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224A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224A
KR20130106224A KR1020120027963A KR20120027963A KR20130106224A KR 20130106224 A KR20130106224 A KR 20130106224A KR 1020120027963 A KR1020120027963 A KR 1020120027963A KR 20120027963 A KR20120027963 A KR 20120027963A KR 20130106224 A KR20130106224 A KR 2013010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utton
character
uni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8555B1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2002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55B1/en
Publication of KR2013010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haracter inpu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facilitate input of characters by touching or dragging. CONSTITUTION: A character input device (100) comprises a control unit (20), a touch screen unit (10), and a storage unit (30). The touch screen unit provides a user with an input unit which configures characters and character strings, and is input from touching or dragging by a user on a displayed input unit. The signal which is generated by the user's touch is delivered through a signal line of the touch screen un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touch of the user, and calculates a corresponding coordinate by recognizing the user movement in a touched state. The storage unit stores various information to receive the input of characters by the operation of a required software and the user. [Reference numerals] (10) Touch screen unit; (20) Control unit; (30) Storage unit

Description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input device and a text input method for receiving text from a user using a touch screen.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에서 키패드를 생략하여 화면을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이 많이 이용된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ve touch screens that have the advantage of large screen configuration by omitting the keypad in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a conventional keypa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isplay and input technology. Hangul input method is used a lot.

그런데,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은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화면 내에서 가상으로 분할된 키패드 형식의 화면을 통해 글자를 입력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하는 위치에 조금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오입력의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method receives characters through a keypad-type screen virtually divided within one screen that is not physically divided, even if there is a slight error in the position where the user touches, there is a possibility of incorrect input. This is a high problem.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한글의 입력단위의 배치가 종래의 키패드 입력장치와 비교하여 다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의 키패드 입력장치에서 입력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바 드래그(Drag)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unit of Korea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keypad input device, a user may use a bar drag function or the like that uses the input method of a conventional keypad input device as it is. There was a limit not to take advantage of the touch screen can.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문자 및 문자열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easily inputting a character and a string by one touch and drag.

그리고 본 발명은 입력버튼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신속하게 하면서도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an error while quickly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n interface unit in which an input button is radially disposed.

또한 본 발명은 기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수정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modify the input character in real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외국어의 입력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facilitate the input of foreign languages.

또한 본 발명은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의 배치를 손쉽게 로드하여 변환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easily loading and converting an arrangement of input buttons and function buttons.

상기 목적은,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부와;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을 통하여 상기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 touch screen unit including a function button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 wherein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are disposed; Receives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input unit and the additional func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by a single touch and drag method, and combines the input units to complete a character to complete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uni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중앙의 기능버튼을 터치한 후 바깥쪽의 기능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entire input button by replacing a new fun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when the user touches the center function button and drags the outer function button. .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기입력된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상기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function buttons and the input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by replacing the new function buttons and input buttons with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new function buttons and the input buttons based on an input uni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The screen unit can be controlled.

상기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하나의 문자입력이 완료되는 경우, 입력이 완료된 문자의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다음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받기 위한 이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the touch screen unit may include a movement button for moving to the next space of the completed character and continuously inputting the next character.

상기 부가기능명령은, 자음의 입력단위를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쌍자음 변환명령과, 기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호 변환명령과, 문자의 완성 후 다음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받기 위한 연속입력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sonant conversion command for converting an input unit of a consonant into a consonant, a symbol conversion command for receiving a symbol, and a continuous input command for continuously receiving the next character after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t may include 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 내의 영역 중 상기 기능버튼 및 상기 입력버튼을 제외한 외곽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부가기능명령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perform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when the user recognizes an outer region other than the function button and the input button among the areas within the touch screen unit.

상기 부가기능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부가기능은 문자를 구분하는 구분자 기능과, 커서를 이동하는 이동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function performed by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may include a separator function for separating characters and a moving function for moving a cur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문자입력버튼으로 터치 또는 드래그되는 경우 나중에 선택된 문자입력버튼의 입력단위가 실시간으로 표시 및 입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and input an input unit of a later selected character input button in real time when one of the character input buttons is selected or touched by another character input button.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입력버튼에 의해 입력 가능한 입력단위 중 한글 자음은 “ㅇ”과, “ㄱ”과, “ㅁ”과, “ㅅ”과, “ㄹ”과, “ㄴ”을 포함하고, 한글 모음은 “ㅏ”와, “ㅣ”와, “ㅡ”와, “ㅓ”와, “ㅗ”와, “ㅜ”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input units input by the input button of the touch screen unit, the Korean consonants include “ㅇ”, “ㄱ”, “ㅁ”, “ㅅ”, “ㄹ”, ““ ”, and“ 한글 ”. May include “ㅏ”, “ㅣ”, “ㅡ”, “ㅓ”, “ㅗ”, and “TT”.

