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936A -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936A
KR20120053936A KR1020110005792A KR20110005792A KR20120053936A KR 20120053936 A KR20120053936 A KR 20120053936A KR 1020110005792 A KR1020110005792 A KR 1020110005792A KR 20110005792 A KR20110005792 A KR 20110005792A KR 20120053936 A KR20120053936 A KR 2012005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ring
elastic
locking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364B1 (ko
Inventor
신우석
Original Assignee
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367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67324A1/ko
Priority to US13/885,729 priority patent/US20130236847A1/en
Publication of KR2012005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3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bonding or removing orthodon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제조단가를 낮추고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최소화된 부품개수에 의해 음식물 끼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치아의 손상 및 브래킷 변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측에 결속부(2110)와 타측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2120)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2110)는 교정선(20)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11)과 상기 삽입홈(21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고정홈(2113)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2112)와 상기 삽입홈(2111)의 하부에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지지돌기(2114)와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높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116) 및 상기 삽입홈(2111)의 하방에 마련된 걸림공간(2118)이 형성된 몸체(210); 및 일측에 제1걸림부(222)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걸림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222)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일정각 꺾임된 꺾임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222)의 꺾임부(223)가 고정홈(2113)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걸림부(224)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210)와 결합되는 캡스프링(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Self-ligating brackets}
본 발명은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제조단가를 낮추고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최소화된 부품개수에 의해 음식물 끼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치아의 손상 및 브래킷 변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한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삐뚤어지고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치의학적인 용어로 "부정교합"이라 하며, 이러한 부정교합을 바로잡아 주는 치료를 교정치료라 한다.
이러한, 치아나 치열이 부정교합의 상태인 경우, 외모가 보기 흉하게 일그러지며, 음식물을 씹기가 어렵고, 치아의 사이로 바람이 새서 발음이 불명확해지는 등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치열을 바로잡아 주는 치열교정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치열교정방법 중 하나로, 브래킷을 이용한 방법이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브래킷을 이용한 치열교정방법을 살펴보면, 날개(11)에 형성되며 부가적으로 수직 삽입선 및 교정선(20)이나 바인더(30)를 비롯하여 쐐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방사각 15~25°의 경사면(13)으로 구성되는 삽입홈(12)을 구성하는 브래킷(10)과, 상기 브래킷(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는 교정선(20), 및 상기 교정선(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바인더(30) 및 쐐기(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브래킷은 다수의 브래킷과 교정선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선이 필요하고, 설치 후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래킷에 교정선을 고정하기 위해 결속선을 결속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속선이 철사로 이루어져 있어 입술이나 안쪽 볼이 찔리거나 또는 결속선이 풀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선등록 특허 제 959151호(명칭: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저면이 치아에 접착되고 상면 일측에 돌출된 머리부(111)와 상기 머리부(111)의 측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결착편안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편안착홈(113)의 하측으로 교정선안착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교정선안착홈(114)의 하측으로 상기 교정선안착홈(114)에 교차되게 관통된 탄성고정판삽입구(117)를 구비한 브라케트(110)와, 상기 브라케트(110)의 탄성고정판삽입구(117)에 삽입되고 끝단부에 걸림편(122)이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된 굴곡부(123)의 끝단에 캡스프링가 고정되도록 캡스프링고정부(121)가 형성되며 탄성체로 된 탄성고정판(120), 및 상기 탄성고정판(120)에 고정되는 캡스프링(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브라케트(110)의 교정선안착홈(114)에 교정선을 삽입한 후 탄성고정판(120) 및 캡스프링(130)를 상기 브라케트(110)에 결합시키면 상기 교정선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제조단가가 높다.
이는, 브라케트(110)와 탄성고정판(120) 및 캡스프링(130) 등으로 이루어져, 이들 각각을 제조하여야 하는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또한 이들을 각각 조립하여야 하는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가격을 상승시킴에 따라 제품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2. 음식물이 끼는 현상이 있었다.
