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895A -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4895A KR20130104895A KR1020120026824A KR20120026824A KR20130104895A KR 20130104895 A KR20130104895 A KR 20130104895A KR 1020120026824 A KR1020120026824 A KR 1020120026824A KR 20120026824 A KR20120026824 A KR 20120026824A KR 20130104895 A KR20130104895 A KR 201301048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teeth
- contact plates
- molar
- auxiliary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금니의 치아 상태는 손상시키지 않고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금니의 치아 배열 및 상태는 손상시키지 않고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 또는 치아의 교정은 이를 뽑고 전치(前齒)를 고르게 하거나, 전치를 뒤로 당겨서 입을 넣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치열 또는 치아의 교정에 사용되는 치아 교정장치는 각 치아의 표면에 브라켓이 다수 고정되고, 그 다수의 브라켓은 강선으로 연결되어 그 강선의 탄성에 의해 야기되는 복원력이 치아를 누름, 당김으로써 치아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아 교정장치는 어금니에 고정되는 브라켓이 앵커(닻)의 역할을 하면서 전치를 누르거나, 당겨야 하기 때문에 전치만을 교정하고 싶어도 어금니에 브라켓을 고정하여 전치를 누름, 당김으로써 어금니의 배열 및 치아 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금니의 치아 배열 및 상태는 손상시키지 않고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정을 요하는 치아를 그 치아의 뿌리 쪽에서 어금니 방향으로 누르거나 ,당겨 치아의 교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금니에 고정되며, 전치(前齒)를 교정하기 위한 전치교정장치와 연결되는 치아 교정장치로서, 일측면이 어금니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촉판; 및 복수의 접촉판을 직렬로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되, 복수의 접촉판 중 어느 하나의 접촉판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단부는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바; 및 세로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보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타측면에 상, 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세로바는 일단부가 한 쌍의 가압돌기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부는 보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치교정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라켓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바는 일단부가 결합공 또는 한 쌍의 체결돌기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치교정장치를 밀거나, 당기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라켓은 상면 또는 하면에 후크가 형성되며, 탄성체는 일측이 후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치고정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만을 위한 교정시에도 어금니까지 교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어금니의 손상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 교정시 어금니에 고정되어 앵커(닻)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교정을 요하는 진치의 치아 뿌리 쪽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어금니의 치아 상태는 손상시키지 않고 전치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탄성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에 형성된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탄성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에 형성된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어금니에 고정되며 전치(前齒)를 교정하기 위한 전치교정장치(100)와 연결되는 치아 교정장치(1)로서, 일측면이 어금니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촉판(10) 및 상기 복수의 접촉판(10)을 직렬로 연결하는 가로바(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치(前齒)는 앞니, 송곳니 등 어금니의 전방에 위치하는 치아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전치교정장치(100)는 돌출입이나, 돌출치아 등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치에 고정되는 단수의 브라켓(110)이나, 복수의 브라켓(110)이 강선(12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로바(2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접촉판과 다른 이격된 접촉판을 연결한다.
상기 가로바(20)는 성형작업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접촉판(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접촉판(11)은 각각 일측면에 접착제 등이 도포되어 어금니의 외측(설측) 또는 내측(순측)에 고정되며, 2개 내지 5개로 이루어지고, 접촉판의 중앙부로부터 인접한 다른 접촉판의 중앙부로의 거리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람에게는 상부와 하부의 좌,우측에 각각 5개의 어금니가 있으므로, 교정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치아 상태나, 어금니 상태 등에 따라 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접촉판(11)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어금니의 경우, 일정한 배열 및 크기를 이루므로 상기 복수의 접촉판(11) 또한 이에 대응하여 접촉판과 다른 인접한 접촉판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접촉판(10) 중 어느 하나의 접촉판은 브라켓(1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1)은 타측면에 상, 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입돌기(12)가 형성되며, 전치교정장치(100)에 구비되는 강선(120)은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입돌기(12)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접촉판(10)이 어금니에 고정되면 전치교정장치(100)에 구비되는 강선(120)을 상기 브라켓(11)에 고정한다.
