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877A - 착즙기용 반죽용기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반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877A
KR20130108877A KR1020120030694A KR20120030694A KR20130108877A KR 20130108877 A KR20130108877 A KR 20130108877A KR 1020120030694 A KR1020120030694 A KR 1020120030694A KR 20120030694 A KR20120030694 A KR 20120030694A KR 20130108877 A KR20130108877 A KR 2013010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ough
container body
stirring shaft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356B1 (ko
Inventor
진기용
Original Assignee
(주)현대가전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가전업 filed Critical (주)현대가전업
Priority to KR102012003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5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용 반죽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하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이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착즙 통이 조립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닥면 중심에 축받이 홀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받이 홀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과 축 이음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회전하는 교반 축이 마련되고, 상기 교반 축에서 용기 본체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반죽 날개부 및 상기 용기 본체가 설치된 착즙 통의 상면에 조립되고, 상기 반죽 날개부의 교반 축 상단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홀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반죽 날개부가 회전하게 될 때 용기 본체의 내측 벽에 형성된 가이드 턱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측 벽과 접촉하는 혼합물이 그 상태로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턱을 타고 넘어 반죽됨으로써, 반죽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착즙기용 반죽용기{KNEADING TROUGH FOR 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반죽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이 본체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 착즙기에서 밀가루와 물과 같은 혼합물을 반죽할 수 있게 상기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착즙 통에 용기 본체를 조립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스크류 구동축과 축 이음되는 반죽 날개부를 설치하여 회전 동력의 단속을 쉽게 하고 균일한 점성을 갖는 찰진 반죽을 얻을 수 있는 착즙기용 반죽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죽이라 함은 가루에 물을 섞어 이겨 개는 것으로, 특히 식품가공에서 말하는 반죽은 곡물 가루, 물, 달걀, 소금, 쇼트닝 등 다양한 재료를 섞어서 점성을 갖는 혼합물을 일컫는다.
이러한 반죽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손에 반죽이 묻고 장시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반죽하는 동안 다른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가정에서 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드형 반죽기와 같은 주방가전 제품이 등장하였다. 상기 핸드형 반죽기는 구동모터를 탑재한 본체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교반 날개로 구성되어 용기에 담긴 물과 밀가루를 교반 날개가 혼합하는 방식으로 반죽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핸드형 반죽기는 사용자가 본체를 들고 밀가루와 물이 적당량 배합된 혼합물이 담긴 용기를 휘져어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사용자가 자유롭게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형태의 반죽기로는 구동모터를 탑재한 본체가 대략 "ㄱ"자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가 만나는 절곡 지점이 피벗 회전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 교반 날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체의 수평부 하부에 밀가루와 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킨 후 교반 날개로 밀가루와 물의 혼합물을 교반해 반죽을 하게 되지만 이러한 구조의 반죽기는 반죽을 만들기 위한 전용 제품으로만 사용된다는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서기, 착즙기(녹즙기 또는 착유기) 등에서 반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주방 가전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예컨데, 선행기술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166573호의 "다용도 소형믹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소형믹서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믹서본체(1)와, 분쇄 및 쥬스믹싱용 X형 칼날(5a) 또는 컷팅용 S형 칼날(5b)을 장착하고 있는 칼날장착된 몸체(2)와, 칼날장착 몸체(2)와 결합되는 컵(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X형 칼날(5a)은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액체를 섞어 믹싱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상기 S형 칼날(5b)은 밀가루 반죽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가공에 따라 X형 칼날(5a) 또는 S형 칼날(5b)을 선택하여 믹서본체(1)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S형 칼날(5b)은 믹서본체(1)에 탑재된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이음되는 칼날 축(2a)이 칼날장착 몸체(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칼날 축(2a)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S형 칼날(5b)이 수평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칼날 축(2a)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열된 S형 칼날(5b)의 끝단이 서로를 향하게 굽혀져 컵(3)에 담긴 밀가루와 물을 S형 칼날(5b)이 교반해 반죽을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용도 소형믹서기는 컵(3)의 하부에 칼날장착 몸체(2)가 결합되고, 상기 칼날장착 몸체(2)가 믹서본체(1)에 장착되어 믹서본체(1)의 구동축과 축 이음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컵(3)의 내부에 밀가루와 