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557B1 -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557B1
KR101328557B1 KR1020120027965A KR20120027965A KR101328557B1 KR 101328557 B1 KR101328557 B1 KR 101328557B1 KR 1020120027965 A KR1020120027965 A KR 1020120027965A KR 20120027965 A KR20120027965 A KR 20120027965A KR 101328557 B1 KR101328557 B1 KR 10132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unction
cursor
inpu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6226A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12002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57B1/en
Publication of KR2013010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는 문자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와; 문자 또는 문자열의 수정기능과 선택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편집버튼이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입력버튼과 함께 표시되거나 상기 입력버튼을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문자 또는 문장이 입력되는 과정에서 편집량이 많은 경우에도 다양한 편집기능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문자 또는 문장을 편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including: a touch screen unit including an interface unit for character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an edit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editing a character or a character and a selection function together with an input button located in the interface unit or to replace the input button.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ly, even when a large amount of editing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or sentence, the character or sentence can be edited quickly and easily by various editing functions.

Description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 {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Character input device with extended editing function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본 발명은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문자를 다양한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는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that can edit characters in various ways by a simple method.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정보의 표시 및 입력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입력방식에서 키패드를 생략하여 화면을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이 많이 이용된다.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ve touch screens that have the advantage of large screen configuration by omitting the keypad in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a conventional keypa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isplay and input technology.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ed is often u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문자입력방식은 문자 입력과정에서 문자의 삭제나 커서의 이동 이외에 별도의 편집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와 유사한 편집기능이 구현된다고 하더라도 문자 입력장치에서 퍼스널 컴퓨터와 동일한 입력방식에 의해 편집을 수행하기 때문에 자판 버튼의 크기가 작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의 오입력 많이 발생하며 입력이 수월하지 않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s difficult to perform a separate editing function other than deleting a character or moving a cursor in the character input process, and even if a personal computer similar editing function is implemented, the character input device uses the same input as a personal computer. Since the editing is performed by the metho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mall size of the keyboard button generates a lot of misinputs of the user and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input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또는 문장이 입력되는 과정에서 편집량이 많은 경우에도 다양한 편집기능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문자 또는 문장을 편집할 수 있는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editing a character or a sentence by various editing functions even when a large amount of editing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or sentence. .

상기 목적은, 문자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와; 문자 또는 문자열의 수정기능과 선택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편집버튼이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입력버튼과 함께 표시되거나 상기 입력버튼을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may include a touch screen unit including an interface unit for text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an edit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editing a character or a character and a selection function together with an input button located in the interface unit or to replace the input button. It is achieved by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수정기능 및 상기 선택기능의 확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erform an expansion function of the correction function and the selection function when a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is selected by a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어느 하나의 시작 또는 끝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r end of any one of a letter,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select any one of a text,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a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사하거나 삭제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copy, delete, or replace at least one of a text,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a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search for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 내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위치 및 상기 터치 후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중심 또는 외부영역으로의 드래그를 인식하여 상기 수정기능 및 상기 선택기능의 확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ognize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in the edit button and the drag to the center or the external area of the interface unit after the touch to perform the expansion function of the correction function and the selection function.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중앙에 스와이프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고 편집하기 위한 기능버튼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A function button for inputting and editing characters in a swipe manner may be separate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terface uni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중앙의 기능버튼을 터치한 후 바깥쪽의 기능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entire input button by replacing a new function button and an input button when the user touches the center function button and drags the outer function button.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실시간으로 커서측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such that the interface unit moves to the cursor side in real time and is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자 또는 문장이 입력되는 과정에서 편집량이 많은 경우에도 다양한 편집기능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문자 또는 문장을 편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large amount of editing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or sentence, the character or sentence can be edited quickly and easily by various editing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부의 문자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입력 인터페이스 및 편집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t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커서 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편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a 내지 6l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문자 및 문장 삭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q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확장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및 문장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a 내지 도 8i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확장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및 문장을 검색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입력복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of a touch screen unit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and an editing interface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T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ving a cursor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g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diting function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L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leting characters and sentences in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Q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editing text and sentences using an extended editing interface of a text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I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searching for or modifying characters and sentences using an extended editing interface of a text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put return process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스크린부(10)와, 제어부(20)와, 저장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100)는 터치방식에 의해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PDA, 스마트폰, 태블릿PC 뿐만 아니라 ATM 단말기, 내비게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10, a controller 20, and a storage unit 30. The text input device 100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TM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etc. as well as a mobile phone, a PDA, a smart phone, a tablet PC that can input text by a touch method.

