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99B1 - 투명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99B1
KR102159799B1 KR1020200072933A KR20200072933A KR102159799B1 KR 102159799 B1 KR102159799 B1 KR 102159799B1 KR 1020200072933 A KR1020200072933 A KR 1020200072933A KR 20200072933 A KR20200072933 A KR 20200072933A KR 102159799 B1 KR102159799 B1 KR 10215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astic
separation preventing
hea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형
Original Assignee
이종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형 filed Critical 이종형
Priority to KR102020007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치열 교정 대상의 치아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식 교정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교정 대상 치아에 텐션(mention)을 가하는 텐션 와이어; 및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one touch type)으로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결합하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치아 교정장치{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
본 발명은,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정 치열은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뿐더러 저작 기능에도 악형향을 미친다. 때문에, 치아 교정(치열 교정)을 통해 부정 치열을 바르게 할 필요가 있다.
치아 교정을 위해 보통 치아 교정장치가 사용된다. 통상의 치아 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치아 교정용 브래킷(Bracket)과, 상기 치아 교정용 브래킷에 결합하여 각 브래킷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wire)와, 상기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결속 타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치아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의 표면에 치아 교정용 브래킷을 고정한 후, 각 치아에 고정된 치아 교정용 브래킷들을 치아 교정용 와이어로 연결한 다음, 결속 타이로 묶어준다.
그러면, 치아 교정용 와이어에 의해 발생하는 힘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 즉 부정 치열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장치와 방법을 토대로 치아를 교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실제 주변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지만, 이러한 방식 즉, 치아 교정장치가 치아의 표면에 설치(시술)되는 것이어서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12538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0734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치열 교정 대상의 치아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식 교정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교정 대상 치아에 텐션(mention)을 가하는 텐션 와이어; 및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one touch type)으로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결합하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는, 탄성 삽입부; 상기 탄성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일방향 치형부; 상기 탄성 삽입부의 단부에서 아크(ar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아크형 굴곡 네크부; 및 상기 아크형 굴곡 네크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성형 시 상기 아크형 굴곡 네크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 삽입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게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고, 단부 영역에 공구 삽입홀을 갖는 덧살 플랜지가 형성된 탄성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텐션 와이어가 삽입되고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일측에 식별부가 형성된 교정 몸체부; 상기 교정 몸체부의 하부를 이루되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평 하면부; 상기 교정 몸체부의 일측에서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탄성 헤드부가 탄성적으로 밀착하면서 배치되는 헤드 배치부; 상기 헤드 배치부와 이격되고 상기 헤드 배치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단부 영역이 상기 헤드 배치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 배치부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 배치부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 저지 벽체부; 상기 교정 몸체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탄성 삽입부가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일방향 치형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복수 개의 요철 돌기부; 및 상기 헤드 배치부에 이웃한 위치의 상기 교정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아크형 굴곡 네크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교정 몸체부와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헤드 배치부와 상기 이탈 저지 벽체부 사이 공간의 상기 교정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텐션 와이어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평평 하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 대상 치아에 부착되는 접착식 부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부착식 교정기(110), 텐션 와이어(130) 및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일부를 제외한 구성들이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치아 교정 시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시술되는 것이라서 기존 장치들보다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으며, 텐션 와이어(13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한다. 앞서 기술한 기존 치아 교정장치는 의사가 교정 와이어를 일일이 감아 조이는 형태라서 시술이 어렵고 또한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기존 치아 교정장치는 제거하기가 쉽지 않아 한 번 시술하면 오래동안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는 부착식 교정기(110)를 치아에 간편하게 부착한 후, 부착식 교정기(110)에 텐션 와이어(130)를 넣고,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를 원터치 방식으로 부착식 교정기(110)에 설치하면 간단하게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를 시술 받은 이후라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제거하고 다시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실시예의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부착식 교정기(11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치열 교정 대상의 치아의 내벽에 부착되는 구조물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착식 교정기(110)의 설명에 앞서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는 텐션 와이어(130)가 부착식 교정기(110)를 구성하는 교정 몸체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one touch type)으로 교정 몸체부(111)에 결합하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텐션 와이어(130)가 교정 몸체부(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를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의 시술이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다.