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188A - 서보 밸브 - Google Patents

서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188A
KR20130100188A KR1020137016509A KR20137016509A KR20130100188A KR 20130100188 A KR20130100188 A KR 20130100188A KR 1020137016509 A KR1020137016509 A KR 1020137016509A KR 20137016509 A KR20137016509 A KR 20137016509A KR 20130100188 A KR20130100188 A KR 2013010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lapper
fluid
nozzl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213B1 (ko
Inventor
도시카즈 하야시
아츠시 유게
미치야 우치다
마코토 구가
미노부 츠루타니
다이토 오구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15B13/0438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the pilot valves being of the nozzle-flapp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 Y10T137/86614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1With annular passage [e.g., sp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rvomotor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노즐과 플래퍼의 상대 위치 조정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밸브체 구동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서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5) 과, 스풀 (5) 을 유체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실 (7) 및 제 2 실 (9) 과, 제 1 실 (7) 및 제 2 실 (9) 에 기름을 공급하고, 또한, 공급하는 유절판의 압력을 조절하여 스풀 (5) 을 왕복동시키는 스풀 구동 회로 (3) 를 구비하고 있는 서보 밸브 (1) 로서, 스풀 구동 회로 (3) 는, 제 1 실 (7) 의 유체압을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함과 함께 제 2 실 (9) 로부터의 기름 출구부에 제 2 실 (9) 의 유체압을 조절하는 노즐 플래퍼 기구 (27)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서보 밸브{SERVO VALVE}
본 발명은, 서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압 또는 공기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서보 밸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서보 밸브에는, 밸브체로서 왕복 작동되는 스풀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서보 밸브에서는, 스풀을 작동시키는 기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나타내는 노즐 플래퍼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1 쌍의 노즐과, 이 양 노즐 사이에 설치한 플래퍼에 의해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플래퍼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양 노즐의 배압을 도출하고, 이 도출된 배압의 압력차에 의해, 스풀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플래퍼의 위치 변위는, 전자 코일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서보 밸브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므로, 소형이고 고속, 또한 발생력이 큰 압전 소자 (적층형 압전 소자, 바이모르프 (bi-morph) 형 압전 소자) 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2411호
그런데, 1 쌍의 노즐과, 양 노즐 사이에 설치한 플래퍼에 의해 가변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것에서는, 스풀의 동작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플래퍼는 양 노즐에 대해 각각 정면으로 마주하는 자세, 혹은 균일한 영향을 미치는 자세로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장착에 있어서 플래퍼의 위치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플래퍼의 양측에 대한 이동을 정확하게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예를 들어 적층형 압전 소자의 경우, 플래퍼의 양측에 큰 적층형 압전 소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서보 밸브가 대형화되고, 플래퍼를 이동시키는 제어계의 제어가 어려워지므로,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플래퍼의 위치 조정에 압전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과 보디 (밸브 본체) 가 접촉하면, 과전류가 흘러 플래퍼를 작동할 수 없게 되므로, 확실하게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노즐과 플래퍼의 상대 위치 조정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밸브체 구동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서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유체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에 유체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밸브체를 왕복동시키는 밸브체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서보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을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함과 함께 상기 제 2 가압부로부터의 유체 출구부에 상기 제 2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을 조절하는 노즐 플래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서보 밸브이다.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체는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의 차압에 의해 왕복동하게 된다. 즉,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의 유체압 중, 유체압이 큰 쪽의 가압부의 유체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밸브체는 이동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제 1 가압부의 유체압은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을 제 1 가압부의 유체압보다 크게 혹은 작게 조정함으로써 밸브체는 왕복동한다.
제 2 가압부로부터의 유체 출구부에 노즐 플래퍼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체 출구부에 형성된 노즐의 선단과 플래퍼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으면,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은, 크기가 일정한 제 1 가압부의 유체압에 대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플래퍼 기구는 제 2 가압부의 출구부에만 설치되어 있는, 즉, 플래퍼는 1 개의 노즐에 대향하여 설치될 뿐이므로, 노즐에 대한 플래퍼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플래퍼의 설치를 정확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밸브체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밸브 본체의 가공비를 삭감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서보 밸브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부를 대략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 1 가압부에 대한 유체 통로에 적당한 면적을 갖는 조리개를 구비하는 것 등에 의해 유체의 압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1 수압 면적과, 상기 제 2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2 수압 면적이 대략 동일 면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가압부의 유체력은, 제 1 수압 면적에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곱한 것이다. 제 2 가압부의 유체력은, 제 2 수압 면적에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곱한 것이다.
제 1 수압 면적 및 제 2 수압 면적은 대략 동일 면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의 상대적인 크기는, 각각의 유체의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가압부의 액체의 압력은, 노즐 플래퍼 기구에 의해 조정되는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 범위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의 중간 압력의 크기가 되도록 선택된다.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 바꾸어 말하면,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 바꾸어 말하면 제 1 가압부의 유체압보다 크거나 혹은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를 왕복동할 수 있다.
