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70B1 -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170B1
KR101483170B1 KR1020130080087A KR20130080087A KR101483170B1 KR 101483170 B1 KR101483170 B1 KR 101483170B1 KR 1020130080087 A KR1020130080087 A KR 1020130080087A KR 20130080087 A KR20130080087 A KR 20130080087A KR 101483170 B1 KR101483170 B1 KR 10148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sonant
alphabet
vowel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김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일 filed Critical 김세일
Priority to KR102013008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1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device; a keypad which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ted to the keypad. The keypad comprises a consonant block including one to three alphabet consonants; a vowel block including one to three alphabet vowels; a first direction key block for moving toward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block for moving toward a second dire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imple English input keypad,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영문자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는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imple English input keypad for quickly and easily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언어입력 방식을 갖는다.In general,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have various language input methods.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는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갖는다. 이때, 상기 키보드는 하나의 문자(영문자 및 국문자) 또는 기호가 각각 할당된 복수의 키 블록을 가지며, 이러한 키보드는 쿼티(QWERTY) 방식의 키 입력 패턴을 갖는다.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notebook has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t this time, the keyboard has a plurality of key blocks each assigned one character (alphabet and capital letter) or a symbol, and the keyboard has a QWERTY key input pattern.

그러나, 피처 폰과 스마트 폰 및 PDA와 같은 단말기는 통상 디스플레이 상에 키패드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며, 키패드로 할당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한이 있으므로 하나의 키 블록에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가 할당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분리된 별도의 키 패드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그 면적에 상당한 제약이 발생한다.However, terminals such as feature phones, smart phones, and PDAs typic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keypad is provided on a display, and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symbols are assigned to one key block because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display area allocated by the keypad. Further, even when a separate keypad separate from the display is provided, considerable restrictions are imposed on the area of the mobile terminal.

이처럼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키 블록을 갖는 키패드에는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putting of characters in a keypad having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key blocks.

통상 키 블록의 크기를 작게 할당함으로써, 종래 쿼티 키보드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키 블록에 복수의 문자 또는 기호를 할당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general, by allocating a small size of a key block, i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tructure as a conventional QWERTY keyboard, or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symbols are assigned to one key block.

특히, 영문자의 경우, 알파벳 순서에 맞추어 키 블록에 각각 복수 개의 알파벳이 할당됨으로써 영문자 입력 시 불필요하게 타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lphabetic characters, since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assigned to key blocks in accordance with the alphabetical order,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number of strings is unnecessarily increased when alphabetic characters are input.

또한, 종래 알파벳 키패드에는 자음과 모음이 구분되지 않아 영문자 입력시 입력시간 및 타수가 증가하고, 영어문장에 사용되는 알파벳의 출현 빈도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키 블록에 복수 개의 알파벳이 할당됨으로써 하나의 키 블록을 복수 회 선택하여 원하는 알파벳을 찾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Further, since the consonant and vowel are not distinguished in the conventional alphabet keypad, the input time and the number of letters are increased when the alphabet letter is input, and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key block in a state in which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alphabet used in the English sentenc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desired alphabet must be found by selecting the key block plural times.

본 발명은 영문자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은 영어문장에 사용되는 알파벳의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키 블록의 복수 개의 알파벳을 할당함으로써 입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creasing input efficiency by allocating a plurality of alphabets of one key block in consideration of occurrence frequencies of alphabets used in English sentences.

또한, 본 발명은 자음블록과 모음블록 및 방향키 블록을 각각 분리함으로써 입력 시간 및 타수를 줄일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ducing input time and number of strokes by separating a consonant block, a vowel block and a direction key block.

또한, 본 발명은 알파벳의 대문자/소문자 전환이 용이하고, 알파벳과 함께 숫자 및 특수기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hich is easy to switch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alphabets and can easily input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ogether with alphabet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and a keypa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keypad.

여기서 상기 키 패드는, 제1 내지 제3 알파벳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과 제1 내지 제3 알파벳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블록;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방향키 블록;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방향키 블록;을 포함한다.The keypad includes a consonant block including first to third alphabet consonants, a vowel block including first to third alphabet vowels, and a first direction key block for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for moving the first direction key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알파벳 자음 또는 제2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block or the vowel block is selected,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second alphabet consonant or a second alphabet ba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selected consonant block or vowel block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1 알파벳 자음 또는 제1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3 알파벳 자음 또는 제3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is selected, the controller displays a first alphabet consonant or a first alphabet consonant of a consonant block or a vowel block previously selected on the display,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is selected, Or a third alphabetical consonant or a third alphabet bar of the vowel block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 블록 및 제1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consonant block, the vowe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또한, 상기 제1 방향키 블록과 제2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방향키 블록과 상기 자음 블록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Also, the vowel block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consonant block.

