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523A - 전기장 완화 재료 - Google Patents

전기장 완화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523A
KR20130105523A KR1020130027583A KR20130027583A KR20130105523A KR 20130105523 A KR20130105523 A KR 20130105523A KR 1020130027583 A KR1020130027583 A KR 1020130027583A KR 20130027583 A KR20130027583 A KR 20130027583A KR 20130105523 A KR20130105523 A KR 20130105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power cable
layer
mitigating material
field mitig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요른 존네루드
제롬 마딸라나
아르노 알래
크누트 마그네 프루하임
뤼도빅 부와에
자비에 퍼스따즈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13010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6Wholly aromatic polyamines
    • C08G73/0266Polyanilines or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91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insulation having different electr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8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anilines, polyphenyl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18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a cable shield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매트릭스 및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필러는 폴리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장 완화 재료{FIELD GRADING MATERIAL}
본 발명은 폴리머 매트릭스 및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전기장 그레이딩) 재료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가지는 중전압 장치(특히, 6kV 내지 45-60kV) 또는 고전압 장치(특히, 60kV 이상 및 최대 800kV)의 전기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WO 2004/038735는 무기 필러와 함께 제공되는 폴리머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전기장 완화 재료를 기재하고 있다. 무기 필러는 최소한 한 차원에서 100nm보다 작은 입자가 전기장 완화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무기 필러의 사용은 특히 고온에서 시간 경과 후 전기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없으며, 배합에 있어 문제점이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종래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중전압(MV) 및 고전압(HV) 장치에 있어서 가공성과 전기적 성질이 용이하게 최적화될 수 있는 전기장 완화 재료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 매트릭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필러를 가지며, 상기 전기 전도성 필러는 폴리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중전압 또는 고전압 케이블의 작동온도에서 전하 축적에 따를 전기장 증대를 방지함으로써 전기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고온(예를 들어, 90℃ 이상)에서 시간 경과 후에도 열적으로 안정적이다.
본 발명은 더 간단한 배합을 제공하며, 이는 전기장 완화 재료에 높은 전기 전도성 필러 함량을 쉽게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폴리아닐린은 전기성 완화재료의 전기저항에 비선형성(즉, 전기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전기저항)을 제공하여,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비선형 전기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바람직하게 비선형 전기장 완화 재료이다.
더욱이, 유기 폴리머인 폴리아닐린의 사용은 상기 폴리머의 체인 길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기장 완화재료의 전도성을 조절함에 있어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종래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무기 필러는 전기적 성질 조절의 유연성이 얻어질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다른 장점은 종래 발명의 무기 필러를 배합하는 것보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 폴리머(즉, 폴리아닐린)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를 준비하는 것이 더욱 간편하고 손실이 적은 공정이라는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실질적으로 도핑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emeraldine) 형태는 산에 의해 도핑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 형태는 중성이며, 따라서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 형태는 에메랄딘 염이 아니다.
따라서, 도핑되지 않은 폴리아닐린을 사용함에 있어서, 전기장 완화 재료의 비선형성은 작동 조건에 있어서 안정적이며, 특히 약 90℃ 이상의 고온에서 그러하다.