상기 한글 자음과 상기 한글 모음은 하나의 입력버튼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The Hangul consonants and the Hangul vowels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input button.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버튼과; 기입력된 입력단위 또는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과; 문자 및 문자열에 대한 복사하기, 잘라내기와, 붙여넣기 버튼과; 띄어쓰기버튼과; 줄바꾸기버튼과; HOME 및 END버튼과; PAGE UP & DOWN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버튼으로 변환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button includes a dire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delete button for deleting a previously input unit or character; Copy, cut, and paste buttons for characters and strings; A space button; A line feed button; A HOME and END butto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convert to a fun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AGE UP & DOWN button.

상기 입력단위는 외국어의 입력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unit of a foreign language.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빈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문자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빈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입력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may store a character having a frequency of u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 the character having a frequency of u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on an input button of the touch screen unit.

입력단위의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명령의 입력 및 입력이 완료된 입력단위를 인식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위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arrangement information of an input unit, wherei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nput unit of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and the input unit in which the input is completed, and touches the input unit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can be displayed on the function button and input button of the screen unit.

상기 입력단위의 배치정보는 외국어와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기 위한 배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ch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may include batch information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foreign language and a special charact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 내에서 문자입력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부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위치에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interface unit at the selected pos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region in which the interface unit necessary for text input is not locate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중인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기능버튼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a character currently being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 a function button.

한편,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을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을 통하여 상기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고 상기 선택된 부가기능에 따라 문자를 완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the input unit constituting the character; Displaying a function button on a touch screen to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s; Receiving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input unit and the additional function through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by a single touch and drag method; 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combining the input unit and comple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lected additional function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문자 및 문자열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and a string can be easily input by one touch and dra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입력버튼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신속하게 하면서도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rror while quickly inputting the character by using the interface unit in which the input button is radially disp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기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the input character in real tim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외국어의 입력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foreign langu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의하면,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의 배치를 손쉽게 로드하여 변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load and convert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부의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부에 포함되는 기능버튼과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입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부의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부가기능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일본어 입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nterface unit of the touch screen unit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fun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included in the touch screen unit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G are views for explaining a character input process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unit of a touch screen unit of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Japanese input process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witching process of an interface unit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ext input device and a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방식에 의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PDA 뿐만 아니라 ATM 단말기, 내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10, a controller 20, and a storage unit 30. The text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TM terminal, a navigation system, or the like as well as a mobile phone and a PDA capable of inputting text by a touch method.

