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084B1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084B1 KR101157084B1 KR1020100091431A KR20100091431A KR101157084B1 KR 101157084 B1 KR101157084 B1 KR 101157084B1 KR 1020100091431 A KR1020100091431 A KR 1020100091431A KR 20100091431 A KR20100091431 A KR 20100091431A KR 101157084 B1 KR101157084 B1 KR 101157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wel
- drag
- button
- drag signal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과 둘 이상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고 드래그 횟수 및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입력되는 모음이 또 다른 종류로 변경되므로, 보다 단순한 드래그 조작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음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g character input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a consonant button and two or more vowel buttons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kind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And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According to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drag directions applied to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and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as the number of drags and the drag direction are changed. Since it is changed t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impler drag operation can quickly input various kinds of vowels.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드래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모음버튼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by inputting a drag signal on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method configured to input a vowel faster by using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초기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문자를 출력하는 액정화면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는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문자를 입력하여 왔다. 그러나 키패드 기능과 액정화면 기능이 합쳐진 터치스크린이 상용화되면서, 최근 들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각종 컴퓨터에도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ear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keypad for inputting text and an LCD screen for outputting text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user has inputted text by pressing a button included in the keypad. However, as a touch screen combining a keypad function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function is commercializ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In addition, such a touch screen is widely applied to various computers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키패드의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각각 터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자신이 원하는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없고,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그만큼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크기가 작아지는바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알파벳의 경우 총 26개의 자음과 모음이 있고 한글의 경우 총 40개의 자음과 모음(복자음 및 복모음 포함)이 있는데, 이와 같은 자음과 모음을 각각의 버튼에 할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문제점이 더욱 커지게 된다.In general, when entering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of the keypad are touched, respectively. If the number of the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is large, it is easy to find where the desired consonant button and the vowel button are located. If the number of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increases, the size of the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decreases, which causes a lot of typos. There are a total of 26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alphabet, and 40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Korean alphabet (includ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You lose.
현재에는,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나의 버튼에 복수개의 자음과 복수개의 모음이 할당되고 있는데, 하나의 버튼에 복수개의 자음과 복수개의 모음이 할당되는 경우 자신이 원하는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버튼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하여 터치해야 하므로 문자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Currently, a plurality of consonants and a plurality of vowels are assigned to one button to reduce the number of consonant buttons and vowel buttons. In order to input the button, the button must be repeatedly touched several times.
또한,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성이 없는 글자 즉, 받침이 없는 글자를 입력하고 자음을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자음이 종성으로 활용될 지 또는 새로운 글자의 초성으로 활용될 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종성이 없는 글자를 입력한 후 초성으로의 자음을 입력할 때에는 방향버튼을 조작하여 커서를 움직이거나, 커서가 자동으로 다음 칼럼으로 넘어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when a character without a finality, that is, a letter without a support, is input and a consonant is input, the input consonant may be used as a finality or as a first character of a new character. Cannot be selected by the user. Therefore, when entering a consonant to a consonant after entering a letter without a finality, there were various inconveniences such as moving a cursor by using a direction button or waiting for the cursor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next column.
또한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복수 개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접촉수단을 키패드에 접촉시켰다가 떼어내는 과정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해야 하므로, 조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버튼 터치 시 이웃하는 버튼까지 터치가 되어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inputting a plurality of consonants and vowels using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the process of contacting and detaching the contact means on the keypad has to be repeated several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a typo occurs very frequently due to the touc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문자입력방법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하좌우 4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바, 하나의 버튼으로 4종류의 모음밖에는 입력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각 대각선방향으로 드래그 될 때에도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면 하나의 버튼으로 8 종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정확한 방향으로 드래그하지 않으면 원하지 않는 모음이 입력될 우려가 있고, 드래그 횟수에 따라 입력되는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면 보다 많은 종류의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여러 차례에 걸쳐 드래그를 해야 하므로 문자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haracter input method configured to input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has been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configured to be input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generally input when dragging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convenience is that you can't. Of course, if the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configured to be input even when dragg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8 types of vowels can be input with one button, but in this case, unwanted vowels may be inputted unless the user drags them in the correct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input vowe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rags, more types of vowels can be input.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needs to drag a number of tim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고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입력되는 모음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단순한 조작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음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onfigured such that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applied to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and the type of the vowels is changed as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g type text input method capable of quickly entering various types of vowels with simpler opera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자음버튼과 둘 이상의 모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a consonant button and two or more vowel buttons on a touch screen;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kind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를 포함한다.
.
상기 모음버튼은 제1 모음버튼과 제2 모음버튼을 포함하며,The vowel button includes a first vowel button and a second vowel butt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제1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과 상기 제2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상이한 모음으로 할당된다.
In the third step,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and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second vowel button. A vowel is selecte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button an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button are assigned to different vowels.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단모음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2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이중모음으로 할당된다.
In the third step,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button is a short vowel, and in the third step,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button is assigned to the double vowel.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 또는 제2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ncludes one or two strokes on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or the second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is added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collecti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When is applied, 'ㅘ,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 또는 제2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or the second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When is applied, 'ㅙ,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s a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third step. It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vowel that cannot be selected by the first vowel button operation is selecte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 또는 제2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ncludes one or two strokes on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or the second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is added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collecti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When is applied, 'ㅘ,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 또는 제2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or the second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When is applied, 'ㅙ,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s a vowel in which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third step. It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1 모음버튼과 제2 모음버튼은 접촉수단이 접촉되었을 때 'ㅣ'와 'ㅡ'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vowel button and the second vowel button are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ㅣ' and '-' is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is in contact.
