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348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348A
KR20130105348A KR1020130017299A KR20130017299A KR20130105348A KR 20130105348 A KR20130105348 A KR 20130105348A KR 1020130017299 A KR1020130017299 A KR 1020130017299A KR 20130017299 A KR20130017299 A KR 20130017299A KR 20130105348 A KR20130105348 A KR 2013010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reg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화상내에서 덧그린 궤적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형상의 식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로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특정부와, 특정된 제 1 영역의 화상과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터치 패널상을 덧그리는 조작을 실행하여 화상내에서 임의의 형상의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의 화상에 대해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262041호와 같이 알려져 있다. 또, 덧그린 궤적을 표시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덧그린 궤적을 식별할 수 있지만, 이 궤적에 의해서 지정된 영역의 형상을 식별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발명의 과제는 화상내에서 덧그린 궤적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형상의 식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 1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를 실행하는 묘화 수단과, 상기 묘화 수단에 의해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하는 스텝과,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스텝과,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화상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기능, 상기 취득 기능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 기능, 상기 제 1 표시 제어 기능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하는 묘화 기능, 상기 묘화 기능에 의해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특정 기능, 및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내에서 덧그린 궤적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형상의 식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가의 목적,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볼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충분히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오직 예시의 목적이며,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가 아님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1실시형태의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에 의한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b)는 도 2의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c)는 도 2의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화상 생성 처리의 변형예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화상 생성 처리의 변형예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c)는 화상 생성 처리의 변형예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d)는 화상 생성 처리의 변형예에 관한 화상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1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는 중앙 제어부 (1)와, 메모리(2)와, 촬상부(3)와, 화상 데이터 생성부(4)와, 조작 입력부(5)와, 경계선 조건 설정부(6)와, 영역 색 설정부(7)와, 표시부(8)와, 화상 처리부(9)와, 화상 기록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중앙 제어부(1), 메모리(2), 촬상부(3), 화상 데이터 생성부(4), 조작 입력부(5), 경계선 조건 설정부(6), 영역 색 설정부(7), 표시부(8), 화상 처리부 (9) 및 화상 기록부(10)는 버스 라인(1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중앙 제어부(1)는 촬상 장치(100)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부(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을 구비하고, 촬상 장치(100)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도시 생략)을 따라 각종의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2)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고, 중앙 제어부(1)나 화상 처리부(9) 등의 각 부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촬상부(3)는 배경내에 존재하는 피사체(예를 들면, 축구공 등)를 촬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3)는 렌즈부(3a)와, 전자 촬상부(3b)와, 촬상 제어부(3c)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3a)는 예를 들면,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촬상부(3b)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고, 렌즈부(3a)의 각 렌즈를 통과한 광학상(像)을 이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촬상부(3)는 렌즈부(3a)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촬상 제어부(3c)는 촬상부(3)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을 제어한다. 즉, 촬상 제어부(3c)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제어부(3c)는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에 의해 전자 촬상부(3b)를 주사 구동하고, 소정 주기마다 광학상을 전자 촬상부(3b)에 의해 이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전자 촬상부(3b)의 촬상 영역으로부터 1화면분씩 프레임 화상을 읽어내어 화상 데이터 생성부(4)로 출력시킨다.
화상 데이터 생성부(4)는 배경내에 피사체가 존재하는 원(元)화상(P1)(도 3 참조)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4)는 전자 촬상부(3b)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화상의 아날로그값의 신호에 대해 RGB의 각 색성분마다 적절히 게인 조정한 후에, 샘플 홀드 회로(도시 생략)에서 샘플 홀드하여 A/D 변환기(도시 생략)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컬러 프로세스 회로(도시 생략)에서 화소 보간 처리 및 γ보정 처리를 포함한 컬러 프로세스 처리를 실행한 후, 디지털값의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YUV 데이터)를 생성한다.
컬러 프로세스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는 도시하지 않는 DMA 컨트롤러를 통해,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메모리(2)에 DMA 전송된다.
조작 입력부(5)는 촬상 장치(100) 본체에 대해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5)는 모드나 기능 등의 선택 지시에 관한 상하 좌우의 커서 버튼이나 결정 버튼, 전화의 발착신이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등의 실행 지시에 관한 통신 관련 버튼, 텍스트의 입력 지시에 관한 숫자 버튼이나 기호 버튼 등의 각종 버튼(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각종 버튼이 조작되면, 조작 입력부(5)는 조작된 버튼에 따른 조작 지시를 중앙 제어부(1)로 출력한다. 중앙 제어부(1)는 조작 입력부 (5)로부터 출력되고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피사체의 촬상 등)을 각 부에 실행시킨다.
또, 조작 입력부(5)는 표시부(8)의 표시 패널(8a)(후술)과 일체로 되어 설치된 터치 패널(5a)을 갖고 있다.
