ㎍/㎖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천마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천마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천마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 곡물류(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 종실류(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 천마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
- 영지(0.5 중량%),
- 지황(0.5 중량%)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3-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구연산 0.05 ~ 0.3%, 카라멜 0.005 ~ 0.02%, 비타민 C 0.1 ~ 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 ~ 98 ℃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주입하여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3-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천마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3. 야채 주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4. 과일쥬스의 제조
천마 추출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천마 추출물(MEG)의 메스암페타민(MA) 혹은 코카인(COC)에 의한 의존성 생성에 대한 약리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스케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도 2는 약물 투여에 따른 ICR 생쥐에서의 조건화된 장소 선호도(conditioned place preference)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7 ~ 14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P < 0.01 vs. Saline + Saline, *P < 0.01 vs. Saline + 코카인 or Saline + 메스암페타민 )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도 3은 약물의 반복투여에 따른 ICR 생쥐에서의 자발운동량(locomotor ac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7 ~ 14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x7은 7회 반복 투여를 의미함, #P < 0.05 vs. Saline + Saline, *P < 0.05 vs. Saline + 메스암페타민) (Bonferroni's test 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반복 이원분산분석).
도 4는 메스암페타민의 반복 투여에 따른 ICR 생쥐에서의 행동민감화 (behavioral sensitization)에 미치는 영향 및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행동민감화에 대한 약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5 ~ 8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P < 0.01 vs. Saline + Saline x 7 + Saline, *P < 0.05 vs. Saline + Saline x 7 + 메스암페타민, &P < 0.01 vs. Saline + 메스암페타민 x 7 + 메스암페타민),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도 5는 코카인의 반복 투여에 따른 ICR 생쥐에서의 행동민감화(behavioral sensitization)에 미치는 영향 및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코카인에 의한 행동민감화에 대한 약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5 ~ 8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P < 0.01 vs. Saline + Saline x 7 + Saline)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도 6은 펜싸이클리딘(PCP)으로 유도된 정신분열증 모델에서의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약리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스케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정신분열증의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은 (A)의 스케줄로, 인지기억능력 저하는 (B)의 스케줄로 평가하였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MA: 메스암페타민, COC:코카인, Sal:식염수, OLT: 사물위치테스트, ORT: 사물인지테스트).
도 7은 ICR 생쥐에서의 펜싸이클리딘(PCP)에 의해 유발되는 행동민감화 (behavioral sensitization)에 대한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약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5 ~ 8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PCP:펜싸이클리딘, Sal:식염수, #P < 0.05 vs. Saline + Saline, *P < 0.05 vs. Saline + PCP)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도 8은 강제 수영 평가(Forced Swimming Test)에서 PCP의 반복투여에 의한 부동시간의 증가(immobility time)에 대한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약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각각의 수치는 8 ~ 12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 PCP:펜싸이클리딘, Sal:식염수, #P < 0.05 vs. Saline + Saline, *P < 0.05 vs. Saline + PCC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도 9는 ICR 마우스에서의 PCP에 의해 유발되는 시각 인지 기억 능력의 저하에 대한 제조예 1의 천마 추출물의 약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각 인지 기억능력은 사물 위치 테스트(A)와 신규 사물 인지 테스트(B)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수치는 8 ~ 12 마리의 평균 ± 표준오차를 나타낸다. ( MEG: 제조예 1의 천마 추출 물, PCP:펜싸이클리딘, Sal:식염수, #P < 0.05 vs. Saline + Saline, *P < 0.05 vs. Saline + PCP ) (Fischer's PLSD test를 사후검정으로 하는 일원분산분석).

Claims (10)

  1.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중독은 코카인(cocaine) 또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코카인에 의한 급성중독증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마 추출물은 약물에 대한 심리적 또는 육체적 의존성을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중독은 코카인(cocaine) 또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중독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80125275A 2008-12-10 2008-12-10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4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75A KR101049474B1 (ko) 2008-12-10 2008-12-10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75A KR101049474B1 (ko) 2008-12-10 2008-12-10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02A KR20100066802A (ko) 2010-06-18
KR101049474B1 true KR101049474B1 (ko) 2011-07-15

Family

ID=4236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75A KR101049474B1 (ko) 2008-12-10 2008-12-10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854B1 (ko) 2019-11-06 2021-06-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약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122287A (ko) 2022-02-14 2023-08-2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Journal of Florine chemis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02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40064280A (ko) 수면유도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356807A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355655A (zh) 一种具有改善营养性贫血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57248B1 (ko) 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9474B1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또는 정신분열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974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200014565A (ko)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2128510B1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01557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gabaa 수용체 효능제의 내성 억제 또는 부작용 경감을 위한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181205B (zh) 包括nmn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2202224B1 (ko) 한약재 추출물 yj06을 함유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068B1 (ko) 보혈안신탕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0706B1 (ko) 시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용 조성물
KR102510297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110608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