상기 모음버튼은 제1 모음버튼과 제2 모음버튼과 제3 모음버튼으로 구성되며,The vowel button includes a first vowel button, a second vowel button, and a third vowel butt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2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단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3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복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제3 모음버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 및 제2 모음버튼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different short vowels consisting of two strokes are selected, and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When applied, different double vowels, each consisting of three strokes, are selected and cannot be selected by the first vowel button and the second vowel button operation when a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third vowel button. Each vowel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selection vowel is changed to a vowel in which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It is configured to be.
상기 제1 모음버튼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고, The first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 ',', ','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상기 제2 모음버튼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ㅛ, ㅠ, ㅕ, ㅑ'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The second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ㅛ, ㅠ, ㅕ, ㅑ'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상기 제3 모음버튼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ㅚ, ㅟ, ㅝ, 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The third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select 'k', 'k', 'k', 'k'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상기 제1 모음버튼과 제2 모음버튼과 제3 모음버튼은 접촉수단이 접촉되었을 때 'ㅣ'와 'ㅡ'와 'ㅢ'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vowel button, the second vowel button and the third vowel button are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ㅣ', 'ㅡ' and 'ㅢ' is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is in contact.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접촉된 이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버튼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에 대하여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변경된다.
When the contact means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for a preset time after the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the vowel assigned to each direction is changed with respect to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모음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된다.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is dragged after contacting the vowel button for more than a set tim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is dragged after contacting the vowel button for less than a set time. Is set to a collection.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
The additional collection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버튼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selected vowel is configured to change when the contact means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for a set time after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음버튼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경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된다.
The vowel changed by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and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for a set time or more is selected to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applies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Set to a collection with one or more strokes added.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
The additional collection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is reciprocated one or more times in one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detect how many times the drag signal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was first applied and recognize the number of drags. .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is reciprocated once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applied twi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was first applied.
상기 모음버튼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버튼에 접촉된 상태에서, 또 다른 접촉수단이 상기 자음버튼에 접촉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한다.
And a fifth step of additionally in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another contact means contacts the consonant button while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do.
상기 제4 단계는, 선택된 모음이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문자로 조합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selected vowel with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combining the selected vowels into one letter.
상기 제5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조합된 문자의 종성으로 결합된다.
The consonants selected in the fifth step are combined with the finality of the letters combined in the fourth step.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consonant buttons on a touch screen;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되, 상기 키패드 중 일부 영역은 제1 모음입력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키패드 중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모음입력영역으로 설정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in which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is selected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wherein a part of the keypad is set as a first vowel input area and another part of the keypad is set as a second vowel input area ;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과 제2 모음입력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를 포함한다.
.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버튼을 구비하는 키패드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키패드 중 일부 영역은 제1 모음입력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키패드 중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모음입력영역으로 설정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having a consonant button on a touch screen, wherein a portion of the keypad is set as a first vowel input region and another portion of the keypad is set as a second vowel input region;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the consonant button is touched;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과 제2 모음입력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를 포함한다.
.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과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상이한 모음으로 할당된다.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nd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an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are assigned to different vowels.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단모음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이중모음으로 할당된다.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third step is a single vowel, and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n the third step is assigned to the double vowel. .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vowels that cannot be selected by the first vowel input area operation are selected.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접촉된 이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입력영역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에 대하여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변경된다.
When the contact means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for a preset time after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the vowels assigned to each direction are changed for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area.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모음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된다.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is dragged after being in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for more than a set time is selected. This is set to the added collection.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
The additional collection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입력영역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selected vowel is configured to change when the contact means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region for a preset time after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region.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경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된다.
The vowel changed by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region and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region for a set time or more is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applies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region. Is a collection with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it.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다.
The additional collection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may include one or two vowels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the collection to which the stroke is added.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TT, ㅓ, and ㅏ'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ㅘ,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fourth step includes one stroke on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is added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collecti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TT, ㅓ, and ㅏ'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ㅙ,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fourth step selects the vowel having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e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may include one or two vowels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the collection to which the stroke is added.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TT, ㅓ, and ㅏ'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ㅘ,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fourth step includes one stroke on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is added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collection.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TT, ㅓ, and ㅏ' are respectively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ㅙ,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fourth step selects the vowel having one or more stroke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e collection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area is reciprocated one or more times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sensed how many times the drag signal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first applied, and configured to recognize the drag number as the number of drags. do.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fourth step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region is reciprocated once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applied twi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was first applied.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접촉된 상태에서, 또 다른 접촉수단이 상기 자음버튼에 접촉되면 상기 자음버튼에 할당된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한다.
A fifth step of additionally in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when another contact means contacts the consonant button while the contact means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area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It includes more.
상기 제4 단계는, 선택된 모음이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문자로 조합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selected vowel with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combining the selected vowels into one letter.
상기 제5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조합된 문자의 종성으로 결합된다.
The consonants selected in the fifth step are combined with the finality of the letters combined in the fourth step.
상기 제1 단계는,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버튼이 상기 키패드에 추가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step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output a vowel button for inputting a vowel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상기 모음버튼은 터치신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input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signals.
상기 모음버튼에는 'ㅣ'와 'ㅡ' 모음이 할당된다.
