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237A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237A
KR20130108237A KR1020130112843A KR20130112843A KR20130108237A KR 20130108237 A KR20130108237 A KR 20130108237A KR 1020130112843 A KR1020130112843 A KR 1020130112843A KR 20130112843 A KR20130112843 A KR 20130112843A KR 20130108237 A KR20130108237 A KR 2013010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dhesive composition
sensitive adhesive
hour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749B1 (ko
Inventor
김원
정은환
김이은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4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밀린 거리 감소율이 10% 이하이며 상기 밀린 거리 감소율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 1> 밀린 거리 감소율(%)= |(A-B)/A | x 100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B는 36 시간, A는 24시간 경과한 후에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구조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시켜 경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경시 안정성과 생산성이 개선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용 점착제로서는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 상기 관능기와 반응하여 3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경화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용 점착제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갖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등의 관능기와 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나 글리시딜 화합물의 에폭시기 등이 결합하여 3차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유리 기판과 편광판을 접착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고가인 액정 장치에 사용되기 때문에 점착제가 도포된 롤 형상의 제조 중인 제품(편광판-점착층-박리 필름, 또는 박리 필름-점착층-박리 필름의 구조)을 20-50℃로 설정한 숙성실(aging room)에서 3-7일 동안 보관하면서 점착제를 가교시켜, 제품이 일정 성능을 만족시키도록 한 다음 제품을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고 박리 필름을 벗겨 액정 셀에 부착하게 된다. 이는 숙성실에서 보관 기간만큼 제품을 많이 보유할 필요가 있고, 숙성실에 따른 비용도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숙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최적으로는 숙성실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경화 속도를 높여 경시 안정성과 생산성이 개선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경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숙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최적으로는 숙성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시 안정성과 생산성이 개선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밀린 거리 감소율이 10% 이하가 될 수 있다.
<식 1> 밀린 거리 감소율(%)= |(A-B)/A | x 100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B는 36 시간, A는 24시간 경과한 후에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점착층을 형성하고 4일 경과한 후 측정된 겔 분율과 1일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의 차이가 0 초과 내지 5% 미만이고, 상기 겔 분율은 하기 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식 2> 겔 분율(%)= D/C x 100
(상기에서 C는 36 시간 동안 경과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무게를 나타내고, D는 36 시간 동안 경과하고 25℃에서 에틸아세테이트로 12시간 동안 침적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불용해분의 무게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36시간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이 70% 이상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점도 변화율(△η) 10% 미만이 될 수 있다.
<식 3>
△η=(b-a)/a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초기 점도이고, b는 25℃에서 2일 동안 방치한 후의 점도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하기 화학식 1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가교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숙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최적으로는 숙성실을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경시 안정성과 생산성이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밀린 거리 감소율이 1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일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숙성 시간이 1일(24시간)로 단축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화 도달까지 1일 이내임을 알 수 있다.
밀린 거리 감소율은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특정 시간 동안 경과한 후에 25℃에서 1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가 감소한 비율을 나타낸다.
밀린 거리 감소율은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밀린 거리 감소율(%)= |(A-B)/A | x 100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B는 36 시간, A는 24시간 경과한 후에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나타낸다)
밀린 거리 감소율을 측정하기 전 점착층은 30±5℃, 상대 습도 50±25 %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24시간 경과 후 점착층의 밀린 거리 대한 36시간 경과 후의 점착층의 밀린 거리로부터 계산된 밀린 거리 감소율이 10%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점착층을 형성하고 4일 경과한 후 측정된 겔 분율과 1일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의 차이가 0 초과 내지 5% 미만이 될 수 있다.
겔 분율은 하기 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식 2> 겔 분율(%)= D/C x 100
(상기에서 C는 36 시간 동안 경과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무게를 나타내고, D는 36 시간 동안 경과하고 25℃에서 에틸아세테이트로 12시간 동안 침적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불용해분의 무게를 나타낸다)
점착층은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 필름 등에 코팅하고 60~80℃에서 1~4 분 동안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5 ~ 30㎛가 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36시간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이 70%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도 변화율(△η) 10% 미만이 될 수 있다. 점도 변화율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식 3>
△η=(b-a)/a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초기 점도이고, b는 25℃에서 2일 동안 방치한 후의 점도이다)
점도는 점도 측정계(Brookfield LVDV-II, spindle no 63. 6330rpm)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물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하기 화학식 1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가교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반응할 수 있는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만 ~ 250만g/mol, 바람직하게는 80만 ~ 200만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일 경우, 고온 고습 조건등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점착제 코팅성이 잘 구현된다.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말단 또는 에스테르 구조 내에 수산기를 포함하고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페인 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테인 디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세인 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에스테르 모이어티에 탄소 1개 내지 2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90-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92-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이외에, 다른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용액 중합법, 광 중합법, 벌크 중합법, 유화 중합법 또는 에멀젼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중합 온도는 50-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로는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 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과 같은 아조계 중합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과 같은 과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3 내지 6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탄소 사슬은 벤젠 링에서 2번과 6번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탄소 사슬 두 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아크릴 점착제의 응집력에 의하여 충분한 내열성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이상 10 미만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경우 유연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경화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로 배합될 수 있다.