이는,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부품들 간의 결합간격 사이로 음식물이 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치열교정장치에 낀 음식물은 장시간 방치될 경우 부패가 이루어지고 이는 치아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치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부패에 의해 상기 치열교정장치가 변색됨에 따라 착용자에게 거부감을 가지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3. 치열고정장치에 의해 입술이나 입안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치열교정장치는 브라케트와 탄성고정판 및 캡스프링의 테두리의 크기가 동일하여, 음식물을 씹는 동작이나 기타의 동작에 의해 입술이나 혀 등이 상기 치열교정장치에 긁히는 등의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4. 브라케트에 결합된 캡스프링을 이탈시킬 수 없었다.
이는, 치열교정이 완료된후 브라케트에 결합된 캡스프링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캡스프링을 파손시켜야 이탈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제조단가를 낮추고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최소화된 부품개수에 의해 음식물 끼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치아의 손상 및 브래킷 변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결속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은 치열의 교정을 위해 치아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어 교정선을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브래킷은 일측에 교정선이 삽입 지지되는 결속부와 타측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교정선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와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높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삽입홈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과 교차되는 방향에 관통된 걸림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일측에 탄성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탄성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일정각 꺾임된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지지돌기 사이 간격에 상기 탄성고정부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진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면에 안내되며 상기 탄성고정부의 꺾임부가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걸림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찰되는 캡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걸림공간 어느 일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걸림부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결찰될 때 상기 몸체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일정높이를 가진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고정부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서 캡스프링을 분리시킬 때 공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캡스프링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구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부착부는 접착제를 도포시 일정량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로 함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주변에 주변부로 구획되며 상기 중앙부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상기 주변부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부착부의 표면과 동일 또는 다소 적은 높이를 가지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열교정 완료 후 몸체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흔들 때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공기가 침투되어 상기 몸체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와 주변부는 치아에 접착된 몸체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3등분을 하여 상기 3등분 중 중앙에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단에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열의 교정을 위해 치아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어 교정선을 고정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에 교정선이 삽입 지지되는 결속부와 타측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교정선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근접되어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부와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높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삽입홈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과 교차되는 방향에 관통된 걸림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일측에 탄성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탄성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일정각 꺾임된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의 일측에서 관통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지지돌기 사이 간격에 상기 탄성고정부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진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면에 안내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의 꺾임부가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걸림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찰되고 상기 걸림돌부에 상기 끼움홈의 양단이 걸리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캡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걸림공간 어느 일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스프링의 탄성걸림부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에 결찰될 때 상기 몸체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일정높이를 가진 걸림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스프링의 끼움홈 측면에는 상기 몸체에서 캡스프링을 분리시킬 때 공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캡스프링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부착부는 접착제를 도포시 일정량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로 함몰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주변에 주변부로 구획되며 상기 중앙부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상기 주변부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부착부의 표면과 동일 또는 다소 적은 높이를 가지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열교정 완료 후 몸체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흔들 때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공기가 침투되어 상기 몸체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와 주변부는 치아에 접착된 몸체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3등분을 하여 상기 3등분 중 중앙에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단에 주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몸체와 캡스프링로 구성된 브래킷을 제공함에 따라 부품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제조단가를 낮추고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전체적인 제품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최소화된 부품개수에 의해 음식물 끼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치아의 손상 및 브래킷 변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래킷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하나의 브래킷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에 몸체의 부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캡스프링의 결합 및 탈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서 캡스프링를 탈락시키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에서 몸체를 탈락시키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 캡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에 몸체의 부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브래킷(200)은 몸체(210), 및 캡스프링(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일측에 교정선(2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111)이 형성되며 캡스프링(220)의 결찰로 상기 교정선(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부(2110), 및 타측으로 치아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부착부(2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결속부(2110)와 부착부(2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2120)의 크기보다 상기 결속부(2110)의 테두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에 따라 입술이나 입안이 상해를 입는 것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10)의 결속부(2110)에는 상기 몸체(210)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중앙에 수평으로 가로지르고 교정선(20)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11)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2110)에는 삽입홈(2111)을 기준으로 상부에 고정돌기(2112)가 형성되고 하부로 지지돌기(211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112)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고정홈(211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113)에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2114)는 상기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고정돌기(2112)로 삽입될 때 상기 캡스프링(220)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지지돌기(2114)는 상기 캡스프링(22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일정간격을 가지며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돌기(2114)의 끝단에는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걸림되는 지지홈(2115)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2114) 사이에는 상기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고정홈(2113)으로 삽입될 때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돌기(211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116)는 삽입홈(2111)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116)에는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킬 때 공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락홈(211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탈락홈(2117)은 공구의 형태 및 탈락시키는 방법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2110)에는 삽입홈(2111)의 하방에 상기 삽입홈(21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삽입되는 걸림공간(211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간(2118)에는 캡스프링(220)의 일단이 걸림되는 걸림홈(2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119)은 걸림공간(2118)의 내측 상부의 어느 일측에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부착부(2120)는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일정깊이 함몰된 수용공간(2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122)은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부(2124), 및 상기 중앙부(2124)의 주변으로 마련되는 주변부(2126)로 구획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부(2124)와 주변부(2126)는 함몰깊이를 달리한다.