또한, 상기 모음 블록에는 "a", "e" 및 "i"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Also, " a ", "e ", and" i "alphabet collection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vowel block.

또한, 상기 모음 블록에는 "u", "o" 및 "y"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Also, the vowel block may be assigned a sequence of letters "u "," o ", and "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and a keypad for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keypad.

여기서 상기 키 패드는, 제1 내지 제3 알파벳 자음이 각각 할당된 복수 개의 자음 블록;과 제1 내지 제3 알파벳 모음이 각각 할당된 복수 개의 모음 블록;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방향키 블록;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방향키 블록;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자음블록과 복수 개의 모음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및 제2 방향키 블록은 매트릭스 형태로 각각 나열된다.The keypa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each assigned first to third alphabet consonants, a plurality of vowel blocks to which first to third alphabet vowels are respectively allocated, and a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for moving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the plurality of vowel blocks,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또한, 복수 개의 자음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1 열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 개의 모음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2 열에 각각 배치되며, 제1 및 제2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3 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column of the keypad, a plurality of vowel block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second column of the keypad, and first and second direction key block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of the keypad have.

또한, 상기 키패드는, 3개의 특수기호가 할당된 기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기호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may include a symbol block to which three special symbols are allocated, and the symbo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respectively.

또한 상기 기호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3 열에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ymbol block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of the keypad.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호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호 블록의 기호들 중 중앙에 위치된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ymbol block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symbol positioned at the center among the symbols of the selected symbol block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기호블록에는 "!", "." 및 "?" 기호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The symbol block includes "! &Quot;,". " And "?" Symbols can be assigned in turn.

이와는 다르게, 상기 기호블록에는 ".", "'" 및 ","기호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Alternatively, ". &Quot;," ", and ", "symbols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ymbol bloc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영어문장에 사용되는 알파벳의 출현 빈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키 블록의 복수 개의 알파벳을 할당함으로써 영문자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다.By assigning a plurality of alphabets of one key block in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frequencies of alphabets used in English sentences, alphabetic characters can be inputted quickly and easily.

또한, 자음블록과 모음블록 및 방향키 블록을 각각 분리함으로써 입력 시간 및 타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by separating the consonant block, the vowel block, and the direction key block, input time and number of strokes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input efficiency.

또한, 알파벳의 대문자/소문자 전환이 용이하고, 알파벳과 함께 숫자 및 특수기호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Also, it is easy to switch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nd alphanumeric and special symbols can be entered easily.

또한, 전체 키 블록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키 블록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제한된 디스플레이 면적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Also, 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key blocks, the size of the key block is relatively increased, and alphabetic characters can be input more efficiently even in a limited displa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ront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or a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refer to a constituent element from another constituent elem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문서에서 이동 단말기(10)란 용어는 휴대폰(피처 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방송 수신용 단말기, 디지털 TV, 스마트 TV, PDA, PMP, 네비게이션, 무선 리모컨, 일반전화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In this document, the term mobile terminal 10 refers to a mobile phone (featur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 digital TV, a smart TV, a PDA, a PMP,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란 용어는 입력부(12)와 디스플레이(20)가 마련된 디지털 기기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at is, the term 'mobile terminal 10' can be used to mean a digital device having an input unit 12 and a display 20.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6)와 입력부(12)와 디스플레이(20) 및 배터리(17)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an input unit 12, a display 20, and a battery 17.

또한, 상기 입력부(12)는 기구적인 버튼부(13)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부(13)는 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14)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가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chanical button unit 13 and a touch sensor 14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The button unit 13 includes a dome switch And the touch sensor 14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or electrost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a method of sensing a touch input of a user, and the display 20 may be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근접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5 for recognizing a proximity touch of a user and the mobile terminal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 for controlling the above- can do.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20)와 상기 디스플레이(20)가 마련된 하우징(30) 및 키패드(100)를 포함한다.2,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display 20 and a housing 30 and a keypad 100 provided with the display 20.