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는 탄성 삽입부(141)와, 탄성 삽입부(141)의 일측에 형성되되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일방향 치형부(142)와, 탄성 삽입부(141)의 단부에서 아크(ar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와,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의 단부에 연결되되 성형 시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의 단부에서 탄성 삽입부(141)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게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텐션 와이어(130)가 교정 몸체부(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탄성 헤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삽입부(141),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 및 탄성 헤드부(144)는 일체형 구조를 이룬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탄성 삽입부(141)를 터널부(116) 쪽으로 가압하면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가 벌어지다가 탄성 삽입부(141)가 터널부(116)에 완전히 삽입되는 순간 탄성 헤드부(144)가 자체 탄성으로 터널부(116) 쪽으로 가압하면서 텐션 와이어(130)를 지지한다. 따라서, 텐션 와이어(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탄성 삽입부(141)의 일측에는 일방향 치형부(142)가 형성되고, 이러한 일방향 치형부(142)가 도 5처럼 터널부(116) 내측의 요철 돌기부(117)에 걸리는 형태라서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힘을 주어 빼면 빠질 수는 있다.
부착식 교정기(11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치열 교정 대상의 치아의 내벽에 부착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착식 교정기(110)에 텐션 와이어(130)가 설치되고, 이어 전술한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가 부착식 교정기(110)에 부착된다.
부착식 교정기(110)는 교정 몸체부(111)를 포함하며, 교정 몸체부(111)의 각 위치에 평평 하면부(113), 헤드 배치부(114), 이탈 저지 벽체부(115), 터널부(116) 및 자리 배치홈부(118)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교정 몸체부(111)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처럼 교정 몸체부(111)가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치아 교정 시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평 하면부(113)는 교정 몸체부(111)의 하부를 이루되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평평 하면부(113)에 접착식 부착 패드(119)가 마련될 수 있다.
접착식 부착 패드(119)는 접착력 혹은 점착력으로 치아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부착식 교정기(110)가 치아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게끔 유도한다.
헤드 배치부(114)는 교정 몸체부(111)의 일측에서 굴곡지게 형성되되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탄성 헤드부(144)가 탄성적으로 밀착하면서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와 탄성 헤드부(144)가 전반적으로 유연한 아크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헤드 배치부(114)가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탈 저지 벽체부(115)는 헤드 배치부(114)와 이격되고 헤드 배치부(114)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그 단부 영역이 헤드 배치부(114)보다 높게 형성되고 헤드 배치부(114)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이탈 저지 벽체부(115)의 단부 영역이 헤드 배치부(114)보다 높게 형성되고 헤드 배치부(114)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도 4처럼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헤드 배치부(114)를 눌러주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헤드 배치부(114)의 이탈을 저지시킬 수 있다.
터널부(116)는 교정 몸체부(111) 내에 형성되되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탄성 삽입부(141)가 삽입되면서 결합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터널부(116)의 바닥에는 복수 개의 요철 돌기부(117)가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일방향 치형부(142)가 요철 돌기부(117)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형태라서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자리 배치홈부(118)는 헤드 배치부(114)에 이웃한 위치의 교정 몸체부(111)에 형성되고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자리 배치홈부(118)로 인해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가 부착식 교정기(110)에 밀착하면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부착식 교정기(110)에는 와이어 서포터(120)가 더 마련된다. 와이어 서포터(120)는 헤드 배치부(114)와 이탈 저지 벽체부(115) 사이 공간의 교정 몸체부(111)에 형성되되 텐션 와이어(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 서포터(120)는 금속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부착식 교정기(110)는 그 대부분이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다소 약할 수 있는데, 특히 이러한 부착식 교정기(110)에 텐션 와이어(130)가 직접 거치되면 텐션 와이어(130)로 인해 부착식 교정기(110)가 마모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부착식 교정기(110)에 금속 재질의 와이어 서포터(120)가 마련되고 와이어 서포터(120)에 텐션 와이어(130)가 배치되는 형태라서 큰 움직임에도 텐션 와이어(130)로 인해 합성수지로 된 부착식 교정기(1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텐션 와이어(130)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부착식 교정기(110)의 일측에 삽입되어 교정 대상 치아에 텐션(mention)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텐션 와이어(130)가 부착식 교정기(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와이어 서포터(120)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지지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것처럼 와이어 서포터(120) 정도만큼은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처럼 접착식 부착 패드(119)를 이용해서 부착식 교정기(110)를 치아에 부착한다. 치아의 안쪽 면에 부착식 교정기(11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치아의 바깥쪽 면에 부착식 교정기(110)를 부착해도 무방하다.