터치 패널(5a)은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을 이루는 표시 화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유저의 손가락(손)이나 터치 펜 등의 접촉 위치를 검출한다. 즉, 터치 패널(5a)은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 또는 해당 표시 화면보다 내측에 설치되고, 저항막 방식, 초음파 표면 탄성파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의 각종 방식에 의해, 표시 화면상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의 XY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5a)은 접촉 위치의 XY 좌표에 관한 위치 신호를 중앙 제어부(1)나 화상 처리부(9)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5a)은 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원화상(P1)내에서, 유저에 의한 소정 조작에 따라 경계선(L)(도 4의 (a) 참조)이 묘화되면, 해당 경계선(L)의 접촉 위치의 XY 좌표에 관한 위치 신호를 화상 처리부(9)로 출력한다.
또한, 터치 패널(5a)에 의한 표시 화면상에 있어서의 접촉 위치의 검출 정밀도는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면, 엄밀하게 하나의 화소를 접촉 위치로 해도 좋고, 하나의 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내의 복수의 화소를 접촉 위치로 해도 좋다. 또, 경계선(L)의 묘화 조작을, 터치 패널(5a)을 이용해서 실행하도록 했지만,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조작 입력부(5)의 다른 버튼, 예를 들면, 상하 좌우 이동 키 등을 이용해서 실행해도 좋고, 장치 본체에 외부 접속된 묘화용의 디바이스(도시 생략)를 이용해서 실행해도 좋다.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원화상(P1)내에 묘화되는 경계선(L)의 각종 조건을 설정한다.
즉,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제 1 설정 수단으로서, 경계선(L)의 색 및 굵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원하는 색이 지정되면, 해당 색을 경계선(L)의 색으로서 설정한다. 또는,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경계선(L)이 묘화될 때에, 원화상(P1)내에서 해당 경계선(L)의 주위의 색 정보를 취득하고, 콘트라스트가 커지는 색을 경계선(L)의 색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또,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B1)(도 3 참조)의 접촉 조작 등)에 의거해서 원하는 굵기가 지정되면, 해당 굵기를 경계선(L)의 굵기로서 설정한다. 여기서, 경계선(L)의 굵기는 미리 다른 굵기를 복수 규정해 두고, 이들 복수의 굵기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굵기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경계선(L)이 묘화될 때에,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5a)의 접촉 조작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가 연속해서 입력된 시간이나, 해당 경계선(L)의 길이나 원화상(P1)내에서의 경계선(L)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경계선(L)의 굵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경계선(L)의 굵기는 터치 패널(5a)에 의한 접촉 위치의 검출 정밀도, 즉 터치 패널(5a)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소를 중심으로 해서 접촉 위치라고 간주되는 접촉 의제 범위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키(예를 들면, 경계선 (L)이 굵을수록, 접촉 의제 범위를 넓게 하는 등)도록 해도 좋다.
영역 색 설정부(7)는 원화상(P1)에 있어서의 잘라냄 대상 영역(A)(도 4의 (a)등 참조)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한다.
즉, 영역 색 설정부(7)는 제 2 설정 수단으로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도 4의 (a)등 참조) 중,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한다. 즉, 영역 색 설정부(7)는 제 1 영역(A1)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제 1 영역(A1)을 식별 표시시킬 때의 해당 제 1 영역(A1) 이외의 제 2 영역(A2)의 색, 및 제 2 영역(A2)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제 2 영역(A2)을 식별 표시시킬 때의 제 1 영역(A1)의 색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색 설정부(7)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원하는 색이 지정되면, 해당 색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으로서 설정한다. 또는, 영역 색 설정부(7)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경계선(L)이 묘화될 때에, 원화상 (P1)내에서 해당 경계선(L)의 주위의 색 정보를 취득하고, 콘트라스트가 커지는 색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표시부(8)는 표시 패널(8a)과, 표시 제어부(8b)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표시 수단)(8a)은 표시 영역내에 화상(예를 들면, 원화상(P1) 등)을 표시한다. 또, 표시 패널(8a)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지만, 일례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표시 제어부(8b)는 화상 기록부(10)로부터 읽어 내어지고 화상 처리부(9)에 의해 복호된 소정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8b)는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 VRAM 컨트롤러, 디지털 비디오 인코더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인코더는 화상 처리부(9)에 의해 복호되고 VRAM(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Cr)를, VRAM 컨트롤러를 통해 VRAM으로부터 소정의 재생 프레임율(예를 들면, 10fps)로 읽어내고, 이들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며 표시 패널(8a)로 출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8b)는 제 1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화상 취득부(9a)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킨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유저가 원하는 원화상 (P1)(도 3 참조)의 화상 데이터가 화상 취득부(9a)에 의해 취득되면, 표시 제어부 (8b)는 원화상(P1)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취득부(9a)로부터 취득하고, 해당 원화상 (P1)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킨다.
또, 표시 제어부(8b)는 제 2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원화상(P1)내에서 특정된 제 1 영역(A1)의 화상과 해당 원화상(P1)에 있어서의 제 1 영역(A1) 이외의 제 2 영역(A2)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패널(8a)에 표시시킨다.
