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694A -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694A
KR20130099694A KR1020120021394A KR20120021394A KR20130099694A KR 20130099694 A KR20130099694 A KR 20130099694A KR 1020120021394 A KR1020120021394 A KR 1020120021394A KR 20120021394 A KR20120021394 A KR 20120021394A KR 20130099694 A KR20130099694 A KR 2013009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odenin
skin
presen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199B1 (ko
Inventor
김상철
신승우
김승범
정은선
이종성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199B1/ko
Priority to PCT/KR2012/001994 priority patent/WO2013129723A1/en
Publication of KR2013009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8Aryloxyalkylamines, e.g. propranolol, tamoxifen, phenoxybenz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5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효성분인 호데닌은 우수한 피부 상태 개선(skin conditions improvement) 효과를 가지며,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포함한다. 호데닌은 콜라겐 합성의 촉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며 특히 프로파페논과 적절한 비율의 조성물로 제조되었을 때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호데닌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기전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품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본 발명은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주름개선효과, 피부미백효과, 항염증효과, 항산화효과,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가 우수한 호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름은 피부의 노화로 생기며, 노화된 피부라 함은 노화의 과정과 연관된 자연적 변화의 총체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피부표면 전체에서 나이와 관련된 피부 기능, 구조 또는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된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현상이다.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이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 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의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쇄 및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호데닌의 콜라겐과 콜라게네이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밝혀져 있지 않았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인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피부손상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이로신(tyrosine)을 멜라닌 중합체 생성의 중간산물인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피부 흑화과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환경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탈모 발생율이 높아지고, 발생연령도 낮아지고 있으며, 피부면역시스템의 부조화가 초래되어 아토피, 건선과 같은 다양한 피부질환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스턴트 음식, 육류중심으로의 식생활 변화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비만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가지 병적 현상, 예를 들어, 내인성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주름발생, 기미 또는 주근깨, 비만, 면역불균형 및 탈모 등과 같은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주름개선 효과, 피부미백 효과, 탈모 방지 또는 발모촉진 효과,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신규의 물질을 천연유래 화합물을 대상으로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의 일환으로 식물유래 화합물을 대상으로 유효물질을 검색한 결과, 호데닌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게네이즈 효소를 억제하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면 그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상태 개선, 항염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상태 개선, 염증반응 억제,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 및 이들과 관련된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을 개선,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설명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범위에서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염증억제용 조성물을 염증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염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호데닌은 콜라겐 합성의 촉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하고,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프로파페논과 적절한 비율의 조성물로 제조되었을 때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나아가, 호데닌은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반응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효과 및 활성산소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탁월한 안전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호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증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 등의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된 화장료, 약품 및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호데닌에 의한 콜라겐(타입 I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은 인체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프로파페논, 호데닌 조성물에 의한 멜라닌 합성 감소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호데닌의 모낭 진피 유두 세포(hair follicle dermal papilla)의 세포증식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호데닌은 사초과 식물, 발아보리(sprouted barley, Hordeum vulgare), 선인장(Cactus), 광귤(Citrus aurantium) 등에 존재하는 페네틸라민 알칼로이드 계열의 물질로 대표적으로는 항균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드레너직 프로토알칼로이드 계열인 시네프린(synephrine)과 함께 교감신경을 항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바, 이를 통해 체중감소를 유도하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02/0058075호에는 호데닌을 포함한 시트러스 유래 조성물이 신체운동능력을 증가시켜 체중감소 효과가 있음을 개시되어 있다. 호데닌은 N,N-디메틸타이라민( N,N-dimethyltyramine)으로 표기될 수 있으며 IUPAC 명은 4-(2-디메틸아미노에틸)페놀(4-(2-dimethylaminoethyl)phenol))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01
이러한 호데닌은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서 사초과 식물, 발아보리(sprouted barley, Hordeum vulgare), 선인장(Cactus), 광귤(Citrus aurantium) 등으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호데닌은 상기의 자연원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데닌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추출 용매 외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추출 조건(온도, 시간 등)은 상기 추출 용매의 성질에 따라 당업자가 자명하게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호데닌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예를 들어, Chromadex 사의 hordenin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상태의 모든 형태의 호전 및 양호화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주름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주름개선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독성도 낮으면서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및 콜라겐 합성의 촉진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이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인 주름 개선은 통상적인 피부 보호용도(주름의 예방, 주름의 제거, 피부 노화 억제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 용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침착으로 야기되는 피부의 흑화를 방지하여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조성물에서, 호데닌은 세포내 타이로시네이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안정성이 높고, 시간 경과에 따른 성분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피부 자극 유발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 특히, 호데닌의 미백효과는 이미 미백효능이 확인된 프로파페논과 적절한 비율의 조성물로 만들었을 때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한다. 