이 경우, 상기 중앙부(2124)의 함몰깊이보다 주변부(2126)의 함몰깊이가 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함몰깊이를 달리 형성하는 것은 접착제의 수용량을 중앙부(2124)보다 주변부(2126)가 더 많도록 하여, 몸체(210)의 접착강도가 중앙부(2124)보다는 주변부(2126)가 더 높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중앙부(2124) 및 주변부(2126)는 치아에 설치된 몸체(210)를 기준으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3등분 분할하여, 중앙에 중앙부(2124)가 마련되고 상기 중앙부(2124)의 양쪽에 각각 주변부(2126)가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122)에는 부착부(2120)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212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앙부(2124) 보다는 높게 형성되면 무관하다.
캡스프링(220)은 상기 몸체(210)에 결찰되어 상기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 삽입된 교정선(20)을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캡스프링(220)은 일단에 상기 몸체(210)의 고정홈(2115)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고정부(222)와, 타단에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되는 탄성걸림부(224), 및 상기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를 연결하는 연결부(226)로 형성된다.
상기 캡스프링(22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진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캡스프링(22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상은 전체적으로 'C'형상을 가지게 하여 탄성체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고정부(222)에는 고정홈(2113)과의 걸림력이 증폭되도록 외측으로 일정각 꺾여진 꺾임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꺾임부(223)는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 지지홈(2115)과 동일 또는 유사한 꺾임형상을 가진다.
상기 탄성고정부(222) 또는 연결부(226)의 어느 일측에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키고자할 때 사용되는 공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구삽입공(2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걸림부(224)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형성된 걸림홈(2119)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25)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길이보다는 상기 탄성걸림부(224)의 길이가 길어, 상기 몸체(210)에 결합시킬 때, 먼저 상기 탄성걸림부(224)가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됨에 따라 안정적인 결찰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상기 캡스프링(220)은 몸체(210)의 양단 지지돌기(2114) 각각에 받침되도록 양측으로 갈라지면서 끝단에 꺾임부(223)가 형성된 탄성고정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222)에서 연결부(226)로 연결되는 중앙에 공구삽입홈(228)이 형성되면서 'C'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226)의 끝단에 걸림돌기(225)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공간(2118)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탄성걸림부(224)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브래킷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치면에 몸체(210)의 부착상태를 보면, 몸체(210)의 부착부(2120) 즉, 수용공간(2122)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경우, 도포된 접착제는 함몰깊이가 중앙부(2124)보다 더 깊은 주변부(2126)에 더 많은 량의 접착제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를 시술하고자 하는 치면에 부착 고정한다.
이후, 치열 교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 교정선(20)을 삽입하고, 상기 몸체(210)에 캡스프링(220)를 결찰시켜 교정선(2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210)에 상기 캡스프링(220)의 결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을 결찰시키 전 상태이고, 이 경우, 상기 몸체(21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치면에 접착된 상태이다.
도 6b는 치면에 부착된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1차 결찰된 상태로서,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는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 지지홈(2115)에 1차 걸림된 상태이다.
즉, 상기 지지홈(2115)과 탄성고정부(222)의 꺾임부(223)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의 걸림돌기(225)가 걸림공간(2118)의 걸림홈(2119)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의 1차 결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210)의 양단 지지돌기(2114) 각각에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의 양단 각각이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16)에는 간섭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사이에는 탄성작용으로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와 걸림공간(2118) 사이를 조이는 압착상태이므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1차 결찰된 상태에서 치면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1차 결찰된 상태의 몸체(210)에 교정선(20)을 삽입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c는 몸체(210)에 1차 결찰된 캡스프링(220)을 밀어넣게 되는 과정이다.