또한, 조절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은, 노즐 플래퍼 기구에 전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과 노즐 플래퍼 기구에 최대 전압을 가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의 대략 중간으로 동일해지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1 수압 면적과, 상기 제 2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2 수압 면적이 상이한 면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가압부의 유체력은, 제 1 수압 면적에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곱한 것이다. 제 2 가압부의 유체력은, 제 2 수압 면적에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곱한 것이다.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은, 노즐 플래퍼 기구에 의해 조정되는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 범위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의 중간 압력에 대해 제 2 수압 면적/제 1 수압 면적을 곱한 크기가 되도록 선택된다.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이 중간 압력보다 커지면,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이 제 1 가압부의 유체압보다 커지므로, 밸브체는 제 1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이 중간 압력보다 작아지면, 제 2 가압부의 유체압이 제 1 가압부의 유체압보다 작아지므로, 밸브체는 제 2 가압부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은, 제 2 가압부의 유체의 중간 압력에 대해 제 2 수압 면적/제 1 수압 면적을 곱한 크기가 되도록 선택되므로, 예를 들어 동일한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중간 압력의 크기를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대해 제 1 수압 면적/제 2 수압 면적을 곱한 크기로 하면, 제 1 가압부에는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그대로 도입하도록 해도 중간 압력과 동일 압력으로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가압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중간 압력을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제 1 수압 면적/제 2 수압 면적을 곱한 크기로 함으로써, 제 1 가압부의 유체의 압력을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가압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정하는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체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이 더욱 단순화되므로, 밸브 본체의 가공비를 더욱 삭감할 수 있고, 서보 밸브를 더욱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위량이 비교적 크고,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를 사용하므로, 전원 부분을 포함하여 작은 노즐 플래퍼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는 비교적 저가인 것과 함께, 서보 밸브를 더욱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적층형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플래퍼는, 1 개의 노즐에 대해 거리를 조정하므로, 그것을 이동시키는 적층형 압전 소자는 1 개이면 된다. 이 때문에, 플래퍼의 양측에 각각 큰 적층형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것에 비해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서보 밸브를 비교적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플래퍼를 이동시키는 제어계의 컨트롤도 비교적 용이해진다.
이들에 의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는,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토크 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실적이 있는 토크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는 서보 밸브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서보 밸브에 의하면, 제 1 가압부의 압력을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함과 함께 제 2 가압부로부터의 유체 출구부에 상기 제 2 가압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노즐 플래퍼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노즐 플래퍼 기구에 있어서의 노즐에 대한 플래퍼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플래퍼의 설치를 정확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밸브체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밸브 본체의 가공비를 삭감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서보 밸브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풀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플래퍼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퍼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퍼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퍼부의 양생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풀 구동 회로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풀 구동 회로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풀 구동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플래퍼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X-X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Y-Y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풀 구동 회로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부분 회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Z-Z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밸브 (1) 에 대해 도 1∼도 6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서보 밸브 (1) 의 스풀 구동 회로 (밸브체 구동 회로) (3) 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는, 노즐 플래퍼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서보 밸브 (1) 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풀 (밸브체) (5) 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 (5) 은, 그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스풀 (5) 의 축선 방향 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스풀 (5) 의 양단부에는, 스풀 (5) 측이 개방되어 있는 공간인 제 1 실 (제 1 가압부) (7) 및 제 2 실 (제 2 가압부) (9) 이 구비되어 있다.
스풀 구동 회로 (3) 에는, 기름 (유체) 을 공급하는 펌프 (11) 가 구비되어 있다. 펌프 (11) 로부터의 기름은, 제 1 통로 (13) 와 제 2 통로 (15) 로 분기된다. 제 1 통로 (13) 를 통과하는 기름은, 제 1 실 (7) 에 공급됨과 함께 탱크 (17) 로 되돌아온다.
제 2 통로 (15) 를 통과하는 기름은, 제 2 실 (9) 에 공급된 후, 배관 (19) 으로 배출된다. 배관 (19) 으로 배출된 기름은 탱크 (17) 로 되돌아온다.
제 1 실 (7) 및 제 2 실 (9) 의 기름이 작용하는 스풀 (5) 의 수압 면적은 대략 동일 면적으로 되어 있다. 제 1 실 (7) 및 제 2 실 (9) 의 기름이 스풀 (5) 에 작용하는 유체압의 차압은, 기름의 압력의 차압에 비례한다.
제 1 통로 (13) 에는, 제 1 실 (7) 보다 상류측에 제 1 조리개 (21) 와, 제 1 실 (7) 의 하류측에 압력 조정 조리개 (23) 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조리개 (21) 는, 예를 들어 오리피스가 되고, 제 1 실 (7) 에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을 규정하는 것이다. 제 1 실 (7) 에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 (P1) 은, 예를 들어 펌프 (11) 로부터 분출되는 기름의 압력 (Ps) 의 대략 절반으로 되어 있다.
압력 조정 조리개 (23) 는, 개구 면적이 가변이 되고, 제 1 실 (7) 의 기름의 압력 크기를 조정한다.
제 2 통로 (15) 에는, 제 2 실 (9) 의 상류측에 제 2 조리개 (25) 와, 하류단에 노즐 플래퍼 기구 (27) 가 구비되어 있다.
