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648A -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648A
KR20130109648A KR1020120031575A KR20120031575A KR20130109648A KR 20130109648 A KR20130109648 A KR 20130109648A KR 1020120031575 A KR1020120031575 A KR 1020120031575A KR 20120031575 A KR20120031575 A KR 20120031575A KR 20130109648 A KR20130109648 A KR 2013010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t
panel
adjuster
fla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필석
김병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03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648A/ko
Priority to CN2012105363591A priority patent/CN103364984A/zh
Publication of KR2013010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의 평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의 평탄을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판재 부착기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 각각은 편평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판재 고정부; 및 상기 판재 부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평탄 조절기를 구비하는 판재 평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APPARATUS FOR MAINTAINING FLATENESS OF PANEL}
본 발명은 판재의 평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의 평탄을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등의 디스플레이에 ITO 센서를 일체화한 디스플레이일체형 터치(OCTA)와 같은 액정 패널의 표면에는 보호용 커버 글래스(cover glass)와 같은 커버 부재가 액상 광학 수지가 도포되어서 접합된다. 액정 패널이나 보호용 커버 글래스는 제조 과정에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이 발생한 액정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는 접합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시인성 및 내구성 등에 문제를 일으켜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패널이나 액정 패널에 접합되는 커버 글래스와 같은 판재의 평탄을 유지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판재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판재 부착기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 각각은 편평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판재 고정부; 및 상기 판재 부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평탄 조절기를 구비하는 판재 평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판재 부착기는 진공흡착기일 수 있다.
상기 평탄 조절기는 끝단에 상기 판재와 접촉하는 부드러운 재질의 접촉부가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탄 조절기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머리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연장막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는 상기 판재 고정기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판재 평탄 조절기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탄 유지 대상 판재를 고정시키는 판재 고정부와, 평탄 유지 대상 판재에 대해 미세하게 이동가능한 판재 평탄 조절부가 구비되므로, 제작 과정에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한 액정 패널이나 액정 패널에 접합되는 커버 글래스의 평탄도가 유지된다. 그에 따라, 평탄이 유지된 판재에 액상 광학 수지 도포 등의 처리가 수행되어서 액정 패널과 커버 글래스의 접합 품질이 향상되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 및 내구성 등 전체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100)는 테이블(110)과,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를 구비하는 판재 고정부와, 다수의 판재 평탄 조절기(130)를 구비하는 판재 평탄 조절기를 포함한다.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 과정에서 액정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를 평탄하게 유지시켜준다.
테이블(110)은 대체로 높이가 낮은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편평한 직사각형 형태의 상면(111)을 구비한다. 상면(111)에는 다수의 제1 수용홈(112)과, 다수의 제2 수용홈(1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110)의 상면(111)이 편평한 직사각형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면(111)의 형태 및 크기는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수용홈(112)에는 판재 고정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가 각각 수용된다. 각 제1 수용홈(112)은 수용되는 판재 고정기(120)가 수용되기에 적당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 수용홈(112)은 모두 11개인데,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3개가 등간격으로 위치하고, 길이방향 중심선을 대칭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4개가 등간격으로 위치한다. 하지만, 다수의 제1 수용홈(112)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판재 고정기(120)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 따라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수용홈(113)에는 판재 평탄 조절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판재 평탄 조절기(130)가 각각 수용된다. 각 제2 수용홈(113)은 수용되는 각 판재 평탄 조절기(130)가 수용되기에 적당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2 수용홈(113)은 모두 4개인데, 직사각형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수용홈(112)의 열과 타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수용홈(112)의 열 사이 및 중심선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수용홈(112) 중 양단에 위치하는 두 제1 수용홈(112)의 사이에 위치한다. 하지만, 다수의 제2 수용홈(113)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판재 평탄 조절기(130)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 따라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판재 고정부는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를 구비한다. 판재 고정부는 평탄 유지 대상 판재(P)를 고정시킨다.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는 모두 11개로서, 다수의 제1 수용홈(112)에 각각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판재 고정기(120)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3개가 등간격으로 위치하고, 길이방향 중심선을 대칭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4개가 등간격으로 위치한다. 하지만,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재 고정기(120)는 진공흡착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와 접촉하는 진공흡착기(120)의 끝단(121)은 테이블(110)의 상면(111)의 외부로 약간 돌출된다. 즉, 판재(P)에 대한 부착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진공흡착기(120)의 각 끝단(121)은 편평한 평면 상에 놓인다. 그에 따라,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에서 진공 흡착기(120)의 각 끝단(121)에 흡착된 부분은 모두 편평한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판재 평탄 조절부는 다수의 판재 평탄 조절기(130)를 구비한다. 판재 평탄 조절부는 판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의 평탄도를 미세하게 조절한다. 판재 평탄 조절기(130)는 모두 4개로서, 다수의 제2 수용홈(113)에 각각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판재 평탄 조절기(130)는 직사각형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의 열과 타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의 열 사이 및 중심선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 중 양단에 위치하는 두 판재 고정기(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하지만, 다수의 판재 평탄 조절기(130)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판재 평탄 조절기(130)는 머리부(131)와, 연장막대부(132)를 구비한다. 평탄 조절기(130)는 테이블(110)의 상면(111)에 대해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판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의 일부를 테이블(110)의 상면(111)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머리부(131)는 대체로 원통형으로서, 제2 수용홈(113)에 수용되어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테이블(110)의 상면(111)과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머리부(131)의 제2 수용홈(1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끝단부에는 접촉부(131a)가 형성된다. 접촉부(131a)는 편평한 평면을 형성하며, 대체로 별도의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31a)는 필요에 따라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연장막대부(132)는 머리부(131)로부터 접촉부(131a)의 반대쪽으로 길게 연장된다. 연장막대부(132)는 제2 수용홈(113)의 바닥에 형성된 통로(도면부호 미표시)에 삽입되어서 머리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장막대부(132)에는 전기, 유압 또는 공압 등을 이용하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판재 평탄 조절기(130)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시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한 평탄 유지 대상 판재(도 2의 P1)(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용 광학 제품의 액정 패널 또는 액정 패널에 접합되는 커버 글래스)가 테이블(110)의 상면(111)에 올려 놓여진다. 이때, 평탄 유지 대상 판재(도 2의 P)는 진공흡착기인 다수의 판재 고정기(120)에 의해 테이블(110)의 상면(111) 상에 고정된다. 다음, 다수의 판재 평탄 조절기(130)가 화살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미세하게 이동하여서, 평탄 유지 대상 판재(P)에서 아래로 볼록한 부분을 밀어 올려서 평탄 유지 대상 판재(P)는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평탄이 유지된 판재(P)에는 액상 광학 수지 도포 등의 처리가 수행되어서 액정 패널과 커버 글래스의 접합 품질이 향상된다. 그에 따라, 시인성 및 내구성 등의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110 : 테이블
111 : 상면 112 : 제1 수용홈
113 : 제2 수용홈 120 : 판재 고정기
130 : 판재 평탄 조절기 131 : 머리부
131a : 접촉부 132 : 연장막대부