터치스크린부(10)는 문자 및 문자열을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하고, 표시된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한글을 입력받는 경우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입력단위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0a)와 입력된 문자 및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에 포함된 각각의 입력버튼은 사각형 또는 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입력버튼은 입력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다각형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touch screen unit 10 displays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nd a string, and receives the displayed input unit from the user by a touch and drag method. For example, when inputting Hangul, the input unit including consonants and vowels is displayed. As illustrated in FIG. 2,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0a for receiving tex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text and content. Each input button includ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quadrangular or circular shape, but the input button may be any polygonal shape arranged to minimize an error on an input.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는 터치패널, 액정패널, 백라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터치패널로부터 발생한 신호는 터치스크린부(10)에 마련된 신호선에 의해 제어부(20)로 전달된다.In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nel,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cklight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touch pane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by a signal line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에 포함되는 입력버튼과 기능버튼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에는 기능버튼(11)과 입력버튼(12)을 합하여 총 9개의 버튼이 배치되며, 기본적으로 중앙에 기능버튼(11)이 배치되고 나머지 8개의 버튼이 입력버튼(12)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중앙의 기능버튼(11)은 문자를 구분하는 구분자 기능 및 다른 문자배치를 로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기능버튼(11) 및 입력버튼(12)이 3x3의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지만, 원형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input buttons and function buttons includ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a total of nine buttons are dispos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the function button 11 and the input button 12. The remaining eight buttons may be arranged as the input button 12, but thi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function button 11 in the center may perform a delimiter function for separating characters and a function for loading another character arrangement. In FIG. 3A, the function button 11 and the input button 12 have a square shape of 3 × 3, but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버튼(11)은 도 3a와 비교하여 중앙의 기능버튼(11b) 뿐만 아니라 12시 방향 및 6시 방향에 추가로 기능버튼(11a, 11c)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버튼(11a, 11c)은 키보드에서의 SHIFT키 기능, 즉 영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대문자와 소문자 입력 및 대문자 고정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세트의 기호문자를 번갈아 표시하거나 스페이스 및 백스페이스와 줄바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기능버튼(11)은 12시 방향 및 6시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the function button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button 11a and 11c in addition to the center function button 11b as well as the 12 o'clock and 6 o'clock directions in comparison with FIG. 3A. This can be arranged. Herein, the function buttons 11a and 11c may select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nd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when the English letter is input. Can perform line breaks. Of course, the function button 11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12 o'clock and 6 o'clock.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부(10) 내의 영역 중 기능버튼(11)과 입력버튼(12)의 바깥쪽 영역(13)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구분자 기능 및 커서 이동기능이 수행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는 전체적인 버튼의 배치 및 기능버튼(11)과 입력버튼(12)이 원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스크린부(10)의 입력버튼(12)에 표시되는 자음 및 모음은 통계적으로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 및 모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자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ㅇ”과, “ㄱ”과, “ㅁ”과, “ㅅ”과, “ㄹ”과, “ㄴ”과, 모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ㅏ”와, “ㅣ”와, “ㅡ”와, “ㅓ”와, “ㅗ”와, “ㅜ”가 각각의 입력버튼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C,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user to touch the outer region 13 of the function button 11 and the input button 12 among the regions within the touch screen unit 10. If it is recognize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10 to perform the separator function and the cursor movement fun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D,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verall arrangement of buttons and a function button 11 and an input button 12 having a circular shape. Consonants and vowels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of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nsonants and vowels statistically. Specifically, “o” is used most of the consonants, “a”, “e”, “g”, “r”, “b”, and “k” is used most frequently among vowels. “ㅣ”, “-”, “ㅓ”, “ㅗ” and “TT” can be placed on each input button.

물론, 입력버튼(12)에는 한글 뿐만 아니라, 영어 및 일본어 등의 외국어의 입력단위도 표시될 수 있다. 영어의 경우 마찬가지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알파벳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본어의 경우에는 “あ”,“い”,“う”,“え”,“お”로 구성되는 각각의 단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input button 12 may display not only Korean but also input units of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Japanese. In the case of English,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alphabe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Japanese, each step consisting of “あ”, “い”, “う”, “え”, and “お” is displayed. desirable.

제어부(20)는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터치스크린부(10)에 마련된 입력버튼(12) 및 기능버튼(11)을 통하여 입력단위 및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여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20 receives an input unit and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button 12 and the function button 11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unit 10 by one touch and drag method, and combines the input units. To complete the character and display it on the touch screen unit 10.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부(10)의 일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는 경우 이를 터치로 인식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영역이 이동하는 경우 이를 드래그로 인식하여 해당 영역의 좌표를 산출하여 어떠한 입력단위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입력된 입력단위를 터치스크린부(10) 내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마이컴 및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touch when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unit 10 is touched by the user, and recognizes it as a drag when the area touched by the user moves in the touched state.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area are calculated to determine which input unit is input. The input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unit 10.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icrocomputer, software, or the like.

저장부(30)는 제어부(2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0)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단위가 터치스크린부(10)의 입력버튼(12)에 표시될 수 있도록 입력단위의 사용빈도를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ROM(Read Only Memory)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receiving texts through manipulation of software and a us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0 may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input uni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input unit most frequently used is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of the touch screen unit 10. The storage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torage media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or a flash memory.

이하,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한글 입력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angul input process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E.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한글 자음 중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ㅇ”과, “ㄱ”과, “ㅁ”과, “ㅅ”과, “ㄹ”과, “ㄴ”이 기본적으로 표시된다.4A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O”, “a”, “ㅁ”, “ㅅ”, “ㄹ” and “b” among Korean consonants are basically used. Is displayed.

“ㄱ”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ㅋ”이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ㄴ”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왼편에는 “ㅌ”이 표시되고, 그 오른편에 “ㄷ”이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If you touch “a” for a certain time, “ㅋ”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you can input it by dragging. If you touch “b”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ㅌ”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c”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so that each user can input by dragging.

“ㅁ”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상단에 “ㅍ”이 표시되고, 그 하단에는 “ㅂ”이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ㅅ”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ㅊ”이 표시되고, 그 왼편에는 “ㅈ”이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If you touch “ㅁ” for a certain time, “ㅍ” is displayed at the top and “ㅂ” is displayed at the bottom, and you can input each by dragging. If you touch “ㅅ” for a certain time, “cr”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ㅈ”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each user can input by dragging.