상기 폴리아닐린은 루코에메랄딘(leucoemeraldine), 에메랄딘 염기, (페르)니그라닐린((per)nigraniline), 또는 이 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아닐린은, 루코에메랄딘 및 (페르)니그라닐린에 반하여 에메랄딘 형태는 온도에 대한 비선형성과 관련하여 가장 안정한 형태이고, 다른 두 형태의 폴리아닐린에 비하여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 형태(즉, 에메랄딘 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닐린이 도핑되지 않는 경우, 에메랄딘 형태의 폴리아닐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elastomer)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에의 상기 엘라스토머의 존재는 상기 재료를 접합 및 종단 장치와 같은 케이블 부속품(accessory)에 부속품과 케이블 절연체와의 우수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엘라스토머 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코폴리머(copolymer) 및 실리콘 고무(예를 들어,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 LSR) 또는 고온 경화(high temperature vulcanized, HTV)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엘라스토머 매트릭스이고, 따라서 엘라스토머 폴리머의 함량은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의 50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하나 또는 여러 종류의 엘라스토머 폴리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10 내지 60 중량%의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의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의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장 완화 재료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료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사용하는 이점은 상기 폴리아닐린 및 상기 유기 필러 사이에 형성된 응집체의 상승효과에 있다. 이는 상기 재료가 낮게 인가된 전기장에서 전도하게 하여 보통의 폴리아닐린 성질보다 유효 전기장을 유리하게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는 카본 블랙일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3 내지 20 중량%의 상기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의 상기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폴리머 매트릭스 및 전기 전도성 필러만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필러는 특히 하기와 같다:
- 오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 또는
- 오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 및 전기 전도성 무기 필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절연층, 특히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전력 케이블의 반도전층의 일부를 치환하는 층이며, 상기 반도전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력 케이블은 전형적으로 절연층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중앙 전기 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은 반도전층으로 둘러싸인다.
더욱이, 상기 전력케이블은 첫째 반도전층(즉, 내측 반도전층), (전기적) 절연층, 둘째 반도전층(즉, 외측 반도전층)에 의해 연속적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중앙 전기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층은 상기 내측 반도전층 및 외측 반도전층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전력 케이블의 층들은 압출층(extruded layer)일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유리하게 상기 전력 케이블이 연결된 전력 케이블 부속품의 반도전성 소자 및 절연 소자로부터 상기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을 구분한다. 다시 말해, 최소한 상기 부속품 내부에서는, 상기 반도전성 소자 및 상기 절연성 소자는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도움으로 물리적으로 상기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과 접촉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상기 중앙 전기 도체와 같은 전력 케이블의 고전압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첫 번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전력 케이블의 종단 장치(termian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상기 전력 케이블의 말단이 상기 종단 장치에 위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의 일부를 치환하는 층(layer)이다. 따라서, 상기 층은 중앙 전기 도체를 둘러싸며, 특히 상기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을 둘러싼다.
상기 종단 장치는 전형적으로 스트레스 콘(stress cone) 몸체와 전향기(deflector)를 포함한다. 상기 전향기는 전기장을 기하학적으로 배분하는 반도전성 콘일 수 있다. 전기장 증대는 방지하여야 하며, 특히 벼락이 치는 것과 같이, 전력 케이블에 충격 전압(impulse voltage)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러하다.
상기 전향기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한 쪽에서 외측 반도전층과 다른 쪽에서 전기장 완화 재료와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외측 반도전층에서 전향기로의 전이시 전기장을 감소시키는 것을 유리하게 돕는다.
두 번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두 개의 전력케이블을 함께 연결하는(즉, 연결할 수 있는) 접합 장치를 포함한다.
이 구현예에서, 상기 접합 장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의 말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의 일부를 치환하는 층이다. 따라서, 상기 층은 중앙 전기 도체를 둘러싸고, 특히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을 둘러싼다.
상기 접합 장치는 전형적으로 절연체, 외측 반도전 차폐층(outer semi-conducting screen) 및 두 개의 전력 케이블(특히, 상기 케이블의 중앙 전기 도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즉,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체는 상기 케이블의 전기장 완화 재료의 모든 층을 둘러싼다.
상기 외측 반도전 차폐층은 상기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의 일부 및 전기장 완화 재료 층의 일부를 둘러싼다.
상기 외측 반도전 차폐층은 물리적으로 상기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전기장 완화 재료 층과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해당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전력 케이블 부속품(예를 들어, 접합 장치 및 종단 장치) 또는 전력 케이블에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전기장 완화 재료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부속품 및/또는 전력 케이블이다.
그와 같은 전력 케이블 부속품 및 전력 케이블에서, 전기장은 작동 온도에서 전하 축적에 의한 전기장 증대를 방지함으로써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케이블 부속품 및/또는 전력 케이블 시간 경과 후 열적 안정성(특히 시간 경과 후 비선형 성질을 열적 안정성)은 특히 고온(예를 들어, 90℃ 이상)에서 향상된다.
