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429A - 파이프형 전해셀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전해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429A
KR20130110429A KR1020120032399A KR20120032399A KR20130110429A KR 20130110429 A KR20130110429 A KR 20130110429A KR 1020120032399 A KR1020120032399 A KR 1020120032399A KR 20120032399 A KR20120032399 A KR 20120032399A KR 20130110429 A KR20130110429 A KR 2013011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cathode
anode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937B1 (ko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신현수
김민용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12003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4Rotary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34Simultaneous production of alkali metal hydroxides and chlorine, oxyacids or salts of chlorine, e.g. by chlor-alkali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외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 파이프 및 내부 파이프 각각의 음극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전해셀{A PIPE TYPE ELECTRIC CELL}
본 발명은 파이프형 전해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형 유로 내벽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스케일 제거장치를 구비한 파이프형 전해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 등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조의 일예로서, 파이프형 전해셀이 있다.
이러한 전해셀은 파이프형의 전극을 갖게 되며, 통상적으로 외부 및 내부파이프로 구성된다. 내부 파이프의 경우에는 한쪽은 양극, 다른 한쪽은 음극인 일체형 바이폴라 튜브 전극으로, 그리고 외부 파이프의 경우에는, 셀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전극의 반대 극성의 양극 및 음극인 개별 파이프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및 외부파이프가 각각 단일 전극으로 구성된 모노폴라형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동심원상에 파이프가 다단으로 구성되어 최외각 내지는 최내각 파이프의 전극이 서로 다른 하나의 극성(양극 또는 음극)을 갖는 전극으로 구성되고, 중간에 위치한 파이프의 외부에는 마주한 외각 파이프 내부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의 전극을 갖고, 이러한 중간에 위치한 파이프의 내부에는 마주한 내각 파이프의 외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최외각 파이프의 내부가 양극일 경우 마주한 안쪽의 내부 파이프의 외부는 음극으로 구성되고, 동일한 내부 파이프의 내부는 양극으로 구성되고, 그 안에 최내각 파이프의 외부는 음극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파이프형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파이프 상으로 해수가 통과하면서 양극과 음극의 각 단자에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면 목적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해수 전기분해에 의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에 대한 주요 화학반응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양극반응) 2Cl- → Cl2 + 2e-
음극반응) 2H2O + 2e- → 2OH- + H2
벌크반응) Cl2 + 2NaOH → NaOCl + NaCl + H2O
이와 같이 양극에서는 염소이온(Cl-)의 산화반응을 통해 염소(Cl2)가 생성되고 음극에서는 물분해반응을 통해 수소가스(H2)와 수산화이온(OH-)이 생성된다. 음극에서 생성된 수산화이온(OH-)은 벌크상 나트륨이온(Na+)과 만나면서 가성소다(NaOH)를 생성하고 이러한 가성소다와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Cl2)가 벌크상에서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발전소 냉각수계통이나 해수담수화나 선박평형수처리에 있어서 해양미생물 또는 생물의 활성을 낮추거나, 사멸 및 소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해수내에 포함된 경도물질(Ca, Mg)이 전해반응 중 아래의 화학반응에 의해 음극에 스케일을 형성하여 축척됨으로 전해효율을 낮추고, 셀전압의 상승을 가져오며,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극간 단락에 의한 물리적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스케일 생성반응) HCO3 - + NaOH → CO3 2- + H2O + Na+
Ca2 + or Mg2 + + CO3 2 - → CaCO3 or MgCO3
Ca2 + or Mg2 + + 2OH- → Ca(OH)2 or Mg(OH)2
이와 같은 스케일의 축척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6-0098445(전자장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양극으로서 어노드바를 설치하고, 어노드바를 둘러싼 하우징을 음극으로 하고, 어노드바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유로에 전자장을 형성시켜서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유체가 전자장이 형성된 유로를 따라 흐를 때, 유체 내의 무기물은 전자장에 의해 충분히 자유전자가 함유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로 변화되어 스케일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전자장을 형성시켜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의 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될 경우, 전자장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스케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은 유량에 따라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므로, 실질적으로 스케일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 강제로 제거해 줄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파이프형 전해셀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기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케일 제거장치를 구비한 파이프형 전해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셀은,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와; 상기 내부 파이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파이프 및 내부 파이프 각각의 음극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면에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고정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전기분해할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면에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외부 파이프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부시와; 상기 지지로드를 상기 고정부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고정부시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 유입 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유체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스크래퍼가 회전되면서 상기 음극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 유로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방향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부 