터치스크린부(10)는 문자 및 문자열을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하고, 표시된 입력단위를 사용자로부터 터치 및 드래그 방식에 의해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한글을 입력받는 경우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기입력단위를 표시하고, 영어를 입력받는 경우 알파벳을 표시하여, 일본어를 입력받는 경우 오십음도를 기본적으로 표시한다.The touch screen unit 10 displays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nd a string, and receives the displayed input unit from the user by a touch and drag method. For example, when inputting Korean, the input unit including consonants and vowels is displayed, and when inputting English, the alphabet is display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는 정방형의 키패드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부(11)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인터페이스부(11)의 키패드가 정방형인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인터페이스부(11)는 원 또는 다각형 등으로 구현되거나 공지의 키보드와 같이 횡방향의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1 on which a square keypad is displayed. In FIG. 2, the keypad of the interface unit 11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interface unit 1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rectangle in a horizontal direction, such as a circle or polygon, or a known keyboard. Can be.

그리고 도 2에서는 인터페이스부(11)가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하단에 고정되어 표시되지만, 인터페이스부(11)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커서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동작거리를 줄여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2, the interface unit 11 is fixedly displayed at the lower end of the area where characters are displayed, but the interface unit 11 is moved to the cursor side in real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to reduce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characters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10)는 터치패널, 액정패널, 백라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터치패널로부터 발생한 신호는 터치스크린부(10)에 마련된 신호선에 의해 제어부(20)로 전달된다.In the touch screen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nel,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cklight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touch pane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0 by a signal line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unit 10.

제어부(20)는 문자 또는 문자열의 수정기능과 선택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편집버튼이 인터페이스부(11) 내에 위치하는 입력버튼과 함께 표시되거나 입력버튼을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는 마이컴 및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may display an edit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correcting a character or a character string and a selection function together with an input button located in the interface unit 11 or by replacing the input button. 10).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icrocomputer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same.