제 2 조리개 (25) 는, 예를 들어 오리피스가 되고, 그 개구 면적은 제 1 조리개 (21) 의 개구 면적과 동일한 크기이다. 노즐 플래퍼 기구 (27) 에는, 제 2 통로 (15) 의 하류단에 장착된 노즐 (29) 과, 노즐 (29) 의 개구부 (33) 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조리개를 구성하는 플래퍼부 (31) 가 구비되어 있다. 노즐 (29) 은 조리개 기구인데, 그 개구부 (33) 의 개구 면적은, 원점 위치 (플래퍼 (35) 에 전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 에서는, 압력 조정 조리개 (23) 의 개구 면적과 동일해지므로, 제 2 실 (9) 의 기름의 압력은, 제 1 실 (7) 의 기름의 압력과 동일해진다.
플래퍼 (35) 가 원점 위치로부터 노즐 (29) 보다 멀어져 개구부 (33) 의 면적이 커지면, 제 2 실 (9) 의 기름의 압력은, 제 1 실 (7) 의 기름의 압력보다 작아진다. 반대로 플래퍼 (35) 가 원점 위치로부터 노즐 (29) 에 가까워져 개구부 (33) 의 면적이 작아지면, 제 2 실 (9) 의 기름의 압력은, 제 1 실 (7) 의 기름의 압력보다 커진다.
따라서, 원점 위치에 있어서의 제 2 실 (9) 의 기름의 압력은, 노즐 플래퍼 기구 (27) 에 의해 조정되는 범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 압력이다.
도 3 은, 플래퍼부 (31)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플래퍼부 (31) 에는, 플래퍼 (35) 와, 플래퍼 (35) 를 유지하는 케이스 (37) 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 (37) 는, 금속제이며, 일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다.
플래퍼 (35) 는, 금속판 (39) 의 양면에, 2 장의 판상의 압전 소자 (41, 43) 를 첩합 (貼合) 한 구성, 즉,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판 (39), 압전 소자 (41, 43) 의 일단부에는 전선 (45) 이 장착되어 있다. 금속판 (39) 은 접지되고, 압전 소자 (41) 에는 정 (正) 의 전압이, 압전 소자 (43) 에는 부 (負) 의 전압이 가해져 있다.
플래퍼 (35) 의 일단부는, 케이스 (37) 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전선 (45) 과 함께 접착재 (47) 에 의해 케이스 (37) 에 고정되어 있다. 접착재 (47) 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수지이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의 몰드제가 사용된다.
플래퍼 (35) 와 노즐 (29) 의 선단 외주단 (49)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이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스로틀량이 된다. 이 측면적이 개구부 (33) 의 개구 면적과 동일해지는 위치는 노즐 플래퍼 기구 (27) 가 조리개 기능을 발휘하는 한계 위치이다. 즉, 플래퍼 (35) 가 이 위치보다 노즐 (29) 로부터 멀어지면 조리개 효과가 노즐 (29) 의 조리개 효과보다 작아지므로, 노즐 플래퍼 기구 (27) 는 조리개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플래퍼 (35) 는, 이 한계 위치와 플래퍼 (35) 및 노즐 (29) 이 접촉하는 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한계 위치와 플래퍼 (35) 및 노즐 (29) 이 접촉하는 위치 사이를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 플래퍼부 (31) 의 조립 방법에 대해 도 4∼도 6 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금속판 (39) 의 양면에, 판상의 압전 소자 (41, 43) 를 첩부한다.
이어서, 금속판 (39) 및 압전 소자 (41, 43) 의 일단에 전선 (45) 을, 예를 들어 땜납에 의해 접합한다.
다음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39) 및 압전 소자 (41, 43) 와 전선 (45) 의 접점 주변 부분을 접착재 (47) 에 의해 고정시키고, 플래퍼 (35) 를 형성한다.
이 때, 접착재 (47) 는 양이 적기 때문에, 전선 (45) 을 변형시키는 등의 사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즉, 접점이 이탈하는, 전선 (45) 이 케이스에 접촉하는 형태로 변형되는 일이 없다.
이 접착재 (47) 가 경화된 후, 전기 회로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확실하게 절연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이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플래퍼 (35) 를 케이스 (37) 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고, 케이스 (37) 의 내부 공간에 접착재 (47) 를 주입한다.
이 접착재 (47) 의 주입에 의해 플래퍼 (35) 에는 큰 힘이 작용하는데, 금속판 (39) 및 압전 소자 (41, 43) 와 전선 (45) 의 접점은, 상기 경화시킨 접착재 (47) 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므로, 그것들이 이탈하는 일은 없다. 또, 전선 (45) 의 가동 부분도 길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37) 에 접촉할 정도로 크게 변형되지는 않는다.
도 5 의 상태에서, 추가한 접착재 (47) 를 경화시키기 위해 양생한다.