“ㅇ”을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왼편에 “ㅎ”이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이로써, 터치스크린부(10)에 배치되어 있는 입력버튼(12)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한글 자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다.If you touch “ㅇ” for a certain time, “ㅎ”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you can input it by dragging. Thus, all Korean consonants can be input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input button 12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unit 10.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한글의 쌍자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의 버튼 중 중앙의 상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하면 각 입력버튼(12)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이 각각 이에 대응하는 쌍자음으로 변환되어 입력이 가능하다. 다만, 한글의 쌍자음은 총 5개이므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쌍자음이 총 7개의 입력버튼에 중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중앙의 상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한 후 각 입력버튼(12)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한글 쌍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다.4B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putting twin consonants of Korean characters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B, when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top of the center of the buttons of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uched, the Hangul consonants displayed on the respective input buttons 12 respectively correspond thereto. It is converted into double consonants and can be input. However, since there are a total of five double consonants in Korean, at least one double consonant may be displayed on a total of seven input buttons. In this way, by touching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top of the center and dragging each input button 12, it is possible to input Hangul consonants.

물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자음은 기능버튼(11)을 터치하지 않고 각각의 자음과 함께 더불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s shown in FIG. 4C, the consonants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spective consonants without touching the function button 11.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글의 경우 초성과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어부(20)는 초성의 자음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버튼(12)에 표시된 자음을 모음으로 변환함으로써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4D and 4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nputting a vowel of Korean characters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ngul, the initial consonant, the neutral, and the final consonant, the control unit 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consonant of the initial consonant is converted to the consonant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to enable the input of the vowe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한글의 입력 도중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경우 자음 및 모음의 입력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한글은 기본적으로 자음+모음+자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자음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이러한 구조를 각각의 입력단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입력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한글의 입력과정에서 기능버튼(12)을 터치하는 경우 첫 번째 자음을 입력해야 하는 입력단계를 두 번째의 모음을 입력하는 입력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로써, 스와이프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가 모음만을 별도로 입력하거나 모음만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위와 같은 자음+모음+자음+자음의 구조에 기초하면서도 모음을 별도로 입력하거나 모음만을 수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input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during the input of Hangul. Hangul basically has the structure of consonant + vowel + consonant or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consonant.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vide such a structure into respective input stages and change each input st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input step of inputting the first consonant to the input step of inputting the second vowel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2 in the Korean input process. have.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Thu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 swipe function, a method for separately inputting only a vowel or modifying only a vowel does not exist,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sonant + vowel + consonant + as described above. You can type vowels separately or modify only the vowel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consonants.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터치스크린부(10)에는 한글 모음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ㅏ”와, “ㅣ”와, “ㅡ”와, “ㅓ”와, “ㅗ”와, “ㅜ”가 기본적으로 표시된다. As shown in FIGS. 4D and 4E, the touch screen unit 10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ost frequently used “ㅏ”, “ㅣ” and “ㅡ” among Korean vowels. W, “ㅓ”, “ㅗ” and “TT” are displayed by default.

여기서, “ㅏ”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ㅑ”와, “ㅒ”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고, 그 왼편에는 “ㅐ”가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물론, 그 중에서도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은 왼편 또는 오른편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ㅏ” is touched for a certain time, “ㅑ” and “ㅒ”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can be input by dragging, and “ㅐ”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can be input by dragging. Of course, among these, the collection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may be display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ㅗ”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ㅘ”와, “ㅛ”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고, 그 왼편에는 “ㅚ”와, “ㅙ”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If you touch “ㅗ” for a certain time, “ㅘ” and “ㅛ”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you can input by dragging. “,” And “ㅙ”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input by dragging. This is possible.

“ㅡ”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ㅢ”가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고, “ㅣ”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왼편에도 “ㅢ”가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If you touch “ㅡ” for a certain time, “ㅢ”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you can input it by dragging. If you touch “ㅣ” for a certain time, “ㅢ”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you can input it by dragging.

“ㅓ”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ㅔ”와, “ㅖ”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고, 그 왼편에는 “ㅕ”가 표시되어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 If you touch “ㅓ” for a certain time, “ㅔ” and “ㅖ”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you can input by dragging, and “ㅕ”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you can input by dragging.