가교 촉진제
가교 촉진제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가교를 촉진하는 촉매 기능을 한다. 가교 촉진제는 금속 촉매,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될 수 있다.
가교 촉진제로서 주석계 금속 화합물, 아연 금속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티탄계 금속 화합물, 비스무트계 금속 화합물 및 알루미늄계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주석계 금속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가교 촉진제인 주석계 금속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디부틸주석,디부틸주석디말레에이트 및 디말레에이트주석 등의 4가 또는 2가의 유기 주석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아연계 금속 화합물로서 산화아연, 탄산암모늄아연, 스테아르산아연, 나프텐산아연, 2-에틸헥산아연을 들 수있다. 상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 촉진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점착제 조성물이 유리 기판에 접촉할 때에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성과 내습성을 개선하고, 점착제가 고온 및/또는 고습하에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감마 에폭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 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일 경우 고온 고습 하에서도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으며 들뜸 및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재박리 특성 및 광학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에 용제,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 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첨가제의 종류도 당업자들에게 모두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 또는 편광 소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되는 필름에 요오드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키고, 연신하여 제조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의 보호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 필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에, 상기 박리성 기재를 사용하여 점착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하여 숙성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기능성층 각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제조예: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가 설치된 1L 반응기에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99.0 중량부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20 중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를 투입하였다.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온도를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3 중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를 45% 농도로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켜 투입하였다. 60℃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은 1,600,000g/mol이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2,6 비스(디부틸이소시아네이토) 톨루엔 (소켄사, FCH-50) 0.125중량부 및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소켄사, 촉진제S) 0.05 중량부를 용제 메틸에틸케톤에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2,6 비스(디부틸이소시아네이토) 톨루엔(소켄사, FCH-50) 0.125 중량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소켄사, 촉진제S) 0.05 중량부 및 감마 에폭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KBM403) 0.3 중량부를 용제 메틸에틸케톤에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2에서 디부틸 틴 라우레이트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3에서 경화제 2,6 비스(디부틸이소시아네이토) 톨루엔 대신에,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L-45, 소켄사)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TD-75, 소켄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디부틸 틴 라우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A) 0.125 0.125 0.125 0.125 - -
(B) - - - - 0.125 -
(C) - - - - - 0.125
가교 촉진제 0.125 0.125 0.5 1.0 0.125 0.125
실란 커플링제 - 0.3 0.3 0.3 0.3 0.3
* (A): 2,6 비스(디부틸이소시아네이토) 톨루엔
(B):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TDI)
(C):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XDI)
상기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점도 변화, 밀린 거리 감소율 및 겔 분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점도 변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초기 점도(a)와, 25℃에서 2일 동안 방치한 후의 점도(b)를 점도 측정계(Brookfield LVDV-II, spindle no 63. 6330rp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점도 변화율(%)(△η=(b-a)/a x 100)을 계산하였다. 점도 변화는 △η<10%인 경우 ○, 10% ≤△η<20%인 경우 △, △η≥20%인 경우 ×로 평가하였다.