이 때, 케이스 (37) 의 선단면 (51) 과 플래퍼 (35) 의 면이 직교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교 상태를 유지하는 제 1 지그 (53) 및 제 2 지그 (55) 에 설치하여 양생을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제 1 지그 (53) 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한 관통공 (57) 을 갖고 있다. 관통공 (57) 의 일단부에는, 케이스 (37) 의 선단면 (51) 이 관통공과 직교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확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그 (55) 는, 일단측이 관통공 (57) 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그 (55) 에는, 플래퍼 (35) 가 삽입되는 관통공 (59)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7) 과 관통공 (59) 은,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케이스 (37) 를 플래퍼 (35) 측으로부터 관통공 (57) 에 삽입하고, 확대부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제 2 지그 (55) 를 관통공 (57) 의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플래퍼 (35) 의 선단부를 관통공 (59) 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 (37) 의 선단면 (51) 과 플래퍼 (35) 의 면이 직교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생하면, 접착재 (47) 가 경화되고, 플래퍼 (35) 는, 케이스 (37) 의 선단면 (51) 과 플래퍼 (35) 의 면이 직교하는 형태로 케이스 (37) 에 고정된다.
또한, 플래퍼부 (31) 를 제 1 지그 (53) 및 제 2 지그 (55) 로 유지한 상태에서, 접착재 (47) 를 주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풀 구동 회로 (3)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11) 가 작동되고, 기름이 공급되면, 공급된 기름은 분기되어 제 1 통로 (13) 및 제 2 통로 (15) 에 흘러 들어간다. 제 1 통로 (13) 에 흘러 들어간 기름은, 제 1 조리개 (21) 로 감압되고, 제 1 실 (7) 에 유입됨과 함께 압력 조정 조리개 (23) 를 통과하여 탱크 (17) 로 되돌아온다.
제 2 통로 (15) 에 유입된 기름은, 제 2 조리개 (25) 로 감압되고, 제 2 실 (9) 에 유입된다. 기름은 제 2 실 (9) 로부터 노즐 플래퍼 기구 (27) 를 통과하여 배관 (19) 으로 배출되고, 배관 (19) 으로부터 탱크 (17) 로 되돌아온다.
이 때, 플래퍼 (35) 가 원점에 위치하고 있으면, 개구부 (33) 의 개구 면적은 압력 조정 조리개 (23) 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므로, 제 2 실 (9) 의 압력은 제 1 실 (7) 의 압력과 동일해지고, 제 1 실 (7) 과 제 2 실 (9) 사이의 차압은 0 이 된다. 이 차압이 0 인 상태에서는 스풀 (5) 은 정지 상태가 된다.
플래퍼 (35) 에 +(-) 의 전압을 가하면, 플래퍼 (35) 는 노즐 (29) 측으로 변위되고, 플래퍼 (35) 와 노즐 (29) 의 선단 외주단 (49)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 즉,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스로틀량은 압력 조정 조리개 (23) 보다 작아진다.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스로틀량이 작아지면,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조리개 효과가 노즐 (29) 의 조리개 효과보다 커지므로, 제 1 실 (7) 보다 제 2 실 (9) 의 압력이 커지고, 제 1 실 (7) 과 제 2 실 (9)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이 차압에 의해 스풀 (5) 은 제 1 실 (7) 측으로 이동한다.
플래퍼 (35) 에 -(+) 의 전압을 가하면, 플래퍼 (35) 는 노즐 (29)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플래퍼 (35) 와 노즐 (29) 의 선단 외주단 (49)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 즉,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스로틀량은 압력 조정 조리개 (23) 보다 커진다.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스로틀량이 압력 조정 조리개 (23) 보다 커지면, 제 1 실 (7) 보다 제 2 실 (9) 의 압력이 작아지고, 제 1 실 (7) 과 제 2 실 (9)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이 차압에 의해 스풀 (5) 은 제 2 실 (9) 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 (7) 에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은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노즐 플래퍼 기구 (27) 를 이용하여 제 2 실 (9) 의 압력을 제 1 실 (7) 의 압력보다 크거나 혹은 작게 조정함으로써 스풀 (5) 은 왕복동한다.
이 노즐 플래퍼 기구 (27) 는, 제 2 통로 (15) 의 단부, 즉, 제 2 실 (9) 의 출구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래퍼 (35) 는 1 개의 노즐 (29) 에 대향하여 설치될 뿐이다. 따라서, 노즐 (29) 에 대한 플래퍼 (35) 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플래퍼부 (31) 의 설치를 정확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스풀 구동 회로 (3) 의 회로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밸브 본체의 가공비를 삭감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서보 밸브 (1) 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 플래퍼 (35) 로서 변위량이 비교적 크고,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전원 부분을 포함하여 작은 노즐 플래퍼 기구 (27) 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는 비교적 저가인 것과 함께, 서보 밸브 (1) 를 더욱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플래퍼 (35)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형 압전 소자 (61) 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플래퍼 (35) 는, 1 개의 노즐 (29) 에 대해 거리를 조정하므로, 그것을 이동시키는 적층형 압전 소자 (61) 는 1 개면 된다.