첫 번째 변형예에서, 상기 전기장 완화 소재는 전력 케이블 부속품에 몰딩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얻어진 전력 케이블 부속품은 전력 케이블에 장착된다.
두 번째 변형예에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는 열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압출되거나 팽창되고, 각각 전력 케이블에 장착될 수 있다. 그 다음, 전력 케이블 부속품이 상기와 같이 얻어진 전력 케이블에 가열 수축(heat shrinkage) 또는 탄성 냉각 수축(elastic cold shrinkage)에 의해 장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의 종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의 종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림만으로 이루어진 도면을 수반한 아래에 기재된 자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같은 장치는 같은 도면부호(reference)로 표시한다. 유사하게, 발명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만 도식적으로 나타나며, 축척은 준수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단 장치(30)에 위치한 전력 케이블(20a)의 한 말단(21a)을 포함하며, 상기 종단 장치는 전력 케이블(20a)을 둘러싸는 전기장 완화 장치(101)를 나타낸다.
상기 전력 케이블(20a)은 내측 반도전층(10a), 절연층(11a) 및 외측 반도전층(12a)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둘러싸인 중앙 전기 도체(9a)를 포함한다.
전력 케이블(20a)의 말단(21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가 층(1a)으로 전력 케이블의 반도전층(12a)의 일부를 치환하고, 그에 따라 상기 층(1a)은 외측 반도전층에서 상기 말단(21a)으로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층(1a)은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11a)을 둘러싸고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은 전도성 연결부(13)에 의해 중앙 전기 도체(9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종단 장치(30)는 하기를 포함한다:
- 스트레스 콘 몸체(31), 및
- 전향기(32).
상기 스트레스 콘 몸체(31)는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스트레스 콘 몸체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몸체이다. 상기 전향기(32)는 외측 반도전층(12a)의 일부 및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의 일부를 둘러싸는 반도전성 콘이다. 상기 전향기(32)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12a)에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에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최소한 상기 말단 장치(30)의 내부에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은 절연층(11a)을 반도전성 소자(32)로부터 분리한다.
도 2는 전력 케이블(20b,20c)을 둘러싸는 접합 장치(40)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전력 케이블의 한 말단(21b) 및 두 번째 케이블의 한 말단(21c)을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2)를 나타낸다.
전력 케이블(20b,20c)은 내측 반도전층(10b,10c), 절연층(11b,11c) 및 외측 반도전층(12b,12c)으로 연속적으로 둘러싸인 중앙 전기 도체(9b,9c)를 포함한다.
전력 케이블(20b,20c)의 말단(21b,21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는 층(1b,1c)으로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12b,12c)의 일부를 치환하여, 상기 층(1b)은 반도전층(12b)에서 전력 케이블(20b)의 말단(21b)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층(1c)은 반도전층(12c)에서 전력 케이블(20c)의 말단(21c)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층(1b,1c)은 전력 케이블(20b,20c)의 절연층(11b,11c)을 둘러싸고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접합 장치(102)는 하기를 포함한다:
- 프리몰딩된 연결부의 절연체(41),
- 외측 반도전 차폐층(42), 및
- 케이블(20b,20c)을 접합 장치(102)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도성 차폐층(44)로 둘러싸인 커넥터(43).
상기 절연체(41)는 전기장 완화 재료 층(1b) 및 층(1c)을 모두 둘러싸며, 상기 프리몰딩된 연결부는 전기 절연성 연결부이다.
