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740A -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740A
KR20130101740A KR1020120022713A KR20120022713A KR20130101740A KR 20130101740 A KR20130101740 A KR 20130101740A KR 1020120022713 A KR1020120022713 A KR 1020120022713A KR 20120022713 A KR20120022713 A KR 20120022713A KR 20130101740 A KR20130101740 A KR 2013010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mold
cores
vertical
under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530B1 (ko
Inventor
박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금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금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금형
Priority to KR102012002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53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코어와 경사코어가 동시에 작동하여 성형품의 언더컷을 해소한 후 회전취출코어 또는 작업자에 의해 언더컷이 해소된 성형품을 회전시키면서 금형에서 완전 취출함에 따라,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아무런 간섭없이 매우 쉽고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으므로, 성형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구조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용융상태의 수지를 가압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이 중앙에 관통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노즐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하부면에 형성된 상형과; 상기 상형의 하부에 계합되고 성형품의 비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공간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과; 상기 하형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플레이트로; 구성된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도록 수직 상승하는 복수의 수직코어가 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승강되게 설치한 밀판에 설치된 수직이젝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의 비노출부에 형성되는 언더컷부를 수직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직코어의 수직 상승과 동시에 수직코어의 하부면과 접하면서 경사 상승하는 복수의 경사코어가 상기 밀판에 설치된 경사이젝터에 의해 경사지게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어; ; 성형품의 취출을 위해 상형과 하형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직코어와 경사코어가 각각 상하 연속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각각 수직 상승과 경사 상승 운동을 함으로써 성형품의 언더컷부를 상형과 하형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게 하여 성형품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형과 하형의 성형공간에 사출 경화된 언더컷부를 가진 성형품을 금형에서 취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플레이트의 하강 운동을 통해 하형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단계;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 내설되어 성형품의 언더컷부가 하형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코어 및 경사코어를 각각 밀판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젝터 및 경사이젝터를 통해 동시에 수직으로 하강 및 경사지게 하강 운동시켜 성형품을 하형으로부터 간섭 없이 분리하는 단계; 하형에 별도로 설치된 취출코어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성형품의 언더컷부가 수직코어 및 경사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완전히 분리하여 성형품의 취출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언더컷부를 가진 성형품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매우 간편하고 아주 손쉽게 취출 가능하여 성형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언더컷부에 의한 구조 개선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성형품의 구조 개선을 통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Two shot injection molding for resolving under-cut of molding goods and picking method applied to it}
본 발명은 언더컷을 유발하는 성형품을 간섭없이 안전하게 취출함으로써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성형품의 구조 개선에 기여하는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프런트범퍼, 크래쉬보드, 센터페시아, 가니쉬 등을 비롯한 플라스틱 제품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이다.
이러한 금형은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마련된 상형과, 가동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비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이 마련된 하형으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하형을 상승시켜 상형과 계합된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상형과 하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성형공간으로 가압 주입하여 일정시간 경화시킨 후 하형을 하강시켜 상형과 분리한 상태에서 상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성형품에 경사부, 나사산부, 구멍부, 홈부 등과 같이 상형과 하형과의 간섭으로 인해 취출이 곤란한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된 경우, 하형의 하강 작동만으로는 성형품을 성형공간에서 취출할 수 없으므로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하여 언더컷이 있는 경우, 상형 또는 하형과의 간섭이 없도록 언더컷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을 상형과 금형으로부터 별도로 작동시켜 상형과 하형으로부터 성형품을 간섭없이 취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언더컷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한 종래의 금형은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의 작동에 의해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의 작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성형품을 취출해야 하므로 금형을 설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경사코어나 슬라이드코어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 수단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금형의 크기가 대형화되면서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고 내구성도 떨어뜨리며 유지보수도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코어와 