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515A -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515A
KR20130107515A KR1020120029366A KR20120029366A KR20130107515A KR 20130107515 A KR20130107515 A KR 20130107515A KR 1020120029366 A KR1020120029366 A KR 1020120029366A KR 20120029366 A KR20120029366 A KR 20120029366A KR 20130107515 A KR20130107515 A KR 2013010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formation
support structure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151B1 (ko
Inventor
서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Abstract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는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구조물; 상기 지지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측정유닛;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지지구조물에 변위측정유닛이 일체로 제공되어 하우징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우징의 높이에 따른 변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DEFLECTION OF HOUSING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열간 압연공정에서 사용되는 압연기의 하우징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기의 자중, 고온판재 압연에 의한 열 변형, 반복되는 압연하중에 의한 압연기 변형 등에 의해 압연기 하우징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도록 한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공정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강재, 일례로 압연판을 압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에 사용되는 압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압연판(S)의 상, 하부를 압연하도록 제공된 상, 하부 작업롤(22, 24)이 제공된다. 상, 하부 작업롤(22, 24)은 롤 초크(26)를 매개로 하우징(10)에 연계된다.
한편, 상, 하부 작업롤(22, 24)에는 압연판(S)의 압연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상, 하부 보강롤(32, 34)이 연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 하부 보강롤(32, 34)은 베어링 블록(36)을 매개로 하우징(10)에 연계된다.
또한, 종래의 압연기(1)는 압연이 이루어지는 압연판(S)의 두께에 따라 상, 하부 작업롤(22, 24) 및 상, 하부 보강롤(32, 34)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높낮이 조절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압연기(1)는 열간 압연 공정에서 하우징(10) 및 각종 롤(22, 24, 32, 34)을 포함한 전체 구조물들이 약 1,000℃ 이상의 고온 압연판(S)들과 접촉하게 되고, 다양한 치수의 압연판(S)들과의 압연시 충격하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압연기(10)로 전달되는 충격은 단 주기적으로는 탄성변형에 의해 복원이 이루어지지만, 장 주기적으로는 누적되며 소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압연기(1)에는 압연판(S)의 압연시 발생하는 압연하중 외에도 자중에 의한 변형 등도 발생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에 열간 압연시 압연판(S)이 상, 하부 작업롤(22, 24)을 통과할 때 압연기 하우징(10)의 상, 하면에 대해 상, 하 및 좌, 우로 충격과 변형을 받게 되며, 이때의 충격과 변형이 비대칭적으로 발생한다.
도 4는 압연기 하우징에 작용하는 압연하중에 의해 압연기에 발생한 변형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압연기 하우징(10)의 상, 하부에 압연하중이 가해지면 압연기 하우징(10)은 수직 방향에 대해서 상, 하부로 연신되며,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압연기 하우징(10)이 내측으로 수축된다. 이때, 압연기 하우징(10)의 변형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변형량 대비 수평방향의 변형량이 압연기 하우징(10)의 주된 내부변형으로 작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 하우징이 정상상태인 경우와, 변형이 발생된 상태의 단면도인 도 5의 (a)와 (b)를 참고하면, 압연기의 하우징(10)이 변형되면, 상, 하부 작업롤(22, 32) 및 상, 하부 보강롤(24, 34)을 위치조정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상, 후부 작업롤(22, 32) 및 상, 하부 보강롤(24, 34)을 내리거나 올릴 수 없게 되어 압연판(S)을 원하는 두께로 압연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압연기 하우징(10)의 수평방향 내부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압연기 하우징(10) 등은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변형을 증가시키는 외력을 받기 때문에 순수한 외력에 의한 변형보다 압연기 하우징(10)의 소성변형을 유발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 6의 (a)와 같이, 압연기 하우징(10)의 수평방향 내부변형 발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수평게이지(50)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평게이지(50)에 의해 검출되는 변형량을 이용하여 하우징(10)의 변형량을 측정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평게이지(50)를 하우징(10)에 직접 설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깊이가 깊은 경우 또는 하우징(10)의 내경이 작거나 클 경우, 수평게이지(50)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변형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하우징(10)의 내경의 크기가 작을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수평게이지(50)가 하우징(10)의 내경부에 비대칭, 즉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변형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수평방향의 변형량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는 제약으로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순히 하우징(10)의 내부에 수평게이지(50)를 설치하고 변형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하우징(10)의 내부 변형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고, 더욱이 하우징(10)의 수직길이 또는 수평길이기 길 경우 하우징(10)의 내경 변화를 측정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제한이 있다.