물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컵(3)의 하부가 상방을 향하게 뒤집은 후 밀가루와 물을 투입하고 칼날장착 몸체(2)를 컵(3)의 하부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컵(3)의 하부에 결합된 칼날장착 몸체(2)가 믹서본체(1)를 향하게 다시 뒤집어 칼날장착 몸체(2)를 믹서본체(1)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칼날장착 몸체(2)가 결합되는 하부가 상방을 향하게 컵(3)을 뒤집고 뒤집힌 컵(3)에 밀가루와 물을 투입한 후 칼날장착 몸체(2)를 결합시킨 상태로 믹서본체(1)에 장착하는 방식은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 칼날장착 몸체(2)를 컵(3)의 하부에 완벽하게 결합시키지 않은 경우 밀가루와 물이 외부로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S형 칼날(5b)이 배열된 칼날 축(2a)이 칼날장착 몸체(2)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반죽을 완료한 후 칼날장착 몸체(2)를 세척하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즙기에 손쉽게 장착하여 반죽을 할 수 있으며, 세척을 위한 분리가 간편한 착즙기용 반죽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반죽용기에 밀가루와 물이 담겨 반죽될 때 반죽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찰진 반죽을 얻을 수 있는 착즙기용 반죽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본체의 하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이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에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착즙 통이 조립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닥면 중심에 축받이 홀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축받이 홀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과 축 이음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회전하는 교반 축이 마련되고, 상기 교반 축에서 용기 본체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반죽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가 설치된 착즙 통의 상면에 뚜껑이 조립되고, 상기 뚜껑에 반죽 날개부의 교반 축 상단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착즙 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를 향해 연장된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중심에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축받이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받이 홀은 교반 축의 하단이 삽입되었을 때 이물질이 축받이 홀과 교반 축의 하단 표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교반 축을 향해 용기 본체의 내측 벽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 벽에서 상기 반죽 날개부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1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에서 제 1 경사면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경사면은 제 1 경사면보다 급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돌출된 둥근 띠의 형상을 갖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착즙 통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와 결합되어 용기 본체가 착즙 통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용기 본체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 축은 상단이 뚜껑에 형성된 회전지지 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축받이 홀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하단에 각축형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과 축 이음되는 제 1 교반 축 및 상기 제 1 교반 축의 둘레를 감싸며 용기 본체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가 형성된 제 2 교반 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교반 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전날개 및 상기 제 1 회전날개와 대향하는 교반 축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회전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날개는 상기 교반 축의 일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회전날개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선이 교반 축의 축선과 교차하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 2 회전날개는 상기 교반 축의 타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회전날개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는 안내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날개는 상기 용기 본체에서 반죽 날개부가 회전될 때 반죽의 일부를 통과시켜 제 1 회전날개를 타고 넘는 반죽과 교반하는 교반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 홈은 상기 제 1 회전날개의 하단과 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회전날개의 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즙기용 반죽용기에 의하면, 반죽 날개부가 회전하게 될 때 용기 본체의 내측 벽에 형성된 가이드 턱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측 벽과 접촉하는 혼합물이 그 상태로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턱을 타고 넘어 반죽됨으로써, 반죽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는 반죽 날개부의 제 1 회전날개와 제 2 회전날개의 형상에 의해 혼합물이 교반되어 반죽될 때 와류와 같은 소용돌이 현상을 일으켜 혼합물의 반죽이 균일한 점성을 갖게 되어 찰진 반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와 반죽 날개부가 쉽게 탈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반죽을 끝내고 용기 본체와 반죽 날개부를 세척할 때 용기 본체의 축받이 홀에서 반죽 날개부를 분리시켜 각각 세척하게 됨으로써, 반죽용기의 세척 및 건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소형믹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 및 착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 및 착즙 통을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가 착즙 통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용기가 착즙 통에 조립된 상태로 착즙기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 및 착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 및 착즙 통을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죽용기(100)는 