파이프는,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와;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양극 파이프 및 음극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파이프는 상기 양극파이프에 대응되는 부분은 음극을, 상기 음극 파이프에 대응되는 부분은 양극인 바이폴라 튜브 전극은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 사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시에는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 유입 유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셀에 따르면, 스크래퍼에 의해 음극역할을 수행하는 파이프의 내부와 외부 파이프 사이공간의 음극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강제로 즉, 기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전해셀을 사용하더라도 스케일이 누적되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함은 물론, 전기분해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오랜 시간 전해셀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형 전해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 제거장치가 내재된 파이프형 전해셀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셀(100)은, 외부 파이프(110)와, 내부 파이프(120), 스케일 제거장치(130)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파이프(110)는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111)를 기준으로 하여 한 쪽에 음극을 띠는 음극파이프(112)와, 다른 한 쪽에 양극을 띠는 양극파이프(113)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외부 파이프(110)의 일측에는 해수가 출입하는 출입구(115)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내부 파이프(120)는 외부 파이프(110)의 내부에 비접촉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은 양극(121), 다른 쪽은 음극(122)인 일체형 바이폴라 튜브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 파이프(120)는 양쪽 각각이 서로 반대 전극을 띠며, 외부 파이프(110)의 음극파이프(1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양극(121)을, 양극파이프(11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음극(122)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파이프(110)와 내부 파이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의 단위셀이 복수 병렬로 배치되어 하나의 외부 절연 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단위셀로 이루어진 전체적인 전기분해조를 구성하게 된다. 외부 절연 파이프(10)에는 해수의 출입구(11)가 형성되며, 외부 절연 파이프(10)의 양단 각각에는 고정판(20)이 결합된다.
이때 외부 절연 파이프(1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외부 파이프(110)의 외부를 절연코팅하여 외부 절연 파이프(1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130)는 음극부분(112, 122)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및 외부 파이프 사이의 양극부분(113, 121)에 배치되는 스크래퍼(131,132)와, 내부 파이프(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래퍼(131,132)는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부분(113, 121)에 설치되며, 내부 파이프(120)의 회전 시 음극부분(112, 122)에 형성된 스케일을 강제로 제거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전해반응 중 스케일은 음극부분(112, 122)에 생성되므로, 외부 파이프(110)가 음극파이프(112)로 구성될 경우 바이폴라 전극으로 구성된 내부 파이프(120)의 양극부분(121)인 외주에 스크래퍼가 설치되고, 외부 파이프(110)가 양극파이프(113)로 구성된 부분에서는 바이폴라 전극으로 구성된 내부 파이프(120)의 음극부분(122)에 스케일이 생성되므로, 외부 파이프(110)의 양극파이프(113)의 내주에 스크래퍼(131,132)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와 내부 파이프(110, 120)가 각각 양극(113, 121)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의 외부와 내부 파이프(110, 120) 사이공간에 스크래퍼(131,132)를 나선형상으로 고정하여 외부와 내부 파이프(110, 120)가 각각 음극(112, 122) 역할을 수행하여 스케일이 축척되는 부분을 내부 파이프(120)의 회전을 통해 스케일을 강제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래퍼(131,132)는 절연재질(플라스틱 재질 등)로 구성하여 양극와 음극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33)는 상기 내부 파이프(120)에 연결되어 고정판(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3a)과, 회전축(133a)을 고정판(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3b)과, 상기 회전축(133a)에 설치되는 기어(133c)와, 상기 기어(133c)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공급부(133d)를 구비한다. 회전축(133a)은 고정판(20)에 대해서 베어링(133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은 내부 파이프(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판(20) 외측으로 돌출되어 기어(133c)와 결합된다. 고정판(20)의 내측에서 베어링(133b)에 인접하여 립씰(133e)이 설치되어 베어링(133b)과 회전축(133a)을 통해 외부로 해수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동력공급부(133d)는 회전축(133a)을 강제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 도시된 모터와,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절연 파이프(10) 내부에 다수의 단위 전해셀이 병렬로 설치될 경우, 다수의 단위 전해셀들 각각의 기어(133c)는 서로 기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동력공급부(133d)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구동됨으로써, 각 단위 전해셀에서의 스케일 제거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동력공급부(133d)로부터 기어(133c)로 동력을 제공하면, 기어(133c)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33a)과 내부 파이프(120)가 회전된다. 그러면,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부분(113, 121)에 설치된 스크래퍼(131,132)가 회전되면서 음극부분(112, 122)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강제로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전해셀을 사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스케일 제거장치(130)를 주기적으로 작동시켜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셀의 전기분해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200)은 외부 파이프(210)와, 내부 파이프(220)와, 외부 및 내부 파이프(210,220)를 지지하는 고정부시(230) 및 스케일 제거장치(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부 파이프(2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외부 파이프(210)와 동일한 구성 즉,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211)와, 한 쪽에 음극을 띠는 음극파이프(212)와, 다른 한 쪽에 양극을 띠는 양극파이프(213)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내부 파이프(220)도 외부 파이프(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이폴라 튜브 전극(221)과, 지지로드(222)를 구비한다. 바이폴라 튜브 전극(221)은 외부 파이프(210)의 음극파이프(212)에 대응되는 부분은 양극(223)을, 양극파이프(213)에 대응되는 부분은 음극(224)을 갖는다.