즉, 화상 생성 처리(상세 후술)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원화상(P1)내에서 경계선(L)이 묘화되면, 표시 제어부(8b)는 해당 경계선(L)으로 닫힌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와,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를 배타적으로 전환하고, 표시 패널(8a)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 (8b)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B2)(도 4의 (a)등 참조)의 접촉 조작 등)에 의거해서, 제 1 영역 (A1)의 식별 표시와,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를 배타적으로 전환하고, 표시 패널(8a)에 표시시킨다.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는 해당 제 1 영역(A1)의 화상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에 대해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 1 영역(A1) 이외의 영역, 즉 경계선(L)의 외측의 영역(제 2 영역(A2))의 색을 소정의 색(예를 들면, 단일색)으로 한 표시 형태(도 4의 (a) 참조)나, 경계선(L)이나 제 1 영역(A1) 이외의 영역을 점멸 표시시키는 표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의 상태에서는 제 2 영역(A2)이 단일색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영역(A1)의 화상만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경계선(L)이나 제 1 영역(A1) 이외의 영역을 점멸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영역(A1)의 화상에 더해, 점멸 표시하는 제 2 영역(A2)의 화상도 식별 가능해진다.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는 해당 제 2 영역(A2)의 화상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에 대해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 2 영역(A2) 이외의 영역, 즉 경계선(L)의 내측의 영역(제 1 영역(A1))의 색을 소정의 색(예를 들면, 단일색)으로 한 표시 형태(도 4의 (b) 참조)나, 경계선(L)이나 제 2 영역(A2) 이외의 영역을 점멸 표시시키는 표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의 상태에서는 제 1 영역(A1)이 단일색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영역(A2)의 화상만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경계선(L)이나 제 2 영역(A2) 이외의 영역을 점멸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제 2 영역(A2)의 화상에 더해, 점멸 표시하는 제 1 영역(A1)의 화상도 식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8b)는 소정의 화상 처리를 이용해서, 제 1 영역(A1)의 화상 및 제 2 영역(A2)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패널(8a)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표시 패널(8a)에는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어느 영역이 잘라냄 대상 영역(A)인지를 알 수 있도록 강조해서 표시된다.
또, 표시 제어부(8b)는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나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 시에, 경계선 조건 설정부(6)에 의해 경계선(L)의 색 및 굵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색이나 굵기의 경계선(L)을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 표시 제어부(8b)는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나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 시에, 영역 색 설정부(7)에 의해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색으로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으로 되는 제 1 영역(A1)이나 제 2 영역(A2)을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있어서,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도 4의 (a)에 있어서의 제 2 영역(A2)이나 도 4의 (b)에 있어서의 제 1 영역 (A1) 등)은 도트를 붙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화상 처리부(9)는 화상 기록부(10)로부터 읽어 내어진 표시 대상에 관한 정지 화상(예를 들면, 피사체 존재 화상 등)이나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JPEG 형식, 모션 JPEG 형식, MPEG 형식 등)에 따라 복호하고, 표시 제어부(8b)로 출력한다. 이때, 화상 처리부(9)는 화상 기록부(10)로부터 읽어 내어진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의 표시 해상도 등에 의거해서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VGA나 QVGA 사이즈)로 축소하고 표시 제어부(8b)로 출력한다.
또, 화상 처리부(9)는 화상 취득부(9a)와, 영역 특정부(9b)와,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9)의 각 부는 예를 들면, 소정의 로직(logic) 회로로 구성되어 있지만, 해당 구성은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화상 취득부(9a)는 화상 생성 처리에 이용되는 화상을 취득한다.
즉, 화상 취득부(9a)는 취득 수단으로서, 유저가 원하는 원화상(P1)을 화상 생성 처리의 처리 대상 화상으로서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취득부(9a)는 화상 기록부(10)에 기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중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지정된 유저가 원하는 원화상(P1)(도 3 참조)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영역 특정부(9b)는 원화상(P1)내에서, 유저에 의한 소정의 묘화 조작에 대응하는 경계선(L)으로 닫힌 제 1 영역(A1)을 특정한다.
즉, 영역 특정부(9b)는 특정 수단으로서,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원화상(P1)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된 경계선(L)으로 닫힌 제 1 영역(A1)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원화상(P1)이 표시된 상태에서, 영역 특정부(9b)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터치 패널(5a)의 접촉 조작에 의거해서 해당 터치 패널(5a)에 의해 연속해서 검출된 접촉 위치의 XY 좌표에 관한 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터치 패널(5a)의 접촉 위치의 각각을 조작점의 각각으로서 특정한다. 계속해서, 영역 특정부(9b)는 특정된 복수의 조작점끼리를 선을 연결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묘화 조작에 대응하는 원화상(P1)내에서의 경계선(L)을 특정한다. 그리고, 영역 특정부(9b)는 특정된 경계선(L)의 내측에 닫힌 닫힘 영역이 구성되어 있는지 구성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 닫힘 영역이 구성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해당 닫힘 영역을 제 1 영역(A1)으로서 특정한다.
이때, 영역 특정부(9b)는 예를 들면, 상하 좌우의 화상 경계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경계와 경계선(L)에 의해서 닫힌 영역을 제 1 영역(A1)으로서 특정해도 좋다.