“ㅜ”를 일정시간 터치하면 그 오른편에 “ㅟ”와, “ㅠ”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고, 그 왼편에는 “ㅝ”와, “ㅞ”가 표시되어 각각 드래그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다.If you touch “TT” for a certain time, “ㅟ” and “ㅠ”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and you can input by dragging. “ㅝ” and “ㅞ”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input by dragging. This is possible.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의 버튼 중 중앙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한 후 12시 방향 즉, 중앙의 상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기존의 기능버튼(11)과 입력버튼(12) 전체를 새롭게 대체하여 외국어 및 특수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터치스크린부 상의 짧은 이동거리에 의해 외국어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손쉽게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은 12시 방향 뿐만 아니라, 3시 방향이나 6시 방향, 9시 방향 모두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의 입력버튼(12) 배치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부(30)에 저장한 후 기능버튼(11)을 터치하여 손쉽게 로드 및 변환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12 o'clock direction,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center after the user touches a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ttons of the touch screen unit 10. In the case of dragging to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in the interface part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and special characters by replacing the existing function button 11 and the entire input button (12) newly. Thus, the user can easily switch to the interface unit for inputting foreign languages and special characters by a short moving distance on the touch screen unit. Here, the dragging direction of the user may be not only 12 o'clock, but also 3 o'clock, 6 o'clock, and 9 o'clock, and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button 12 of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user presets and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30, the user can easily load and convert the function button 11 by touching the function button 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의 버튼 중 기능버튼(11)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경우, 터치회수에 따라 입력버튼(12)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user continuously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among the buttons of the touch screen unit 10, the controll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12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It is possible to do

도 4g는 사용자가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경우 전환되는 입력버튼(12)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입력버튼(12)에 표시되는 기호가 변경된다. 여기서, 도 4g는 기호와 같은 특수문자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기능버튼(11)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는 기호와 같은 특수문자 뿐만 아니라 기타 외국어의 입력단위 등도 가능하며, 기능버튼(11)은 도 4g에서와 같은 12시 방향 뿐만 아니라 6시 방향, 3시 방향 등 다른 방향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기능버튼(11)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4G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input button 12 that is switched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As shown in FIG. 4G, the symbol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Here, although FIG. 4G illustrates a special character such as a symbol as an example, the characters input by the touch of the function button 11 may be input units of other foreign languages as well as the special characters such as the symbol, and the function button 11. In addition to the 12 o'clock a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문자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부(10) 내의 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단위에 위해 하나의 문자가 완성된 경우 터치스크린부(10)의 버튼 중 중앙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이 다음 문자의 입력을 위한 버튼으로 변환되어 이를 터치함으로써 다음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하나의 문자 뿐만 아니라 원하는 문자열도 한 번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기입력된 문자 뿐만 아니라 현재 입력중인 문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한'이라는 문자와 같이 제어부(20)가 현재 입력중인 문자를 터치스크린부(10)의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중앙의 기능버튼(11)에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다음 문자의 입력을 위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경우 중앙의 기능버튼(11)에 표시되는 문자는 삭제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face unit in the touch screen unit 10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character is completed for an input unit, a function button 11 position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center of the buttons of the touch screen 10 is provided. It is converted to a button for inputting the next character, and by touching it, the next character can be continuously input. Thus, not only one character but also a desired character string can be input at a time by one touch and drag. At this tim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that the control unit 20 is currently input, such as the letter 'han' shown in Figure 5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that is currently input as well as the previously input charact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unit 10 and the touch screen unit 1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central function button 11. Of course,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for input of the next character,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center function button 11 is dele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터치스크린부(10)에 배치된 입력버튼(12) 중 하나가 터치된 후 다른 입력버튼이 터치되면 해당 위치의 입력단위를 최종적으로 터치된 입력버튼의 입력단위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잘못된 문자입력을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백스페이스 버튼을 이용하여 잘못된 문자를 수정해야 하는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에 비해 입력시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one of the input buttons 12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10 is touched and then another input button is touched, the control unit 20 of the input button finally touched the input unit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replacing with an input unit, the user can correct the wrong character input in real time. As a result, input time can be save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apparatus which needs to correct an incorrect character using a backspace butt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서 부가기능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0)의 중앙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이용하여 기입력된 문자 및 문자열을 수정할 수 있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text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odify a text and a string previously input by using a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unit 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0)의 중앙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한 후 하단 중앙의 입력버튼(12)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문자의 입력단위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은 기입력된 문자 및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으로 변환된다. 