상기 고정부시(230)는 외부 파이프(210)와 내부 파이프(220)가 각각 지지된다.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240)는 외부와 내부 파이프(210, 220)에서 양극(223, 213)부분에 설치된 스크래퍼(241,242)와, 내부 파이프(220)를 고정부시(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43)과 , 유속에 의해 스크래퍼(24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외부 파이프(210)의 단부로 유체가 출입되도록 하는 유체 출입유로(244)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래퍼(241)는 외부와 내부 파이프(210, 220)에서 양극역할을 수행하는 외부와 내부 파이프 사이의 양극면(223, 213)에서 나선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음극면(212, 224)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래퍼(241,242)는 내부 파이프(220)와 함께 회전 시, 음극면(212, 224)에 형성된 스케일을 강제고 긁어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부 파이프(2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로드(222)는 베어링(242)에 의해 고정부시(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유체 유입유로(244)가 고정부시(230)에 형성됨으로써, 유체 즉, 전기분해 될 해수가 내부 파이프(220)와 외부 파이프(210) 사이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힘에 의해 스크래퍼(241)가 압력을 받아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동안에는 스크래퍼(241)가 회전되면서 음극면(212)에 형성된 스케일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내부 파이프(220)가 회전되면서 외부 파이프(210)의 양극면(213)에 설치되는 스크래퍼(242)에 의해 내부 파이프(220)의 음극면(224)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스크래퍼(241,242)에 의해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체의 유속에 의한 스크래퍼(241)의 회전력 즉, 내부파이프(220)의 회전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유입 유로(244)는 내부 파이프(220)의 회전 중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회전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가 형성되며, 각각의 유체 유입 유로(244)는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 파이프(2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나선형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유체 속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스크래퍼(241)의 회전을 가속시켜서 스크래퍼(241)가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속은 물론, 유동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내부 파이프(220)가 보다 빠르고 강하게 회전되어 스크래퍼(241,242)에 의한 스케일의 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와 내부 파이프 사이의 양극면에서 스크래퍼를 설치하고, 그 스크래퍼가 설치된 내부 파이프를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구동시키거나, 또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래퍼에 의해 음극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강제로 즉, 기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시간 전해셀을 사용하더라도 스케일이 누적되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함은 물론, 전기분해 작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오랜 시간 전해셀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 유입 유료(243)을 나선형으로 복수개로 형성한 전해조에 있어서는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240)에서 스크래퍼(241)와 베어링(242)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내부와 외부 파이프에 유체 유입 유로(243)만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과 유동 방향의 제어를 통해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부시(230)만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유속을 빠르게 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절연 파이프 20..고정판
100,200..파이프형 전해셀 110,210..외부 파이프
120,220..내부 파이프 130,240..스케일 제거장치
131,232,241,242..스크래퍼

Claims (8)

  1.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파이프와;
    상기 내부 파이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파이프 및 내부 파이프 각각의 음극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면에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고정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에는 전기분해할 유체가 출입되는 출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및 외부파이프 사이의 양극면에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부 파이프에 연결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외부 파이프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부시와;