이는 1차 결찰된 캡스프링(220)을 상기 몸체(210)로 더 밀어넣게 되면,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 꺾임부(223)는 지지돌기(2114)의 지지홈(2115)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226)가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16)의 상면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2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14)보다 높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사이 간격을 벌려주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탄성고정부(222)는 최대의 벌림력을 받게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상기 탄성고정부(222)와 탄성 연결된 상기 탄성걸림부(224)도 일시적으로 벌어지면서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 걸림홈(2119)에 걸림되었던 상기 탄성걸림부(224)의 걸림돌기(225)의 걸림 단속이 일시 해제된다.
이러한 작용은,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킬 때 유용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가령 상기 걸림돌기(225)가 결찰 또는 탈락작용을 할 때 걸림홈(2119)에 계속 걸림 상태라고 한다면 걸림상태에 의해 결찰 또는 탈락작용을 간섭하여 용이한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걸림돌기(225)가 파손되어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d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의 삽입을 완료한 상태이다.
즉, 몸체(210)의 가이드돌기(2116)의 외주면과 상기 캡스프링(220)의 연결부(226) 내주면이 밀착될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최대로 벌어졌던 탄성고정부(222)는 탄성복원력으로 오므려지면서 고정돌기(2112)에 형성된 고정홈(2113)에 꺾임부(223)가 삽입된다.
이때, 몸체(210)에 밀착된 상기 캡스프링(220)의 연결부(226)는 'C'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벌어지는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6e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최종 결찰된 상태이다.
이는, 몸체(210)에 완전 밀착된 캡스프링(220)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상호가 오므려진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서 캡스프링을 탈락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에서 몸체를 탈락시키는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치아에서 브래킷을 탈락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킬 때는 공구의 일부를 상기 캡스프링(220)의 공구삽입홈(228)에 삽입시킨 후 이탈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당김력에 의해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 및 탄성걸림부(224) 각각이 몸체(210)의 고정홈(2113) 및 걸림공간(2118)에서 강제 이탈되어, 상기 캡스프링(220)이 분리된다.
그리고, 캡스프링(220)이 분리된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서 교정선(20)을 제거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에 고정된 몸체(210)를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일단을 집은 상태에서 양쪽으로 흔들어준다.
이때, 공구가 물려진 몸체(210)의 양쪽부분에 가장 큰 힘의 흔들림이 작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앙은 적은 흔들림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착부(2120)의 주변부(2126)가 치아에서 먼저 탈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변부(2126)보다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앙부(2124)는 주변부(2126)에 작용하는 힘보다 상대적으론 적은 흔들림이 작용하여도 치아에서 탈락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부착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부착면의 어느 구간이든 동일한 접착강도를 가지므로, 몸체의 제거작업시 상기 몸체의 양단이 먼저 탈락되더라도 중앙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거작업시 더 많은 힘을 주워야만 몸체가 탈락된다.
이 경우, 치아와 몸체의 중앙이 탈락되면서 상기 치아의 에나멜층도 함께 탈락되는 치아를 손상시키는 2차적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수용공간(112) 즉, 중앙부(114) 및 주변부(116)에는 부착면(110)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가지는 다수의 돌기(11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18)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거나 설사 도포되었다 하더라도 그 접착력이 미미하므로, 몸체(210)의 제거작업할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로 몸체(210)를 흔드는 힘이 상기 돌기(2128) 주변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함에 따라 결국, 적은 힘으로도 치아에서 몸체(210)를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 캡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브래킷(200)은 몸체(210'), 및 캡스프링(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일측에 교정선(2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111)이 형성되며 캡스프링(220)의 결찰로 상기 교정선(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부(2110), 및 타측으로 치아의 표면에 접착 고정되는 부착부(2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의 결속부(2110)와 부착부(2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2120)의 크기보다 상기 결속부(2110)의 테두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에 따라 입술이나 입안이 상해를 입는 것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고정돌기(2112)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돌기(2112)에 근접되어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부(21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몸체의 걸림돌부(2112')는 상기 캡스프링(220)의 끼움홈(227) 양단을 밀착지지하여 상기 캡스프링(22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몸체(210')의 걸림돌부(2112')는 상기 캡스프링(220)의 끼움홈(227) 양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다.