또,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복수의 경계선(L, …)이 묘화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영역 특정부(9b)는 복수의 경계선(L, …)에 의해 형성되는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예를 들면, 100 등)를 넘는지 넘지 않는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를 넘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 1 영역(A1)의 특정을 실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영역을 원화상 (P1)으로부터 잘라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을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는 화상 잘라냄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이 서로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에서 잘라냄 대상 영역(A)이 선택되면,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예를 들면, 제 1 영역(A1) 등)을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조작 입력부(5)는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임의의 영역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잘라냄 대상 영역(A)을 선택하도록 했지만,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선택의 수법은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의 각각의 콘트라스트나 해상감(예를 들면, 고주파 성분의 양) 등을 산출하고, 핀트가 맞고 있는 영역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자동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화상 잘라냄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원화상(P1)에 있어서의 잘라냄 대상 영역(A)(예를 들면, 제 1 영역(A1)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예를 들면, 알파 맵)를 생성한다. 여기서, 알파 맵은 원화상(P1)의 각 화소에 대해, 잘라냄 대상 영역(A)내의 화상을 소정의 배경에 대해 알파 블렌딩 (alpha blending) 할 때의 무게를 알파값(0≤α≤1)으로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부분은, 예를 들면, 에지 검출에 의해 경계의 검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콘트라스트나 해상감(예를 들면, 고주파 성분의 양) 등을 고려해서 경계의 검출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경계선(L)의 폭(굵기) 방향의 중앙부를 경계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생성된 알파 맵에 의거해서, 원화상(P1)의 각 화소 중, 알파값이 1인 화소를 소정의 단일색 화상(도시 생략)에 대해 투과시키지 않고, 또한 알파값이 0인 화소를 투과시키도록, 잘라냄 대상 영역(A)내의 화상을 소정의 단일색 화상과 합성해서 잘라냄 화상(P2)(도 4의 (c) 참조)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기록부(10)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화상 기록부(10)는 화상 처리부(9)의 부호화부(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각종의 화상(예를 들면, 잘라냄 화상(P2) 등)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기록부(10)는 기록 수단으로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잘라냄 화상 생성부(9c)에 의해 잘라내어진 영역(예를 들면, 제 1 영역(A1) 등)의 잘라냄 화상(P2)을 기록한다. 예를 들면, 화상 기록부(10)는 잘라냄 화상(P2)의 화상 데이터를 알파 맵과 대응지어, 해당 잘라냄 화상(P2)의 화상 데이터의 확장자를 「.jpe」로서 기록한다.
또한, 화상 기록부(10)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도시 생략)가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고, 장착된 기록 매체로부터의 데이터의 읽어냄이나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을 제어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다음에, 촬상 장치(100)에 의한 화상 생성 처리에 대해, 도 2∼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생성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생성 처리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메뉴 화면(도시 생략)에 표시된 복수의 동작 모드 중으로부터 잘라냄 화상 생성 모드가 선택 지시된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화상 생성 처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표시 제어부(8b)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화상의 지정을 지시하는 소정의 메세지를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중앙 제어부(1)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표시 패널 (8a)에 표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화상이 지정되었는지 지정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
여기서, 유저가 원하는 화상(원화상(P1))이 지정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S1;YES), 화상 처리부(9)의 화상 취득부(9a)는 화상 기록부(10)로부터 지정된 원화상(P1)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취득하며, 표시 제어부(8b)는 읽어내어진 원화상 (P1)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스텝S2).
또한, 스텝S1에서 화상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1;NO), 중앙 제어부(1)는 처리를 스텝S1로 되돌리고, 화상이 지정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스텝S1;YES),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화상의 지정에 관한 소정의 메세지를 표시한 상태로 대기시킨다.
다음에, 경계선 조건 설정부(6)는 묘화되는 경계선(L)의 각종 조건을 설정하는 동시에, 영역 색 설정부(7)는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한다(스텝S3).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8b)는 예를 들면, 경계선(L)의 각종 조건의 설정을 지시하는 화면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경계선 조건 설정부 (6)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지정된 원하는 색이나 굵기를, 경계선(L)의 색이나 굵기로서 설정한다. 또, 표시 제어부(8b)는 예를 들면,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의 설정을 지시하는 화면을 표시 패널 (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영역 색 설정부(7)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지정된 원하는 색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경계선(L)의 각종 조건의 설정이나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의 설정은 경계선의 묘화시나 묘화 후에 실행되어도 좋다. 즉, 미리 경계선 (L)의 각종 조건이나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을 디폴트(default)로서 설정해 두고, 유저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경계선(L)의 색이나 굵기가 유저가 원하는 색이나 굵기로 되도록, 또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이 유저가 원하는 색으로 되도록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영역 특정부(9b)는 소정 기간내에, 유저에 의한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조작점의 입력 지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스텝S4). 구체적으로는, 영역 특정부(9b)는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대한 유저의 손가락(손)이나 터치 펜 등의 접촉이 터치 패널(5a)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해당 터치 패널(5a)로부터 출력된 접촉 위치의 XY 좌표에 관한 위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에 따라, 유저에 의한 조작점의 입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스텝S4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점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되면(스텝S4;NO), 영역 특정부(9b)는 처리를 스텝S4로 되돌리고, 상기의 판정 처리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복 실행한다(스텝S4).