다음, 도 3처럼 금속 재질의 와이어 서포터(120)에 텐션 와이어(130)를 넣어 끼운다. 물론, 텐션 와이어(130)의 단부는 다른 치아 등에 고정되어 텐션을 유지한 상태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처럼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를 체결한다. 즉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의 탄성 삽입부(141)를 터널부(116) 쪽으로 가압하면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가 벌어지다가 탄성 삽입부(141)가 터널부(116)에 완전히 삽입되는 순간 탄성 헤드부(144)가 자체 탄성으로 터널부(116) 쪽으로 가압하면서 텐션 와이어(130)를 지지한다. 따라서, 텐션 와이어(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200) 역시, 부착식 교정기(210), 텐션 와이어(130) 및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식 교정기(210)는 교정 몸체부(111)를 포함하며, 교정 몸체부(111)의 각 위치에 평평 하면부(113), 헤드 배치부(114), 이탈 저지 벽체부(115), 터널부(116) 및 자리 배치홈부(118)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의 구성 및 작용, 역할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부착식 교정기(210)의 교정 몸체부(111)에는 식별부(212)가 형성된다. 식별부(212)를 통해 부착식 교정기(210)의 사용 기간 등을 체크할 수 있다. 특히, 부착식 교정기(210)의 교정 몸체부(111)가 투명한 재질이라서 식별부(212)를 다른 색상으로 형성할 경우,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치아 교정장치(300) 역시, 부착식 교정기(110), 텐션 와이어(130) 및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340)는 탄성 삽입부(141)와, 탄성 삽입부(141)의 일측에 형성되되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일방향 치형부(142)와, 탄성 삽입부(141)의 단부에서 아크(ar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와,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의 단부에 연결되되 성형 시 아크형 굴곡 네크부(143)의 단부에서 탄성 삽입부(141)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게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텐션 와이어(130)가 교정 몸체부(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탄성 헤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개시되는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340)에는 탄성 헤드부(144)의 단부 영역에 덧살 플랜지(345)가 형성된다. 그리고, 덧살 플랜지(345)에 공구 삽입홀(346)이 형성된다.
공구 삽입홀(346)은 추후,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340)를 제거하고자할 때, 공구가 삽입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시술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의 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투명 치아 교정장치 110 : 부착식 교정기
111 : 교정 몸체부 113 : 평평 하면부
114 : 헤드 배치부 115 : 이탈 저지 벽체부
116 : 터널부 117 : 요철 돌기부
118 : 자리 배치홈부 119 : 접착식 부착 패드
120 : 와이어 서포터 130 : 텐션 와이어
140 :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 141 : 탄성 삽입부
142 : 일방향 치형부 143 : 아크형 굴곡 네크부
144 : 탄성 헤드부

Claims (5)

  1.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치열 교정 대상의 치아의 내벽에 부착되는 부착식 교정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교정 대상 치아에 텐션(mention)을 가하는 텐션 와이어; 및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one touch type)으로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 결합하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는,
    탄성 삽입부; 상기 탄성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일방향 치형부; 상기 탄성 삽입부의 단부에서 아크(arc)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아크형 굴곡 네크부; 및 상기 아크형 굴곡 네크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성형 시 상기 아크형 굴곡 네크부의 단부에서 상기 탄성 삽입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게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텐션 와이어가 상기 부착식 교정기에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고, 단부 영역에 공구 삽입홀을 갖는 덧살 플랜지가 형성된 탄성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텐션 와이어가 삽입되고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일측에 식별부가 형성된 교정 몸체부; 상기 교정 몸체부의 하부를 이루되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평 하면부; 상기 교정 몸체부의 일측에서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탄성 헤드부가 탄성적으로 밀착하면서 배치되는 헤드 배치부; 상기 헤드 배치부와 이격되고 상기 헤드 배치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단부 영역이 상기 헤드 배치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 배치부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 배치부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이탈 저지 벽체부; 상기 교정 몸체부 내에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탄성 삽입부가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일방향 치형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복수 개의 요철 돌기부; 및 상기 헤드 배치부에 이웃한 위치의 상기 교정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이탈 저지 탄성체의 아크형 굴곡 네크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 배치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교정 몸체부와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헤드 배치부와 상기 이탈 저지 벽체부 사이 공간의 상기 교정 몸체부에 형성되되 상기 텐션 와이어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식 교정기는, 상기 평평 하면부에 형성되되 상기 교정 대상 치아에 부착되는 접착식 부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치아 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2933A 2020-06-16 2020-06-16 투명 치아 교정장치 KR10215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33A KR102159799B1 (ko) 2020-06-16 2020-06-16 투명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33A KR102159799B1 (ko) 2020-06-16 2020-06-16 투명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99B1 true KR102159799B1 (ko) 2020-09-24

