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142A -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 Google Patents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142A
KR20130108142A KR1020130029224A KR20130029224A KR20130108142A KR 20130108142 A KR20130108142 A KR 20130108142A KR 1020130029224 A KR1020130029224 A KR 1020130029224A KR 20130029224 A KR20130029224 A KR 20130029224A KR 20130108142 A KR20130108142 A KR 2013010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hull
pin member
thrus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첸-유에
첸 포-팬
첸 리앙-천
티셍 쿠오-쳉
Original Assignee
씨에스비씨 코포레이션, 타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비씨 코포레이션, 타이완 filed Critical 씨에스비씨 코포레이션, 타이완
Publication of KR2013010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해상 선박(200)은 선체(210), 프로펠러(201) 및 선체(210)에 장착되고 프로펠러(201) 앞으로 배치된 추력 상승 장치(2)를 포함한다. 상기 추력 상승 장치(2)는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21, 22, 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21, 22, 23)는 회전 축(L)에 수직이고 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참조 라인(S)과 제 1, 제 2 및 제 3의 각(θ1, θ2, θ3)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 1의 각(θ1)은 70° 내지 110°의 범위, 상기 제 2의 각(θ2)은 225° 내지 255°의 범위 및 상기 제 3의 각(θ3)은 285° 내지 315°의 범위를 갖는다.

Description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MARINE VEHICLE WITH THRUST BOOSTING DEVICE}
본 발명은 해상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해상 선박(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와 상기 선체에 적재되어 수면(10) 아래에 배치되는 프로펠러(12)를 포함한다. 프로펠러(12)가 회전할 때 그의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해상 선박(1)에 동력을 공급하여 앞으로 또는 뒤로 진행시키는 추진력을 만들어 낸다.
상기 프로펠러(12)와 선체(11)의 작동 원리 때문에, 프로펠러(12)는 추진력을 일으키는 동안 많은 난류와 에너지 분산을 일으킨다. 만약 프로펠러(12)의 회전 속도가 상승되면 더 많은 난류와 에너지 분산이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해상 선박(1)의 추진력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해상 선박(1)의 추진력과 전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국 특허 공개번호 1048461C에서 프로펠러(12)의 앞으로 배치되고, 해상 선박(1)의 선미 유동장을 변경시키기 위한 6개의 핀 부재(13)로 형성된 추력 상승 장치(14)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추력 상승 장치(14)의 핀 부재(13)가 많이 필요하고 대형 해상 선박에 적합하도록 핀 부재를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중국 특허 공개번호 1048461C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선박의 속도와 추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이 소요되며 구조가 간단한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선체, 상기 선체에 장착되고 회전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 및 상기 선체에 장착되고 상기 선체의 뱃머리에 대해 상기 프로펠러 앞으로 배치된 추력 상승 장치를 포함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참조 라인은 회전 축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축에 수직이다.
상기 추력 상승 장치는 제 1 핀 부재, 제 2 핀 부재 및 제 3 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핀 부재는 상기 선체의 우현 쪽(starboard side)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참조 라인과 각 방향으로 제 1의 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의 각(θ1)은 70° 내지 110°이다. 제 2 핀 부재는 상기 선체의 좌현 쪽(port side)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참조 라인과 각 방향으로 제 2의 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2의 각은 225° 내지 255°이다. 상기 제 3 핀 부재는 상기 선체의 좌현 쪽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참조 라인과 각 방향으로 제 3의 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3의 각은 285° 내지 315°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의 표면에 작용하는 프로펠러 가진력과 공동현상(cavitation)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해상 선박의 속도와 추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해상 선박과 프로펠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해상 선박의 선미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중국 특허공개번호 1048461C에 따른 프로펠러와 추력 상승 장치를 보여주는 해상 선박의 선미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도 2를 해상 선박의 선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추력 상승 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와 추력 상승 장치를 도시하는 해상 선박 선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를 해상 선박의 선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추력 상승 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의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제 2 및 제 3 핀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우현 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1 어택각을 도시하는 제 1 핀 부재의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좌현 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2 어택각을 도시하는 제 2 핀 부재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좌현 쪽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 3 어택각을 도시하는 제 3 핀 부재의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펠러 가진력(exciting force)을 비교하는 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뱃머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가능한 말단 부착물 형태를 보여주는 프로펠러와 추력 상승 장치의 구조도.
도 15는 도 14에서의 핀 부재들 중의 하나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뱃머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다른 가능한 말단 부착물 형태를 보여주는 프로펠러와 추력 상승 장치의 구조도.
도 17은 도 16에서의 핀 부재들 중의 하나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의 뱃머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또 다른 가능한 말단 부착물 형태를 보여주는 프로펠러와 추력 상승 장치의 구조도.