한편, 스텝S4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점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되면(스텝S4;YES), 영역 특정부(9b)는 복수의 조작점으로부터 유저에 의한 묘화 조작에 대응하는 원화상(P1)내에서의 경계선(L)을 특정한다(스텝S5;도 4의 (a) 참조). 이때, 표시 제어부(8b)는 영역 특정부(9b)에 의해 특정된 경계선(L)을 미리 경계선 조건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색이나 굵기로 표시 패널(8a)에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영역 특정부(9b)는 특정된 경계선(L)에 의해서 닫힌 닫힘 영역이 구성되어 있는지 구성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스텝S6).
여기서, 닫힘 영역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6;NO), 영역 특정부(9b)는 처리를 스텝S4로 되돌리고,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다음의 조작점의 입력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스텝S6에서 닫힘 영역이 구성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S6;YES), 영역 특정부(9b)는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예를 들면, 100 등) 이상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스텝S7).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화상 생성 처리에서는 닫힘 영역이 하나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스텝S7에서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 이상 없다고 판정되면(스텝S7;NO), 영역 특정부(9b)는 닫힘 영역을 제 1 영역(A1)으로서 특정한다(스텝S8). 그리고, 표시 제어부(8b)는 제 1 영역(A1)의 화상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제 2 영역(A2))에 대해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패널(8a)에 표시(식별 표시)시킨다(스텝S9;도 4의 (a) 참조).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8b)는 예를 들면, 경계선 조건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색이나 굵기의 경계선(L)을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영역 색 설정부(7)에 의해 설정된 색으로 제 2 영역(A2)을 표시시킨다.
또한, 스텝S7에서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 이상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S7;YES), 중앙 제어부(1)의 CPU는 처리를 스텝S2로 되돌리고, 표시 제어부 (8b)는 원화상(P1)을 표시 패널(8a)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스텝S2).
다음에, 중앙 제어부(1)의 CPU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B3)(도 4의 (a)등 참조)의 접촉 조작 등)에 의거해서,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의 제 1 영역(A1)의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0).
여기서, 스텝S10에서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스텝S10;YES)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스텝S10에서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10;NO), 중앙 제어부(1)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B2)(도 4의 (a)등 참조)의 접촉 조작 등)에 의거해서,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전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1).
여기서,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전환 지시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S11;NO), 중앙 제어부(1)의 CPU는 처리를 스텝S10으로 되돌리고,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의 판정 처리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복 실행한다(스텝S10).
한편, 스텝S11에서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전환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S11;YES), 표시 제어부(8b)는 제 2 영역(A2)의 화상을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제 1 영역(A1))에 대해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패널(8a)에 표시(식별 표시)시킨다(스텝S12;도 4의 (b) 참조).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8b)는 예를 들면, 경계선 조건 설정부(6)에 의해 설정된 색이나 굵기의 경계선(L)을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영역 색 설정부(7)에 의해 설정된 색으로 제 1 영역(A1)을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중앙 제어부(1)의 CPU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 (예를 들면, 표시 패널(8a)에 표시된 소정의 아이콘(B3)(도 4의 (a)등 참조)의 접촉 조작 등)에 의거해서,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의 제 2 영역(A2)의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스텝S13).
여기서,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스텝S13;NO), 중앙 제어부(1)의 CPU는 처리를 스텝S11로 되돌리고,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전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지 않았는지의 판정 처리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복 실행한다(스텝S11).
한편, 스텝S13에서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S13;YES), 또는 스텝S10에서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S10;YES),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영역을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는 화상 잘라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4). 이 잘라냄 처리 시에, 경계선의 근처에 콘트라스트비가 큰 등의 화상의 윤곽이 추출된 경우에는, 이 윤곽에 맞춰 잘라냄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 윤곽이 추출되지 않을 경우는, 경계선의 내측, 외측이나 중앙에서 잘라냄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텝S10에서 제 1 영역(A1)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 하는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S10;YES),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제 1 영역(A1)을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는 화상 잘라냄 처리를 실행한다(도 4의 (c) 참조). 한편, 스텝S13에서 제 2 영역(A2)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 하는 잘라냄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S13;YES), 잘라냄 화상 생성부(9c)는 제 2 영역(A2)을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는 화상 잘라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잘라냄 처리의 상세한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화상 기록부(10)는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원화상(P1)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영역(예를 들면, 제 1 영역(A1) 등)의 잘라냄 화상(P2)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스텝S15), 화상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00)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된 경계선(L)으로 닫힌 제 1 영역(A1)의 화상과 원화상(P1)에 있어서의 제 1 영역(A1) 이외의 제 2 영역(A2)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므로, 유저에게 원하는 형상의 영역을 지정할 수 있었는지 어떤지의 식별을 적정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상 잘라냄 처리에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을 원화상(P1)으로부터 적정하게 잘라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와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를 배타적으로 전환하고, 표시 패널(8a)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므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식별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유저에게 적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화상(P1)내에서, 잘라내어지는 영역 등의 유저가 덧그린 궤적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형상의 식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스스로 선택한 영역이 올바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지정한 경계선의 궤적만을 표시하는 것으로는 닫힘 공간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화상의 잘라냄 등으로, 닫힘 공간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선의 연결이나 선과 선의 간극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고, 그와 같은 오(誤)인식도 확인 가능해진다.