2. 밀린 거리 감소율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100℃의 강제순환식 열풍건조기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25㎛의 두께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제조된 점착층을 두께 185㎛의 편광 필름에 접착 가공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은 편광판을 접착 면적 1.5cm × 1.5cm의 유리판에 부착하고 35℃, 45% RH의 항온 항습기에 보관하였다. 보관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꺼낸 후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가하였을 때 점착체층의 밀린 거리를 Texture analyzer(stable micro system社, 모델명 : TA-XT plus)로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밀린 거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밀린 거리 감소율(%)= |(A-B)/A | x 100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각각 t시간 및 t+α시간 후에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에서 t는 0≤t≤100, α는 0<α≤100을 나타낸다.)
a. 24 시간 후 밀린 거리 감소율 = (12시간 후 밀린거리 - 24 시간 후 밀린거리)/12시간 후 밀린거리 x 100
b. 36 시간 후 밀린 거리 감소율 = (24시간 후 밀린거리 - 36 시간 후 밀린거리)/24시간 후 밀린거리 x 100
c. 96 시간 후 밀린 거리 감소율 = (24시간 후 밀린거리 - 96 시간 후 밀린거리)/24시간 후 밀린거리 x 100
* 24 시간 이후 밀린 거리 측정 시, A는 24시간 경화 후 밀린 거리가 된다.
3. 겔 분율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100℃의 강제순환식 열풍건조기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25㎛의 두께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상기 형성된 점착체층 상에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전사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사 테이프를 35℃, 45%의 항온 항습기에 보관하였다. 보관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꺼낸 후 1.5cm × 1.5cm의 크기로 절단하여 무게(C)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전사 테이프를 25℃에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12시간 동안 침적한 후 꺼내어 100℃의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무게(D)를 측정하였다. 상기 (C) 및 (D)로부터 겔 분율을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2> 겔 분율(%)= D/C x 100
(상기에서 C는 특정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점착제 조성물의 무게를 나타내고, D는 특정 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25℃에서 에틸아세테이트로 12시간 동안 침적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불용해분의 무게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점도 변화
밀린 거리 감소율(%) 12시간 후 - - - - - -
24시간 후 22 4.5 4.5 3 36 35
36시간 후 8 0 0 0 11 22
96시간 후 0 0 0 0 0 5
겔 분율(%) 24시간 후 67 72 71 72 65 65
36시간 후 70 72 71 73 68 65
96시간
70 73 72 73 70 71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기존의 TDI 또는 XDI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비해 동일 시간에 대해 밀린 거리 감소율이 낮았으며, 36시간 후 겔 분율 70% 이상임을 알 수 있다.(실시예 1-4, 비교예 1-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36시간 후에는 겔 분율이 거의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Claims (6)

  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밀린 거리 감소율이 10% 이하이며 상기 밀린 거리 감소율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식 1> 밀린 거리 감소율(%)= |(A-B)/A | x 100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유리 판에 부착하고 35℃ 및 45% 상대습도에서 B는 36 시간, A는 24시간 경과한 후에 25℃에서 2.25kg의 힘을 1000초 동안 걸었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나타낸다)
  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고,
    점착층을 형성하고 4일 경과한 후 측정된 겔 분율과 1일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의 차이가 0 초과 내지 5% 미만이고, 상기 겔 분율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식 2> 겔 분율(%)= D/C x 100
    (상기에서 C는 36 시간 동안 경과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무게를 나타내고, D는 36 시간 동안 경과하고 25℃에서 에틸아세테이트로 12시간 동안 침적한 후 점착제 조성물의 불용해분의 무게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화학식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에서 n은 2 내지 10이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36시간 경과 후 측정된 겔 분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점도 변화율(△η)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식 3>
    △η=(b-a)/a x 100
    (상기 식에서 a는 초기 점도이고, b는 25℃에서 2일 동안 방치한 후의 점도이다)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130112843A 2013-09-23 2013-09-23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KR10154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43A KR101549749B1 (ko) 2013-09-23 2013-09-23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43A KR101549749B1 (ko) 2013-09-23 2013-09-23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040A Division KR101362879B1 (ko) 2010-12-31 2010-12-31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237A true KR20130108237A (ko) 2013-10-02
KR101549749B1 KR101549749B1 (ko) 2015-09-04

Family

ID=4963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43A KR101549749B1 (ko) 2013-09-23 2013-09-23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749B1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879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JP5534457B2 (ja) 粘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01309810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N106795414B (zh) 接着组成物、接着层、使用其的光学构件及影像显示装置
KR20150002456A (ko) 점착시트 및 적층체
US2013000469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JP6002220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付偏光板、及び表示装置
TWI825426B (zh) 黏著保護膜、包括其的光學構件以及包括其的光學顯示器
JP2014198745A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用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171404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 광학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7012740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JP5465079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18422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JP6096617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5555043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101781A (ko) 점착제 조성물
KR102395708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384423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42373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1462412B1 (ko) 점착제, 점착 시트 및 디스플레이
KR102184230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이의 제조방법,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101882572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30108237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US2014034905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KR20120073166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