The vowel buttons are assigned the 'ㅣ' and 'ㅡ' vowels.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복수개의 모음버튼에 인가되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입력되고 드래그 횟수 및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입력되는 모음이 또 다른 종류로 변경되므로, 보다 단순한 드래그 조작으로 다양한 종류의 모음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drag directions applied to a plurality of vowel buttons, and different types of vowels are input as the number of drags and the drag direction are changed. Since it is changed t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impler drag operation can quickly input various kinds of vowel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1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4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도록 각 모음버튼에 할당된 모음들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5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6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1 to 4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a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vowels assigned to each vowel button so that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8 to 10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hrough 13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a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1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1 to 4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10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문자입력메뉴를 선택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0)와 입력문자 출력창(200)이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키패드(100)에는 자음버튼(110)과 모음버튼(120) 뿐만 아니라 입력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버튼, 칸 띄우기나 삭제, 줄바꿈 등을 위한 각종 기능버튼들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펜이나 손가락 등과 같은 접촉수단(P)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110)을 터치하면 해당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고, 어느 하나의 모음버튼(120)을 터치하면 해당 모음버튼(120)에 할당된 모음이 선택되어,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음절로 결합되어 입력된다. 한편, 현재 어떠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는지, 어떠한 문자가 입력되는지를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입력중인 문자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대창(21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입력중인 문자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대창(210)은 현재 여러 기종의 휴대폰에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상기 모음버튼(120)은 접촉수단(P)이 접촉되었을 때에만 사전에 할당된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나의 모음이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도록 여러 종류의 모음이 할당되어 있다. 한편, 드래그 방향과 해당 방향에 할당된 모음이 전혀 관계가 없다면, 사용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어떠한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기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글의 모음은 천(ㆍ), 지(ㅡ), 인(ㅣ)의 조합에 의해 창제된 것이므로 'ㅏ' = 'ㅣ + ㆍ', 'ㅓ' = 'ㆍ + ㅣ', 'ㅗ' = 'ㆍ + ㅡ', 'ㅜ' = 'ㅡ + ㆍ' 로 해석될 수 있는바, 드래그 방향별로 할당되는 모음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ㆍ)의 위치가 드래그방향을 따르는 모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모음버튼(122)에 우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ㅏ'모음이 입력되고, 좌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ㅓ'가 입력되며, 상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ㅗ'가 입력되고, 하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ㅜ'가 입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됨은 물론, 상기 모음버튼(120)에 최초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될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즉, 최초 선택되었던 모음과 다른 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음버튼(122)에 우향으로 가다가 하향으로 절곡 변경되는 드래그신호가 인가될 때 'ㅐ'모음이 선택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이 선택된 이후 제1 모음버튼(122)에 우향 드래그신호가 인가되면 'ㄱ'과 'ㅏ'가 결합된 '가'라는 문자가 입력되다가, 드래그방향이 하향으로 변경되면 'ㅏ'라는 모음 대신 'ㅐ'라는 모음이 선택되어 '개'라는 문자가 입력된다. Meanwhile,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ag signal is input to the
한편, 우향으로 드래그될 때 선택되는 모음과 우향으로 가다가 하향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선택되는 모음이 전혀 관계가 없다면, 사용자는 드래그 방향 변경에 따라 어떠한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기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기 이전에 선택되는 모음에 모음획이 추가되는 모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수단(P)이 제1 모음버튼(122) 상에서 우측방향으로 드래그 될 때 'ㅏ'라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P)이 우측방향으로 드래그되다가 하향으로 드래그될 때에는 'ㅏ'라는 모음에 하나의 모음획이 추가된 'ㅐ(ㅏ+ㅣ)'라는 선택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는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모음획 즉, 본 실시예와 같이 드래그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모음획 'ㅣ'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f the vowel selected when dragg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vowel selected when drag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going to the right is irrelevant at all, the user has a lot of difficulty in remembering which collection is selected as the dragging direction is changed. There may be. Therefore, the vowel selected when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s preferably set to a vowel in which the vowel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before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at is,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tact means P is set to be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또한 상기 모음버튼(120)에 어느 한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는 경우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모음버튼(122)에 우향 드래그신호가 2회 인가되는 경우 'ㅑ'모음이 선택되고, 좌향 드래그신호가 2회 인가되는 경우 'ㅕ'모음이 선택되며, 상향 드래그신호가 2회 인가되는 경우 'ㅛ'모음이 선택되고, 하향 드래그신호가 2회 인가되는 경우 'ㅠ'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드래그신호를 반복 인가하였을 때 어떠한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 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드래그신호가 최초 1회 인가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천(ㆍ)이 추가되는 모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1회 인가하였을 때에는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 되었을 때에는 'ㅗ, ㅜ, ㅓ, ㅏ'에 천(ㆍ)이 추가된 'ㅛ, ㅠ, ㅕ, ㅑ'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drag signal is repeatedly applied to any one direction to the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모음버튼(122)에 접촉 시 선택되는 모음 이외에 상하좌우 각 방향별로 3종류의 모음이 할당되면,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는 총 13개의 모음이 할당되는바, 사용자는 제1 모음버튼(122) 하나로 다양한 종류의 모음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ree types of vowel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o the vowel selected when the