캡스프링(220)은 상기 몸체(210')에 결찰되어 상기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 삽입된 교정선(20)을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캡스프링(220)은 일단에 상기 몸체(210')의 고정홈(2115)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고정부(222)와, 타단에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되는 탄성걸림부(224), 상기 걸림돌부(2112')에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227) 및 상기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를 연결하는 연결부(226)로 형성된다.
상기 캡스프링(22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진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캡스프링(22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상은 전체적으로 'C'형상을 가지게 하여 탄성체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캡 스프링(220)은 탄성고정부(222)에 형성된 끼움홈(227)의 양단이 상기 몸체(210')의 걸림돌부(2112')에 걸리도록 끼워져 고정됨으로, 상기 캡스프링(22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고정력이 견고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브래킷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5 내지 도8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예에 나타난 몸체(210) 대신 제2 실시예의 몸체(210')로 이루어진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5와 같이, 치면에 몸체(210')의 부착상태를 보면, 몸체(210')의 부착부(2120) 즉, 수용공간(2122)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경우, 도포된 접착제는 함몰깊이가 중앙부(2124)보다 더 깊은 주변부(2126)에 더 많은 량의 접착제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를 시술하고자 하는 치면에 부착 고정한다.
이후, 치열 교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 교정선(20)을 삽입하고, 상기 몸체(210')에 캡스프링(220)를 결찰시켜 교정선(20)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210')에 상기 캡스프링(220)의 결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을 결찰시키기 전 상태이고, 이 경우, 상기 몸체(21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치면에 접착된 상태이다.
도 6b는 치면에 부착된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1차 결찰된 상태로서,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는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 지지홈(2115)에 1차 걸림된 상태이다.
즉, 상기 지지홈(2115)과 탄성고정부(222)의 꺾임부(223)는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의 걸림돌기(225)가 걸림공간(2118)의 걸림홈(2119)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의 1차 결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210')의 양단 지지돌기(2114) 각각에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의 양단 각각이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16)에는 간섭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사이에는 탄성작용으로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와 걸림공간(2118) 사이를 조이는 압착상태이므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1차 결찰된 상태에서 치면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1차 결찰된 상태의 몸체(210')에 교정선(20)을 삽입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c는 몸체(210')에 1차 결찰된 캡스프링(220)을 밀어넣게 되는 과정이다.
이는 1차 결찰된 캡스프링(220)을 상기 몸체(210')로 더 밀어넣게 되면,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 꺾임부(223)는 지지돌기(2114)의 지지홈(2115)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226)가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116)의 상면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2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14)보다 높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사이 간격을 벌려주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탄성고정부(222)는 최대의 벌림력을 받게되고, 이러한 작용으로 상기 탄성고정부(222)와 탄성 연결된 상기 탄성걸림부(224)도 일시적으로 벌어지면서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 걸림홈(2119)에 걸림되었던 상기 탄성걸림부(224)의 걸림돌기(225)의 걸림 단속이 일시 해제된다.
이러한 작용은,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킬 때 유용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가령 상기 걸림돌기(225)가 결찰 또는 탈락작용을 할 때 걸림홈(2119)에 계속 걸림 상태라고 한다면 걸림상태에 의해 결찰 또는 탈락작용을 간섭하여 용이한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걸림돌기(225)가 파손되어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d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의 삽입을 완료한 상태이다.
즉, 몸체(210')의 가이드돌기(2116)의 외주면과 상기 캡스프링(220)의 연결부(226) 내주면이 밀착될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최대로 벌어졌던 탄성고정부(222)는 탄성복원력으로 오므려지면서 고정돌기(2112)에 형성된 고정홈(2113)에 꺾임부(223)가 삽입된다.
이때, 몸체(210')에 밀착된 상기 캡스프링(220)의 연결부(226)는 'C'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이드돌기(2116)에 의해 벌어지는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6e는 몸체(210')에 캡스프링(220)이 최종 결찰된 상태이다.