이 때문에, 플래퍼 (35) 의 양측에 각각 큰 적층형 압전 소자 (61) 를 구비하는 것에 비해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서보 밸브 (1) 를 비교적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플래퍼 (35) 를 이동시키는 제어계의 컨트롤도 비교적 용이해진다.
이들에 의해, 적층형 압전 소자 (61) 를 이용해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보 밸브 (1) 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노즐 플래퍼 기구 (27) 의 플래퍼 (3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동작을 실시하는 토크 모터 (63) 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실적이 있는 토크 모터 (63) 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는 서보 밸브 (1) 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압 액추에이터 (도시 생략) 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밸브 (71) 에 대해 도 9∼도 12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서보 밸브 (71) 의 스풀 구동 회로 (밸브체 구동 회로) (73) 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 은, 노즐 플래퍼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X-X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Y-Y 단면도이다.
서보 밸브 (71) 에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보디 (75) 와, 보디 (75) 의 내부 공간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풀 (밸브체) (77) 이 구비되어 있다.
스풀 (77) 에는, 미끄러짐면이 되는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랜드부 (79) 가 구비되어 있다. 스풀 (77) 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들 랜드부 (79)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들 랜드부 (79) 는, 축선 방향의 위치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스풀 (77) 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랜드부 (79a) 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 1 봉체 (8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봉체 (81) 는 그 동작을 차동 변압기 (83) 에 전달한다. 차동 변압기 (83) 는, 스풀 (77) 의 축선 방향 위치를 검출한다.
랜드부 (79a) 의 외측에, 제 1 봉체 (81) 를 포위하도록 제 1 실 (제 1 가압부) (85) 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77) 의 타단 부분에 형성된 랜드부 (79b) 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 2 봉체 (87) 가 형성되어 있다. 랜드부 (79b) 의 외측에, 제 2 봉체 (87) 를 포위하도록 제 2 실 (제 2 가압부) (89) 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구동 회로 (73) 에는, 주통로 (93) 를 통과하여 기름을 공급하는 펌프 (91) 가 구비되어 있다. 주통로 (93) 에는 압력 조정 밸브 (95) 가 형성되고, 대략 일정한 압력의 기름이 공급된다.
주통로 (93) 는, 제 1 통로 (97) 와 제 2 통로 (99) 로 분기된다. 제 1 통로 (97) 를 통과하는 기름은, 제 1 실 (85) 에 공급되고, 배관 (101) 을 경유하여 복귀 통로 (103) 를 통과하여 탱크 (105) 로 되돌아온다. 제 1 실 (85) 에는, 주통로 (93) 에서 공급되는 기름이 그대로 공급되고 있다. 이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은, 펌프 (91) 가 분출하는 압력 (Ps) 이다.
제 2 통로 (99) 를 통과하는 기름은, 제 2 실 (89) 에 공급된 후, 배관 (107) 을 경유하여 복귀 통로 (103) 를 통과하여 탱크 (105) 로 되돌아온다.
제 1 봉체 (81) 는 제 1 실 (85) 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랜드부 (79a) 가 제 1 실 (85) 에 공급된 기름으로부터 압력을 받는 제 1 수압 면적 (A1)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드부 (79a) 의 면적으로부터 제 1 봉체 (81) 의 단면적을 줄인 크기가 된다.
제 2 봉체 (87) 는 제 2 실 (89) 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랜드부 (79b) 가 제 2 실 (89) 에 공급된 기름으로부터 압력을 받는 제 2 수압 면적 (A2)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드부 (79b) 의 면적으로부터 제 2 봉체 (87) 의 단면적을 줄인 크기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압 면적 (A1) 이 제 2 수압 면적 (A2) 의 대략 절반의 크기가 되도록 제 1 봉체 (81) 및 제 2 봉체 (87) 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압 면적 (A1) 및 제 2 수압 면적 (A2) 의 면적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통로 (99) 에는, 제 2 실 (89) 의 상류측에, 예를 들어 오리피스로 구성된 입구 조리개 (109) 가 구비되어 있다. 배관 (107) 에는, 노즐 플래퍼 기구 (111) 가 구비되어 있다.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에는, 배관 (107) 에 장착된 노즐 (113) 과, 노즐 (113) 의 개구부 (115) 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조리개를 구성하는 플래퍼부 (117) 가 구비되어 있다.
플래퍼부 (117) 에는, 플래퍼 (119) 와, 플래퍼 (35) 를 작동시키는 복수의 압전 소자가 적층된 적층형 압전 소자 (121) 가 구비되어 있다.
플래퍼 (119) 와 노즐 (113) 의 선단 외주단 (123)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이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스로틀량이 된다.