한편, 제1 모음버튼(122)에 드래그신호가 3회에 걸쳐 반복 인가될 때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고, 드래그방향이 2회에 걸쳐 절곡 변경될 때 또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제1 모음버튼(122)으로 21개의 모든 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드래그신호를 3회 이상 반복 인가하거나 드래그방향을 2회 이상 변경하게 되면 신호 입력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지므로 문자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키패드(100)는 적어도 2개의 모음버튼(120) 즉,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을 구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버튼(120)이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으로 구분되면,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과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을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드래그신호를 2회 반복 인가하고 드래그방향을 1회에 한하여 변경하는 조작만으로 모든 종류의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when the drag signal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또한, 제1 모음버튼(122)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의 종류와 제2 모음버튼(124)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의 종류를 보다 용이하게 구분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에는 단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에는 이중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중모음 중 'ㅛ, ㅠ, ㅕ, ㅑ'는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2회에 걸쳐 반복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바,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에는 상기 'ㅛ, ㅠ, ㅕ, ㅑ'를 제외한 나머지 이중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ㅛ, ㅠ, ㅕ, ㅑ'를 제외한 나머지 이중모음 중 'ㅢ'는 'ㅡ'와 'ㅣ'가 결합된 구조의 이중모음이므로, 상기 'ㅢ'는 제2 모음버튼(124)과 제1 모음버튼(122)이 순차적으로 터치되었을 때 선택될 수도 있고,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 중 어느 하나를 2회 이상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였을 때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ㅛ, ㅠ, ㅕ, ㅑ, ㅢ'를 제외한 나머지 이중모음에는 'ㅘ, ㅝ, ㅖ, ㅒ, ㅙ, ㅞ'가 남게 되는데, 이 중에서 획수가 적은 'ㅘ, ㅝ, ㅖ, ㅒ'는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선택되도록 할당되고, 'ㅙ'는 'ㅘ'에 'ㅣ'가 추가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제2 모음버튼(124)에 상향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향을 향하던 드래그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선택되도록 할당되며, 'ㅞ'는 'ㅝ'에 'ㅣ'가 추가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제2 모음버튼(124)에 하향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하향을 향하던 드래그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선택되도록 할당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vowel button so that the type of the vowel selected whe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by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음이 선택된 이후 제2 모음버튼(124)에 하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에 'ㅝ'가 결합되어 '궈'라는 문자가 선택된다.As shown in FIG. 1, when a downward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P)이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접촉수단(P)이 'ㄴ'자음버튼(110)에 접촉되면 즉, 제2 모음버튼(124)이 터치된 상태에서 'ㄴ'자음버튼(110)이 멀티터치 방식으로 터치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 즉, 'ㄴ'이 추가로 입력된다. 이때, 멀티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 자음 'ㄴ'은 제2 모음버튼(124) 조작에 의해 조합된 문자 즉, '궈'의 종성으로 결합되어, 상기 입력문자 출력창(200)에는 '권'이라는 글자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종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입력되는 자음이 초성으로 사용될 지 종성으로 사용될 지를 입력 초기에 선택할 수 없으므로, 입력된 자음이 앞문자의 종성으로 갔다가 뒷문자의 초성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어 문자입력에 혼란이 야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초성으로 사용할 자음은 독립적인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고 종성으로 사용할 자음은 멀티 터치 방식으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에 혼란이 야기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act means P which applied the drag signal to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3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다.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second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llustrates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oing so is illustrated.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된다.The third step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음버튼(122)에 접촉된 접촉수단(P)을 키패드(100)로부터 떼지 아니하고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하였다가 우측방향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좌측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최초로 인가되는 방향 즉, 좌측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만이 인지되고 우측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는 인지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좌측방향 드래그신호를 2회에 걸쳐 인가했던 결과와 마찬가지로 'ㅕ'라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g signal is reciprocated one or more times in one direction to the
한편,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음버튼(122)에 좌측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우측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를 좌측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로 카운팅하여, 최초 신호 인가방향 즉, 좌측방향 드래그신호가 총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1 모음버튼(122)에 접촉수단(P)을 1회 왕복 드래그하는 조작만으로 'ㅕ'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한편, 하나의 모음버튼(120)에 접촉수단(P)을 왕복 드래그시키는 조작은, 하나의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일방향으로 왕복 인가하는 조작에 비해서는 용이하지만, 하나의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1회 인가하는 조작에 비해서는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동일하게 1회 인가하더라도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접촉된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접촉된 이후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였을 때,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에 대하여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입력하였을 때에는 각각 'ㅗ, ㅜ, ㅓ, ㅏ'가 선택되되, 접촉수단(P)이 제1 모음버튼(122)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입력하였을 때에는 각각 'ㅛ, ㅠ, ㅕ, ㅑ'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operation of reciprocally dragging the contact means P to one
이와 같이 접촉수단(P)이 모음버튼(120)에 접촉된 시간에 따라 드래그신호 인가 시 선택되는 모음이 상이하도록 구성되면, 상하좌우 방향으로 직선 드래그를 하는 조작을 통해 총 8종류(4방향별로 각 2종류)의 모음 선택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모음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contact means P is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vowel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according to the contact time with the
한편, 접촉수단(P)이 모음버튼(120)에 접촉된 시간에 따라 어떠한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접촉수단(P)이 모음버튼(120)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선택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P)이 모음버튼(120)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에는 'ㅗ, ㅜ, ㅓ, ㅏ'에 각각 천(ㆍ)이 추가된 'ㅛ, ㅠ, ㅕ, ㅑ'가 선택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이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면, 사용자가 모음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means (P) is a set time to the
한편,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버튼(120)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음버튼(122)에 우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직후에는 'ㅏ'가 선택되되, 제1 모음버튼(122)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접촉수단(P)이 설정시간 이상 제1 모음버튼(122)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선택되는 모음이 'ㅏ'에서 'ㅑ'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음 변경이 설정되는 경우에도, 상하좌우 방향으로 직선 드래그를 하는 조작을 통해 총 8종류(4방향별로 각 2종류)의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elected vowel may be changed when the contact means P maintains contact with the