또,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에, 색 및 굵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된 경계선(L)을 표시시키므로, 원화상(P1)의 내용에 따라서는 경계선(L)이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에, 해당 경계선(L)의 색이나 굵기를 설정함으로써,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의 경계 부분을 유저에게 적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색이나 굵기로 설정된 경계선(L)을 묘화할 수 있고, 해당 경계선(L)으로 유저가 원하는 영역을 닫는 묘화 조작을 더욱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제 1 영역(A1)을 식별 표시시킬 때의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으로 되는 제 2 영역(A2)의 색이나 제 2 영역(A2)을 식별 표시시킬 때의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으로 되는 제 1 영역(A1)의 색을 설정하고, 해당 제 1 영역 (A1) 및 제 2 영역(A2)을 표시시키므로, 원화상(P1)의 내용에 따라서는 잘라냄 대상 영역(A)이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에, 해당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함으로써, 잘라냄 대상 영역(A)을 유저에게 적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임의의 영역을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함으로써, 잘라냄 대상 영역(A)의 선택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고, 해당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서 선택된 영역의 잘라냄을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L)으로 닫힌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를 넘는 경우에는 제 1 영역(A1)의 특정을 실행하지 않으므로, 처리 능력이 별로 높지 않은 연산 장치를 탑재한 촬상 장치(100)라도, 화상 생성 처리를 효율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화상 잘라냄 처리에 의해서 잘라내어진 영역의 잘라냄 화상(P2)을 기록하므로, 해당 잘라냄 화상(P2)을 각종의 후처리(예를 들면, 배경 화상과 합성하는 화상 합성 처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실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화상 생성 처리에서는 닫힘 영역을 하나로서 설명했지만, 닫힘 영역의 수는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즉, 영역 특정부(9b)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부(5)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된 소정 수의 경계선(L)에 의해 닫히는 닫힘 영역을 복수 특정한 경우에는 소정 수의 경계선(L)으로 닫히는 복수의 닫힘 영역의 크기 및 닫힘 영역끼리의 중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거해서, 제 1 영역(A1)을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도 5의 (a)∼도 5의 (d)등 참조).
또한, 도 5의 (a)∼도 5의 (d)에 있어서는 제 1 영역(A1)에 사선을 붙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해당 제 1 영역(A1) 이외의 영역(제 2 영역(A2))에 도트를 붙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경계선 (L, …)에 대응하는 닫힘 영역 중, 임의의 닫힘 영역의 내측에 해당 닫힘 영역보다 작은 면적의 다른 닫힘 영역이 존재할 경우에는, 영역 특정부(9b)는 이들 두 개의 닫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環狀)의 영역을 제 1 영역(A1)으로서 특정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5의 (b) 및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경계선(L, …)에 대응하는 닫힘 영역끼리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는, 영역 특정부 (9b)는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제 1 영역(A1)(도 5의 (c) 참조)으로서 특정하거나, 또는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제 1 영역(A1)(도 5의 (b) 참조)으로서 특정하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특정부(9b)는 예를 들면, 복수의 닫힘 영역 전체에 대한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예를 들면, 화소 수 등)의 비율을 산출하고, 해당 비율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제 1 영역(A1)에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시키는지 포함시키지 않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복수의 경계선(L, …)에 대응하는 닫힘 영역끼리가 서로 중첩되지 않을 경우에는, 영역 특정부(9b)는 복수의 닫힘 영역의 전체를 제 1 영역(A1)으로 해도 좋고(도 5의 (d) 참조), 소정 수의 닫힘 영역(예를 들면, 면적이 최대인 하나의 닫힘 영역 등)을 제 1 영역(A1)으로 해도 좋다.