크게 밀가루와 물과 같은 혼합물이 투입되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혼합물을 교반하는 반죽 날개부(120) 및 상기 반죽 날개부(120)의 회전을 지지하며 용기 본체(110)가 조립되는 착즙 통(20)의 상부에 조립되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반죽용기(100)는 착즙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바, 상기 착즙기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본체(10)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이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착즙 통(20)이 장착되는데, 상기 착즙 통(20)의 바닥면은 스크류 구동축(12)이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체(10)의 상면에는 즙 배출구(22)와 찌꺼기 배출구(24)가 형성된 착즙 통(20)이 조립되며, 상기 착즙 통(20)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반죽용기(100)가 조립되어 혼합물을 반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즙 통(20)의 내부에 조립되는 본 발명의 반죽용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와 반죽 날개부(120) 및 뚜껑(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의 형상을 갖되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심에는 축받이 홀(1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반죽 날개부(120) 중 교반 축(122)의 하단이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어 교반 축(122)의 하단이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죽 날개부(120)가 삽입되는 축받이 홀(112)의 주변에는 보스(114)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114)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심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보스(114)의 상단 중심에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122) 하단이 삽입되는 축받이 홀(1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축받이 홀(112)이 보스(114)에 형성됨으로써,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보다 축받이 홀(112)이 높게 위치하여 용기 본체(110)에 투입된 혼합물이 축받이 홀(112)과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122)이 접하는 틈새로 스며들어가 축받이 홀(112)에 혼합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축받이 홀(112)에는 패킹(130)이 마련된다. 상기 패킹(130)은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122) 하단이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었을 때 혼합물이 축받이 홀(112)과 교반 축(122)의 하단 표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혼합물이 용기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패킹(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축(122)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 홀(132)이 형성된 원판의 형상을 갖되 외경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축받이 홀(112)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축받이 홀(112)에 패킹(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교반 축(122)이 패킹(130)의 삽입 홀(132)에 끼워지는 경우 패킹(130)이 압축되며 교반 축(122)과 축받이 홀(112)에 밀착되어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패킹(130)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용기 본체(110)가 착즙 통(20)의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용기 본체(110)가 착즙 통(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격벽(111) 및 고정 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11)은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둥근 띠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111)의 둘레를 따라 고정 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홈(113)은 착즙 통(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26)와 결합되어 용기 본체(110)가 착즙 통(2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용기 본체(11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는 반죽 날개부(120)가 회전될 때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 달라붙은 반죽을 치대어 원활한 반죽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가이드 턱이 형성된다. 이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가 착즙 통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턱(116)은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서 반죽 날개부(12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가이드 턱(116)은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서 상기 반죽 날개부(12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116a)과, 상기 제 1 경사면(116a)이 끝나는 지점에서 제 1 경사면(116a)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116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경사면(116b)은 제 1 경사면(116a)보다 급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 내에서 반죽되는 혼합물이 제 1 경사면(116a)을 원활하게 타고 넘은 후 급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면(116b)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과 접촉하여 반죽됨으로써, 반죽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죽 날개부(120)는,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 하단이 삽입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죽 날개부(120)는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회전하는 교반 축(122)이 마련되고, 상기 교반 축(122)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1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122)은 상단이 뚜껑(30)에 형성된 회전지지 홀(32)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하단에 각축형 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되는 제 1 교반 