이때,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음버튼(120)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모음이 변경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변경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설정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In this case, even when the contact means P is set to change the vowel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4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도록 각 모음버튼(120)에 할당된 모음들을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vowels assigned to each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에 할당되는 모음들의 배열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배열 이외에 다양한 배열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접촉수단(P)을 상향으로 드래그 하다가 드래그 방향을 우향으로 변경시켰을 때 'ㅘ'가 추가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접촉수단(P)을 하향으로 드래그 하다가 드래그 방향을 좌향으로 변경시켰을 때 'ㅝ'가 추가적으로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vowels allocated to the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제1 모음버튼(122)에 2개의 모음을 더 할당하게 되면,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4개의 모음('ㅙ, ㅞ, ㅖ, ㅒ')만이 할당되는바, 제2 모음버튼(124)에 드래그신호를 반복하여 인가하거나 드래그 방향을 변경시키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모음버튼(124) 조작이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제2 모음버튼(124)의 조작이 간단해지면, 사용자는 제1 모음버튼(122)을 조작할 때에만 드래그신호 반복 인가 및 드래그 방향 변경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게 되는바, 모음버튼(120) 조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us, when two more vowels are allocated to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모음버튼(122)에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1회 인가하였을 때 단모음이 선택되고, 제2 모음버튼(124)에 어느 일방향으로 드래그신호를 1회 인가하였을 때 이중모음이 선택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에 할당되는 모음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122)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될 수만 있다면,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에 할당되는 모음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에 아무런 규칙없이 모음을 할당하면, 각 모음버튼(120)에 할당된 모음을 숙지하기 어려우므로, 제1 모음버튼(122)에 할당되는 모음과 제2 모음버튼(124)에 할당되는 모음은 어떠한 특정 기준으로 그룹핑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는 3획 이하의 모음이 할당되고, 제2 모음버튼(124)에는 4획 이상의 모음이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5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8 to 10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음버튼(120)은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음버튼(120)이 3개 구비되면, 각 모음버튼(120)에 접촉수단(P)이 접촉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이 3개로 늘어나게 되고(본 실시예에서는 'ㅣ'와 'ㅡ'와 'ㅢ'), 각 모음버튼(120)에 할당되어야할 모음이 줄어들게 되므로, 모음버튼(120) 조작방식을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예를 들어,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2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단모음(본 실시예에서는 'ㅗ, ㅜ, ㅓ, ㅏ')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3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복모음(본 실시예에서는 'ㅛ, ㅠ, ㅕ, ㅑ')이 선택되며, 상기 제3 모음버튼(126)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및 제2 모음버튼(124)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본 실시예에서는 'ㅚ, ㅟ, ㅝ, ㅘ')이 각각 선택되도록 각 모음들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귀'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자음을 선택한 이후 제1 모음버튼(122)을 하향으로 드래그하였다가 다시 상향으로 드래그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ㄱ'자음을 선택한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음버튼(126)을 하향으로 드래그하기만 하면 '귀'라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한편, 상기와 같이 각 모음버튼(120)에 모음들을 할당하면, 할당되지 아니한 모음은 총 6개 즉, 'ㅔ, ㅐ, ㅖ, ㅒ, ㅞ, ㅙ'가 남게 되는데, 상기 'ㅔ, ㅐ, ㅖ, ㅒ, ㅞ, ㅙ'모음들은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에 각각 2개씩 추가로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으로 인가되는 드래그의 방향 변경 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모음버튼(120)에 모음을 할당하면, 각 모음버튼(120)에 드래그신호를 반복하여 인가하는 조작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ssigning the vowels to each
반대로,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에 드래그신호를 반복 인가하였을 때 상기 'ㅔ, ㅐ, ㅖ, ㅒ, ㅞ, ㅙ'모음들이 선택되도록 설정하는 경우, 드래그방향을 변경하는 조작을 고려할 필요 없이 드래그신호 인가 횟수만을 조절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ag signal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모음버튼(120)이 3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드래그 방향 변경 전에 선택되었던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제6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11 through 13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input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a dragging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모음버튼(120)이 키패드(100) 상에 출력되지 아니하더라도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10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vowel even if a
즉, 본 발명에 의한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110)을 구비하는 키패드(100)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되 상기 키패드(100) 중 일부 영역은 제1 모음입력영역(132)으로 설정되고 상기 키패드(100) 중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모음입력영역(134)으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은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입력되도록 여러 종류의 모음이 할당된다. 즉,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는 도 2, 도 7에 도시된 제1 모음버튼(122) 및 제2 모음버튼(124)과 마찬가지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다른 모음이 할당되고, 드래그신호 인가횟수 및 드래그방향 변환에 따라 또 다른 모음들이 각각 할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 어디에라도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더라도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입력된다. That is, in the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음버튼(110)과 모음버튼(120)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분된 지점에 위치하므로, 상기 모음버튼(120)에 접촉수단(P)을 접촉시켰을 때에도 모음이 선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은 자음버튼(110)들과 겹치므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접촉수단(P)을 접촉시켰을 때에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을 통해 모음이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접촉신호 인가시에는 자음이 선택되고, 드래그신호 인가시에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명확하게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이하,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할당된 모음이 도 2에 도시된 제1 모음버튼(122) 및 제2 모음버튼(124)에 할당된 모음과 동일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문자입력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owels allocated to the firs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수단(P)이 'ㄱ'이 할당된 자음버튼(110)을 터치하여 'ㄱ'이 선택된 이후 제1 모음버튼영역에 상향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에 'ㅗ'모음이 조합되어 확대창(210)에는 '과'라는 문자가 출력된다. 반면에, 'ㄱ'이 선택된 이후 제2 모음버튼영역에 우향 드래그신호가 인가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에 'ㅒ'모음이 조합되어 확대창(210)에는 '걔'라는 문자가 출력된다. 물론, 이와 같이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를 반복 인가하거나 드래그방향을 변경시키는 경우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택되는 모음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할당되는 모음의 종류 역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contact means P touches the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은 자음버튼(110)이나 기능버튼이 출력되지 아니하는 별도의 공간에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음버튼(110) 및 기능버튼이 출력된 영역과 겹치도록 설정되는바,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모음버튼(120)이 출력될 영역이 필요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키패드(100)를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모음버튼(120)이 출력될 영역을 삭제한 만큼 다른 버튼들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 쓰는 기호버튼(본 실시예에서는 '?, ., !'버튼)을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문자입력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모음 입력을 위한 드래그신호를 반드시 모음버튼(120) 상에 인가해야 하므로 오타 발생 확률이 다소 높게 발생되지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모음버튼(120)에 비해 넓은 공간의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으로 드래그신호를 인가하므로 오타 발생 확률이 현저히 낮아지며 모음 입력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키패드(100) 상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자음버튼(110)이 터치되기 이전부터 즉, 키패드(100)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점부터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이 키패드(100)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설정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의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모음버튼이 3개 구비되는 것처럼 모음입력영역이 3개로 구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한편,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접촉된 상태에서 또 다른 접촉수단(P)이 상기 자음버튼(110)에 접촉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조합된 문자의 종성으로 결합됨으로써, 문자입력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even when a vowel is input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first