슬라이드코어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가 불가능함으로써 성형품의 구조 개선에도 많은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9와 같이 에어백장치(A)가 내장되는 에어백삽입부(B)가 비노출부의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차량용 크래쉬보드(C)를 성형 제조할 때 종래의 금형으로는 그 언더컷 부분을 제대로 해소할 수 없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제조되고 있는 크래쉬보드(C)의 경우 에어백삽입부(B)에 의한 언더컷으로 인해 에어백삽입부(B)의 위치 및 각도가 이상적이지 못하여 이에 삽입되는 에어백장치(A)가 운전자와는 다소 어긋난 위치 및 각도로 내장되면서 그 성능 및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언더컷으로 인해 크래쉬보드(A)의 구조 개선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성형품의 언더컷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해소하여 금형으로부터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구조 개선에도 크게 기여하는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은, 용융상태의 수지를 가압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이 중앙에 관통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성형품의 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노즐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하부면에 형성된 상형과; 상기 상형의 하부에 계합되고 성형품의 비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공간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과; 상기 하형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플레이트로; 구성된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도록 수직 상승하는 복수의 수직코어가 가동플레이트의 상부에 승강되게 설치한 밀판에 설치된 수직이젝터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의 비노출부에 형성되는 언더컷부를 수직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직코어의 수직 상승과 동시에 수직코어의 하부면과 접하면서 경사 상승하는 복수의 경사코어가 상기 밀판에 설치된 경사이젝터에 의해 경사지게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어; ; 성형품의 취출을 위해 상형과 하형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직코어와 경사코어가 각각 상하 연속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각각 수직 상승과 경사 상승 운동을 함으로써 성형품의 언더컷부를 상형과 하형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게 하여 성형품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은 상형과 하형의 성형공간에 사출 경화된 언더컷부를 가진 성형품을 금형에서 취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플레이트의 하강 운동을 통해 하형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단계; 하형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 내설되어 성형품의 언더컷부가 하형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코어 및 경사코어를 각각 밀판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젝터 및 경사이젝터를 통해 동시에 수직으로 하강 및 경사지게 하강 운동시켜 성형품을 하형으로부터 간섭 없이 분리하는 단계; 하형에 별도로 설치된 취출코어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성형품의 언더컷부가 수직코어 및 경사코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완전히 분리하여 성형품의 취출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언더컷부를 가진 성형품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매우 간편하고 아주 손쉽게 취출함으로써 성형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언더컷부에 의한 구조 개선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성형품의 구조 개선을 통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코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사코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사출 성형된 크래쉬보드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100)은, 용융상태의 수지를 가압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이 중앙에 관통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와; 고정플레이트(1)의 하부에 고정되고 성형품(M)의 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노즐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하부면에 형성된 상형(2)과; 상기 상형(2)의 하부에 계합되고 성형품(M)의 비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공간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3)과; 상기 하형(3)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플레이트(4)로; 구성된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M)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도록 수직 상승하는 복수의 수직코어(5a)(5b)가 가동플레이트(4)에 설치된 수직이젝터(6a)(6b)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M)의 비노출부에 형성되는 언더컷부(U)를 수직코어(5a)(5b)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직코어(5a)(5b)의 수직 상승과 동시에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과 접하면서 경사 상승하는 복수의 경사코어(7a)(7b)가 가동플레이트(4)에 설치된 경사이젝터(8a)(8b)에 의해 경사지게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어; 성형품(M)의 취출을 위해 상형(2)과 하형(3)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가 각각 상하 연속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각각 수직 상승과 경사 상승 운동을 함으로써 성형품(M)의 언더컷부(U)를 상형(2)과 하형(3)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게 하여 성형품(M)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는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 중에서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성형되는 부분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에는 경사코어(7a)(7b)와 접하여 승강될 때 경사코어(7a)(7b)의 경사 승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경사코어(7a)(7b)의 상부면과 접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9a)(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는 성형품(M)이 가진 언더컷부(U)의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즉, 두 개의 언더컷부(U)를 가진 성형품(M)의 경우에는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를 두 쌍으로 설치하면 된다.