상기 키패드(100)는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되며, 상기 키패드(100)는 터치 입력 또는 근접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근접 터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키패드(100)와 표시영역(2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1은 베젤 영역을 나타내며,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베젤 영역(31)에는 전술한 버튼부(13)가 마련될 수 있다.The keypad 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0, and the keypad 1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touch input or proximity touch input. The display 20 may be divided into a keypad 100 and a display area 21 for accepting a user's touch input or proximity touch input.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bezel region. In one embodiment, the bezel region 31 may be provided with the button portion 13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키 패드(100)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태양으로, 사용자가 상기 키 패드(100)의 특정 키 블록을 선택(터치 입력 또는 근접 터치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선택된 키 블록에 할당된 문자(알파벳), 숫자 및/또는 특수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display 2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keypad 100.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selects (touch input or proximity touch input) a specific key block of the keypad 100,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character (alphabet), number and / Or special symbol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

한편, 상기 키 패드(100)는 제1 내지 제3 알파벳 자음(반자음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예를 들어, 101)와 제1 내지 제3 알파벳 모음(반모음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모음 블록(예를 들어, 111 및 112)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방향키 블록(121)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방향키 블록(122)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keypad 100 may include a consonant block (e.g., 101) including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consonants (which may include semi-consonants) and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bars A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for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1 for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Not shown).

한편, 제1 알파벳 모음은 해당 모음 블록에서 도 2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모음을 나타내고, 제2 알파벳 모음은 해당 모음 블록에서 중앙에 위치한 모음을 나타내며, 제3 알파벳 모음은 해당 모음 블록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모음을 나타낸다.The first alphabet bar represents a vowel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2 in the corresponding vowel block, the second alphabet bar represents a vowe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vowel block, and the third alphabet bar represents a vowel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rresponding vowel block Represents a vowel located.

또한, 한편, 제1 알파벳 자음은 해당 자음 블록에서 도 2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모음을 나타내고, 제2 알파벳 자음은 해당 자음 블록에서 중앙에 위치한 자음을 나타내며, 제3 알파벳 자음은 해당 모음 블록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자음을 나타낸다.2,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represents a consona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block, and the third alphabet consonant represents a consonan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block in the corresponding vowel block, It represents the consonant located on the righ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on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1)는, 자음 블록(101) 또는 모음 블록(111 및 112)이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알파벳 자음 또는 제2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표시영역(21)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block 101 or the vowel block 111 or 112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outputs a second alphabet consonant or a second alphabet ba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selected consonant block or vowel block to the display 20,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21 of the display 20.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제1 방향키 블록(121)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1 알파벳 자음 또는 제1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방향키 블록(122)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3 알파벳 자음 또는 제3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is selected, the controller 11 displays a first alphabet consonant or a first alphabet bar of a consonant block or a vowel block previously selected on the display,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2) is selected, a third alphabet consonant or a third alphabet bar of a previously selected consonant block or vowel block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모음 블록에는 "a", "e" , "i", "u", "o" 및 "y" 중 적어도 3개의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어느 한 모음 블록에는 "a", "e" 및 "i"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고, 다른 모음 블록에는 "u", "o" 및 "y"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이는 영어문장에 사용되는 알파벳의 출현빈도 중 특히 모음의 상대적 빈도를 고려한 것이다.At least three vowels of "a", "e", "i", "u", "o" and "y"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vowel block. Preferably, one of the vowel blocks may be assigned a set of " a ", "e ", and" i " have. This takes into accoun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alphabets used in English sentences, particularly the relative frequency of vowel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1행 2열에 위치된 모음블록을 제1 모음블록(111)이라 지칭하고, 도 2의 2행 2열에 위치된 모음블록을 제2 모음블록(112)이라 지칭한다. 이때 제1 모음 블록(111)에는 "a", "e" 및 "i"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고, 제2 모음 블록(112)에는 "u", "o" 및 "y" 알파벳 모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물론, 제1 모음블록(111)과 제2 모음블록(112)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2 is referred to as a first vowel block 111, and a vowel block located in the second row and second column of Fig. 2 is referred to as a second vowel block 112 do. In this case, the first vowel block 111 may be assigned a set of "a", "e", and "i" Can be allocated in this order. 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vowel block 111 and the second vowel block 112 may be reversed.

또한, 상기 키 패드(100)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 개의 자음블록과 복수 개의 모음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및 제2 방향키 블록이 각각 나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a plurality of vowel blocks, a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in a matrix form.

일 실시태양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키 패드(100)는 4행 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 the keypad 100 may be configured in a matrix of four rows and three columns.