한편, 압연기 하우징(10)의 내부 변형이 발생하면 압연품질에 악영향이 발생하고, 전체 압연기(1)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하우징(10) 내부의 강제 연마 및 보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압연기(1)의 수명을 감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열간 압연시 다양한 하중 및 충격, 진동, 누적 변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압연기 하우징의 수평방향 내부변형을 안정적으로 측정하고 신속하게 변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는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구조물; 상기 지지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암을 신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변형시 상기 내측면과의 접촉 또는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이동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기어부가 제공되고,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는 기어휠 및 상기 기어휠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신축되는 폭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 변형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신축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구조물에 변위측정유닛이 일체로 제공되어 하우징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위측정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높이에 따른 변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변위측정유닛이 지지구조물에 의해 폭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데이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의 하우징에 발생하는 변형량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a)와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 하우징이 정상상태인 경우와, 변형이 발생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게이지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 하우징 변형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의 지지구조물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에 하우징 변형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변형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변형측정장치(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구조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압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110)은 상, 하방향으로 상, 하부 작업롤(22, 32) 및 상, 하부 보강롤(24, 34)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고, 폭방향으로는 상, 하부 작업롤(22, 34) 또는 상, 하부 보강롤(24, 34) 중 큰 직경을 갖는 것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압연기(100)는 압연판(S)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상, 하방향이 높이를 이루는 형태, 즉 단면의 형상이 수직방향으로 긴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하부 보강롤(24) 및 하부 작업롤(34)의 위치 조정을 위한 하부서포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상부 보강롤(22) 및 상부 작업롤(32)의 위치 조정을 위한 상부서포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하부서포터가 위치되는 하부블록이 제공될 수 있고, 상부에는 상부서포터가 삽입되는 스크류 다운홀(11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압연판(S)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110)의 변형은 압연품질뿐만 아니라 압연기(100)의 수명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압연기(100)의 변형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압연기(100)의 수명 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압연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변화량보다 폭방향 변화량이 미치는 영향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하우징(110)의 변형측정장치(150)는 압연기(100)의 폭방향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변형측정장치(150)는 하우징(110)의 높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구조물(1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구조물(160)에는 하우징(110)의 폭방향 변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위측정유닛(170)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유닛(170)은 지지구조물(16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변위측정유닛(170)은 압연기 하우징(110)의 크기 또는 변형발생 정도에 따라 지지구조물(160)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변위측정유닛(170)의 이동시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유닛(170)은 지지구조물(160)에 제공되는 지지암(172) 및 이 지지암(172)을 매개로 하우징(110)의 내측면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암(172)에는 지지구조물(160)이 삽입되는 플랜지(174)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암(172)은 플랜지(174)로부터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변위측정유닛(170)은 하우징(110)의 폭방향 변형시 수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대응하기 위해 지지암(172)을 신축하는 길이가변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길이가변부(176)는 유체 또는 기체 등이 채워진 실린더((176a))와, 이 실린더(176a)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작동로드(176b)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76a)는 내부에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작동로드(176b)를 신축시켜 지지암(172)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변위측정유닛(170)의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작동로드(176b)를 