도 19는 도 18에서의 핀 부재들 중의 하나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는 명세서 전체를 통해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상 선박(200)은 선체(210), 상기 선체(210)에 장착되고 회전 축(L)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201) 및 추력 상승 장치(2)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210)은 우현 측(202), 좌현 측(203), 선미(204) 및 뱃머리(205)를 가진다. 참조 라인(S)은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수직이다.
상기 추력 상승 장치(2)는 선체(210)에 장착되고 뱃머리(205)에 대해 프로펠러(201) 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추력 상승 장치(2)는 우현 쪽(202)에 배치된 제 1 핀 부재(21), 좌현 쪽(203)에 배치된 제 2 핀 부재(22) 및 좌현 쪽(203)에 배치된 제 3 핀 부재(23)를 포함한다. 제 1, 제 2, 제 3 핀 부재(21, 22, 23) 각각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 축(L)에 따라서 상기 추력 상승 장치(2)와 상기 프로펠러(201) 사이의 거리(T)는 상기 프로펠러(201) 직경(D)의 0.2 내지 2배이다.
참조 라인(S)이 0°이면, 선미(204)에서 보았을 때, 제 1 핀 부재(21)는 참조 라인과 시계방향으로 제 1의 각(θ1)을 형성하고, 제 2 핀 부재(22)는 참조 라인과 시계방향으로 제 2의 각(θ2)을 형성하며, 제 3 핀 부재(23)는 참조 라인과 시계방향으로 제 3의 각(θ3)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제 1의 각(θ1)의 범위는 70° 내지 110°이고, 상기 제 2의 각(θ2)의 범위는 225° 내지 255°이며, 상기 제 3의 각(θ3)의 범위는 285° 내지 315°이다.
상기 제 1 핀 부재(21)는 상기 우현 쪽(202)에 연결된 제 1 연결 말단부(211)와 상기 제 1 연결 말단부(211)와 반대쪽에 제 1 자유단부(212)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핀 부재(22)는 상기 좌현 쪽(203)에 연결된 제 2 연결 말단부(221)와 상기 제 2 연결 말단부(221)의 반대쪽에 제 2 자유단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핀 부재(23)는 상기 좌현 쪽(203)에 연결된 제 3 연결 말단부(231)와 상기 제 2 연결 말단부(231)의 반대쪽에 제 3 자유단부(232)를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제 1 핀 부재(21)의 상기 제 1 자유 단부(21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1), 상기 제 2 핀 부재(22)의 상기 제 2 자유 단부(22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의 상기 제 3 자유 단부(23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3) 각각은 상기 프로펠러(201) 반지름(R)의 1 내지 1.2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핀 부재(21), 상기 제 2 핀 부재(2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모양을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핀 부재(21)는 선미(204)로부터 뱃머리(205)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9° 내지 15°의 범위를 갖는 제 1 어택 각(α1)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핀 부재(22)는 뱃머리(205)로부터 선미(204)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4° 내지 10°의 범위를 갖는 제 2 어택 각(α2)을 형성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핀 부재(23)는 뱃머리(205)로부터 선미(204)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2° 내지 8°의 범위를 갖는 제 3 어택 각(α3)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력 상승 장치(2)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독일의 HSVA(Hamburg Ship Model Basin)을 사용하여 모델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대조군은 대만의 CSBC 회사에서 디자인한 1,800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 콘테이너선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상기 모델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대조군과 동일한 해성선박으로 하였지만, 실험군의 컨테이너선이 추력 상승 장치(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상기 모델 테스크의 결과는 도 13과 하기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군에서 회전 축(L)에 따라서 상기 추력 상승 장치(2)와 상기 프로펠러(201) 사이의 거리(T)는 상기 프로펠러(201) 직경(D)의 0.2배이다. 참조 라인(S)과 시계 방향으로 제 1 핀 부재(21)에 의해 형성된 제 1의 각(θ1)은 90°이고, 참조 라인(S)과 시계 방향으로 제 2 핀 부재(22)에 의해 형성된 제 2의 각(θ2)은 230°이며, 참조 라인(S)과 시계 방향으로 제 3 핀 부재(23)에 의해 형성된 제 3의 각(θ3)은 300°이다. 제 1 핀 부재(21)와 회전 축(L)의 경사에 의해 형성된 제 1 어택 각(α1)은 13°이고, 제 2 핀 부재(22)와 회전 축(L)의 경사에 의해 형성된 제 2 어택 각(α2)은 4°이며, 제 3 핀 부재(23)와 회전 축(L)의 경사에 의해 형성된 제 3 어택 각(α3)은 4°이다. 더욱이, 상기 제 1 핀 부재(21)의 상기 제 1 자유 단부(21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1), 상기 제 2 핀 부재(22)의 상기 제 2 자유 단부(22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의 상기 제 3 자유 단부(23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3) 각각은 상기 프로펠러(201) 반지름(R)의 1.05배이다.