이때, 복수 개의 자음블록(101 내지 104)은 상기 키패드(100)의 제1 열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 개의 모음블록(111 및 112)은 상기 키패드(100)의 제2 열에 각각 배치되며, 제1 및 제2 방향키 블록(121 및 122)은 상기 키패드(100)의 제3 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100)의 제3 열에는 후술할 복합 블록(123)과 기호 블록(124)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101 to 104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column of the keypad 100, a plurality of vowel blocks 111 and 112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second column of the keypad 100,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s 121 and 122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column of the keypad 100, respectively. In the third column of the keypad 100, a composite block 123 and a symbol block 12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구체적으로, 제1 행 제1 열에는 제1 자음블록(101)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자음블록(101)에는 "b", "c", 및 "d"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행 제1 열에는 제2 자음블록(102)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자음블록(102)에는 "f", "g", 및 "h"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consonant block 101 is provided in the first row and a consonant alphabet "b", "c", and "d"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first consonant block 101 . Further, a second consonant block 102 is provided in the first row of the second row, and alphabetic consonants of "f", "g", and "h"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econd consonant block 102.

또한, 제3 행 제1 열에는 제3 자음블록(103)이 마련되고, 상기 제3 자음블록(103)에는 "j", "l", 및 "k"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으며, 제4 행 제1 열에는 제4 자음블록(104)이 마련되고, 상기 제4 자음블록(403)에는 "m", "n", 및 "p"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A third consonant block 103 is provided in the first row of the third row and alphabetic consonants of "j "," l ", and "k" A fourth consonant block 104 is provided in the fourth row first column and alphabetic consonants of "m", "n", and "p"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fourth consonant block 403.

또한, 제3 행 제2 열에는 제5 자음블록(113)이 마련되고, 상기 제5 자음블록(113)에는 "r", "s", 및 "t"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으며, 제4 행 제2 열에는 제6 자음블록(114)이 마련되고, 상기 제6 자음블록(114)에는 "x", "q", 및 "z" 알파벳 자음이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Further, a fifth consonant block 113 is provided in the third row and a second column, and alphabetic consonants r, s, and t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fifth consonant block 113, A sixth consonant block 114 is provided in the fourth row and the second column and alphabetic consonants of "x", "q", and "z" ar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ixth consonant block 114.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모음블록 또는 자음블록의 제2 알파벳 모음 또는 제2 알파벳 자음을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vowel block or consonant block, the controller 11 displays a second alphabet bar or a second alphabet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vowel block or consonant block on the display 20 do.

따라서, 각 자음블록과 각 모음블록의 가운데 위치에 할당되는 알파벳 자음과 알파벳 모음의 선택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운데 위치에 할당되는 알파벳 자음과 알파벳 모음을 영어문장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의 출현 빈도에 맞추어 각각 할당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alphabet consonants and alphabet sets assigned to the center positions of each consonant block and each vowel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phabet consonants assigned to the center position and the alphabet collection can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alphabet used in the English sentence.

즉, "c", "e", "o", "l", "s", "n"을 자음블록 또는 모음블록의 중간 위치에 각각 할당함으로써 영어 문장을 입력 시 전체 타수를 줄일 수 있다.That is, by assigning "c", "e", "o", "l", "s", and "n" to the middle positions of consonant blocks or vowel blocks,

또한, 제3 행 제3 열에는 복합블록(123)이 마련될 수 있다.Also, a composite block 123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row and the third column.

여기서 상기 복합블록(123)에는 하나 이상의 자음과 특수기호 및 소정의 명령어 중 적어도 3개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블록(123)에는 "v", "_", 및 "w" 가 각각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복합블록(123)에는 2개의 자음이 양 측(왼쪽, 오른쪽)에 각각 할당되고, 중앙(가운데)에 명령어(또는 특수기호)가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_" 명령어는 사이 띄우기의 기능을 갖는 스페이스 바(Space bar)일 수 있다. 물론 상기 "_"는 특수기호일 수도 있다.At least three of consonants, special symbols, and predetermined commands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complex block 123. For example, "v "," _ ", and "w" may be assigned to composite block 123, respectively. That is, two consonants may be assigned to both sides (left and right) in the compound block 123, and a command (or special symbol) may be assigned to the center (center). In one embodiment, the "_" command may be a space bar having the function of an offset. Of course, the above "_" may be a special symbol.