신장시켜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가변부(176)는 지지암(172)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길이가변부(176)는 지지암(172)의 단부에 제공되어 작동로드(176b)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직접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길이가변부(176)는 작동로드(176b)와 실린더(176a) 또는 지지암(172)의 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 일례로 스프링(176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76c)은 변위측정유닛(170)이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로드(176b)를 포함하는 지지암(172)의 단부가 하우징(110)이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를 고정 유지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80)는 지지암(172) 또는 작동로드(176b)의 단부에 제공되어 하우징(110)의 변형시 이동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접촉식 거리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식 거리센서(182)는 지지암(172) 또는 작동로드(176b)의 단부에 연계된 센싱로드(184)를 매개로 하우징(110)의 변형량을 측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폭방향 변형에 의해 지지암(172) 또는 작동로드(176b)의 단부가 이동하면, 이에 연계된 센싱로드(184)가 이동하게 되고, 접촉식 거리센서(182)는 센싱로드(184)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하우징(110)의 폭방향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80)는 직접적인 이동량을 측정하는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부(180)는 압전형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형 압력센서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변형됨에 따라 지지암(172) 또는 작동로드(176b)를 가압하게 되며, 이와 같이 압전형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은 압전소자에 의해 압력에 비례하여 전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피에조 전기효과를 이용하여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면 하우징(110) 내측면의 이동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80)는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센서부(18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유닛(170)은 지지구조물(16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위측정유닛(170)의 높낮이를 조정하며 다양한 높이에서 하우징(110)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위측정유닛(170)은 지지구조물(160)에 밀착되는 이동휠(178)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이동휠(178)에는 구동을 위한 모터(179)가 연계될 수 있다. 예컨대, 모터(179)는 서버모터로 제공되어 이동량의 제어가 가능하며, 모터(179)의 회전시 이동횔(178)이 지지구조물(160)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지지구조물(1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휠(178)은 지지구조물(160)의 외측으로 제공되는 플랜지(174)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플랜지(174)에는 이동휠(178)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178a)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유닛(170)은 이동휠(178)의 회전시 지지구조물(160)과 슬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변위측정유닛(170)의 이동구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구조물(16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기어부(16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변위측정유닛(170)은 이동휠(178)의 외주면에 지지구조물(160)의 기어부(162)와 치합되는 기어(178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변위측정유닛(170)은 이동휠(178)을 대체하는 구성으로 기어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위측정유닛(170)은 모터(179)의 구동시 기어휠이 지지구조물(160)의 기어부(162)를 따라 치합되며 회전함에 따라 슬립없이 지지구조물(1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변위측정장치(150)는 지지구조물(160)의 상, 하부가 하우징(110)의 상,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하우징(110)은 변형시 높이방향으로도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0)은 압연하중에 의해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이방향으로는 팽창하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구조물(160)은 하우징(110)의 높이방향 변형시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는 길이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구조물(160)은 서로 중첩되는 이중의 관상구조로 제공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중첩되며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구조물은 제1지지관(160a)과, 제1지지관(160a)에 일부가 중첩되도록 삽입되는 제2지지관(16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관(160a)과 제2지지관(160b)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높이방향 팽창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제1지지관(160a)과 제2지지관(160b)이 신장되며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관(160a)은 제2지지관(160b)이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제2지지관(160b)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 일례로 스프링(164)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관(160a)의 일측에는 스프링(164)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관(160a)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60c)가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150)는 지지구조물의 일측에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된 보조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보조지지부(190)는 지지구조물(160)의 