저장부(30)는 제어부(2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0)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단위가 터치스크린부(10)의 입력버튼(11)에 표시될 수 있도록 입력단위의 사용빈도를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receiving texts through manipulation of software and a us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0 may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input uni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input unit that is used the most is displayed on the input button 11 of the touch screen unit 10. The storage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torage medium such as a flash memory.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가 태블릿 PC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터치스크린부(10)를 가지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1)는 기본 키패드가 좌우로 분리되어 배치된 다음 중앙에 편집버튼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인터페이스부(11)에 기본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만 표시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버튼이 새롭게 편집버튼으로 대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wide touch screen unit 10 such as a tablet PC, the interface unit 11 has a basic keypad separated left and right, and then an edit button is disposed at the center. In the state can receive text from the user. Of course, only the input button for inputting characters is basically displayed on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the input button is newly replaced by an edit button by the user's selec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문자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서 문자입력 인터페이스를 편집 인터페이스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1)가 정방형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1)는 원형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interface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the character input interface into an editing interface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3A and 3B, although the interface uni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in a squar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unit 11 may be implemented in a circular shap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3)에는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가 표시된다. 여기서 정중앙에 위치한 기능버튼(13)은 사용자로부터 부가기능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하고, 기타 입력버튼(12)이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입력버튼(12)과 기능버튼(1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입력버튼(12)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단위의 수가 적을 때에는 기능버튼(13)이 입력버튼(12)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A, the interface unit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keypad for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Here, the function button 13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serves to receive an additional function command from the user, and the other input button 12 plays a role of receiving a character from the user. In some cases, the positions of the input button 12 and the function button 13 may be changed, and when the number of input units input by the input button 12 is small, the function button 13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input button 12. It is also possible to be placed in position.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집을 위한 편집버튼을 표시하기 위해 그 일예로 중앙에 위치하는 기능버튼(13)을 터치한 후 12시 방향에 위치한 기능버튼(13)으로 드래그하면 수정기능 및 선택기능 등을 실행하기 위한 편집버튼(14)이 기존의 입력버튼(12)과 기능버튼(13) 전체를 새롭게 대체하여 터치스크린부(10) 내의 인터페이스부(11)에 표시된다. 물론, 여기서 화살표 모양의 기능버튼(13)은 12시방향 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드래그 방향은 3시 방향이나 6시 방향, 9시 방향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이렇게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편집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상하좌우로의 커서 이동 및 수정과 삭제, 스페이스와 백스페이스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의 짧은 이동거리에 의해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전환이 가능하고, 기입력된 문자 또는 문장에 대해 기본적인 편집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편집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b,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13 located in the center to display the edit button for editing, and drag the function button 13 located at 12 o'clock, for example, a correction function And an edit button 14 for executing a selection function and the like, replaces the existing input button 12 and the entire function button 13 and is displayed on the interface unit 11 in the touch screen unit 10. Of course, the arrow-shaped function button 13 may be located not only in the 12 o'clock direction but also in other directions, and the drag direction may be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the 3 o'clock direction, the 6 o'clock direction, the 9 o'clock direction, and the like. The edit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displayed may basically display cursor movements up, down, left, and right, spaces and backspaces.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switch to the interface for editing by the short moving distance on the touch screen, and can easily execute various editing functions as well as basic editing functions for the previously inputted text or sentenc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100)는 편집버튼(14)을 조합하여 보다 확장된 편집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스와이프 방식에 의해 복수 개의 편집버튼(14)을 차례로 드래그하는 방법에 의해 선택한 편집버튼을 조합하여 다양한 편집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edit button 14 to execute a more expanded editing function. That is, the user can execute various editing functions by combining the selected editing buttons by the method of dragging the plurality of editing buttons 14 sequentially by the swipe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100)는 편집버튼(14) 내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인식하고, 터치 후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앙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여 그에 따라 확장된 편집기능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편집버튼(14)의 개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인 다양한 편집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position touched by the user within the edit button 14, and after the touch, dragging the user to the center or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any one of them and execute the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ly. Thus, various exponential edit functions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dit buttons 14.

도 4a 내지 도 4t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기능을 가지는 문자 입력장치의 커서 이동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1)가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4A to 4T illustrate a method of moving a cursor of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interface uni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circular configura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좌측에 위치한 단어의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좌측에 위치한 단어의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하나의 편집버튼(14) 내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편집버튼(14)의 편집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user touches the left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located word. 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right area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as shown in FIG. 4B and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word located on the left side. Thu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position touched by the user in one edit button 14 to extend the editing function of the edit button 14.

도 4c 및 도 4d는 이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우측에 위치한 단어의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우측에 위치한 단어의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4C and 4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by the same process. As shown in FIG. 4C, when the user touches the left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moves to the right side of the cursor.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word located at. Likewise, as shown in FIG. 4D, when the user touches the right area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word located on the right side.

도 4e 및 4f는 이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위의 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E and 4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above row by the same process.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위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상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위의 행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위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하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위의 행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E, when the user touches the upper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upward,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is located above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row. Similarly, if the user touches the lower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upward as shown in FIG. 4F, and then drags it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moves the cursor upward.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row of.

도 4g 및 4h는 이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아래의 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G and 4H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lower row by the same process.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아래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상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아래 행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아래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 내의 하측 영역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아래 행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G, when the user touches an upper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downward,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moves below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row. 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lower region in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downward as shown in FIG. 4H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cursor. The touch screen unit 10 is controlled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lower row.

한편, 도 4i 내지 4l은 커서를 문장 또는 문단의 시작 및 끝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i 내지 4j를 통해 커서를 문장 또는 문단의 시작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4I to 4L illustrate the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beginning and end of a sentence or paragraph. First, a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a sentence or paragraph through FIGS. 4I through 4J will be described.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를 현재 문장의 시작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현재 문장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I, in order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sentence, the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gain. When dragging the touched edit button 14,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sentence of the cursor.