또한,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드래그신호 인가를 반복하거나 드래그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변경되는 모음은 변경 전 모음에 하나 이상의 모음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되는 모음이 변경되기 위한 조작 및 모음의 변경 과정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even when a vowel is input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first
한편,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모음버튼(122) 및 제2 모음버튼(124)은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할당된 모음을 입력할 뿐만 아니라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도 모음을 입력하도록 구성되지만,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은 드래그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만 할당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을 뿐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모음을 입력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구조로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모음을 할당하게 되면 'ㅣ'와 'ㅡ' 모음을 입력하지 못하게 된다. Meanwhile, the
이때,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단순 터치만으로도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신호 인가 시 할당된 모음을 입력하는 별도의 모음버튼이 추가적으로 키패드(1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특수문자 '?, ., !'가 할당된 버튼이 모음버튼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모음버튼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할당된 모음을 입력하고, 터치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모음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vowel assigned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is input so that the vowel can be input by only a simple touch in the embodiment of inputting the vowel using the first
한편, 상기 모음버튼이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도 할당된 모음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면,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이 상기 모음버튼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모음버튼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할당된 모음이 입력되어야 할지 또는 모음버튼에 할당된 모음이 입력되어야 할지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음버튼은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는 할당된 모음을 입력하지 아니하고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만 모음을 입력하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모음버튼은 인가되는 터치신호의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및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모음배열대로 각각 모음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모음버튼에는 'ㅣ'와 'ㅡ' 모음이 할당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input the assigned vowel even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he
물론,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가 특정 횟수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변경되었을 때 'ㅣ'와 'ㅡ'가 각각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모든 모음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모음버튼은 생략될 수 있다.
Of course, when the drag signal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firs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키패드 110 : 자음버튼
120 : 모음버튼 200 : 입력문자 출력창
210 : 확대창 P : 접촉수단100: keypad 110: consonant button
120: collection button 200: input character output window
210: enlarged window P: contact means
Claims (74)
상기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되, 상기 키패드(100) 중 일부 영역은 제1 모음입력영역(132)으로 설정되고 상기 키패드(100) 중 다른 일부 영역은 제2 모음입력영역(134)으로 설정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100 having a consonant button 110 on a touch screen;
When the consonant button 110 is touched, the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s selected, and a part of the keypad 100 is set as the first vowel input area 132 and the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is selected. A second step of setting the other partial region as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one of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과 제2 모음입력영역(13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keypad 100 having the consonant button 11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 portion of the keypad 100 is set as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and another portion of the keypad 100 is A first step of setting the second vowel input area 134;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consonant button 110 is touched;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type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one of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과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상이한 모음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or 27,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s dragged up, down, left, and right.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when a signal is applied, an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and a vowel selected by applying a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s assigned to different vowels.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단모음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이중모음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8,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third step is a single vowel, and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s assigned to a double vowel.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8,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vowel that cannot be selected by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s selected.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3 단계는,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접촉된 이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입력영역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에 대하여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or 27,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tact means P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for a preset time after the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the vowels assigned to each direction are changed for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area.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모음획이 추가된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2. The method of claim 31,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after contacting the vowel input area for a set time or more is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after contacting the vowel input area for less than a set time.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ion is one or more collection strokes added to the collection.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added vowel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g method.