축(122a) 및 상기 제 1 교반 축(122a)의 둘레를 감싸며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124)가 형성된 제 2 교반 축(122b)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교반 축(122)이 제 1 교반 축(122a)과 제 2 교반 축(122b)으로 구성될 때 제 1 교반 축(122a)은 금속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교반 축(122a)이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제 1 교반 축(122a)의 하단에 형성된 각축형 홀(121)에 스크류 구동축(12)이 끼워졌을 때 스크류 구동축(1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스크류 구동축(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 구동축(1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되는 제 1 교반 축(122a)의 하단에 형성된 각축형 홀(121)에 응력이 집중되는데 만약 제 1 교반 축(122a)이 강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각축형 홀(121)이 파손되어 회전 동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교반 축(122a)이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스크류 구동축(12)의 회전에 따라 각축형 홀(121)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각축형 홀(121)이 파손되지 않아 회전 동력을 안정적으로 교반 축(122)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교반 축(122)에는 용기 본체(110)에 담긴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여 교반하여 뒤섞어 반죽을 하게 되는 회전날개(12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날개(124)는 상기 교반 축(1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전날개(124a)와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와 대향하는 교반 축(12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회전날개(124b)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는 상기 교반 축(122) 일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회전날개(124a)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선이 교반 축(122)의 축선과 교차하는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기 제 2 회전날개(124b)는 상기 교반 축(122)의 타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회전날개(124b)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는 안내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상단이 교반 축(122)의 회전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이 제 1 회전날개(124a)의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한 기울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교반 축(122)에 형성된 회전날개(124)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회전날개(124a)와 제 2 회전날개(124b)로 이루어지면, 상기 교반 축(122)의 회전에 의해 용기 본체(110)에 담긴 혼합물이 교반되어 반죽될 때 원활하게 반죽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반죽 날개부(120)가 용기 본체(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혼합물이 용기 본체(110)에 투입되어 상기 반죽 날개부(120)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회전날개(124a)의 기울기에 의해 혼합물을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으로 가압하며 교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와 대향하는 교반 축(122)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회전날개(124b)는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위치한 혼합물을 용기 본체(110)의 상부로 밀어 올리며 교반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 본체(110)의 혼합물이 반죽될 때 제 1 회전날개(124a)가 혼합물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 2 회전날개(124b)가 혼합물을 윗 방향으로 가압하며,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혼합물이 잔류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반죽 날개부(120)의 회전시 아래 방향과 윗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혼합물이 잘 섞여 균일한 점성을 갖는 찰진 상태의 혼합물 반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에 혼합물의 교반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반 홈(124c)이 형성된다. 즉, 상기 교반 홈(124c)은 용기 본체(110)에서 반죽 날개부(120)가 회전될 때 반죽의 일부를 통과시켜 제 1 회전날개(124a)를 타고 넘는 반죽과 서로 교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교반 홈(124c)은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과 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에 교반 홈(124c)이 형성되면, 제 1 회전날개(124a)의 회전 중에 제 1 회전날개(124a)의 정면과 대면하는 혼합물의 일부가 교반 홈을 통해 제 1 회전날개(124a)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며, 나머지 혼합물은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마치 와류와 같은 소용돌이의 흐름을 일으킴으로써, 혼합물이 잘 섞여 균일한 점성을 갖는 찰진 반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회전날개(124a)에 형성된 교반 홈(124c)은 앞선 설명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에 여러 개의 교반 홈(124c)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 홈(124c)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원형, 타원형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 삽입된 반죽 날개부(120)가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착즙 통(20)의 상부에 뚜껑(30)이 조립된다.