Family

ID=7270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33A KR102159799B1 (ko) 2020-06-16 2020-06-16 투명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79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188A (ja) * 1998-12-22 2002-10-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二重モード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JP4233949B2 (ja) * 2002-12-09 2009-03-04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グリップ開放ツール
KR20100011201A (ko) * 2008-07-24 2010-0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JP4659991B2 (ja) * 2001-02-28 2011-03-30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3936A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10982A (ko) *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90073435A (ko) 2016-12-05 2019-06-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과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판,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기능 포함 미러,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KR20190125381A (ko) 2017-03-03 2019-11-06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고온 내산화성이 강화된 니켈 및 크롬 베이스 철 합금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188A (ja) * 1998-12-22 2002-10-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二重モード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JP4659991B2 (ja) * 2001-02-28 2011-03-30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4233949B2 (ja) * 2002-12-09 2009-03-04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ブラケットおよびグリップ開放ツール
KR20100011201A (ko) * 2008-07-24 2010-02-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KR20110042258A (ko) * 2008-08-13 2011-04-26 오름코 코포레이션 심미적 치열교정용 브래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3936A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101177364B1 (ko) * 2010-11-18 2012-08-29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 결찰방식의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10982A (ko) * 2011-03-31 2012-10-10 정재욱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101729995B1 (ko) * 2016-06-10 2017-05-11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KR20190073435A (ko) 2016-12-05 2019-06-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과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판,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기능 포함 미러, 저항막식 터치 패널 및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KR20190125381A (ko) 2017-03-03 2019-11-06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고온 내산화성이 강화된 니켈 및 크롬 베이스 철 합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987B1 (ko) 치열교정용 치아 브라켓의 정위 및 접착 보조장치
US4674978A (en) Orthodontic appliance
EP1287789A2 (en) Orthodontic Bracket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2062709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0925286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US4797095A (en) Orthodontic hook mounting
KR20210003589A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래킷
US1938428A (en) Orthodontia arch bow
CA1303880C (en) Molded distal stop and attachment to fix orthodontic appliance into mouth
KR102159799B1 (ko) 투명 치아 교정장치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KR20150137289A (ko) 발톱 교정기
US4416627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0675673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2007185203A (ja) 陥入爪矯正具および装飾用付け爪
KR20140144044A (ko)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CA2378085A1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010218A (ja) 陥入爪矯正具
JP2012095994A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N218220341U (zh) 牙齿矫治装置
US20200390525A1 (en) Orthodontic device
KR102380032B1 (ko) 치아 교정기
KR20110009777U (ko)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JPH09135849A (ja) 歯列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