    상기 지지로드를 상기 고정부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고정부시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 유입 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유체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스크래퍼가 회전되면서 상기 음극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 유로는 하나 이상 형성되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방향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이프는,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와;
    상기 절연 스페이서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양극 파이프 및 음극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파이프는 상기 양극파이프에 대응되는 부분은 음극을, 상기 음극 파이프에 대응되는 부분은 양극인 바이폴라 튜브 전극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제거장치는,
    상기 내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 사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시에는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 유입 유로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KR1020120032399A 2012-03-29 2012-03-29 파이프형 전해셀 KR10138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99A KR101389937B1 (ko) 2012-03-29 2012-03-29 파이프형 전해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99A KR101389937B1 (ko) 2012-03-29 2012-03-29 파이프형 전해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29A true KR20130110429A (ko) 2013-10-10
KR101389937B1 KR101389937B1 (ko) 2014-04-30

Family

ID=4963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399A KR101389937B1 (ko) 2012-03-29 2012-03-29 파이프형 전해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34A1 (ko) * 2014-12-23 2016-06-30 (주)테크윈 전해모듈
KR20160076860A (ko) * 2014-12-23 2016-07-01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셀
CN111675364A (zh) * 2020-06-22 2020-09-18 江西省萍乡市迪尔化工填料有限公司 一种焦化废水电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236B2 (ja) * 1994-11-02 2004-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オン水生成器
KR100359031B1 (ko) 2000-06-01 2002-10-31 김경근 전해수 생성 장치
KR100797025B1 (ko) 2007-03-20 2008-01-22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연수기
KR100874273B1 (ko) * 2007-04-20 2008-12-16 (주) 테크윈 폐수 및 하수 처리에 적용가능한 논-파울링 전기분해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934A1 (ko) * 2014-12-23 2016-06-30 (주)테크윈 전해모듈
KR20160076859A (ko) * 2014-12-23 2016-07-01 (주) 테크윈 전해모듈
KR20160076860A (ko) * 2014-12-23 2016-07-01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셀
CN107109671A (zh) * 2014-12-23 2017-08-29 技术获胜者有限公司 管式电解槽
CN107109670A (zh) * 2014-12-23 2017-08-29 技术获胜者有限公司 电解模块
CN107109671B (zh) * 2014-12-23 2019-05-21 技术获胜者有限公司 管式电解槽
US10494275B2 (en) 2014-12-23 2019-12-03 Techwin Co., Ltd. Electrolysis module
US10550485B2 (en) 2014-12-23 2020-02-04 Techwin Co., Ltd. Pipe-type electrolysis cell
CN111675364A (zh) * 2020-06-22 2020-09-18 江西省萍乡市迪尔化工填料有限公司 一种焦化废水电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37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25563U (zh) 螺旋电解槽电化学水处理设备
CN209367873U (zh) 一种自动除垢电化学水处理装置
US20080223731A1 (en) Advanced Electro-Coagulation Device And Process Of Using The Same For Wastewater Treatment
CN203498138U (zh) 平行多级电化学水处理设备
CN203498136U (zh) 渐进三级电化学水处理设备
CN204474379U (zh) 设有往复式除垢装置的多级电化学水处理设备
JP2013043177A (ja) 高酸化還元性水を連続生成する反応器
CN104528957A (zh) 一种循环水处理方法及设备
KR101389937B1 (ko) 파이프형 전해셀
US20220250953A1 (en) Efficient electrochemical pre-scaling water treatment device
JP5828058B2 (ja) 次亜塩素酸塩を生成する方法及び耐スケール設備を有する関連する海水電解槽
KR101427563B1 (ko) 해수 전해 장치
CN102021602B (zh) 次氯酸钠发生器
KR100634889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190026597A (ko) 고농도의 미산성 전해수 생성 방법 및 장치
CN203545745U (zh) 渐进二级电化学水处理设备
CN207774875U (zh) 电化学水处理用极板装置、反应室及循环水处理系统
CN204198498U (zh) 一种电化学水垢去除装置
CN203498137U (zh) 渐进四级电化学水处理设备
JP3727579B2 (ja) 水熱電気分解反応装置及び電極
US20240083781A1 (en) Tubular reverse polarity self-cleaning cell
CN210261239U (zh) 一种用于除垢和脱氯的两段式电化学水处理系统
EP3239360B1 (en) Pipe-type electrolysis cell
CN210122500U (zh) 一种旋转式电化学循环水处理装置
KR102443730B1 (ko) 회전형 전극구조를 갖는 전기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