일 실시태양으로, 사용자가 상기 "_"를 제1 소정 시간(통상의 터치 입력 시간에 해당할 수 있음)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스페이스 바의 기능을 갖는 명령어로 동작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2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보다 길게 결정됨)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특수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touches the "_"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ich may correspond to a normal touch input time), the control unit 11 may operate with a command having a space bar function , The controller 11 may display the corresponding special symbol on the display 20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_"를 통상의 터치 입력 시간인 제1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해당 특수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_"를 통상의 터치 입력 시간보다 킨 제2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스페이스 바의 기능을 갖는 명령어로 동작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_"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which is the normal touch input time, the controller 11 can display the corresponding special symbol on the display 20, Quot; is touched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the normal touch input time, the controller 11 may operate as a command having a space bar function.

또한, 제4 행 제3 열에는 기호블록(124)이 마련되고, 상기 기호블록(124)에는 복수의 특수기호('기호'라고도 함)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100)는 3개의 특수기호가 할당된 기호블록(123)을 포함하며, 상기 기호블록(123)에는 "!", "." 및 "?" 특수기호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각각 할당된 기호를 제1 내지 제3 기호라 지칭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pecial symbols (also referred to as 'symbols')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ymbol block 124, and specifically, the keypad 100 ) Includes a symbol block 123 to which three special symbols are assigned, and the symbol block 123 contains "!", "." And "?" Special symbols can be assigned in ord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ymbols assigned respectively from left to right may be referred to as first to third symbols.

사용자가 상기 기호블록(124)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특수기호 중 제2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호블록(124)에서도 사용빈도가 높은 기호가 중앙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ymbol block 124, the controller 11 may display the second one of the special symbols on the display 20. In other words, symbols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re also preferably allocated to the center in the symbol block 124.

한편, 제1 및 제2 모음 블록(111 또는 112)은 키 패드(100)의 중앙부 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소정 방향키 블록(제1 방향키 블록 또는 제2 방향키 블록)과 소정 자음 블록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vowel blocks 111 and 112 are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keypad 100. [ In one embodiment, the vowel block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key block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or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and the predetermined consonant block.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음블록(111)은 상기 제1 자음블록(101)과 제1 방향키 블록(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음블록(112)은 상기 제2 자음블록(102)과 제2 방향키 블록(122) 사이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vowel block 11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sonant block 101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and the second vowel block 1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sonant block 101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Block 102 and the second direction-key block 122. The second direction-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제1 모음 블록(111)이 선택되면, 선택된 모음 블록(111))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알파벳 모음 "e" 을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3 (a), when the first vowel block 111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selects the second vowel bar "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selected vowel block 111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

이후,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제1 방향키 블록(121)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모음 블록의 제1 알파벳 모음 "a"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3 (b),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first alphabet bar "a" of the selected vowel block on the display 20 .

이와는 다르게,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제2 방향키 블록(122)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모음 블록의 제3 알파벳 모음 "i"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3 (c),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2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displays a third alphabet bar "i" of a previously selected vowel block on the display 20 Can be displayed.

즉, 하나의 모음 블록, 예를 들어 사용자는 최대 2번의 터치를 통해 해당 키 블록(111)의 특정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one vowel block, for example a user, can select a specific vowel of the corresponding key block 111 through a maximum of two touches.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1)는 기호 블록(124)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호 블록의 기호들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symbol block 124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may display a second symbol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symbols of the selected symbol block on the display 20.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제1 방향키 블록(121)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기호 블록의 제1 기호 "!"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는 제1 방향키 블록(121)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된 제2 기호를 제1 기호 "!"로 전환시킬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1 can display the first symbol "!" Of the previously selected symbol block on the display 20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is selected. That is, the controller 11 may switch the second symbol displayed on the display 20 to the first symbol "!" Wh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is selected.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제2 방향키 블록(122)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된 제2 기호를 제3 기호 "?"로 전환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 may switch the second symbol displayed on the display 20 to the third symbol "?" When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2 is selected.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복합 블록(123)이 선택되면 복합 블록(123)에 할당된 문자 및 명령어 중 2번째(중앙)에 할당된 문자 또는 명령어(또는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하거나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어, 예를 들어, 상기 복합블록(124)의 "_"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사이 띄우기(한 칸 띄우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e block 123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 outputs a character or an instruction (or a symbol) assigned to the second (center) of the characters and the instruction allocated to the compound block 123 to the display 20 Or execute the corresponding comm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 may perform an offset function when the command, for example, "_" of the complex block 124 is selected.