상기 수직이젝터(6a)(6b)와 경사이젝터(8a)(8b)는 가동플레이트(4)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밀판(10a)(10b)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는 에어백장치이고, B는 에어백삽입부이며, C는 크래쉬보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100)은 용융상태의 수지를 상형(2)과 하형(3)의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가압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성형공간에서 취출함으로써 크래쉬보드(C), 센터페시아, 가니쉬, 프런트 범퍼 등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M)을 제조하는 사출금형의 하나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용 크래쉬보드(C)와 같이 언더컷부(U)로 인해 종래의 사출금형으로는 성형품(M)의 품질 향상 및 구조 개선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에 설치되는 장치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던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한 것이다.
즉, 어떠한 형태의 언더컷부(U)를 가진 성형품(M)이라도 이중사출금형(100)으로부터 아주 간단하고 손쉽게 취출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더컷부(U)를 가진 성형품(M)의 품질 향상 및 구조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형(3)의 성형공간 내저부에 수직이젝터(6a)(6b)와 경사이젝터(8a)(8b)에 의해 각각 수직으로 상승 작동되는 복수의 수직코어(5a)(5b)와 경사지게 상승 작동되는 복수의 경사코어(7a)(7b)가 상하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성형품(M)의 언더컷부(U)와 간섭이 발생하는 하형(3)의 일부를 상하로 차례대로 적층되는 복수의 코어로 구성하되, 상기 코어 중에서 상층에 위치되는 코어를 성형품(M)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도록 수직으로 상승하는 수직코어(5a)(5b)로 구성하고, 하층에 위치되는 코어는 수직코어(5a)(5b)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되는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수직코어(5a)(5b)와 간섭되지 않게 경사지게 상승하는 경사코어(7a)(7b)로 구성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가동플레이트(4)의 상승에 의해 하형(3)이 상승되어 상형(2)과 계합된 상태에서 상형(2)과 하형(3)의 사이 성형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여 일정시간 경화시킨 성형품(M)을 취출하고자 할 때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동플레이트(4)가 작동되어 하형(3)을 하강시킨 후 수직이젝터(6a)(6b)와 경사이젝터(8a)(8b)가 밀판(10a)(10b)에 의해 각각 상승되어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를 상승시키면 된다.
그러면 수직코어(5a)(5b)는 밀판(10a)(10b)에 의해 상승되는 수직이젝터(6a)(6b)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되면서 성형품(M)을 수직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경사코어(7a)(7b)는 밀판(10a)(10b)에 의해 상승되는 경사이젝터(8a)(8b)에 의해 경사지게 상승되면서 성형품(M)의 언더컷부(U)는 수직코어(5a)(5b)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즉, 도 6의 상태에서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는 각각 도 7과 같이 흰색 화살표 방향와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수직코어(5a)(5b)는 수직으로 상승되어 서로 간의 상하 간격을 유지한 상태가 되고, 경사코어(7a)(7b)는 경사지게 상승되어 서로 간의 상하 견격을 유지하면서 경사코어(7a)(7b)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성형품(M)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코어(5a)(5b)에 의해 수직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경사코어(7a)(7b)에 의해 수직코어(5a)(5b)와의 간섭 없이 하형(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에는 가이드홈(9a)(8b)이 형성됨에 따라 경사코어(7a)(7b)가 경사지게 승강되면서 그 상부면이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작동을 보다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그런 다음 하형(3)에 별도로 설치된 취출코어가 작동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수직코어(5a)(5b) 및 경사코어(7a)(7b)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형(3)에서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성형품(M)의 취출 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크래쉬보드(C)의 에어백삽입부(B)와 같이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하형(3)과 간섭되는 각도가 크더라도 상기의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의 상호 조합된 구조 및 작용을 통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크래쉬보드(C)는 도 9와 같이 에어백장치(A)의 성능을 가장 이상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에어백삽입부(B)의 설치 위치 및 각도로 구조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언더컷부(U)를 가진 성형품(M)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매우 간편하고 아주 손쉽게 취출함으로써 성형품(M)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언더컷부(U)에 의한 구조 개선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성형품(M)의 구조 개선을 통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 고정플레이트 2: 상형