이는, 몸체(210')에 완전 밀착된 캡스프링(220)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부(222)와 탄성걸림부(224) 상호가 오므려진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 캡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상기 캡스프링(220)의 꺽임부(223)가 상기 몸체(210')의 고정홈(2113)에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에 형성된 끼움홈(227)의 양단이 상기 몸체(210')의 걸림돌부(2112')에 걸리도록 끼워진다.
이때, 상기 캡스프링(220)의 끼움홈(227)이 상기 몸체(210')의 걸림돌부(211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 상기 캡스프링(220')의 고정력이 견고해지고,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몸체에서 캡스프링을 탈락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에서 몸체를 탈락시키는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치아에서 브래킷을 탈락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탈락시킬 때는 공구의 일부를 상기 캡스프링(220)의 공구삽입홈(228)에 삽입시킨 후 이탈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당김력에 의해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 및 탄성걸림부(224) 각각이 몸체(210')의 고정홈(2113) 및 걸림공간(2118)에서 강제 이탈되어, 상기 캡스프링(220)이 분리된다.
그리고, 캡스프링(220)이 분리된 몸체(210')의 삽입홈(2111)에서 교정선(20)을 제거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에 고정된 몸체(210')를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일단을 집은 상태에서 양쪽으로 흔들어준다.
이때, 공구가 물려진 몸체(210')의 양쪽부분에 가장 큰 힘의 흔들림이 작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앙은 적은 흔들림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착부(2120)의 주변부(2126)가 치아에서 먼저 탈락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변부(2126)보다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앙부(2124)는 주변부(2126)에 작용하는 힘보다 상대적으론 적은 흔들림이 작용하여도 치아에서 탈락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부착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부착면의 어느 구간이든 동일한 접착강도를 가지므로, 몸체의 제거작업시 상기 몸체의 양단이 먼저 탈락되더라도 중앙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거작업시 더 많은 힘을 주워야만 몸체가 탈락된다.
이 경우, 치아와 몸체의 중앙이 탈락되면서 상기 치아의 에나멜층도 함께 탈락되는 치아를 손상시키는 2차적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수용공간(112) 즉, 중앙부(114) 및 주변부(116)에는 부착면(110)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가지는 다수의 돌기(11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118)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거나 설사 도포되었다 하더라도 그 접착력이 미미하므로, 몸체(210)의 제거작업할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로 몸체(210)를 흔드는 힘이 상기 돌기(2128) 주변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함에 따라 결국, 적은 힘으로도 치아에서 몸체(210)를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200: 브래킷 210,210': 몸체
2110: 결속부 2111: 삽입홈
2112: 고정돌기 2112' : 걸림돌부
2113: 고정홈 2114: 지지돌기
2116: 가이드돌기 2117: 탈락홈
2118: 걸림공간 2119: 걸림홈
2120: 부착부 2122: 수용공간
2124: 중앙부 2126: 주변부
2128: 돌기 220: 캡스프링
222: 탄성고정부 223: 꺾임부
224: 탄성걸림부 225: 걸림돌기
226: 연결부 227: 끼움홈
228: 공구삽입공

Claims (12)

  1. 치열의 교정을 위해 치아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어 교정선을 고정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0)은
    일측에 교정선(20)이 삽입 지지되는 결속부(2110)와 타측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2120)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2110)는 브래킷(200)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교정선(20)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11)과 상기 삽입홈(21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고정홈(2113)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2112)와 상기 삽입홈(2111)의 하부에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지지돌기(2114)와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높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116) 및 상기 삽입홈(2111)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2111)과 교차되는 방향에 관통된 걸림공간(2118)이 형성된 몸체(210); 및
    일측에 탄성고정부(222)가 형성되고 타측에 탄성걸림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일정각 꺾임된 꺾임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 사이 간격에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진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2116)의 외면에 안내되며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꺾임부(223)가 고정홈(2113)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성걸림부(224)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210)와 결찰되는 캡스프링(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 어느 일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2119)이 형성되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210)에 결찰될 때 상기 몸체(210)의 걸림홈(2119)에 삽입되는 일정높이를 가진 걸림돌기(2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고정부(222)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분리시킬 때 공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캡스프링(220)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구삽입공(22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부착부(2120)는 접착제를 도포시 일정량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로 함몰된 수용공간(21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2122)은 중앙부(2124)와 상기 중앙부(2124)의 주변에 