이 측면적이 개구부 (115) 의 개구 면적과 동일해지는 위치 (도 10 의 상태) 는 노즐 플래퍼 기구 (111) 가 조리개 기능을 발휘하는 한계 위치이다. 즉, 플래퍼 (119) 가 이 위치보다 노즐 (113) 로부터 멀어지면 조리개 효과가 노즐 (113) 의 조리개 효과보다 작아지므로, 노즐 플래퍼 기구 (111) 는 조리개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플래퍼 (119) 는, 이 한계 위치와 플래퍼 (119) 및 노즐 (113) 이 접촉하는 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그 위치를 중심 (원점) 으로 하여, 한계 위치와 플래퍼 (119) 및 노즐 (113) 이 접촉하는 위치의 사이, 즉, 조정 범위 (C) 의 사이를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퍼 (119) 가 원점 위치에 있을 때, 제 1 실 (85) 의 기름의 압력 (P1) 은, 펌프 (91) 가 공급하는 압력 (Ps) 과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노즐 플래퍼 (111) 의 제원 (諸元) 이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풀 구동 회로 (73)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펌프 (91) 가 작동되면, 탱크 (105) 로부터 주통로 (93) 를 통과하여 기름이 공급된다. 이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 (Ps) 은, 압력 조정 밸브 (95) 에 의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주류로 (93) 를 흐르는 기름은 분기되어 제 1 통로 (97) 및 제 2 통로 (99) 로 흘러 들어간다.
제 1 통로 (97) 로 흘러 들어간 기름은, 그대로 제 1 실 (85) 에 유입되고, 배관 (101) 및 복귀 통로 (103) 를 통과하여 탱크 (105) 로 되돌아온다.
제 2 통로 (99) 에 유입된 기름은, 입구 조리개 (109) 로 감압되고, 제 2 실 (89) 에 유입된다. 기름은 제 2 실 (89) 로부터 배관 (107) 으로 배출되고, 노즐 플래퍼 기구 (111) 를 통과하여 복귀 통로 (103) 로부터 탱크 (105) 로 되돌아온다.
이 때, 플래퍼 (119) 가 원점에 위치하고 있으면, 제 1 실 (85) 의 기름의 압력 (P1) 은, 펌프 (91) 가 공급하는 압력 (Ps) 과 대략 동일, 즉, P1 = Ps 이다. 제 1 실 (85) 의 기름이 랜드부 (79a) 에 작용하는 힘 (유체압) (F1) 은, F1 = A1 × Ps 가 된다.
한편, 제 2 실 (89) 의 기름의 압력 (P2) 은, 펌프 (91) 가 공급하는 압력 (Ps) 의 대략 절반, 즉, P2 = Ps/2 이다. 제 2 실 (89) 의 기름이 랜드부 (79b) 에 작용하는 힘 (유체압) (F2) 은, F2 = A2 × Ps/2 가 된다.
A2 = 2 × A1 이므로, 힘 (F2) 은, F2 = 2 × A1 × Ps/2 = A1 × Ps 가 된다. 힘 F1 과 힘 F2 는 동일한 크기가 되므로, 양자의 차압은 0 이 된다. 이 차압이 0 인 상태에서는 스풀 (77) 은 정지 상태가 된다.
적층형 압전 소자 (121) 에 전압을 가하고, 플래퍼 (119) 를 노즐 (113) 측으로 변위시키면, 플래퍼 (119) 와 노즐 (113) 의 선단 외주단 (123)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 즉,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스로틀량은 원점 위치에 있을 때보다 작아진다.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스로틀량이 작아지면,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조리개 효과가 커지므로, 제 2 실 (89) 의 기름의 압력 (P2) 은, Ps/2 보다 커진다.
압력 (P2) 이 커지면, 제 2 실 (89) 의 기름이 랜드부 (79b) 에 작용하는 힘 (F2) 이 커지므로, 힘 (F2) 은 크기가 일정한 제 1 실 (85) 의 힘 (F1) 보다 커진다.
이 차압에 의해 스풀 (77) 은 제 1 실 (85) 측으로 이동한다.
적층형 압전 소자 (121) 에 반대의 전압을 가하고, 원점 위치에 있는 플래퍼 (119) 를 노즐 (113)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플래퍼 (119) 와 노즐 (113) 의 선단 외주단 (123) 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측면적, 즉,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스로틀량은 원점 위치에 있을 때보다 커진다.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스로틀량이 커지면,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조리개 효과가 작아지므로, 제 2 실 (89) 의 기름의 압력 (P2) 은, Ps/2 보다 작아진다.
압력 (P2) 이 작아지면, 제 2 실 (89) 의 기름이 랜드부 (79b) 에 작용하는 힘 (F2) 이 작아지므로, 힘 (F2) 은 크기가 일정한 제 1 실 (85) 의 힘 (F1) 보다 작아진다.
이 차압에 의해 스풀 (77) 은 제 2 실 (89) 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 (85) 에 공급되는 기름의 압력, 즉, 랜드부 (79a) 에 작용하는 힘 (F1) 은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노즐 플래퍼 기구 (111) 를 이용하여 제 2 실 (89) 의 기름의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 (77) 은 왕복동한다.
이 노즐 플래퍼 기구 (111) 는, 배관 (107), 즉, 제 2 실 (89) 의 출구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래퍼 (119) 는 1 개의 노즐 (113) 에 대향하여 설치될 뿐이다.