상기 제3 단계는,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입력영역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or 27,
In the third step,
And the selected vowel is changed when the contact means (P) applies a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region and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region for a preset time.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경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After the contact means P applies a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area, the vowel changed b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 for a set time or more is dragged by the contact means P to the vowel input area. A method of inputting a drag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when the signal is applied.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added vowel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g method.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or 27,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132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13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in the third step.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llection to one or two strokes added to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ㅜ,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each of the 'ㅘ, ㅝ, ㅖ, 각각'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132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13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in the third step.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a collection of one stroke is added to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38,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ㅜ,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each of the 'ㅙ, ㅞ, ㅖ, 각각'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third step,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a bar.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132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13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in the third step.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llection to one or two strokes added to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 또는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42. The method of claim 41,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ㅜ,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each of the 'ㅘ, ㅝ, ㅖ, 각각'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area 132 or the second vowel input area 13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third step is performed in the third step.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a collection of one stroke is added to the selected bar.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입력영역(13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입력영역(132)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42. The method of claim 41,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ㅗ, ㅜ,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input region 134 is selecte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each of the 'ㅙ, ㅞ, ㅖ, 각각'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input region 132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third step, one or more strokes are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nge the selection bar to a bar.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입력영역(132, 134)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regions 132 and 134 is reciprocated one or more times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detected by how many times the drag signal is applied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drag signal is first applied, and the drag signal is dragged.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ecognized by the number of times.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입력영역(132, 134)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input regions 132 and 134 is reciprocated once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drag signal is applied twi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was first applied. Drag-in character input method.
상기 모음입력영역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입력영역(132, 134)에 접촉된 상태에서, 또 다른 접촉수단(P)이 상기 자음버튼(110)에 접촉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39. The method of claim 37,
When another contact means P contacts the consonant button 110 while the contact means P applied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input area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input areas 132 and 134, the consonant And a fifth step of additionally in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button (110).
상기 제4 단계는, 선택된 모음이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문자로 조합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조합된 문자의 종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selected vowel with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combining the selected vowels into one letter.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fifth step is a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bined in the finality of the characters combined in the fourth step.
상기 제1 단계는, 터치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버튼이 상기 키패드(100)에 추가로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or 27,
In the first step, a vowel button for inputting a vowel when the touch signal is applied is additionally output to the keypad (100).
상기 모음버튼은 터치신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48,
And the vowel button is configured to input vowels of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 signals.
상기 모음버튼에는 'ㅣ'와 'ㅡ' 모음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50. The method of claim 49,
The vowel button is a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ㅣ' and 'ㅡ' vowels are assigned.
상기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접촉된 이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버튼(155)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상기 모음버튼(155)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에 대하여 각 방향별로 할당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100 including a consonant button 110 and at least two vowel buttons 155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consonant button 110 is touched;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kind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55;
And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tact means P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155 for a set time after contacting the vowel button 155,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55 is assigned in each direction.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ed vowel is changed.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설정시간 미만으로 접촉된 이후 드래그되었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모음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52. The method of claim 51,
The vowel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P is dragged after contacting the vowel button 155 for a set time or more is dragged after the contact means P contacts the vowel button 155 for less than a set time.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to the collection is added to the collection of one or more collection strokes.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The added vowel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g method.
상기 자음버튼(110)이 터치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선택되는 제2 단계;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드래그신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모음이 선택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상기 제3 단계에서 인가되었던 드래그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설정시간 이상 상기 모음버튼(155)과의 접촉을 유지하였을 때 선택된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keypad 100 including a consonant button 110 and at least two vowel buttons 155 on a touch screen;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consonant assigned to the consonant button 110 when the consonant button 110 is touched;
A third step of selecting different kinds of vowe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signal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55;
And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elected collection as the drag signal applied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rag direction applied in the third step.
In the third step,
Characters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vowel is configured to change when the contact means (P) applies a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55 and maintains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155 for a set time. Input method.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음버튼(155)에 설정시간 이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경되는 모음은, 상기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55. The method of claim 54,
After the contact means P applies a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55, the vowel changed b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155 for a set time or more, the contact means P is the vowel.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is set to a collection in which at least one stroke is added to the selected bar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button (155).
상기 추가되는 모음획은, 드래그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56. The method of claim 55,
The added vowel stroke has a length along the drag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g metho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155)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이상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몇 회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드래그횟수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6,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55 is reciprocated one or more times in one direction, it detects how many times the drag signal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first applied, and recognizes it as the number of drags.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모음버튼(155)에 인가되는 드래그신호가 일방향으로 1회 왕복 인가되는 경우, 상기 드래그신호가 최초로 인가되었던 방향으로 2회 인가된 것으로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6,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55 is reciprocated once in one direction, the drag signal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drag signal is applied twi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g signal was first applied. Character input method.
상기 모음버튼(155)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하였던 접촉수단(P)이 상기 모음버튼(155)에 접촉된 상태에서, 또 다른 접촉수단(P)이 상기 자음버튼(110)에 접촉되면 상기 자음버튼(110)에 할당된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6,
When another contact means P contacts the consonant button 110 while the contact means P applied the drag signal to the vowel button 155 is in contact with the vowel button 155, the consonant button And a fifth step of additionally inputting a consonant allocated to the consonant.
상기 제4 단계는, 선택된 모음이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문자로 조합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에서 선택된 자음은 상기 제4 단계에서 조합된 문자의 종성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0. The method of claim 59,
The fourth step may further include combining the selected vowel with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second step and combining the selected vowels into one letter.
The consonant selected in the fifth step is a drag 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bined in the finality of the characters combined in the fourth step.