한편,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 블록 및 제1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방향키 블록(121)과 제2 방향키 블록(122)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consonant block, the vowe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100,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2, And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100 so as to have the same area.

또한, 복수 개의 자음블록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모음블록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100, and the plurality of vowel blocks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10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복합 블록(123)과 기호 블록(123)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composite block 123 and the symbol block 123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100, respectively.

일 실시태양으로, 각 자음블록(101 내지 104, 113 및 114)과 각 모음블록(111 및 112)과 복합 블록(123) 및 기호 블록(124)은 상기 키패드(100)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consonant blocks 101 to 104, 113 and 114 and each of the vowel blocks 111 and 112, the composite block 123 and the symbol block 124 are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100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각 자음블록과 각 모음블록에 할당된 알파벳들이 모두 소문자로 표시되고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각 자음블록과 각 모음블록에 할당된 알파벳들이 모두 대문자로 표시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consonant blocks and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respective vowel blocks are all displayed in lower case. Referring to FIG. 4, Are displayed.

이와 같이, 대문자와 소문자의 전환은 제1 방향키 블록(121) 또는 제2 방향키 블록(122)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키 블록(12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rsion of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or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12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제1 방향키 블록(121)에 두 번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100)의 알파벳들을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1 may switch the alphabet of the keypad 100 to uppercase or lower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twice.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방향키 블록(121)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된 제2 알파벳 모음 또는 자음을 제1 알파벳 모음 또는 자음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보다 길게 결정됨) 동안 제1 방향키 블록(121)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키패드(100)의 알파벳들을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1 may display a second alphabet bar or consonant displayed on the display 20 as a first The control unit 11 may switch the alphabet of the alphabet or the alphabet of the keypad 10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121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period (determined long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Can be converted to uppercase or lowercase.

한편, 이와는 다르게, 상기 키패드(100)에는 대문자/소문자를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1 전환키 블록(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keypad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irst switching key block (not shown) for switching uppercase / lowercase letter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5 and 6 are front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는 각 모음블록, 각 자음블록, 기호 블록 및 복합 블록에 각각 할당된 알파벳, 특수기호 또는 명령어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phabets, special symbols or command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respective vowel blocks, the consonant blocks, the symbol blocks and the complex block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제2 실시예에는 각 모음블록, 각 자음블록, 기호 블록 및 복합 블록에 각각 숫자 또는 특수기호가 추가로 할당되며, 추가로 할당된 숫자 또는 특수기호는 해당 블록의 둘레부에 위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numerals or special symbols are additionally assigned to each vowel block, each consonant block, symbol block, and complex block, and additional numerals or special symbols may be located at the periphery of the block have.

구체적으로 제1 자음블록(201)에는 숫자 1이 추가로 할당되고, 제1 모음블록(211)에는 숫자 2가 할당되며, 제1 방향키 블록(221)에는 숫자 3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음블록(202)에는 숫자 4가 추가로 할당되고, 제2 모음블록(212)에는 숫자 5가 추가로 할당되며, 제2 방향키 블록(222)에는 숫자 6이 추가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3 자음블록(203)에는 숫자 7이 추가로 할당되고, 제5 자음블록(213)에는 숫자 8이 할당되며, 복합블록(223)에는 숫자 9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4 자음블록(204)에는 특수기호 "*"가 할당되고, 제6 자음블록에는 숫자 0이 할당되며, 기호블록(224)에는 특수기호 "#"가 할당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nsonant block 201 is assigned a number 1, the first vowel block 211 is assigned a number 2,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221 is assigned a number 3. [ The number 4 is further allocated to the second consonant block 202, the number 5 is further allocated to the second vowel block 212, and the number 6 is further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block 222 have. The third consonant block 203 may be assigned the number 7, the fifth consonant block 213 may be assigned the number 8, and the composite block 223 may be assigned the number 9. A special symbol "*" is assigned to the fourth consonant block 204, a numeral 0 is assigned to the sixth consonant block, and a special symbol "#" may be assigned to the symbol block 224.

여기서 사용자가 추가로 할당된 숫자 또는 특수기호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1 자음블록(201)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20) 상에 제2 알파벳 자음 "c"를 표시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제2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보다 길게 결정됨) 동안 제1 자음블록(201)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추가로 할당된 숫자 1을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Here is how the user selects additional assigned numbers or special symbols.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consonant block 201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1 may display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c" on the display 2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consonant block 201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determin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1 displays the further assigned number 1 on the display 20 .