3: 하형 4: 가동플레이트
5a, 5b: 수직코어 6a, 6b: 수직이젝터
7a, 7b: 경사코어 8a, 8b: 경사이젝터
9a, 9b: 가이드홈 10a, 10b: 밀판
100: 이중사출금형 M: 성형품
U: 언더컷부 C: 크래쉬보드
B: 에어백삽입부 A: 에어백장치

Claims (3)

  1. 용융상태의 수지를 가압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이 중앙에 관통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와; 고정플레이트(1)의 하부에 고정되고 성형품(M)의 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노즐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하부면에 형성된 상형(2)과; 상기 상형(2)의 하부에 계합되고 성형품(M)의 비노출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공간과 연통되는 성형공간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3)과; 상기 하형(3)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플레이트(4)로; 구성된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M)을 수직으로 밀어올리도록 수직 상승하는 복수의 수직코어(5a)(5b)가 가동플레이트(4)의 상부에 승강되게 설치한 밀판(10a)(10b)에 설치된 수직이젝터(6a)(6b)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는, 성형품(M)의 비노출부에 형성되는 언더컷부(U)를 수직코어(5a)(5b)와 간섭되지 않도록 수직코어(5a)(5b)의 수직 상승과 동시에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과 접하면서 경사 상승하는 복수의 경사코어(7a)(7b)가 상기 밀판(10a)(10b)에 설치된 경사이젝터(8a)(8b)에 의해 경사지게 승강 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어; 성형품(M)의 취출을 위해 상형(2)과 하형(3)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직코어(5a)(5b)와 경사코어(7a)(7b)가 각각 상하 연속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각각 수직 상승과 경사 상승 운동을 함으로써 성형품(M)의 언더컷부(U)를 상형(2)과 하형(3)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게 하여 성형품(M)을 손상이나 파손 없이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코어(5a)(5b)의 하부면에는 경사코어(7a)(7b)와 접하여 승강될 때 경사코어(7a)(7b)의 경사 승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경사코어(7a)(7b)의 상부면과 접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9a)(9b)이 형성된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3. 상형(2)과 하형(3)의 성형공간에 사출 경화된 언더컷부(U)를 가진 성형품(M)을 금형(100)에서 취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동플레이트(4)의 하강 운동을 통해 하형(3)을 수직으로 하강시켜 상형(2)과 하형(3)을 분리하는 단계; 하형(3)의 성형공간의 내저부에 내설되어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하형(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수직코어(5a)(5b) 및 경사코어(7a)(7b)를 각각 밀판(10a)(10b)에 의해 승강되는 수직이젝터(6a)(6b) 및 경사이젝터(8a)(8b)를 통해 동시에 수직으로 하강 및 경사지게 하강 운동시켜 성형품(M)을 하형(3)으로부터 간섭 없이 분리하는 단계; 하형(3)에 별도로 설치된 취출코어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성형품(M)의 언더컷부(U)가 수직코어(5a)(5b) 및 경사코어(7a)(7b)와 간섭되지 않도록 완전히 분리하여 성형품(M)의 취출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KR1020120022713A 2012-03-06 2012-03-06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KR10136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13A KR101363530B1 (ko) 2012-03-06 2012-03-06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13A KR101363530B1 (ko) 2012-03-06 2012-03-06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40A true KR20130101740A (ko) 2013-09-16
KR101363530B1 KR101363530B1 (ko) 2014-02-14

Family