따라서, 노즐 (113) 에 대한 플래퍼 (119) 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플래퍼부 (117) 의 설치를 정확하게,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스풀 구동 회로 (73) 의 회로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밸브 본체의 가공비를 삭감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서보 밸브 (71) 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 1 실 (85) 에 펌프 (91) 로부터 공급되는 기름이 그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바꾸어 말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조리개 (21) 및 압력 조정 조리개 (23) 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밸브체 구동 회로 (73) 의 회로 구성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압력 조정 조리개 (23) 등의 조정이 불필요해지므로, 조정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서보 밸브 (71) 본체의 가공비를 더욱 삭감할 수 있고, 서보 밸브 (71) 를 더욱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조리개 (21) 및 압력 조정 조리개 (23) 를 사용하면, 제 1 조리개 (21) 및 압력 조정 조리개 (23) 로 격리되므로, 제 1 실 (85) 을 포함하는 제 1 조리개 (21) 및 압력 조정 조리개 (23) 까지의 공간이 큰 용적실을 구성한다. 이 때문에, 이 공간 내의 기름의 스프링 상수가 커지므로, 공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리개 (21) 및 압력 조정 조리개 (23) 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진을 회피할 수 있고, 높은 주파수에서의 구동에 있어서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 플래퍼 기구 (111) 의 플래퍼 (119) 는, 적층형 압전 소자 (121) 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저전압으로 구동할 수 있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원 부분을 포함하여 작은 노즐 플래퍼 기구 (111) 를 구성할 수 있다.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는 비교적 저가인 것과 함께, 서보 밸브 (71) 를 더욱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니어 동작을 실시하는 토크 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실적이 있는 토크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조정을 실시할 수 있는 서보 밸브 (71) 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압 면적 (A1) 과 제 2 수압 면적 (A2) 을 제 1 봉체 (81) 및 제 2 봉체 (87) 의 단면적의 크기로 조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봉체 (81) 및 제 2 봉체 (87) 의 단면적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고, 랜드부 (79a) 및 랜드부 (79b) 의 면적을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압 면적 (A1) 이 제 2 수압 면적 (A2) 의 대략 절반이 되도록 하고 있는데, 제 1 수압 면적 (A1) 과 제 2 수압 면적 (A2) 의 비율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실 (85) 의 기름의 압력이, 플래퍼 (119) 가 원점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제 2 실 (89) 의 기름의 압력에 대해 제 2 수압 면적 (A2)/제 1 수압 면적 (A1) 을 곱한 크기가 되도록 각 압력, 그리고 제 1 수압 면적 (A1) 및 제 2 수압 면적 (A2) 의 크기를 선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을 실시해도 된다.
1 : 서보 밸브
3 : 스풀 구동 회로
5 : 스풀
7 : 제 1 실
9 : 제 2 실
35 : 플래퍼
61 : 적층형 압전 소자
63 : 토크 모터
71 : 서보 밸브
73 : 스풀 구동 회로
77 : 스풀
85 : 제 1 실
89 : 제 2 실
119 : 플래퍼
121 : 적층형 압전 소자

Claims (4)

  1.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체와, 그 밸브체를 유체압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에 유체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밸브체를 왕복동시키는 밸브체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서보 밸브로서,
    상기 밸브체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을 대략 일정한 크기로 유지함과 함께 상기 제 2 가압부의 유체 출구부에 상기 제 2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을 조절하는 노즐 플래퍼 기구와,
    펌프로부터 공급된 상기 유체가 분기되는 제 1 통로 및 제 2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가압부에 상기 유체를 유도하도록 접속됨과 함께, 그 제 1 가압부의 하류측에 개구 면적이 가변으로 된 압력 조정 조리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2 가압부에 상기 유체를 유도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1 수압 면적과, 상기 제 2 가압부의 유체가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제 2 수압 면적이 대략 동일 면적으로 되고,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원점 위치에서, 그 노즐 플래퍼 기구의 노즐 개구 면적에 대해 상기 압력 조정 조리개의 개구 면적이 동일해지도록 조정하여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과 상기 제 2 가압부의 상기 유체압을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바이모르프형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적층형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플래퍼 기구의 플래퍼는, 토크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 밸브.