한편, 이와는 다르게, 상기 키패드(200)에는 추가로 할당된 숫자와 특수기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2 전환키 블록(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separate second switching key block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200 to select additional numbers and special symbols.

즉, 사용자가 추가로 할당된 숫자와 특수기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전환키 블록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자음블록(201)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숫자 1을 상기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conversion key block to select a number and a special symbol assigned by the user, if the user touches the first consonant block 201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20). ≪ / RTI >

도 5를 참조하면, 각 자음블록과 각 모음블록에 할당된 알파벳들이 모두 소문자로 표시되고 있으며, 도 6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각 자음블록과 각 모음블록에 할당된 알파벳들이 모두 대문자로 표시되고 있으며, 대문자와 소문자의 전환은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5, each of the consonant blocks and the alphabets assigned to the respective vowel blocks are all displayed in lower case. Referring to FIG. 6, And the conversion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자음블록(301)에는 숫자 1이 추가로 할당되고, 제1 모음블록(311)에는 숫자 2가 할당되며, 제1 방향키 블록(321)에는 숫자 3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음블록(302)에는 숫자 4가 추가로 할당되고, 제2 모음블록(312)에는 숫자 5가 추가로 할당되며, 제2 방향키 블록(322)에는 숫자 6이 추가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3 자음블록(303)에는 숫자 7이 추가로 할당되고, 제5 자음블록(313)에는 숫자 8이 할당되며, 복합블록(323)에는 숫자 9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4 자음블록(304)에는 특수기호 "*"가 할당되고, 제6 자음블록에는 숫자 0이 할당되며, 기호블록(324)에는 특수기호 "#"가 할당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onsonant block 301 is additionally assigned the number 1, the first vowel block 311 is assigned the number 2,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321) may be assigned the number 3. In addition, the number 4 is additionally assigned to the second consonant block 302, the number 5 is further allocated to the second vowel block 312, and the number 6 is further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322 have. A number 7 is further allocated to the third consonant block 303, a number 8 is assigned to the fifth consonant block 313, and a numeral 9 is allocated to the complex block 323. A special symbol "*" is assigned to the fourth consonant block 304, a numeral 0 is assigned to the sixth consonant block, and a special symbol "#"

다만,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호블록(324)에 할당된 기호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그것들과 상이하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ymbols assigned to the symbol block 324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즉, 상기 기호블록(324)에는 문장 작성 시 자주 쓰이는 중요기호가 다양한 조합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호블록(324)에는 ".", "'" 및 ","기호가 차례로 할당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ymbol block 324, important symbols frequently used in writing a sentence can be allocated in various combinations. Referring to FIG. 7, ". &Quot;," ", and ", "symbols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to the symbol block 324.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이동 단말기 20: 디스플레이
12: 입력부 13: 버튼부
14: 터치센서 100: 키 패드
10: mobile terminal 20: display
12: Input section 13: Button section
14: touch sensor 100: keypad