강선(120)이 상기 브라켓(11)에 고정되면 어금니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이동된 전치교정장치(100)가 원위치로 회귀되지 않음으로써 전치가 교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탄성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에 형성된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에 대한 제 2실시예에서 보조브라켓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치아 교정장치(1)는 일단부가 브라켓(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바(30) 및 상기 세로바(3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보조브라켓(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로바(30)와 상기 보조브라켓(40)은 성형작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로바(30)는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2)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세로바(30)를 결속하며, 상기 세로바(30)는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2)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세로바(30)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12)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상기 브라켓(11)에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세로바(30) 또는 상기 보조브라켓(4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치교정장치(100)에 연결되어 그 전치교정장치(100)를 어금니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탄성체(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50)는 치아 교정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줄, 또는 원형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어금니의 치아 뿌리 쪽에 위치하는 상기 세로바(30)에 상기 탄성체(50)가 연결되며, 이에 대응하여 전치교정장치(100) 또한 전치의 치아 뿌리에 인접하여 고정되면서 보다 효과적인 교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상기 탄성체(50)를 꼬거나, 당김에 따라 전치의 치아 회전중심인 치아 뿌리가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교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상기 복수의 접촉판(10)에 의해 어금니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한편, 그 복수의 접촉판(10)이 어금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앵커(닻)의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체(50)는 어금니의 치아 뿌리 쪽에 위치하는 상기 세로바(30)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50)를 꼬거나, 당김에 따라 전치교정장치(100)가 어금니 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전치가 교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아 교정장치(1)는 상기 탄성체(50)의 일측이 상기 세로바(30) 또는 상기 보조브라켓(4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후크(60)가 형성되고, 그 후크(60)에는 상기 세로바(3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전치교정장치(100)가 어금니에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치만을 위한 교정시에도 어금니까지 교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어금니의 손상 등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어금니의 뿌리 쪽에서 전치교정장치(10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어금니의 치아 상태는 손상시키지 않고 전치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치교정장치(100) 또한 전치의 치아 뿌리에 인접하여 고정되면서 보다 효과적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보조브라켓(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치교정장치(100)에 연결되는 연결바(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7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보조브라켓(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치교정장치(100)에 연결되며, 교정치료시 어금니 방향으로 교정된 전치교정장치(100)가 원위치로 회귀됨이 없이 교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브라켓(40)이 상기 복수의 접촉판(10)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므로 인해 상기 연결바(70)의 타단부는 일단부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직선형태 또는 곡선 형태나, 'ㄴ'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브라켓(40)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거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결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70)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공(41) 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2)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아 교정장치(1)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바(70)를 결속하며, 상기 연결바(70)는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결합공(41) 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2)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연결바(70)가 상기 결합공(41) 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2)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상기 보조브라켓(40)에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장치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아 교정장치 10 : 접촉판
11 : 브라켓 12 : 가압돌기
20 : 가로바 30 : 세로바
40 : 보조브라켓 41 : 결합공
42 : 체결돌기 50 : 탄성체
60 : 후크 70 : 연결바
100 : 전치교정장치 110 : 브라켓
120 : 강선
1 : 치아 교정장치 10 : 접촉판
11 : 브라켓 12 : 가압돌기
20 : 가로바 30 : 세로바
40 : 보조브라켓 41 : 결합공
42 : 체결돌기 50 : 탄성체
60 : 후크 70 : 연결바
100 : 전치교정장치 110 : 브라켓
120 : 강선
Claims (7)
- 어금니에 고정되며, 전치(前齒)를 교정하기 위한 전치교정장치와 연결되는 치아 교정장치로서,
일측면이 어금니에 고정되는 복수의 접촉판; 및
상기 복수의 접촉판을 직렬로 연결하는 가로바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촉판 중 어느 하나의 접촉판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바; 및
상기 세로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보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타측면에 상, 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는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보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치교정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양단부를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하로 대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공 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 사이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치교정장치를 밀거나, 당기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면 또는 하면에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는 일측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치고정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824A KR101404496B1 (ko) | 2012-03-15 | 2012-03-15 | 치아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6824A KR101404496B1 (ko) | 2012-03-15 | 2012-03-15 | 치아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895A true KR20130104895A (ko) | 2013-09-25 |
KR101404496B1 KR101404496B1 (ko) | 2014-06-13 |
Family
ID=4945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6824A KR101404496B1 (ko) | 2012-03-15 | 2012-03-15 | 치아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44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8975A (ko) * | 2018-03-16 | 2019-09-25 | 김유완 |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46683B1 (en) * | 2021-10-18 | 2022-02-15 | King Abdulaziz University |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77552B2 (ja) | 2000-02-24 | 2003-12-10 | 悌吾 出来田 | 歯並び矯正用治療装置 |
KR100676130B1 (ko) | 2005-12-21 | 2007-02-01 | 백재호 |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
KR100805752B1 (ko) | 2006-09-08 | 2008-02-21 | 김옥경 | 치아 교정기 |
-
2012
- 2012-03-15 KR KR1020120026824A patent/KR1014044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8975A (ko) * | 2018-03-16 | 2019-09-25 | 김유완 |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4496B1 (ko) | 201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5286B1 (ko) | 치아 교정용 브라켓 | |
KR200451511Y1 (ko) |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 |
KR20120053936A (ko) |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 |
CA2791139A1 (en) | Mandibular protrusion device | |
KR20090127053A (ko) | 악정형 교정 치료 장치, 특히 어금니 결손 위치의 교정 장치 | |
KR20120110982A (ko) |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 |
KR100692646B1 (ko) | 발치 공간 폐쇄를 위한 치열 교정용 호선 및 이를 적용한치열 교정기구 | |
KR101404496B1 (ko) | 치아 교정장치 | |
JP2013536027A (ja) | リンガルブラケット | |
JP2020510501A (ja) | 上下顎固定装置 | |
KR101385527B1 (ko) | 치열 교정용 브라켓 | |
KR101422674B1 (ko) | 치과교정용 듀얼 슬롯 브라켓 어셈블리 | |
KR100985778B1 (ko) | 자력을 이용한 설측 치아교정장치 | |
CN209074952U (zh) | 一种舌侧牙齿矫正器 | |
KR101374836B1 (ko) | 이중걸림수단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 |
KR101851106B1 (ko) |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 |
US20150125819A1 (en) | Spring clip mounted to withdrawable artificial tooth and removable artificial tooth assembled with same | |
KR101381322B1 (ko) | 복합기능을 갖는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 |
KR20110106087A (ko) |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 |
KR20140142972A (ko) | 치열교정 장치 | |
KR101374835B1 (ko) | 결속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 |
KR20110009777U (ko) |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 |
CN209827040U (zh) | 一种正畸用牙齿支撑支架 | |
TW201521691A (zh) | 齒顎矯正器 | |
KR20150017126A (ko) | 결속이 용이한 자가결찰식 치열교정용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