주변부(2126)로 구획되며 상기 중앙부(2124)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상기 주변부(2126)로 형성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122)에는 부착부(2120)의 표면과 동일 또는 다소 적은 높이를 가지어 수용공간(2122)에 수용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열교정 완료 후 몸체(2120)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흔들 때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공기가 침투되어 상기 몸체(2120)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212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122)의 중앙부(2124)와 주변부(2126)는 치아에 접착된 몸체(210)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3등분을 하여 상기 3등분 중 중앙에 중앙부(2124) 및 상기 중앙부(2124)의 양단에 주변부(2126)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7. 치열의 교정을 위해 치아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어 교정선을 고정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0)은
    일측에 교정선(20)이 삽입 지지되는 결속부(2110)와 타측에 치아에 부착되는 부착부(2120)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2110)는 브래킷(200)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교정선(20)이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삽입홈(2111)과 상기 삽입홈(2111)의 상부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고정홈(2113)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2112)와 상기 고정돌기(2112)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되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돌기(2112)에 근접되어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부(2112')와 상기 삽입홈(2111)의 하부에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는 지지돌기(2114)와 상기 지지돌기(2114)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높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116) 및 상기 삽입홈(2111)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2111)과 교차되는 방향에 관통된 걸림공간(2118)이 형성된 몸체(210'); 및
    일측에 탄성고정부(222)가 형성되고 타측에 탄성걸림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일정각 꺾임된 꺾임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일측에서 관통형성된 끼움홈(227)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의 지지돌기(2114) 사이 간격에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양단이 지지되면서 진입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2116)의 외면에 안내되고 상기 탄성고정부(222)의 꺾임부(223)가 고정홈(2113)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탄성걸림부(224)는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210')와 결찰되고 상기 걸림돌부(2112')에 상기 끼움홈(227)의 양단이 걸리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캡스프링(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걸림공간(2118) 어느 일측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걸림홈(2119)이 형성되고;
    상기 캡스프링(220')의 탄성걸림부(224) 어느 일측에는 상기 몸체(210')에 결찰될 때 상기 몸체(210')의 걸림홈(2119)에 삽입되는 일정높이를 가진 걸림돌기(2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프링(220)의 끼움홈 (227) 측면에는 상기 몸체(210')에서 캡스프링(220)을 분리시킬 때 공구의 일부가 삽입되어 캡스프링(220)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구삽입공(228);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부착부(2120)는 접착제를 도포시 일정량의 접착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로 함몰된 수용공간(212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2122)은 중앙부(2124)와 상기 중앙부(2124)의 주변에 주변부(2126)로 구획되며 상기 중앙부(2124)보다 더 깊은 깊이를 가지는 상기 주변부(2126)로 형성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122)에는 부착부(2120)의 표면과 동일 또는 다소 적은 높이를 가지어 수용공간(2122)에 수용되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치열교정 완료 후 몸체(2120)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어와 같은 공구로 흔들 때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위에 공기가 침투되어 상기 몸체(2120)의 탈락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212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2122)의 중앙부(2124)와 주변부(2126)는 치아에 접착된 몸체(210')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3등분을 하여 상기 3등분 중 중앙에 중앙부(2124) 및 상기 중앙부(2124)의 양단에 주변부(2126)가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20110005792A 2010-11-18 2011-01-20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117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3671 WO2012067324A1 (ko) 2010-11-18 2011-05-18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US13/885,729 US20130236847A1 (en) 2010-11-18 2011-05-18 Self-ligation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5073 2010-11-18
KR1020100115073 2010-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936A true KR20120053936A (ko) 2012-05-29
KR101177364B1 KR101177364B1 (ko) 2012-08-29

Family

ID=4626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792A KR101177364B1 (ko) 2010-11-18 2011-01-20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36847A1 (ko)
KR (1) KR1011773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38B1 (ko) * 2013-10-07 2014-02-21 이종호 자가 결찰 브래킷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20180091489A (ko) 2017-02-07 2018-08-16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KR102159799B1 (ko) * 2020-06-16 2020-09-24 이종형 투명 치아 교정장치