물론,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변환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ouch screen unit 10 and drags the input button 12 at the bottom center, the input button 12 for inputting an input unit of a character Is converted to a button that performs an additional function for modifying previously input characters and character strings. Of course, the button conversion for performing the additional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0)에 마련되는 기능버튼(11)과 입력버튼(12)의 배치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내용에 따라 바뀌어 표시되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버튼(12)에 자음이 표시된 후 사용자가 임의의 입력버튼(12)을 터치하면, 입력버튼(12)은 사용자의 터치 후 모음의 배치로 변경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모음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임의의 입력버튼(12)을 터치하면, 입력버튼(12)은 사용자의 터치 후 자음의 배치로 변경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제어부(20)가 사용자에 의해 기입력된 입력단위 및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명령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된 기능버튼(11) 및 입력버튼(12)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11) 및 입력버튼(12)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상황에 맞게 기능버튼(11) 및 입력버튼(12)이 배치되어 표시된다.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function button 11 and the input button 12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hanged depending on the contents input from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Hangul, if a consonant is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and the user touches an arbitrary input button 12, the input button 12 is changed to the arrangement of the vowel after the user's touch. Is displayed on the screen. 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any input button 12 for input of the vowel, the input button 12 is changed to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after the user's touch.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button 1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10 based on a command for the controller 20 to select an input unit and an additional function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By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10 so that the entire input button 12 is replaced with the new function button 11 and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button 12, the function button 11 is adapted to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the input button 12 are arranged and display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입력버튼(12)은 상하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한 4개의 방향버튼과, 수정버튼과, 백스페이스버튼과, 삭제버튼과, 스페이스버튼과, 줄바꾸기버튼과, HOME 및 END버튼과, PAGE UP & DOWN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버튼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중앙의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다시 입력버튼(12)으로의 복귀가 가능하다. 이로써, 터치스크린부(10) 내에서 문자 및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eight input buttons 12 include four direction buttons that can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 modify button, a back space button, a delete button, a space button, a line feed butt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fun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OME, END button, and PAGE UP & DOWN button. Here,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input button 12 again by touching the function button 11 at the center. As a result, various functions for modifying characters and strings in the touch screen unit 10 may be easily performed.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일본어의 입력을 위한 소정의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면, 입력버튼(12)에 “あ”,“い”,“う”,“え”,“お”의 문자와, 탁음 및 반탁음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버튼(11)과, 대문자 및 소문자를 변환하기 위한 기능버튼(11)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あ”,“い”,“う”,“え”,“お”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대응하는 단의 5개의 히라가나 문자가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원하는 히라가나 문자를 선택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あ”,“い”,“う”,“え”,“お” 중 하나를 다시 선택하면 기본 버튼배치로 복귀하여 연속적으로 히라가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7A to 7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inputting Japanese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when a predetermined command for inputting Japanese is received from a user,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あ”, “い”, “う” in the input button 12. The function buttons 11 for receiving the letters “,” and “o”,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halftone sound, and the function button 11 for converting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あ", "い", "う", "え", and "お", as shown in FIG. 7B, five hiragana characters of the corresponding stage are displayed. In this way, select the desired Hiragana characters, then select one of the “あ”, “い”, “う”, “え”, or “お” again to return to the default button layout and enter Hiragana characters continuously. have.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음과 반탁음 및 대소문자의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자변환 및 변환영역의 선택과, 특수문자와 이모티콘의 입력이 가능하며, 한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c, not only the input of the sound of the sound,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case of the sound, but also the conversion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selection of the conversion area, the input of special characters and emoticon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Korean Various buttons are available.