중앙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연기 하우징(110)은 중앙부에서 변형이 최소로 발생할 수 있으며, 중앙부에 돌출된 돌출구조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190)는 압연기 하우징(110)의 돌출구조부(112) 사이에 밀착되며 지지구조물(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지지부(190)는 하우징(110)의 폭방향 변형시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신축되는 폭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폭가변부는 변위측정유닛(170)에 제공되는 길이가변부(176)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폭가변부는 유체 또는 기체 등이 채워진 실린더와, 실린더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폭가변부는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에 의해 돌출구조부(116)가 수축될 경우, 수축이 이루어지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유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압연기 110: 하우징
112: 돌출구조부 114: 스크류 다운홀
150: 변형측정장치 160: 지지구조물
160a: 제1지지관 160b: 제2지지관
160c: 돌출부 162: 기어부
164: 스프링 170: 변위측정유닛
172: 지지암 174: 플랜지
176: 길이가변부 176a: 실린더
176b: 작동로드 176c: 스프링
178: 이동휠 178a: 브래킷
179: 모터 180: 센서부
182: 접촉식 거리센서 184: 센싱로드
190: 보조지지부

Claims (8)

  1. 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되는 지지구조물;
    상기 지지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측정유닛;
    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암을 신축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변형시 상기 내측면과의 접촉 또는 압력변화를 이용하여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기어부가 제공되고,
    상기 변위측정유닛은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는 기어휠 및 상기 기어휠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 변형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신축되는 길이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제공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변형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신축되는 폭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KR1020120029366A 2012-03-22 2012-03-22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KR101359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66A KR101359151B1 (ko) 2012-03-22 2012-03-22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66A KR101359151B1 (ko) 2012-03-22 2012-03-22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15A true KR20130107515A (ko) 2013-10-02
KR101359151B1 KR101359151B1 (ko) 2014-02-06

Family

ID=4963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366A KR101359151B1 (ko) 2012-03-22 2012-03-22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1337A (zh) * 2018-05-10 2018-11-13 宁海县美丁模塑有限公司 一种蓄电池的塑料壳体的检测机构
KR20190122946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포스코 간격 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85Y1 (ko) * 1994-12-29 1998-04-17 김만제 제강공장의 전로변형 측정장치
KR20020051473A (ko) * 2000-12-22 2002-06-29 신현준 압연기의 롤 초크 변위 측정장치
JP2003148902A (ja) 2001-11-09 2003-05-21 Nsk Ltd 軸受用ハウジングの測定装置
KR100530468B1 (ko) 2001-12-22 2005-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압연기의 밀상수 히스테리시스 발생부위 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946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포스코 간격 보정 방법
CN108801337A (zh) * 2018-05-10 2018-11-13 宁海县美丁模塑有限公司 一种蓄电池的塑料壳体的检测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151B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779B2 (ja) ガラス板引きプロセスにおける能動エッジロール制御
RU2013149636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авления в межвальцовом зазоре вальцового пресса
CN103917309B (zh) 金属板材的轧制装置
KR101359151B1 (ko) 하우징의 변형측정장치
US20070245794A1 (en) Device for Loading the Guide Surfaces of Bearing Chocks Supported in the Housing Windows of Rolling Stands
CN102839592B (zh) 摊铺机的调平装置及其控制方法和摊铺机
KR101280845B1 (ko) 냉연강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N106890871B (zh) 机架变形补偿装置及折弯机
US6519996B1 (en) Pressing-bend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he lower and upper cross-members deflection, aimed at interacting with at least one crowning system
KR101797306B1 (ko) 롤 초크의 라이너 변형 진단 장치 및 방법
RU201314569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алка
JP5735175B2 (ja) ロールギャップの高さを検出するための測定装置、ロールスタンド及び方法
KR101374254B1 (ko) 실시간 압연시트 두께 측정장치
JP2009255148A (ja) ローラレベラ
JP5720391B2 (ja) エッジャー
JP5718943B2 (ja) 成形・冷却装置用のベルト駆動制御装置
JP5139931B2 (ja) 連続鋳造用設備のガイドロールセグメント
KR20080037309A (ko) 압연롤 프로파일 측정장치 및 방법
KR20140000334U (ko) 마모도 측정장치
KR101320032B1 (ko) 축압기
JP4461051B2 (ja) 圧延機の下水平ロールの零点調整方法
CN208223436U (zh) 一种h型钢梁高在线检测装置
KR102486680B1 (ko) 롤 동반 테스트 방법 및 장치
JP6644142B2 (ja) エッジングスタンドのエッジングロール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JP4607688B2 (ja) 移動荷重を支える構造物及び該構造物を用い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