KR1020137016509A 2008-08-08 2009-05-29 서보 밸브 KR101335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6370 2008-08-08
JPJP-P-2008-206370 2008-08-08
JP2009105444A JP5232714B2 (ja) 2008-08-08 2009-04-23 サーボ弁
JPJP-P-2009-105444 2009-04-23
PCT/JP2009/059859 WO2010016314A1 (ja) 2008-08-08 2009-05-29 サーボ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314A Division KR20110020949A (ko) 2008-08-08 2009-05-29 서보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188A true KR20130100188A (ko) 2013-09-09
KR101335213B1 KR101335213B1 (ko) 2013-11-29

Family

ID=41663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509A KR101335213B1 (ko) 2008-08-08 2009-05-29 서보 밸브
KR1020117002314A KR20110020949A (ko) 2008-08-08 2009-05-29 서보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314A KR20110020949A (ko) 2008-08-08 2009-05-29 서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16896A1 (ko)
EP (1) EP2309135A4 (ko)
JP (1) JP5232714B2 (ko)
KR (2) KR101335213B1 (ko)
CN (1) CN102112754A (ko)
WO (1) WO2010016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1330B2 (ja) * 2011-02-28 2015-09-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動弁装置
US9739393B2 (en) 2014-02-05 2017-08-22 Pentair Flow Control Ag Valve controller with flapper nozzle pilot valve
JP6278558B2 (ja) * 2014-02-27 2018-02-1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パイロット圧調整装置、サーボ弁、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FR3063279B1 (fr) * 2017-02-24 2019-04-19 Safran Landing Systems Servovalve de regulation de pression a debit de fuite reduit
EP3502486B1 (en) 2017-12-22 2020-10-2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ervo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2999A (en) * 1955-11-01 1961-02-28 Sanders Associates Inc Two-stage, differential, hydraulic servo valve
US2962002A (en) * 1956-04-10 1960-11-29 Sanders Associates Inc Two-stage hydraulic servo valve
US3152612A (en) * 1956-09-28 1964-10-13 Gen Electric Piezoelectric crystal transducer for controlling fluid flow
DE1069972B (ko) * 1957-01-30 1959-11-26
US3447555A (en) * 1965-05-24 1969-06-03 Bell Aerospace Corp Hydraeric position monitoring apparatus
US3555970A (en) * 1968-08-08 1971-01-19 Bell Aerospace Corp Pressure regulator for servo valve having dynamic load adaptive response
JPS483270B1 (ko) * 1969-07-12 1973-01-30
JPS6139111A (ja) * 1984-07-31 1986-02-25 Tokyo Keiki Co Ltd 位置追従式比例ソレノイド形スプ−ル弁
US4617952A (en) * 1984-07-31 1986-10-21 Yamatake-Honeywell Co. Limited Switching valve and an electro-pneumatic pressure converter utilizing the same
FR2583115B1 (fr) * 1985-06-10 1989-03-10 Centre Techn Ind Mecanique Transducteur electrofluidique du type buse/palette et servovalve hydraulique equipee d'un tel transducteur
GB8717637D0 (en) * 1987-07-24 1987-09-03 Lucas Ind Plc Fluid metering valve
JPH0366988A (ja) * 1989-08-04 1991-03-22 Nippon Muugu Kk プレッシャー・スイッチ・マニホールド
US5314118A (en) * 1991-02-14 1994-05-24 Mannesmann Rexroth Gmbh Piezoelectric controllable nozzle resistance for hydraulic apparatus
JPH0754672A (ja) * 1993-08-11 1995-02-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ービンの燃料流量制御装置
JP2001082411A (ja) * 1999-09-17 2001-03-27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ディジタル弁
US6755205B1 (en) * 2002-09-12 2004-06-29 Woodward Governor Company Method to stabilize a nozzle flapper valve
DE102004023553B3 (de) * 2004-05-13 2006-01-26 Danfoss A/S Hydraulik-Ventilanordnung, insbesondere Wasserhydraulik-Ventilanordnung
FR2873828B1 (fr) * 2004-07-27 2006-10-20 In Lhc Soc Par Actions Simplif Servovalve de regulation de pression a debit de fuite reduit
US20060232166A1 (en) * 2005-04-13 2006-10-19 Par Technologies Llc Stacked piezoelectric diaphragm members
US8082952B2 (en) * 2008-08-22 2011-12-27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Piezoelectric bending element actuator for servo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9135A4 (en) 2013-12-11
KR101335213B1 (ko) 2013-11-29
US20120216896A1 (en) 2012-08-30
CN102112754A (zh) 2011-06-29
KR20110020949A (ko) 2011-03-03
JP2010060128A (ja) 2010-03-18
JP5232714B2 (ja) 2013-07-10
EP2309135A1 (en) 2011-04-13
WO2010016314A1 (ja)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213B1 (ko) 서보 밸브
KR101328280B1 (ko) 유압 조정 밸브
US7857605B2 (en) Inlet throttle controlled liquid pump with cavitation damage avoidance feature
US20060284129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10359124B2 (en) Valve system in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20080236381A1 (en) Positioning control mechanism for double-acting air cylinder
US9133728B2 (en) Fluid pressure reversing valve
US20160160886A1 (en) Improvements in hydraulic servovalves
JP6015398B2 (ja) 燃料噴射弁
CN102405344A (zh) 用于喷射阀的阀组件和喷射阀
CN113357066A (zh) 一种共轨喷油器
JP2012229812A (ja) サーボ弁
CA2829146C (en) Improvements in servovalve actuation
KR20140022457A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펌프
US20140199192A1 (en) Fuel injection pump
JP2005534851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器
KR100698894B1 (ko) 압전밸브
EP1093543B1 (en) Flexible armature for fuel injection system control valve
US6662783B2 (en) Digital valve
KR20120001036U (ko) 3포트 압전 밸브
JP4537157B2 (ja) アキュムレータ燃料噴射系用の調圧弁
WO2020136025A1 (en) A fuel flow path for a valve group of a fuel injector
JP2021001656A (ja) 油圧ブースタ装置
JP2021001655A (ja) 油圧ブース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