본 실험군에서 이들 거리(H1, H2, H3)는 동일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이들 거리(H1, H2, H3)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거리(H1, H2, H3) 각각이 프로펠러(201) 반지름(R)의 1 내지 1.2배일 경우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하기 표 1과 표 2에 따르면 추력 상승 장치(2)를 구비한 실험군의 선박 속도는 동일한 마력 하에서 추력 상승 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더 빠르다. 또한 추력 상승 장치(2)를 구비한 실험군이 필요한 마력은 동일한 선박 속도에서 추력 상승 장치(2)를 구비하지 않은 대조군이 필요한 마력에 비해 5% 더 적다. 게다가 도 13에 따르면 실험군의 프로펠러 가진력(exciting force)은 대조군의 프로펠러 가진력에 비해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동일 마력
(12723 kW)
대조군 실험군
선박 속도 19.78노트 20.00노트
분당 회전 103.6 rpm 100.8 rpm
동일 선박 속도
(20.00 노트)
대조군 실험군
필요한 추진 마력 13391 kW 12734 kW
필요한 마력 비율 100% 95.0%
또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상승 장치(2)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 2 실시예는 추력 상승 장치(2)가 상기 제 1 핀 부재(21)의 제 1 자유단부(212)와 상기 제 2 핀 부재(22)의 제 2 자유단부(222)와 상기 제 3 핀 부재(23)의 제 3 자유단부(232)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말단 부가물(24)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말단 부가물(24)들은 핀 부재의 자유단부(212, 222, 232) 근처의 높은 압력에서부터 낮은 압력으로 배출되는 유동에 의한 끝 와류(tip vortex)를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말단 부가물(24)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유선형(elliptic streamline)의 형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 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은 와동 운동 에너지(eddy kinetic energy)를 줄이기 위해 프로펠러(201)를 지나는 유체 흐름 앞에 프로펠러(201)의 상류 유동장(upstream flow field)을 변경시키기 위해 추력 상승 장치(2)의 상기 제 1 핀 부재(21), 상기 제 2 핀 부재(2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를 사용한다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프로펠러(201)의 표면에 작용하는 프로펠러 가진력과 공동현상(cavitation)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해상 선박(200)의 속도와 추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추력 상승 장치 21 : 제 1 핀 부재
22 : 제 2 핀 부재 23 : 제 3 핀 부재
200 : 해상 선박 201 : 프로펠러
202 : 우현 203 : 좌현
204 : 선미 205 : 뱃머리
210 : 선체 R : 프로펠러 반지름
D : 프로펠러 직경
T : 추력 상승 장치와 프로펠러 사이의 거리

Claims (8)

  1. 선체(210)와, 상기 선체(210)에 장착되고 회전 축(L)에 대해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201)를 포함하는 해상 선박(200)으로서,
    상기 선체(210)에 장착되고 상기 선체(210)의 뱃머리(205)에 대해 상기 프로펠러(201) 앞으로 배치된 추력 상승 장치(2)를 포함하되,
    상기 추력 상승 장치(2)는,
    상기 선체(210)의 우현 쪽(202)에 배치된 제 1 핀 부재(21)로서,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회전 축(L)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수직인 참조 라인(S)과 각 방향으로 제 1의 각(θ1)을 형성하되, 상기 제 1의 각(θ1)은 70° 내지 110°인 제 1 핀 부재(21)와,
    상기 선체(210)의 좌현 쪽(203)에 배치된 제 2 핀 부재(22)로서,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참조 라인(S)과 각 방향으로 제 2의 각(θ2)을 형성하되, 상기 제 2의 각(θ2)은 225° 내지 255°인 제 2 핀 부재(22)와,
    상기 선체(210)의 좌현 쪽(203)에 배치된 제 3 핀 부재(23)로서,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참조 라인(S)과 각 방향으로 제 3의 각(θ3)을 형성하되, 상기 제 3의 각(θ3)은 285° 내지 315°인 제 3 핀 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 부재(21)는 상기 선체(210)의 상기 우현 쪽(202)에 연결된 제 1 연결 말단부(211)와 상기 제 1 연결 말단부(211)의 반대쪽에 제 1 자유단부(212)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9° 내지 15°의 범위를 갖는 제 1 어택 각(α1)을 형성하고 상기 선체(210)의 선미(204)로부터 상기 선체(210)의 상기 뱃머리(205)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핀 부재(22)는 상기 선체(210)의 상기 좌현 쪽(203)에 연결된 제 2 연결 말단부(221)와 상기 제 2 연결 말단부(221)의 반대쪽에 제 2 자유단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4° 내지 10°의 범위를 갖는 제 2 어택 각(α2)을 형성하고 상기 선체(210)의 상기 뱃머리(205)로부터 상기 선체(210)의 선미(204)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핀 부재(23)는 상기 선체(210)의 상기 좌현 쪽(203)에 연결된 제 3 연결 말단부(231)와 상기 제 2 연결 말단부(231)의 반대쪽에 제 3 자유단부(232)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에 대해 2° 내지 8°의 범위를 갖는 제 3 어택 각(α3)을 형성하고 상기 선체(210)의 상기 뱃머리(205)로부터 상기 선체(210)의 선미(204) 쪽 방향의 아래 쪽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 부재(21), 상기 제 2 핀 부재(2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 각각은 상기 선체(210)의 말단에 제 1, 제 2 및 제 3 자유 단부(212, 222, 23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핀 