마찬가지로,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를 현재 문단의 시작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커서를 좌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현재 문단 시작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을 문장에 대응시키고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를 문단에 대응시키면 직관적으로 커서를 문장 및 문단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으로 신속하면서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Similarly, as shown in FIG. 4J, in order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paragraph,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Next, when dragging to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paragraph of the cursor. In this way, if the user corresponds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o the sentence and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o the paragraph can intuitively move the cursor quickly and quickly to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ntence and paragraph. have.

도 4k 및 4l은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현재 문장 또는 문단의 끝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K and 4L illustrate a process of moving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sentence or paragraph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도 4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를 현재 문장의 끝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현재 문장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K, in order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sentence, the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gain. When dragging the touched edit button 14,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sentence of the cursor.

마찬가지로, 도 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를 현재 문단의 끝부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의 현재 문단 끝부분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4L, in order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paragraph,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Next, when dragging to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paragraph of the cursor.

이하, 복수 개의 편집버튼(14)을 조합하여 확장된 편집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 4m 내지 4t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executing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editing buttons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M to 4T.

도 4m 및 4n은 커서를 PAGE-UP의 시작 또는 끝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M and 4N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cursor to the start or end of a PAGE-UP.

도 4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PAGE-UP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가 PAGE-UP의 시작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M,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PAGE-UP button, the controller 20 moves the cursor.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o the beginning of the PAGE-UP.

마찬가지로, 도 4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PAGE-UP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가 PAGE-UP의 끝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4N, and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PAGE-UP butto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PAGE-UP.

도 4o 및 4p는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PAGE-DOWN의 시작 또는 끝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O and 4P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cursor to the start or end of PAGE-DOWN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도 4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PAGE-DOWN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가 PAGE-DOWN의 시작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O,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PAGE-DOWN button, the controller 20 moves the cursor.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o the beginning of the PAGE-DOWN.

마찬가지로, 도 4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PAGE-DOWM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커서가 PAGE-DOWN의 끝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4P, and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PAGE-DOWM button,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PAGE-DOWN.

도 4q 및 4r은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현재 화면의 가장 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Q and 4R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cursor to the top of the current screen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도 4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TOP 버튼이 표시되면, TOP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가 화면의 맨 위 시작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Q,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displays the TOP button, when the user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TOP button,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top of the screen.

마찬가지로, 도 4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TOP 버튼이 표시되면, TOP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가 화면의 맨 위 끝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4R,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nd then the TOP button is displayed, the user drags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TOP butt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top end of the screen.

도 4s 및 4t는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를 현재 화면의 가장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S and 4T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cursor to the bottom of the current screen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도 4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BOTTOM 버튼이 표시되면, BOTTOM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가 화면의 맨 아래 시작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4S, when the user touches and hold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the BOTTOM button is displayed.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bottom start of the screen.

마찬가지로, 도 4t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BOTTOM 버튼이 표시되면, BOTTOM 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가 화면의 맨 아래 끝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4T and then the BOTTOM button is displayed, the user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BOTTOM butt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10 to move the cursor to the bottom end of the screen.

도 4a 내지 도 4t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편집을 위한 하나의 편집버튼(14) 내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 및 드래그 방향을 인식하여 해당 편집기능을 관련된 편집기능으로 확장함으로써, 문자 및 문장의 편집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T,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position touched by a user and a dragging direction in one edit button 14 for editing to associate a corresponding editing function. By extending the editing function, editing of characters and sentence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편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사용자가 편집 인터페이스에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각 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각 기능이 확장된 확장 편집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5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diting function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touches each button basically displayed on the editing interfac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may use an extended editing function in which each function is expanded.