KR20210121478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디쌤 치아 교정기 조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82B1 (ko) 2011-02-11 2019-09-09 오도암, 인코퍼레이티드 교정용 브라켓
US9687318B2 (en) * 2011-11-08 2017-06-27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Base for an orthodontic appliance
US9585733B2 (en) 2012-03-28 2017-03-07 Orthoarm,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angled, curved shutter
EP2644150B1 (en) 2012-03-28 2019-01-23 Orthoarm, Inc. Active self-ligating bracket
WO2014130111A1 (en) * 2013-02-22 2014-08-28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An Oregon Corporation Base configuration for orthodontic bracket
KR101560554B1 (ko) * 2014-03-26 2015-10-26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열교정용 브래킷
WO2016013992A1 (en) * 2014-07-23 2016-01-28 Aydin Resai Self-ligating bracket
KR102307454B1 (ko) 2014-10-27 2021-10-06 오스템올소돈틱스 주식회사 치열교정용 브래킷
US20170086946A1 (en) * 2015-09-30 2017-03-30 Dentsply International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controlled adhesive flow
US10182885B2 (en) 2015-10-29 2019-01-22 Mem Dental Technology Co., Ltd Self-ligating bracket
US9770310B2 (en) 2016-02-25 2017-09-26 Pbd, Patent & Business Development Ag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EP3573567B1 (en) * 2017-01-27 2024-03-0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Orthodontic bracket
KR102102262B1 (ko) * 2019-11-11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아 교정용 브라켓
DE102019134575A1 (de) * 2019-12-16 2021-06-17 Bernhard Förster Gmbh Selbstligierendes Bracket für die Orthodontie
US11324573B2 (en) 2020-07-03 2022-05-10 Aadvance Technologies, Llc Orthodontic device
WO2022211909A1 (en) * 2021-04-01 2022-10-06 Singhal Sudiksha Orthodontic bracket covering ligature ti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1119A (en) * 1998-12-22 2000-06-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 mod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4444410B2 (ja) 1999-10-08 2010-03-31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歯列矯正ブラケット用ツール
JP4659991B2 (ja) 2001-02-28 2011-03-30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4411573B2 (ja) 2001-08-24 2010-02-10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
US7959437B2 (en) * 2002-10-29 2011-06-14 Rmo, Inc. Orthodontic appliance with encoded information formed in the base
US20070269763A1 (en) * 2006-05-18 2007-11-22 Claus Schendell-Groling Orthodontic bracket
WO2009057937A2 (en) 2007-11-01 2009-05-07 Hubit Co., Ltd. Self-ligating brackets
US8636507B2 (en) * 2009-06-03 2014-01-28 John C. Voudouri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038B1 (ko) * 2013-10-07 2014-02-21 이종호 자가 결찰 브래킷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20180091489A (ko) 2017-02-07 2018-08-16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KR20210121478A (ko)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디쌤 치아 교정기 조립 장치
KR102159799B1 (ko) * 2020-06-16 2020-09-24 이종형 투명 치아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364B1 (ko) 2012-08-29
US20130236847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364B1 (ko)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US7011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removable tooth positioning appliance from the teeth of a patient
KR100608304B1 (ko) 치아교정용 앵커
US8568139B2 (en) Orthodontic bracket
US5746594A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asymmetric bonding structure
US20120058443A1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US20200383756A1 (en)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KR101489625B1 (ko) 치열 교정기구
KR100925286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20140013647A1 (en) Bait bridle
US4797095A (en) Orthodontic hook mounting
KR20160049609A (ko) 치열교정용 브래킷
MXPA02000704A (es) Sujetador de bucle de resorte y metodo para fabricarlo.
US20100227290A1 (en) Orthodontic device
KR101374836B1 (ko) 이중걸림수단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0849457B1 (ko) 치열교정용 탄성체 훅 지지구
KR100931257B1 (ko) 치열교정 스크류용 와이어 고정클립
WO2012067324A1 (ko)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JP3143053U (ja) 歯列矯正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牽引索条止具及び牽引器
KR101404496B1 (ko) 치아 교정장치
JP6808025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20120003694U (ko)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1374835B1 (ko) 결속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KR101410758B1 (ko) 치열 교정용 고정기기
KR100940559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탈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