특히, 상기 뚜껑(30)에는 반죽 날개부(120)의 제 1 교반 축(122a) 상단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홀(32)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110)가 착즙 통(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뚜껑(30)이 착즙 통(20)의 상면에 조립되었을 때 제 1 교반 축(122a)의 상단이 뚜껑(30)에 형성된 회전지지 홀(32)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30)이 조립되는 착즙 통(20)은 상부 외경에 뚜껑(30)이 안착되는 단차지는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21)에 뚜껑(30)이 형합된다. 이때, 상기 착즙 통(20)의 단차부(21)에 제 1 결착 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착 홈(23)과 대응하는 뚜껑(30)의 내경에 제 1 결착 돌기(미도시)이 형성되어 뚜껑(30)이 착즙 통(2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결착 돌기가 제 1 결착 홈(23)에 끼워져 뚜껑(30)이 착즙 통(20)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100)의 사용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가 착즙 통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즙기용 반죽용기(100)는 본체(10)의 내부에 스크류 구동축(12)이 본체(10)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 착즙기에 장착되어 상기 착즙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밀가루와 물과 같은 혼합물을 반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 반죽 날개부(120)의 제 1 교반 축(122a) 하단을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0)를 착즙 통(20)의 내부에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착즙 통(20)의 하단 내측 벽에는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 홈(113)과 결합되는 고정 돌기(26)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26)에 맞추어 용기 본체(110)의 고정 홈(113)을 끼워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밀가루와 물 및 소금과 같은 혼합물을 적정 비율로 용기 본체(110)에 투입한 후에 착즙 통(20)의 상부에 뚜껑(30)을 조립하여 반죽 날개부(120)의 제 1 교반 축(122a) 상단을 회전지지 홀(32)에 끼워 상기 반죽 날개부(12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죽용기(100)가 착즙기의 상부에 장착되면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스크류 구동축(1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된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122)이 스크류 구동축(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반죽용기(100)의 용기 본체(110)에 담긴 혼합물을 회전날개(124)가 휘저으며 교반시켜 반죽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혼합물의 반죽이 완료된 후에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착즙 통(20)의 상부에 조립된 뚜껑(30)을 분리시키고, 착즙 통(20)으로부터 반죽용기(100)를 꺼내게 된다. 이와 같이, 반죽용기(100)가 착즙 통(20)에서 분리되면 반죽용기(100) 내부에서 반죽된 혼합물을 꺼내어 반죽된 혼합물을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죽용기(100)는 반죽 날개부(120)가 회전하게 될 때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 형성된 가이드 턱(116)에 의해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과 접촉하는 혼합물이 그 상태로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턱(116)을 타고 넘어 반죽됨으로써, 반죽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는 반죽 날개부(120)의 제 1 회전날개(124a)와 제 2 회전날개(124b)의 형상에 의해 혼합물이 교반되어 반죽될 때 와류와 같은 소용돌이 현상을 일으켜 혼합물의 반죽이 균일한 점성을 갖게 되어 찰진 반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10)와 반죽 날개부(120)가 쉽게 탈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반죽을 끝내고 용기 본체(110)와 반죽 날개부(120)를 세척할 때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서 반죽 날개부(120)를 분리시켜 각각 세척하게 됨으로써, 반죽용기(100)의 세척 및 건조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본체 12 : 스크류 구동축
20 : 착즙 통 22 : 즙 배출구
24 : 찌꺼기 배출구 26 : 고정 돌기
30 : 뚜껑 32 : 회전지지 홀
100 : 반죽용기 110 : 용기 본체
111 : 격벽 112 : 축받이 홀
113 : 고정 홈 114 : 보스
116 : 가이드 턱 116a : 제 1 경사면
116b : 제 2 경사면 120 : 반죽 날개부
121 : 각축형 홀 122 : 교반 축
122a : 제 1 교반 축 122b : 제 2 교반 축
124 : 회전날개 124a : 제 1 회전날개
124b : 제 2 회전날개 124c : 교반 홈
130 : 패킹 132 : 삽입 홀

Claims (10)

  1. 본체(10)의 하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이 본체(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즙 배출구(22)와 찌꺼기 배출구(24)가 형성된 착즙 통(20)이 조립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착즙 통(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바닥면 중심에 축받이 홀(112)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10); 및
    상기 용기 본체(110)의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어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되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직립된 상태로 회전하는 교반 축(122)이 마련되고, 상기 교반 축(122)에서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124)로 이루어진 반죽 날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110)가 설치된 착즙 통(20)의 상면에 뚜껑(30)이 조립되고, 상기 뚜껑(30)에 반죽 날개부(120)의 교반 축 상단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홀(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기 착즙 통(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 중심에 상부를 향해 연장된 보스(114)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114)의 중심에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축받이 홀(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홀(112)은 교반 축(122)의 하단이 삽입되었을 때 이물질이 축받이 홀(112)과 교반 축(122)의 하단 표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13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기 교반 축(122)을 향해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턱(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턱(116)은,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에서 상기 반죽 날개부(12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116a); 및
    상기 제 1 경사면(116a)이 끝나는 지점에서 제 1 경사면(116a)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116b);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경사면(116b)은 제 1 경사면(116a)보다 급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돌출된 둥근 띠의 형상을 갖는 격벽(111); 및