ID=4945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13A KR101363530B1 (ko) 2012-03-06 2012-03-06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5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2628A (zh) * 2018-05-03 2018-08-21 浙江台州美多模具有限公司 双角度斜顶滑块集成联动抽芯机构
CN108819116A (zh) * 2018-08-28 2018-11-16 宁波四维尔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饰条注塑模具
CN108859027A (zh) * 2018-05-25 2018-11-23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滑脚可调的分步脱模模具
CN109109280A (zh) * 2018-10-31 2019-01-01 宁波如强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后灯壳体的注塑模具
CN109203387A (zh) * 2018-10-12 2019-01-15 浙江艾彼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包围式斜顶机构的汽车转向管柱护板模具
KR102028630B1 (ko) * 2018-04-24 2019-10-04 에이테크솔루션(주) 히든 게이트 구조를 갖는 이중사출 금형
CN110576573A (zh) * 2019-09-09 2019-12-17 昆山佳腾光电塑胶有限公司 一种折叠式斜销二次顶出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61B1 (ko) * 2020-08-14 2022-08-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내장재용 이중사출 성형금형 및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9945A (ja) 2005-03-18 2006-10-26 Toyota Motor Corp 成形品の金型
JP2007136809A (ja) 2005-11-17 2007-06-07 Fuji Heavy Ind Ltd 樹脂成形金型
KR101071731B1 (ko) * 2007-08-07 2011-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사출을 통한 크래쉬 패드 제조시 재료섞임 방지방법 및그 시스템
KR100924926B1 (ko) * 2007-10-29 2009-11-12 주식회사 신한금형 앵글러캠과 앵글러블록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 금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630B1 (ko) * 2018-04-24 2019-10-04 에이테크솔루션(주) 히든 게이트 구조를 갖는 이중사출 금형
CN108422628A (zh) * 2018-05-03 2018-08-21 浙江台州美多模具有限公司 双角度斜顶滑块集成联动抽芯机构
CN108422628B (zh) * 2018-05-03 2024-03-08 浙江台州美多模具有限公司 双角度斜顶滑块集成联动抽芯机构
CN108859027A (zh) * 2018-05-25 2018-11-23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一种滑脚可调的分步脱模模具
CN108819116A (zh) * 2018-08-28 2018-11-16 宁波四维尔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饰条注塑模具
CN109203387A (zh) * 2018-10-12 2019-01-15 浙江艾彼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包围式斜顶机构的汽车转向管柱护板模具
CN109109280A (zh) * 2018-10-31 2019-01-01 宁波如强模塑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后灯壳体的注塑模具
CN110576573A (zh) * 2019-09-09 2019-12-17 昆山佳腾光电塑胶有限公司 一种折叠式斜销二次顶出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530B1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530B1 (ko) 이중사출 성형품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금형 및 이에 적용된 언더컷 해소를 위한 이중사출 성형품의 취출방법
CN106003608A (zh) 内部多筋产品的模具顶出装置
US10226886B2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CN102672913B (zh) 注塑模具斜导柱滑块式二次脱模机构
KR100921807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US20120213883A1 (en) Injection mold
RU257296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мягкого и тонкого отформованного из смолы изделия
KR101300151B1 (ko) 성형품의 파팅라인 은폐를 위한 금형
CN104260280B (zh) 一种汽车车灯面罩成型模具
KR101454439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CN202137919U (zh) 一种嵌件注塑模具二次顶出机构
CN102825740A (zh) 塑胶模具的顶出机构
CN103587085A (zh) 一种模具二次顶出与先复位一体机构
KR101344861B1 (ko) 이중사출을 위한 터널게이트가 구비된 이중사출금형
CN205871090U (zh) 具有斜顶结构的注塑模具
CN108032489A (zh) 一种滑块中的弹簧衬套机构
KR101266823B1 (ko) 성형품의 파팅라인 은폐를 위한 금형 및 이에 적용된 파팅라인을 은폐시킨 성형품의 취출방법
CN210679560U (zh) 一种改良高筋位脱模的注塑模具
CN209869300U (zh) 一种行位先复位的模具结构
CN203726770U (zh) 一种带有顶针保护的模具
CN202180552U (zh) 模具
CN207465792U (zh) 一种倒扣结构的快速顶出结构
KR101041478B1 (ko) 양 방향 2단 코어를 포함하는 트랜스퍼 성형기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KR20150035608A (ko) 2단 취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