그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페이스(space) 기능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그 좌우로 탭(tab) 기능버튼과 엔터(enter) 기능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touches the space function button for a long time, a tab function button and an enter function button may be display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

마찬가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 기능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그 좌우로 각각 앞단어와 뒷단어를 삭제하는 기능버튼 및 커서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모두 삭제하는 기능버튼이 표시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5B, when the user touches the delete function button for a long time, a function button for deleting the front word and the rear word and a function button for deleting both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cursor are display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는 기능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그 좌우로 각각 HOME 기능버튼과 END 기능버튼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C,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upward, the HOME function button and the END function button are display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그 좌우로 각각 PAGE-UP 기능버튼과 PAGE-DOWN 기능버튼 및 현재 화면의 가장 위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현재 화면의 가장 아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기능버튼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D, when the user touches a fun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to the right, the PAGE-UP function button and the PAGE-DOWN function button and the cursor move to the top of the current screen or to the left or right of the current screen, respectively. The function button to move the cursor to the bottom of the screen is displayed.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기능버튼을 길게 터치하면, 그 좌우로 각각 UNDO 기능버튼과 REDO 기능버튼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E, when the user touches the fun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down, the UNDO function button and the REDO function button are display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마찬가지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하면 사용자는 삽입기능과, 찾기기능과, 선택고정기능과, 바꾸기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하면 사용자는 잘라내기기능과, 복사기능과, 삭제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lec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5F, the user may select an insertion function, a search function, a selection fixing function, and a replacement function. As shown in FIG. 5G,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for a long time, the user may select a cut function, a copy function, and a delete function.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는 기본적인 편집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의 키보드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편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erforming various editing fun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a keyboard of a personal computer or a notebook by extending a basic editing interface.

이하, 도 6a 내지 6l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문자 및 문장의 삭제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leting characters and sentences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L.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단어를 삭제한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행을 삭제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6A, when a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delete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deletes the word where the cursor is currently located. 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to move the cursor to the left as shown in FIG. 6B and then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deletes the row where the current cursor is located. do.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문장을 삭제한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문단을 삭제한다.As shown in FIG. 6C,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delete functio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to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Deletes the statement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D,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delete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the controller 20 Deletes the paragraph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도 6e 및 6f는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로부터 현재 문장의 시작부분까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e 및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기능버튼이 표시되면, 그 기능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로부터 현재 문장의 시작부분까지를 삭제한다.6E and 6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eting from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sentence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As shown in FIGS. 6E and 6F,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delete function for a long time and then displays a fun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the function button moves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When dragging, the control unit 20 deletes from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sentence.

마찬가지로, 도 6g 및 6h는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로부터 현재 문장의 끝부분까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g 및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커서의 우측부분으로 이동하는 버튼이 표시되면, 그 기능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로부터 현재 문장의 끝부분까지를 삭제한다.Similarly, FIGS. 6G and 6H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eting from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sentence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6G and 6H,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delete function for a long time and a button for moving to the right side of the cursor is displayed, the user moves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function button. When dragging, the control unit 20 deletes the end of the current sentence from the cursor.

도 6i 및 6j는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로부터 현재 문단의 시작부분까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i 및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하는 기능버튼이 표시되면, 그 기능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로부터 현재 문단의 시작부분까지를 삭제한다.6I and 6J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eting from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paragraph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As shown in FIGS. 6I and 6J, when a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delete function for a long time and a function button for moving the cursor to the left is displayed, the function button move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rough the function button. When dragging, the control unit 20 deletes from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paragraph.

마찬가지로, 도 6k 및 6l은 위와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커서로부터 현재 문단의 끝부분까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k 및 6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한 후 커서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기능버튼이 표시되면, 그 기능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커서로부터 현재 문단의 끝부분까지를 삭제한다.Similarly, FIGS. 6K and 6L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eting from the cursor to the end of the current paragraph by the same process as above. As shown in FIGS. 6K and 6L, when a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delete function for a long time, and then a function button for moving to the right side of the cursor is displayed, the function button move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rough the function button. In the case of dragging, the control unit 20 deletes the end of the current paragraph from the cursor.

이하, 도 7a 내지 도 7s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및 문장을 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editing characters and sentences using the extended editing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S.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의 기본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수정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길게 터치하면 확장 편집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확장 편집 인터페이스는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버튼과 함께 선택, 복사, 붙여넣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rrection function is touched in the basic editing interface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ded editing interface is displayed. The extended editing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select, copy, and paste buttons along with buttons for moving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도 7b 및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현재의 단어와 행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d 및 7e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현재의 문장과 문단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B and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urrent word and line using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D and 7E illustrate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urrent sentence and paragraph by using.