    상기 격벽(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 홈(113);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홈(113)은,
    상기 착즙 통(2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26)와 결합되어 용기 본체(110)가 착즙 통(2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용기 본체(11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반 축(122)은,
    상단이 뚜껑(30)에 형성된 회전지지 홀(32)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축받이 홀(112)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고 하단에 각축형 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스크류 구동축(12)과 축 이음되는 제 1 교반 축(122a); 및
    상기 제 1 교반 축(122a)의 둘레를 감싸며 용기 본체(110)의 내측 벽을 향해 연장되는 회전날개(124)가 형성된 제 2 교반 축(1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124)는,
    상기 교반 축(1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회전날개(124a); 및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와 대향하는 교반 축(12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회전날개(124b);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는,
    상기 교반 축(122)의 일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회전날개(124a)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선이 교반 축(122)의 축선과 교차하는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 2 회전날개(124b)는,
    상기 교반 축(122)의 타측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2 회전날개(124b)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는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는,
    상기 용기 본체(110)에서 반죽 날개부(120)가 회전될 때 반죽의 일부를 통과시켜 제 1 회전날개(124a)를 타고 넘는 반죽과 교반하는 교반 홈(12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교반 홈(124c)은,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과 접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회전날개(124a)의 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KR1020120030694A 2012-03-26 2012-03-26 착즙기용 반죽용기 KR10136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94A KR101362356B1 (ko) 2012-03-26 2012-03-26 착즙기용 반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94A KR101362356B1 (ko) 2012-03-26 2012-03-26 착즙기용 반죽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77A true KR20130108877A (ko) 2013-10-07
KR101362356B1 KR101362356B1 (ko) 2014-02-13

Family

ID=4963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694A KR101362356B1 (ko) 2012-03-26 2012-03-26 착즙기용 반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6107A (zh) * 2015-11-13 2017-03-01 程保星 多用榨汁机
CN106923367A (zh) * 2017-03-26 2017-07-07 贵州壮源特产开发有限公司 一种腌鱼用搅拌装置
JP2018504940A (ja) * 2015-02-13 2018-02-22 キム、ホンデKIM, Hong Bae 食品加工調理機器
CN109077076A (zh) * 2018-08-31 2018-12-25 张梦华 一种彩色面条生产用全自动和面机
CN110367852A (zh) * 2019-08-02 2019-10-25 东莞市中盟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强力搅拌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426U (ko) * 1990-02-21 1991-11-06
KR200455590Y1 (ko) * 2009-04-14 2011-09-15 (주)현대가전업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두부 제조용 믹서기
US9192264B2 (en) * 2010-07-27 2015-11-24 Euro-Pro Operating Llc Food processor
KR20120020879A (ko) * 2010-08-31 2012-03-08 (주)현대가전업 수직형 녹즙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4940A (ja) * 2015-02-13 2018-02-22 キム、ホンデKIM, Hong Bae 食品加工調理機器
CN106466107A (zh) * 2015-11-13 2017-03-01 程保星 多用榨汁机
CN106923367A (zh) * 2017-03-26 2017-07-07 贵州壮源特产开发有限公司 一种腌鱼用搅拌装置
CN109077076A (zh) * 2018-08-31 2018-12-25 张梦华 一种彩色面条生产用全自动和面机
CN109077076B (zh) * 2018-08-31 2022-04-12 奉节县中森粮油工业有限公司 一种彩色面条生产用全自动和面机
CN110367852A (zh) * 2019-08-02 2019-10-25 东莞市中盟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强力搅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356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56B1 (ko) 착즙기용 반죽용기
US8672533B2 (en) Blender jar lid with strainer
US9420801B2 (en) Food kneading appliance with a dough hook and dough mixer
RU2497432C2 (ru) 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теста и меси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CN111050609A (zh) 具备搅拌功能的烹饪锅盖
JP2004516050A (ja) 飲料ミキサ
RU2568794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ий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 планетарное движение
CN107361623B (zh) 烹饪器具
CN210330373U (zh) 搅拌附件以及包括其的烹饪制备的家电设备
JP2008245786A (ja) 電動式食材おろし器
KR101449698B1 (ko) 가정용 수동식 쌀 세척장치
CN210330378U (zh) 搅拌附件以及包括其的烹饪制备的家电设备
KR101163179B1 (ko) 수동식 교반병
KR101167275B1 (ko) 수평 탈착 구조를 갖는 착즙기용 반죽용기
JP3139114U (ja) ケーキ生地用の撹拌羽根
KR102100391B1 (ko) 원터치 탈착 구조를 갖는 음식 제조기용 교반기
JPH02195921A (ja) 調理器
US2701132A (en) Stirrer
CN214413943U (zh) 搅拌桨结构以及多功能和面机
CN212232877U (zh) 和面刀、和面桶及和面机
JP5910338B2 (ja) 回転調理器
CN211061288U (zh) 一种实验室用检验样品匀浆装置
CN212232874U (zh) 和面刀、和面桶及和面机
JP3119557U (ja) ケーキ生地用の撹拌羽根
KR100929973B1 (ko) 자유운동 날개를 갖는 반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