또, 복수의 닫힘 영역끼리가 서로 중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를 넘는 경우에는, 영역 특정부(9b)는 제 1 영역(A1)의 특정을 실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닫힘 영역은 예를 들면, 복수의 경계선(L)의 각각에 의해서 개별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고, 일필서(unicursal drawing)와 같이 해서 묘화되는 하나의 경계선이 이미 묘화 완료된 부분과 교차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복수의 닫힘 영역이 특정된 경우라도, 각 닫힘 영역의 크기 및 닫힘 영역끼리의 중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거해서 제 1 영역(A1)을 특정할 수 있고, 잘라냄 대상 영역(A)으로 되는 제 1 영역(A1)이나 제 2 영역(A2)의 특정을 유저의 의도에 따르도록 적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상 생성 처리에서, 생성된 잘라냄 화상(P2)을 화상 기록부(10)에 기록하도록 했지만, 해당 잘라냄 화상(P2)을 기록하는지의 여부는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생성된 잘라냄 화상(P2)을 단지 재생 표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계선 조건 설정부(6)를 구비하고, 경계선(L)의 색 및 굵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설정하도록 했지만, 경계선(L)의 색이나 굵기를 설정하는지의 여부는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반드시 경계선 조건 설정부(6)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영역 색 설정부(7)를 구비하고, 잘라냄 대상 영역 (A)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하도록 했지만, 잘라냄 대상 영역(A)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하는지의 여부는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고, 반드시 영역 색 설정부 (7)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계선(L)의 내측의 닫힌 닫힘 영역을 제 1 영역 (A1)으로서 특정하도록 했지만,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하 좌우의 화상 경계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경계와 경계선(L)의 외측에 의해 닫힌 영역을 제 1 영역(A1)으로서 특정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에 의한 경계선(L)의 묘화 조작의 입력 후는, 먼저 경계선(L)의 닫힘 영역인 제 1 영역(A1)의 식별 표시를 실행하고 있지만,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먼저 경계선(L)의 닫힘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 2 영역(A2)의 식별 표시를 실행해도 좋고, 어느 영역을 먼저 식별 표시할지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촬상 장치(100)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은 일례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로서 촬상 장치(100)를 예시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제 1 표시 제어 수단 및 제 2 표시 제어 수단의 쌍방을 구성하는 표시 제어부(8b)를 예시했지만, 표시 제어부(8b)의 구성은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 1 표시 제어 수단 및 제 2 표시 제어 수단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 1 표시 제어부 및 제 2 표시 제어부를 독립해서 설치해도 좋다.
덧붙여,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취득 수단, 제 1 표시 제어 수단, 묘화 수단, 특정 수단, 제 2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중앙 제어부(1)의 제어 하에서, 화상 취득부(9a), 조작 입력부(5), 영역 특정부(9b), 표시 제어부(8b)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앙 제어부(1)의 CPU에 의해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도시 생략)에, 취득 처리 루틴, 제 1 표시 제어 처리 루틴, 묘화 처리 루틴, 특정 처리 루틴, 제 2 표시 제어 처리 루틴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기억해 둔다. 그리고, 취득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 제어부(1)의 CPU를, 화상을 취득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제 1 표시 제어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 제어부(1)의 CPU를,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묘화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 제어부(1)의 CPU를,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소정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특정 처리 루틴에 의해, 묘화된 경계선(L)으로 닫힌 제 1 영역(A1)을 특정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제 2 표시 제어 처리 루틴에 의해 중앙 제어부(1)의 CPU를, 특정된 제 1 영역(A1)의 화상과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제 1 영역(A1) 이외의 제 2 영역(A2)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 수단, 제 1 설정 수단, 제 2 설정 수단, 선택 수단, 순서 설정 수단에 대해서도, 중앙 제어부(1)의 CPU에 의해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ROM이나 하드 디스크 등의 이외에,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CD-ROM 등의 이동 가능형 기록 매체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하는 매체로서는 캐리어 웨이브(반송파)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선된 실시형태를 참고로 해서 기재되었지만, 상기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속한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어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는다.
100; 촬상 장치 1; 중앙 제어부
5; 조작 입력부 5a; 터치 패널
6; 경계선 조건 설정부 7; 영역 색 설정부
8; 표시부 8a; 표시 패널
8b; 표시 제어부 9; 화상 처리부
9a; 화상 취득부 9b; 영역 특정부
9c; 잘라냄 화상 생성부 10; 화상 기록부

Claims (17)

  1.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제 1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를 실행하는 묘화 수단과,
    상기 묘화 수단에 의해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소정의 화상 처리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 및 상기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 및 상기 제 2 영역의 화상 중,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비해 강조하는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잘라냄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을 상기 화상으로부터 잘라내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잘라냄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된 영역의 화상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제 2 영역의 화상을 배타적으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강조해서 식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의 색 및 굵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설정하는 제 1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에, 상기 제 1 설정 수단에 의해 색 및 굵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설정된 경계선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잘라냄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 이외의 영역의 색을 설정하는 제 2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색으로 상기 잘라냄 대상 영역 이외의 영역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상기 잘라냄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잘라냄 대상 영역으로서 선택된 임의의 영역을 상기 화상으로부터 잘라내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소정 수의 경계선이 묘화된 경우에, 상기 소정 수의 경계선으로 닫히는 복수의 닫힘 영역의 크기 및 상기 닫힘 영역끼리의 중첩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의거해서, 상기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복수의 닫힘 영역 중, 임의의 닫힘 영역의 내측에 다른 닫힘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 두 개의 닫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영역을 상기 제 1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복수의 닫힘 영역끼리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에, 중첩되는 영역의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제 1 영역으로서 특정하거나, 또는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상기 제 1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닫힘 영역의 수가 소정 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영역의 특정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서 잘라내어진 영역의 잘라냄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에 의한 묘화 수단의 조작 후에,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어느 영역의 화상을 상기 제 2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서 먼저 표시시킬지를 설정하는 순서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6.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한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하는 스텝과,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스텝과,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7. 화상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기능,