부재(21)의 상기 제 1 자유 단부(21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1), 상기 제 2 핀 부재(22)의 상기 제 2 자유 단부(22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의 상기 제 3 자유 단부(232)와 상기 프로펠러(201)의 회전 축(L) 사이의 거리(H3) 각각은 상기 프로펠러(201) 반지름(R)의 1 내지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 부재(21), 상기 제 2 핀 부재(2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 각각은 상기 선체(210)의 말단에 자유 단부(212, 222, 232)를 구비하고, 말단 부가물(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 부재(21), 상기 제 2 핀 부재(22) 및 상기 제 3 핀 부재(23) 각각은 사다리꼴, 직사각형, 삼각형 및 타원으로 이루어진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모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8.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L)에 따라서 상기 추력 상승 장치(2)와 상기 프로펠러(201) 사이의 거리(T)는 상기 프로펠러(201) 직경(D)의 0.2 내지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KR1020130029224A 2012-03-23 2013-03-19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KR20130108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10112A TW201339052A (zh) 2012-03-23 2012-03-23 船舶的非對稱鰭翼裝置
TW101110112 2012-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142A true KR20130108142A (ko) 2013-10-02

Family

ID=4790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224A KR20130108142A (ko) 2012-03-23 2013-03-19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41827A3 (ko)
JP (1) JP2013199272A (ko)
KR (1) KR20130108142A (ko)
TW (1) TW2013390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91A1 (ko) * 2014-10-24 2016-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효율 향상장치
CN104828226A (zh) * 2015-04-21 2015-08-12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〇八研究所 一种船舶水动力辅助推进节能装置
CN106184607A (zh) * 2016-07-11 2016-12-0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艉柱与尾鳍的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5619A1 (de) * 1985-06-24 1987-01-02 Schiffbau Veb K Leitein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propellerzustroemung bei schiffen
JPH0329517A (ja) 1989-06-27 1991-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と再生装置
JP2948413B2 (ja) * 1991-11-14 1999-09-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用リアクションフィン装置
JP5081455B2 (ja) * 2007-01-19 2012-11-28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船舶の非対称前流固定翼
DE202009009899U1 (de) * 2009-07-23 2010-12-02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Düsenpropeller für Schiffe
CN102381463B (zh) * 2011-08-17 2013-11-27 上海船舶研究设计院 桨前反应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99272A (ja) 2013-10-03
EP2641827A3 (en) 2017-05-24
TWI488772B (ko) 2015-06-21
TW201339052A (zh) 2013-10-01
EP2641827A2 (en)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670B2 (ja) ツイン・スケグ船
JP2007535440A5 (ko)
JP2011025918A (ja) 船舶用ノズルプロペラ
JP6418451B2 (ja) 船舶
KR20130108142A (ko) 추력 상승 장치를 구비한 해상 선박
JP3213165U (ja) 非対称ダクト及びフィン構造物の結合による船舶流動制御装置
KR101780910B1 (ko) 덕트 장치
JP2009056989A (ja) 舶用推進効率改善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WO2011102103A1 (ja) ダクト付きスラスタ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6548062B2 (ja) 船尾用ダクト、船尾用付加物、船尾用ダクトの設計方法、及び船尾用ダクトを装備した船舶
KR101225175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25169B1 (ko)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531811B1 (ko) 선미 덕트를 가진 선미 형상 및 선박
KR200480863Y1 (ko) 선박용 프로펠러
KR100923533B1 (ko) 홈이 형성된 선박용 프로펠러
KR20110133676A (ko) 선박용 방향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02035B1 (ko) 선박
KR20110036148A (ko) 선박의 터널 스러스터
KR102117384B1 (ko) 선박용 덕트의 지지구조
CN216003033U (zh) 一种带减涡板的船舶螺旋桨桨叶
KR101106709B1 (ko)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며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용 방향타
KR20110109306A (ko) 몸체의 일부만 이용하는 선박용 방향타
Jürgens et al. Voith Schneider Propeller (VSP)-Investigations of the cavitation behaviour
RU104536U1 (ru) Судовой движитель
KR870000970Y1 (ko) 선박 손실에너지의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