먼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선택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7B, when a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search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selects a word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선택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7C,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selects a row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다음으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선택한다.Next, as shown in FIG. 7D,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to the touched control button 14. 20) selects a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단을 선택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7E,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search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the controller 20 ) Selects the paragraph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그리고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복사한다.As shown in FIG. 7F,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copies the word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복사한다.Likewise, as shown in FIG. 7G,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troller 20 copies the row of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또한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복사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H,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the controller 20. Copies the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단을 복사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7I, when a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drags the touched edit button 14 to the touched edit button 14 again. ) Copies the paragraph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그리고 도 7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잘라내기 편집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잘라내기한다.As illustrated in FIG. 7J,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cut edit button, the controller 20 may change the word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Cut the.

마찬가지로, 도 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잘라내기 기능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잘라내기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cut function button, as shown in FIG. 7K, the control unit 20 determines the current cursor position. Truncate the rows.

또한, 도 7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잘라내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잘라내기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잘라내기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L,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the cut edit button 14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touches the cut edit again. When dragging to the button 14, the control unit 20 cuts out the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잘라내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잘라내기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단을 잘라내기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7M, after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the user edits the cut edit button 14 and drags it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n touches again the cut edit. When dragging to the button 14, the control unit 20 cuts out the paragraph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그리고 도 7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삭제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삭제한다.As shown in FIG. 7N,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the edit button 14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delete edit button 14, the controller 20 moves to the current cursor position. Delete the word of.

마찬가지로, 도 7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삭제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잘라내기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the edit button 14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delete edit button 14 as shown in FIG. 7O, the control unit 20 displays a current cursor. Truncate the row at position.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도 7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삭제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삭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삭제한다.By the same process, as shown in FIG. 7P, the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copy function, and then drags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delete edit button 14 and then touches again. When dragging to the button 14, the controller 20 deletes the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7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사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삭제 편집버튼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삭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잘라내기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7Q, after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copy function, the user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delete edit button, and then touches the delete edit button 14 again. When dragging, the controller 20 cuts out the row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이하, 도 8a 내지 8i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확장된 편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및 문장을 검색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8A to 8I, a method of searching for or modifying characters and sentences using the extended editing interface of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현재의 단어와 행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current word and a row by using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찾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검색한다.First, as shown in FIG. 8A, when a user touches an edit button 14 having a search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search edit button 14, the controller 20 is a current cursor. Search for words in a location.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찾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검색한다.Similarly,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and then drags the user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search edit button 14 as shown in FIG. 8B, the control unit 20 displays the current cursor. Retrieve the row of locations.

이와 유사한 프로세스에 의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찾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검색한다.By a similar process, as shown in FIG. 8C,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search edit button 14 and then touches again. When dragging with a button, the controller 20 searches for a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마찬가지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찾기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단을 검색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8D, after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the user edits the search button 14 and drags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search edit button 14, and then touches the edit button 14 again. Drag), the control unit 20 searches for a paragraph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그리고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기능을 실행하는 편집버튼(14)을 선택하여 단어나 문장 등을 다른 내용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대체기능을 실행하는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를 다른 단어로 대체한다.As shown in FIG. 8E, a word or sentence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content by selecting an edit button 14 for executing a replacement function. As shown in FIG. 8F, when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and then drags it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edit button 14 for executing the replacement function, the controller 20 Replace the word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with another word.

마찬가지로,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대체기능을 실행하는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다른 행으로 대체한다.Similarly, if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and then drags the user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edit button 14 executing the replacement function, as shown in FIG. 8G, the controller 20 ) Replaces the lin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with another line.

또한, 도 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대체기능을 실행하는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중심측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장을 다른 문장으로 대체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H, after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the user drags the edit button 14 to the center 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edit button 14 for executing the replacement function and then touches again. When dragging to the edit button 14, the control unit 20 replaces the sentence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with another sentence.