    상기 취득 기능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표시 수단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 제어 기능,
    상기 제 1 표시 제어 기능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화상내에서,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거해서 묘화하는 묘화 기능,
    상기 묘화 기능에 의해 묘화된 경계선으로 닫힌 제 1 영역을 특정하는 특정 기능, 및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해 특정된 상기 제 1 영역의 화상과, 상기 취득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제 2 영역의 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식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 2 표시 제어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30017299A 2012-03-14 2013-02-1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30105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6888A JP2013191011A (ja) 2012-03-14 2012-03-14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2-056888 2012-03-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6766A Division KR20150023602A (ko) 2012-03-14 2015-02-03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348A true KR20130105348A (ko) 2013-09-25

Family

ID=491377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99A KR20130105348A (ko) 2012-03-14 2013-02-19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50016766A KR20150023602A (ko) 2012-03-14 2015-02-03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6766A KR20150023602A (ko) 2012-03-14 2015-02-03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02029B2 (ko)
JP (1) JP2013191011A (ko)
KR (2) KR20130105348A (ko)
CN (2) CN1033129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6823B1 (ja) * 2016-05-09 2017-04-05 株式会社ヤン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販促方法ならびにコンテンツ販促プログラム
CN107391073B (zh) * 2017-07-26 2020-07-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7030711A (zh) * 2017-08-10 2023-11-10 爱科来株式会社 分析装置和分析方法
JP7143098B2 (ja) * 2018-03-23 2022-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602319B (zh) * 2018-08-30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焦装置、方法及相关设备
CN116847159B (zh) * 2023-08-29 2023-11-07 中亿(深圳)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视频云存储的监控视频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719A (ja) 1993-06-29 1995-02-14 Hitachi Ltd 画像編集装置および画像編集装置における編集対象指定方法
JPH09319884A (ja) 1996-05-24 1997-12-12 Casio Comput Co Ltd 画像描画装置
JP3207166B2 (ja) * 1998-12-09 2001-09-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装置
US6512522B1 (en) * 1999-04-15 2003-01-28 Avid Technology, Inc. Animation of three-dimensional characters along a path for motion video sequences
US6721446B1 (en) * 1999-04-26 2004-04-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Identifying intrinsic pixel colors in a region of uncertain pixels
US7391929B2 (en) 2000-02-11 2008-06-24 Sony Corporation Masking tool
JP2002152496A (ja) 2000-11-15 2002-05-24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記録媒体
JP4360237B2 (ja) 2004-03-18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修整装置、画像修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62041A (ja) 2005-03-17 2006-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92102B2 (ja) 2005-06-28 2011-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領域の指定
JP4817821B2 (ja) * 2005-12-01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8026931B2 (en) * 2006-03-16 2011-09-27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video effects
JP4717766B2 (ja) * 2006-09-14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WO2008039371A2 (en) * 2006-09-22 2008-04-03 Objectvideo, Inc. Video background replacement system
US7750922B2 (en) * 2006-10-24 2010-07-06 Adobe Systems Incorporated Transparency group computation on a graphics processing unit
JP2008242650A (ja) 2007-03-26 2008-10-09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213711B2 (en) * 2007-04-03 2012-07-03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Canada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US8665258B2 (en) * 2008-09-16 2014-03-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Generating a depth map based on a single image
US8621357B2 (en) * 2008-12-30 2013-12-31 Apple Inc. Light table for editing digital media
JP4752921B2 (ja) * 2009-01-28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アニメーション付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5550B2 (ja) * 2009-03-19 2012-12-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81961B1 (ko) * 2009-12-21 2013-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깊이 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
CN102339457B (zh) * 2010-07-16 2016-02-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片的裁剪方法及系统
US8386964B2 (en) * 2010-07-21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image matting
US8625888B2 (en) * 2010-07-21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Variable kernel size image matting
BR112013006018A2 (pt) * 2010-09-14 2016-06-07 Dynamic Digital Depth Reseach Pty Ltd método para melhorar mapas de profundid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2974A (zh) 2013-09-18
US9402029B2 (en) 2016-07-26
US20130242160A1 (en) 2013-09-19
KR20150023602A (ko) 2015-03-05
CN107105151B (zh) 2019-08-30
CN107105151A (zh) 2017-08-29
JP2013191011A (ja)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096B2 (en) Digital camera and display method of digital camera
US10055081B2 (en) Enabling visual recognition of an enlarged image
US104697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5217193B2 (ja) 撮像装置、寸法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5348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US10430050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editing images
CN108156365B (zh) 摄像装置、摄像方法以及记录介质
US10282819B2 (en) Image display control to grasp information about image
US100959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suitably clip a subject region from a moving image
JP201112875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8845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4010720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116882B2 (en) Display apparatus for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images
US99240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anoramic images
JP670876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1039611A (ja) 表示画像形成装置及び切出画像表示方法
US20230247279A1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7228233A (ja) 撮影装置
JP538771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309040A (ja) デジタル画像表示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JP4942010B2 (ja) デジタルズーム機能付きカメラ
JP200609423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028477A (ja) 画像表示装置
US20110157224A1 (en) Presentation device
JP2013219598A (ja) 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