도전성 외측 차폐층(42)은 상기 전력 케이블(20b,20c)의 외측 반도전층(12b,12c)의 일부 및 전기장 완화 재료 층(1b,1c)의 일부를 둘러싼다. 상기 도전성 외측 차폐층(42)은 전력 케이블의 외측 반도전층(12b,12c)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전기장 완화 재료 층(1b,1c)과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최소한 접합 장치(40) 내에서, 전기장 완화 재료 층(1b)은 절연층(11b)을 반도전성 소자(42)로부터 분리하고, 전기장 완화 재료 층(1c)은 절연층(11c)을 반도전성 소자(42)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커넥터(43)는 전력 케이블(20b)의 중앙 전기 도체(9b)를 전력 케이블(20c)의 중앙 전기 도체(9c)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기장 완화 재료 층(1b,1c)은 전도성 차폐층(44)으로 둘러싸인 커넥터(43)를 통해서 중앙 전기 도체(9b,9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 및 구현예에 따르면, 도 1 및 2에서 사용된 전기장 완화 재료의 층(1a,1b,1c)은 60 중량%의 EPDM 고무(폴리머 매트릭스, LANXESS가 참고번호 Keltan 2340A로 시판)와 혼합된 40 중량%의 도핑되지 않은 에메랄딘 형태의 폴리아닐린의 폴리머(Eeonyx Corporation이 참고번호 Emeraldine Base(미도핑 폴리아닐린)로 시판)를 포함하는 압출층이다.

Claims (14)

  1. 폴리머 매트릭스 및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로서, 상기 전기 전도성 필러는 폴리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 형태는 실질적으로 도핑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닐린은 폴리아닐린의 에메랄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실리콘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는 10 내지 60 중량%의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 중량%의 전도성 유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전기 전도성 유기 필러는 카본 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를 포함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1,102)로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는 절연층(11a,11b,11c)과 물리적으로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1,10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재료(1a,1b,1c)는 전력 케이블(20a,20b,20c)의 반도전층(12a,12b,12c)의 일부를 치환하는 층(1a,1b,1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1,102).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 완화 장치는 전력 케이블(20a)에 대한 종단 장치(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1).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두 개의 전력 케이블(20b,20c)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접합 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 완화 장치(102).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장 완화 재료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부속품 및/또는 전력 케이블.
KR1020130027583A 2012-03-14 2013-03-14 전기장 완화 재료 KR20130105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9521.9A EP2639264A1 (en) 2012-03-14 2012-03-14 Field grading material
EP12159521.9 2012-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523A true KR20130105523A (ko) 2013-09-25

Family

ID=4587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583A KR20130105523A (ko) 2012-03-14 2013-03-14 전기장 완화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65420A1 (ko)
EP (1) EP2639264A1 (ko)
JP (2) JP2013212045A (ko)
KR (1) KR201301055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219A (ko) * 2014-11-26 2016-06-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KR20180007689A (ko) * 2016-07-13 2018-01-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971B1 (ko) 2014-02-21 2021-04-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Dc용 케이블의 종단접속함
KR101860661B1 (ko) * 2014-08-22 2018-05-23 엔케이티 에이치브이 케이블스 게엠베하 고전력 케이블용 전계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RU2705511C2 (ru) 2015-01-26 2019-11-07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Освет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RU2016101849A (ru) 2015-02-09 2017-07-26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Удлиненный освет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удлиненный осветительный узел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удлиненног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зла
US10903639B2 (en) 2016-09-19 2021-01-26 Prysmian S.P.A. Joint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s
CA3043440C (en) 2016-11-15 2024-01-09 Prysmian S.P.A. Electrical field grading material and use thereof in electrical cable accessories
CN108148288A (zh) * 2016-12-05 2018-06-12 吴红伟 一种电缆护套料及其制备方法
CN108148290A (zh) * 2016-12-06 2018-06-12 孙鹏 一种电缆护套
US11476614B2 (en) 2017-05-11 2022-10-18 Prysmian S.P.A. Cable termination system, termin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termination assembly
BR112019023438A2 (pt) * 2017-05-11 2020-06-16 Prysmian S.P.A. Sistema de terminação de cabo, conjunto de terminação, e, método para instalação de um conjunto de terminação
DE112018003541T5 (de) * 2017-07-13 2020-05-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icht-ohmsche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abelverbindungseinheit und kabel-endverbindungseinheit
JP2022002424A (ja) * 2018-09-28 2022-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ゴムユニ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ゴ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の製造方法
JP2021193855A (ja) * 2018-09-28 2021-12-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ゴムユニ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ゴ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接続構造の製造方法
US11939461B2 (en) 2019-01-18 2024-03-2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on-ohmic composition, cable connection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cable connection unit
WO2020148950A1 (ja) * 2019-01-18 2020-07-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オーム性組成物、ケーブル接続用ユニット、およびケーブル接続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EP4049834A1 (en) 2021-02-25 2022-08-31 Nexans Thermoplastic insu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324A (ja) * 1989-05-22 1990-12-20 Fujikura Ltd 電気ケーブル接続部絶縁体
JP3029203B2 (ja) * 1989-11-15 2000-04-04 株式会社フジクラ 架橋ポリエチレン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及び端末部
ATE138240T1 (de) * 1991-04-02 1996-06-15 Alcatel Cable Material für halbleiter-abschirmung
FR2710204B1 (fr) * 1993-09-17 1995-10-20 Alcatel Cable Equipement accessoire de raccordement d'un câble d'énergie et câble d'énergie ainsi équipé.