마찬가지로, 도 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가지는 편집버튼(14)을 터치한 후 대체기능을 실행하는 편집버튼(14)을 거쳐 인터페이스부(11)의 외부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터치한 편집버튼(14)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0)는 현재 커서 위치의 문단을 다른 문단으로 대체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8I, after the user touches the edit button 14 having the search function, the user drags to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unit 11 via the edit button 14 for executing the replacement function and then touches again. When dragging to the edit button 14, the control unit 20 replaces the paragraph at the current cursor position with another paragraph.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100)에서 편집모드에서 입력모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편집 인터페이스에서 중앙의 기능버튼(13)을 두 번 터치하면 기본적인 문자입력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부(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verting from the edit mode to the input mode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unit 2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10 so that a basic character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when the central function button 13 is touched twice in the editing interfac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터치스크린부 11 : 인터페이스부
12 : 입력버튼 13 : 기능버튼
14 : 편집버튼 20 : 제어부
30 : 저장부 100 : 문자 입력장치
10: touch screen unit 11: the interface unit
12: Input Button 13: Function Button
14: edit button 20: control
30: storage unit 100: character input device

Claims (10)

문자를 구성하는 입력단위를 표시 및 입력받기 위한 복수 개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단위를 조합하여 문자 및 문장을 완성하기 위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버튼 또는 상기 입력버튼은 중심 또는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와;
문자 또는 문자열의 수정기능과 선택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위한 편집버튼이 상기 인터페이스부 내에 위치하는 입력버튼과 함께 표시되거나 상기 입력버튼을 대체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기 편집버튼의 종류와, 상기 편집버튼의 선택 후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외부 및 내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외부 및 내부 중 터치가 해제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수정기능 및 상기 선택기능의 확장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for displaying and receiving an input unit constituting a character, and a function button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completing a character and a sentence by combining the input units, wherein the function button or the input button A touch screen unit including an interface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r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An edit button for execut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modifying a character or a character string and a selection funct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an input button located in the interface unit or is replaced by the input button, and the type of the edit button selected by the user. And an extension function of the correction function and the selection function by combining information about an area selected by a user from outside and inside the interface unit after the selection of the edit button, and a region where the touch is released from outside and inside the interface unit. Character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unit to perfor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어느 하나의 시작 또는 끝으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move the cursor to the beginning or end of any one of a letter,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select any one of a letter,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a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복사하거나 삭제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copy, delete, or replace at least one of a text,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a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버튼의 조합에 의해 기입력된 문자와, 행과, 문장과, 문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t least one of a text, a line, a sentence, and a paragraph previously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edit butt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중앙의 기능버튼을 터치한 후 바깥쪽의 기능버튼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입력버튼 전체를 새로운 기능버튼 및 입력버튼의 배치상태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ouch screen unit to display the entire replacement of the input button with a new function butt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button when the user touches the center function button and drags the outer function button; Character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실시간으로 커서측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unit such that the interface unit moves to the cursor side in real time and is displayed.
KR1020120027965A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KR101328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65A KR101328557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65A KR101328557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26A KR20130106226A (en) 2013-09-27
KR101328557B1 true KR101328557B1 (en) 2013-11-13

Family

ID=4945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65A KR101328557B1 (en) 2012-03-19 2012-03-19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93B1 (en) 2014-11-27 2021-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improvement receiving performance of desired sig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142A1 (en) * 2006-10-26 2008-07-10 Kenneth Kociend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KR101030177B1 (en)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142A1 (en) * 2006-10-26 2008-07-10 Kenneth Kociend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KR101030177B1 (en)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26A (en)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US11061561B2 (en)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US9342239B2 (en) Virtual interface devices
KR101350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KR101441200B1 (en) Teminal with moving keyboard and method thereof
US20110320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JP5228633B2 (en) Electronic dictionary apparatus and program
CN105808110B (en) Tabl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030177B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8922492B2 (en)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KR101328557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having expanded edit function
KR101204151B1 (en) Letter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1744124B1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o dual fuction of inputs and ouputs in character outputs area
JP2010165226A (en) Name input device and name input method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KR20150132896A (en) A remote controller consisting of a single touchpad and its usage
JP4133523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15708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JP202103353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201501168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328554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5965212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