Claims (5)

  1. 판재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된 다수의 판재 부착기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 각각은 편평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판재 고정부; 및
    상기 판재 부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다수의 평탄 조절기를 구비하는 판재 평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 부착기는 진공흡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 조절기는 끝단에 상기 판재와 접촉하는 부드러운 재질의 접촉부가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탄 조절기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머리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연장막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 고정기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과 상기 판재 평탄 조절기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KR1020120031575A 2012-03-28 2012-03-28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KR20130109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75A KR20130109648A (ko) 2012-03-28 2012-03-28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CN2012105363591A CN103364984A (zh) 2012-03-28 2012-12-12 用于维持面板平坦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75A KR20130109648A (ko) 2012-03-28 2012-03-28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648A true KR20130109648A (ko) 2013-10-08

Family

ID=4936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575A KR20130109648A (ko) 2012-03-28 2012-03-28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09648A (ko)
CN (1) CN1033649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7741A (zh) * 2015-10-19 2016-03-16 北京兆维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双面板平坦度调节装置
KR102183673B1 (ko) * 2018-05-17 2020-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00B1 (ko) * 2000-11-04 2007-05-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건식식각 장치
KR100588660B1 (ko) * 2004-10-13 2006-06-1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4485374B2 (ja) * 2005-01-25 2010-06-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冷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64984A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70023A5 (ko)
TWI466811B (zh) Adhesive and holding method for sheet-like workpieces and adhesive holding device for sheet-like workpieces and manufacturing system
US9496525B2 (en) Aligning method of mask assembly using deposition apparatus
US20170084472A1 (en) Manipulator
TW201514592A (zh) 光配向用偏光光線照射裝置及光配向用偏光光線照射方法
US20190067073A1 (en) Substrate holding device
KR20130109648A (ko) 판재용 평탄 유지 장치
KR101368819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2227479B1 (ko) 마그넷 플레이트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JP2011098430A (ja) 位置決め装置
KR102644838B1 (ko) 정전척 및 그를 구비하는 정전흡착장치
CN109824253B (zh) 基板切割装置
JP2015051514A (ja) スクライブ装置
KR20170026907A (ko)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101432153B1 (ko) 광 투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어닐링 장치
KR101842641B1 (ko) 패널 프레임용 버 제거 장치
US10613384B2 (en) Attaching apparatus and attaching method
JP6314604B2 (ja) 照射装置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512208B1 (ko) 레이저 가공장치
KR102147126B1 (ko) 기판 분단 장치
KR101380993B1 (ko) 패널탑재용 랙
KR101338943B1 (ko) 링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200060345A (ko) 노광용 조명 장치, 노광 장치 및 노광 방법
KR101275604B1 (ko) 기판용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