Claims (21)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는,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및 제2 방향키 블록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자음 블록은 제1 내지 제3 알파벳 자음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제1 내지 제3 알파벳 모음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알파벳 자음은 상기 자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되고, 제1 알파벳 자음은 제2 알파벳 자음의 왼쪽에 위치되며, 제3 알파벳 자음은 제2 알파벳 자음의 오른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알파벳 모음은 상기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되며, 제1 알파벳 모음은 제2 알파벳 모음의 왼쪽에 위치되고, 제3 알파벳 모음은 제2 알파벳 모음의 오른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알파벳 자음 또는 제2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1 알파벳 자음 또는 제1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상기 제2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3 알파벳 자음 또는 제3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and a keypa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keypad, wherein the keypad comprises a consonant block, a vowel block, a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Wherein the consonant block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consonants, the vowel block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bars,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consonant block, the first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the third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The second alphabet ba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vowel block, the first alphabet ba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second alphabet bar, the third alphabet bar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alphabet bar,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on the display a second alphabet consonant or a second alphabet ba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selected consonant block or vowel block when the consonant block or the vowel block is selected,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a first alphabetical consonant or a first alphabetical consonant of a consonant block or a vowel block previously selected when the first directional key block is selected on the display, And displays a third alphabetical consonant or a third alphabet bar of the block on the displ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 블록 및 제1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sonant block, the vowe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키 블록과 제2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방향키 블록과 상기 자음 블록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wel block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consonant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 패드는, 자음 블록과 모음 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및 제2 방향키 블록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자음 블록은 제1 내지 제3 알파벳 자음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제1 내지 제3 알파벳 모음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자음블록과 복수 개의 모음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및 제2 방향키 블록은 매트릭스 형태로 각각 나열되고,
상기 제2 알파벳 자음은 상기 자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되고, 제1 알파벳 자음은 제2 알파벳 자음의 왼쪽에 위치되며, 제3 알파벳 자음은 제2 알파벳 자음의 오른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알파벳 모음은 상기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되며, 제1 알파벳 모음은 제2 알파벳 모음의 왼쪽에 위치되고, 제3 알파벳 모음은 제2 알파벳 모음의 오른쪽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알파벳 중 중앙에 위치된 제2 알파벳 자음 또는 제2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1 알파벳 자음 또는 제1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상기 제2 방향키 블록이 선택되면 미리 선택된 자음 블록 또는 모음 블록의 제3 알파벳 자음 또는 제3 알파벳 모음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복수 개의 자음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1 열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 개의 모음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2 열에 각각 배치되며, 제1 및 제2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3 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자음블록과 모음 블록 및 제1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되며, 제1 방향키 블록과 제2 방향키 블록은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and a keypa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keypad, wherein the keypad comprises a consonant block, a vowel block, a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Wherein the consonant block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consonants, the vowel block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alphabet bars,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a plurality of vowel blocks, a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a second direction key block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consonant block, the first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the third alphabet consonant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alphabet consonant,
The second alphabet ba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vowel block, the first alphabet ba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second alphabet bar, the third alphabet bar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econd alphabet bar,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on the display a second alphabet consonant or a second alphabet ba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lphabet of the selected consonant block or vowel block when the consonant block or the vowel block is selected,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a first alphabetical consonant or a first alphabetical consonant of a consonant block or a vowel block previously selected when the first directional key block is selected on the display, Displaying a third alphabetical consonant or a third alphabet collection of blocks on the display,
A plurality of consonant block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 first column of the keypad, a plurality of vowel block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 second column of the keypad, first and second direction key blocks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 third column of the keypad,
Wherein the consonant block, the vowe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re each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nd the second direction key block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respectively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3개의 특수기호가 할당된 기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기호블록과 제1 방향키 블록 상기 키패드 상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The keypad of claim 9,
A symbol block to which three special symbols are assigned,
Wherein the symbol block and the first direction key block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on the keypa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블록은 상기 키패드의 제3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ymbol block is disposed in a third column of the keypa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호 블록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호 블록의 기호들 중 중앙에 위치된 기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ymbol positioned at the center among the symbols of the selected symbol block on the display when the symbol block is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80087A 2013-07-09 2013-07-09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101483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087A KR101483170B1 (en) 2013-07-09 2013-07-09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087A KR101483170B1 (en) 2013-07-09 2013-07-09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170B1 true KR101483170B1 (en) 2015-01-26

Family

ID=5259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087A KR101483170B1 (en) 2013-07-09 2013-07-09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1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81B1 (en) 2015-03-24 2016-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text using a Picker in touch environ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70A (en)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keypad assembly with the supplementary buttons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80023068A (en)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of alphabet charac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570A (en) * 2001-12-12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keypad assembly with the supplementary buttons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80023068A (en) * 2006-09-08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of alphabet charac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81B1 (en) 2015-03-24 2016-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text using a Picker in touch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7B1 (en) Button extension type letter input system for touch screen
CN101174190A (en) Software keyboard entry method for implementing composite key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s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285413B1 (en) Letter input method of touch type using touch screen
KR101039284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KR101325653B1 (en) Interface for inputting character
KR20150126786A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921586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Hangul
KR101637163B1 (en)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KR101653102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english/number/symbol characters using simplified qwerty software keypad
KR20150129345A (en) Multi-language character input keypad and array method to maximize the utilizing area in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keypad
KR100609287B1 (en) Plus Keypad
KR20190066161A (en) 16key Hangul Sswipee Pad
JP5016087B2 (en) keyboard
KR101368718B1 (en) Input pad of korean characters for touchscreen
KR101194119B1 (en) Character display and input method having character display pannel
KR101017777B1 (en)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wor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KR200800701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63273B1 (en) Combination Keyboard
JP4348590B2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160033958A (en) Wearable Little Keyboard Which Can Do Quick Text Input
KR200412641Y1 (en) A 12 direction navigation key for inputting figures and letters
JP4987945B2 (en)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