상기 모음버튼(120)은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과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상이한 모음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6,
The vowel button 120 includes a first vowel button 122 and a second vowel button 124,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and the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ifferent vowels are selected when the vowel is applied, and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and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button 124 are different vowels.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ignment.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단모음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드래그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선택되는 모음은 이중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2. The method of claim 61,
In the third step,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is a short vowel, and in the third step, the vowel selected by applying the drag signal to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doubled. Drag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또는 제2 모음버튼(12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3. The method of claim 62,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or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is selected.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o a collection of one or two strokes added to.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또는 제2 모음버튼(12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3. The method of claim 62,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drag sign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lied, '각각,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or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is selected.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llection to the one stroke is added to.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3. The method of claim 62,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drag sign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lied, '각각,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at least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122)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2. The method of claim 61,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vowel that cannot be selected by the first vowel button 122 is selected. Drag-in character input method.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또는 제2 모음버튼(12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또는 두개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7. The method of claim 66,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or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is selected.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o a collection of one or two strokes added to.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ㅘ, ㅝ,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또는 제2 모음버튼(124)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7. The method of claim 66,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drag sign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lied, '각각, ㅝ,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or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is selected. Drag-typ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the collection to the one stroke is added to.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ㅙ, ㅞ, ㅖ, ㅒ'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 이상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7. The method of claim 66,
In the third step,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ㅗ, TT, ㅓ, ㅏ' is selecte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moved up and down. When the drag sign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lied, '각각, ㅞ, ㅖ, ㅒ'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in the third step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at least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bar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은 접촉수단(P)이 접촉되었을 때 'ㅣ'와 'ㅡ'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62. The method of claim 61,
The first vowel button 122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a character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ㅣ' and '-' is selected when the contact means (P)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put method.
상기 모음버튼(120)은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모음버튼(122)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2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단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각각 3개의 획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다른 복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제3 모음버튼(126)에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모음버튼(122) 및 제2 모음버튼(124)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모음이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1-56,
The vowel button 120 is composed of a first vowel button 122, a second vowel button 124 and a third vowel button 126,
In the third step,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vowel button 122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ifferent short vowels having two strokes are selected, and the second vowel button 124 has the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When a drag signal is applied in a direction, different double vowels of three strokes are selected, and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third vowel button 126, the first vowel button 122 is selected. And a vowel that cannot be selected by an operation of the second vowel button (124).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모음버튼(120)에 인가되었던 드래그신호가 반복 인가되거나 드래그 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모음에 하나의 획이 추가된 모음으로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72. The method of claim 71,
In the fourth step, when the drag signal applied to the vowel button 120 is repeatedly applied or the drag direction is changed, the fourth step selects a vowel in which one stroke is added to the vowel selected in the third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is configured to change.
상기 제1 모음버튼(122)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ㅗ, ㅜ, ㅓ, ㅏ'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모음버튼(124)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ㅛ, ㅠ, ㅕ, ㅑ'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모음버튼(126)은, 상기 제3 단계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드래그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ㅚ, ㅟ, ㅝ, 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72. The method of claim 71,
The first vowel button 122 is configured to select ',', ',', ','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The second vowel button 124 is configured to select 'ㅛ, ㅠ, ㅕ, ㅑ'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The third vowel button 126 is a drag input character in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ㅚ, 각각, ㅝ, ㅘ' is configured to be selected, respectively, when the drag signa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in the third step Way.
상기 제1 모음버튼(122)과 제2 모음버튼(124)과 제3 모음버튼(126)은 접촉수단(P)이 접촉되었을 때 'ㅣ'와 'ㅡ'와 'ㅢ'중 어느 하나가 각각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72. The method of claim 71,
The first vowel button 122, the second vowel button 124, and the third vowel button 126 each have one of 'ㅣ', 'ㅡ' and 'ㅢ' when the contact means P is in contact.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dra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el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431A KR101157084B1 (en) | 2010-09-17 | 2010-09-17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431A KR101157084B1 (en) | 2010-09-17 | 2010-09-17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9562A KR20120029562A (en) | 2012-03-27 |
KR101157084B1 true KR101157084B1 (en) | 2012-07-11 |
Family
ID=4613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1431A KR101157084B1 (en) | 2010-09-17 | 2010-09-17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08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1979A (en) | 2020-01-15 | 2021-07-23 | 선영진 |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8565B1 (en) * | 2016-10-20 | 2018-07-13 | 정영일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haracter input function using touch screen and so on |
-
2010
- 2010-09-17 KR KR1020100091431A patent/KR10115708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1979A (en) | 2020-01-15 | 2021-07-23 | 선영진 |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9562A (en) | 2012-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61561B2 (en) |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 |
JP4863211B2 (en) | Character data input device | |
KR10139108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 |
USRE45694E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
KR2011001807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screen in poratable terminal | |
KR20130113622A (en) |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 |
KR2012009783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 |
KR101189112B1 (en) |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 |
KR101157084B1 (en)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
KR101257760B1 (en)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 |
KR101046660B1 (en) |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 |
KR2011013157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by drag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 |
KR101624255B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KR20120097921A (en) |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 |
JP2014140236A (en) | Character data input device | |
KR10125364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o execute thereof | |
KR102307004B1 (en) | Korean alphabet keyboard with common vowel buttons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vowel using thereof | |
JP2013033553A (en) | Character data input device | |
KR10115229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 |
KR20110135700A (en) |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 |
KR101372898B1 (en) | A process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s on touch screen | |
KR20210139093A (en) | Korean input method using the center function key on the touch screen | |
KR101328555B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
CA2941832A1 (en) |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 |
KR101328554B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