그리고 확정 버튼을 터치한 후 '차후보'라는 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시된 단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차후보 버튼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추가후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firmation button and drags the button to the 'candidate candidate', the suggested word can be selected. When the touch is released from the candidate butt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additional candidate having a low use frequency.

도 7a 내지 도 7c는 일본어의 입력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일본어 뿐만이 아니라 다른 외국어 역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를 입력버튼(12)의 기본상태에 배치하고 하나의 입력버튼(12)이 터치되면, 관련된 문자를 터치된 입력버튼(12)의 주변에 배치하여 문자 및 문자열을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7A to 7C illustrate an input process of Japanese, but when not only Japanese but also other foreign languages are placed in the basic state of the input button 12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one input button 12 is touched, By placing relevant characters around the touched input button 12, characters and strings can be easily input by one touch and drag.

물론, 일본어를 입력하는 모드에서도 각 입력버튼(12)는 방향버튼과, 기입력된 입력단위 또는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과, 문자 및 문자열에 대한 복사하기, 잘라내기와, 붙여넣기 버튼과, 띄어쓰기버튼과, 줄바꾸기버튼과, HOME 및 END버튼과, PAGE UP & DOWN버튼을 포함하는 기능버튼으로 변환이 가능하다.Of course, even in the Japanese input mode, each input button 12 has a direction button, a delete button for deleting a previously input unit or character, a copy, cut and paste button for characters and character strings, It can be converted to a function button including a space button, a line feed button, a HOME and END button, and a PAGE UP & DOWN butt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의 중앙에 위치한 기능버튼(11)과 중앙 상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이용하여 언어의 종류별 자판으로 연속적인 변환이 가능하다. 즉, 제어부(20)는 입력버튼(12)에 표시되는 입력단위의 배치를 저장부(30)에 임시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의 중앙 상단에 위치한 기능버튼(11)을 터치하는 경우 이전에 배치된 입력단위의 배열을 저장부(30)로부터 로드하여 터치스크린부(10) 내의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한다. 이로써, 인터페이스부의 빠른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배치의 인터페이스부를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inuous conversion to the keyboard for each type of language using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terface unit and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top of the center. That is, the control unit 20 temporarily stores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unit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2 in the storage unit 30 and arranges it before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1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terface unit. The array of input units is loaded from the storage unit 30 and displayed on the interface unit in the touch screen unit 10. This enables quick switching of the interface unit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interface unit in a desired arrangemen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와이프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 인터페이스부의 상단에 기능버튼(11)이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위치가 인터페이스부의 외곽에서 다시 인터페이스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인터페이스부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A, when a function button 11 is not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interface unit while a character is input in a swipe manner, the dragging posi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inside of the interface unit from the outside may be recognized as a user's selection for switching the interface unit.

또한, 제어부(20)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도 인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의 12시 방향 외곽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인터페이스부의 내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이를 인터페이스부의 변환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으로 인식할 수 있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의 6시 방향 외곽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인터페이스부의 내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이를 중앙의 기능버튼(11)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중앙의 기능버튼(11)을 터치할 수 없는 스와이프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도 중앙의 기능버튼(11)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may also recognize a user's drag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drags the interface to the outside of the 12 o'clock direction and then drags it back into the interface unit, the controller 20 may select the user to change the interface unit. As shown in FIG. 8B, when the user drags the interface portion around the 6 o'clock direction and then drags it back into the interface portion,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function button 11 is touched. Thus, even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 swipe manner in which the center function button 11 cannot be touche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may be executed by recognizing that the center function button 11 is touched.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12)과,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11)을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한다(S910). 여기서, 기능버튼(11) 및 입력버튼(12)은 다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이 가능하지만, 사각형 또는 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First,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2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nd a function button 11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 with a touch screen unit ( 10) (S910). Here, the function button 11 and the input button 12 may b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polygons, but preferably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shape.

그리고, 사용빈도가 높은 문자를 저장부(30)에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를 터치스크린부(10)의 입력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high frequency of use of the character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and the stored character can be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of the touch screen unit 10.

다음으로,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입력버튼(12) 및 기능버튼(11)을 조합하여 입력단위 및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920).Next, the input unit 12 and the function button 11 are combined to receive an input unit and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rom the user by one touch and drag method (S920).

여기서, 문자입력버튼 중 하나가 터치된 상태에서 다른 문자입력버튼이 터치된 경우 후에 터치된 문자입력버튼의 입력단위가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표시 및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in, when another character input button is touched while one of the character input buttons is touched, the input unit of the touched character input button may be further displayed and input in real time on the display unit.

마지막으로,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여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한다(S930).Finally, the characters are completed by combining input units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10 (S930).

여기서, 기능버튼(11)에 의해 입력이 완료된 문자의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다음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문자 및 문자열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고, 입력버튼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신속하게 하면서도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기입력된 문자를 실시간으로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oving to the next space of the completed character by the function button 11 and continuously inputting the next character. In this way, characters and strings can be easily input by one touch and drag, using the interface unit in which the input buttons are arranged radially, and quickly inputting characters while minimizing errors. You can easily modify it.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터치스크린부 10a : 인터페이스부
11 : 기능버튼 12 : 입력버튼
20 : 제어부 30 : 저장부
10: touch screen unit 10a: interface unit
11: Function Button 12: Input Button
20: control unit 30: storage unit