IL111241A (en) * 1993-10-18 1998-02-22 Raychem Corp Closure for high voltage cable connections
FI953803A (fi) * 1995-08-10 1997-02-11 Optatech Oy Sähköä johtava lämpömuovautuva elastomeeriseos ja sen käyttö
NZ336671A (en) * 1998-07-10 1999-11-29 Pirelli Cables & Systems Llc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ing immiscible polymer blends
SE525492C2 (sv) 2002-10-22 2005-03-01 Abb Research Ltd Fältstyrande polymermatris försedd med fyllning
CN102875883B (zh) * 2006-02-06 2015-06-0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半导电组合物
SE531409C2 (sv) * 2006-12-20 2009-03-24 Abb Research Ltd Fältstyrande material
EP2026438A1 (en) * 2008-05-26 2009-02-18 ABB Research LTD A cable connection electric field control device, and a cable connection arrangement provided therewith
EP2197080A1 (en) * 2008-12-09 2010-06-16 ABB Research Ltd. Flexible joint with resistive field grading material for HVDC cables and method for connecting same to HVDC ca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219A (ko) * 2014-11-26 2016-06-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KR20180007689A (ko) * 2016-07-13 2018-01-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9264A1 (en) 2013-09-18
US20140065420A1 (en) 2014-03-06
JP2018010874A (ja) 2018-01-18
JP2013212045A (ja)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5523A (ko) 전기장 완화 재료
JP6197033B2 (ja) 空間電荷トラップ層を包含するデバイス
AU2015363625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voltage DC cable joint, and a high-voltage DC cable joint
KR102386760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US20140182886A1 (en) Field grading layer
KR102015596B1 (ko) 전선 케이블 커넥터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1094427B2 (en) Electrical field grading material and use thereof in electrical cable accessories
KR101824309B1 (ko) 절연된 전기 고전압 dc 터미네이션 또는 조인트의 제조 방법
CN105703316A (zh) 电力缆线用聚合物连接部
KR20180007689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JP3029203B2 (ja) 架橋ポリエチレン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及び端末部
WO2018132951A1 (zh) 采用非线性电导复合材料均压结构的穿墙套管
KR102505579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시스템
US20240110035A1 (en) Electrical stress grading compositions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KR20170105246A (ko) 케이블 접속함용 조인트 슬리브 및 조인트 슬리브를 구비한 케이블
CN105703312A (zh) 电力缆线用聚合物连接部
AU2014383641B2 (en) Power cable termination device for gas-insulated switchgear
JP3083098B2 (ja) 架橋ポリエチレン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及び端末部
CN215732526U (zh) 一种基于灭弧导电杆可分离连接器
WO2016085071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BR112019009653B1 (pt) Material de gradação de campo elétrico, acessório de cabo elétrico, e, junta de cabo elétrico
KR20120060153A (ko) 초고압용 전기 종단부
CN110473659A (zh) 一种防雷直埋电缆
JPS61235444A (ja) 半導電性樹脂組成物
AU2018361542A1 (en) Cable end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