Claims (19)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부과;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을 통하여 상기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 touch screen unit comprising a function button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 wherein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are disposed;
Receives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input unit and the additional func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by a single touch and drag method, and combines the input units to complete a character to complete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to be displayed on th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기입력된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상기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function buttons and the input butt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by replacing the new function buttons and input buttons with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new function buttons and the input buttons based on an input unit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cree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중앙의 기능버튼을 터치한 후 바깥쪽의 기능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entire input button by replacing the new function button and the input button when the user touches the center function button and drags the outer function button. Character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a circle or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은,
하나의 문자입력이 완료되는 경우, 입력이 완료된 문자의 다음 칸으로 이동하여 다음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받기 위한 이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screen unit,
When the input of one character is completed, the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move button for moving to the next space of the character is completed input and continue to input the next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명령은,
자음의 입력단위를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쌍자음 변환명령과, 기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호 변환명령과, 문자의 완성 후 다음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받기 위한 연속입력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At least one of a consonant conversion command for converting an input unit of a consonant to a consonant, a symbol conversion command for receiving a symbol, and a continuous input command for receiving the next character continuously after completion of the character; Character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 내의 영역 중 상기 기능버튼 및 상기 입력버튼을 제외한 외곽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부가기능명령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user touches an outer region other than the function button and the input button among the areas within the touch screen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perform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부가기능은 문자를 구분하는 구분자 기능과, 커서를 이동하는 이동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performed by the additional function command includes a delimiter function for separating characters and a moving function for moving a cur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버튼 중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입력버튼으로 터치 또는 드래그되는 경우 나중에 선택된 입력버튼의 입력단위가 실시간으로 표시 및 입력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and input an input unit of a later selected input button in real time when one of the input buttons is selected or touched by another input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입력버튼에 의해 입력 가능한 입력단위 중 한글 자음은 “ㅇ”과, “ㄱ”과, “ㅁ”과, “ㅅ”과, “ㄹ”과, “ㄴ”을 포함하고, 한글 모음은 “ㅏ”와, “ㅣ”와, “ㅡ”와, “ㅓ”와, “ㅗ”와, “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mong the input units input by the input button of the touch screen unit, the Korean consonants include “ㅇ”, “ㄱ”, “ㅁ”, “ㅅ”, “ㄹ”, ““ ”, and“ 한글 ”. Is "입력", "ㅣ", "ㅡ", "ㅓ", "ㅗ", 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T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과 상기 한글 모음은 하나의 입력버튼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Hangul consonant and the Hangul vowel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one input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버튼과; 기입력된 입력단위 또는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과; 문자 및 문자열에 대한 복사하기, 잘라내기와, 붙여넣기 버튼과; 띄어쓰기버튼과; 줄바꾸기버튼과; HOME 및 END버튼과; PAGE UP & DOWN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버튼으로 변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put button includes a dire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delete button for deleting a previously input unit or character; Copy, cut, and paste buttons for characters and strings; A space button; A line feed button; A HOME and END butto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to the function butt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AGE UP & DOWN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위는 외국어의 입력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input unit comprises a foreign language input unit.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빈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문자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빈도가 기설정값 이상인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입력버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3,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And the control unit stores a character having a frequency of u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a character having a frequency of us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on an input button of the touch screen unit.
제1항에 있어서,
입력단위의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명령의 입력 및 입력이 완료된 입력단위를 인식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된 상기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atch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input of the command for selecting the additional function and the input unit in which the input is completed, and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function button and the entire input butt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are newly added.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portion to display in place of the arrangement of buttons and input butt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위의 배치정보는 외국어와 특수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기 위한 배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includes arrangement information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foreign language and a special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부 내에서 문자입력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부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위치에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interface unit at the selected pos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 area in which the interface unit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is not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중인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기능버튼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character currently being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unit and simultaneously display the function button on the function button.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을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
한 번의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기능버튼을 조합하여 상기 입력단위 및 상기 부가기능의 선택을 위한 부가기능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고 상기 선택된 부가기능에 따라 문자를 완성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Displaying a function button on a touch screen to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s;
Receiving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or selecting the input unit and the additional function by combining the input button and the function button by a single touch and drag method; And
Combining the input units and comple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selected additional function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on the touch screen.
KR1020120027963A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3285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63A KR101328555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63A KR101328555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24A true KR20130106224A (en) 2013-09-27
KR101328555B1 KR101328555B1 (en) 2013-11-13

Family

ID=4945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63A KR101328555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55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90B1 (en) * 2008-03-2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screen keyboar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001831B1 (en) * 2008-12-31 2010-12-15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KR101512133B1 (en) * 2009-02-19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1030177B1 (en)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555B1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RE45694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100180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WO2014146131A1 (en)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2002099379A (en) Improved data input device
EP2045693A1 (en) Touch screen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therein
KR101046914B1 (en)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030177B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KR101434495B1 (en) Terminal with touch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JP4886797B2 (en) Software keyboard display method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5345407B2 (en) Name input device and name input method
KR101204151B1 (en) Letter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KR101328555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KR101328554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328557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