호데닌과 함께 미백조성물로 사용되는 프로파페논(propafenone)은 1980년 항부정맥제로 승인된 물질로 상심실성 부정맥에 주로 사용된다. 프로파페논의 항부정맥 작용은 프로파페논에 의해 Na 이온이 세포내로 급속하게 유입되면서 활동전위의 Vmax 값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자극발생과 세포간의 흥분전도가 억제되면서 이루어진다. 프로파페논은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며 약한 베타차단효과를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397665호에서는 프로파페논이 신경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Huh S., et al 발표한 논문에서 티로시네이즈, TRP-1, TRP-2 발현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미백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Arch Dermatol Res . 2010;302(7):561-5). 프로파페논(propafenone)의 IUPAC 명은 1-{2-[2-히드록시-3-(프로필아미노)프로폭시]페닐]}-3-페닐프로판-1-온(1-{2-[2-hydroxy-3-(propylamino) propoxy]phenyl}-3-phenylpropan-1-one)으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파페논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되거나,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예를 들어, Sigma 사의 propafenone)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호데닌과 프로파페논의 조성 비율은 1:1에서 1:5 범위까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의 중량비로 존재할 때 가장 우수한 미백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프로파페논 및 호데닌의 전체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0.0001 내지 10% (w/w),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w/w)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이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또 다른 용어인 “양모” 또는 “육모 촉진”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호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인 호데닌은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에서 통증에 주요한 작용을 하는 COX-2에 작용한다. 그리고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전구체인 아라키돈산은 세포막에 존재하는데,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 경로를 지나면서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된다.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알러지와 염증 과정에서 분비되는 화학적 매개체 역할을 하며 통각 신경을 자극하거나 염증반응을 지속시키거나 암 발생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COX-2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증억제용 조성물은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다양한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염증 관련 질환은, 예를 들어, 수포성 유천포창, 반흔성유천포창, 원판성 낭창, 홍반성 루푸스, 건선,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홍반성 루푸스, 알러지 및 아토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염증억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호데닌은 다양한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산소(ROS)로 인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 또는 제거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항산화-관련 질환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심장동맥 재협착, 재관류 손상, 파키슨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신경변성 질환, 뇌졸중, 암, 노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중추신경계 장애, 말초혈관 질환 및 호흡곤란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된다.
많은 질환상태와 자유라디칼 손상과의 상관관계는 널리 입증되어 있으며 효소, 이온채널, 구조 단백질 및 막지질을 포함하는 많은 세포 구성성분이 반응성 자유 라디칼 종에 대한 잠재적인 표적물이다(Rice-Evans C, Mol Aspects of Med 13(1):1-111(1992)). 상기 잠재적인 표적물과 자유 라디칼의 반응은 특정범위의 세포기능을 손상시켜 병리학적 변화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세포를 사멸시킨다. 또한, 생리학적인 산화에 의해 다양한 질병이 야기되는 것은, 미국 특허 제5750351호, 제 5773209호 제5773231호 및 제58469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활성산소의 생성을 유도하는 로테논(rotenone)의 자극 및 그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호데닌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호데닌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러한 호데닌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을 통해 얻어지는 유도체 중 콜라겐 합성 촉진에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거나, 피부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거나,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유도체가 모두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호데닌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핵(nucleus)으로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치환체 및 치환체 결합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화학식 1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에 아세틸기, 히드록실기, 할로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결합되어도 화학식 1의 호데닌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치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호데닌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인 호데닌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제,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용매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로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제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결정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호데닌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호데닌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호데닌에 대한 피부누적 자극시험 결과 호데닌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데닌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상태를 개선하거나 염증반응을 억제하거나 개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는 피부의 불량한 상태, 예를 들어 주름, 흑화, 탈모 등을 개선또는 예방하고자 하거나, 염증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하고자 하거나, 또는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을 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하여 이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인간과 포유동물, 예를 들어 개, 돼지, 말, 소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대상, 예를 들어,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상술한 피부상태, 염증억제, 산화 스트레스, 및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질환, 질병 또는 이상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개체 내 투여에 의하여 개선, 호전, 예방 또는 치료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내용 및 하기에 기술된 실시예 등을 통하여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호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ⅱ) 유효성분인 호데닌은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며, 상기 피부개선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포함한다. 호데닌은 콜라겐 합성의 촉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하며,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며 특히 프로파페논과 적절한 비율의 조성물로 제조되었을 때 미백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된다.
(ⅲ) 유효성분인 호데닌은 우수한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 제거 효과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ⅳ) 또한,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품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호데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주름개선효과는 통상 콜라겐 생합성능 사람에 대한 임상시험으로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능 실험의 경우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교토,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관찰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데닌은 인체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2: 호데닌을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호데닌을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A(호데닌을 각각 0.01%, 0.05% 및 1% 함유한 영양 크림) 및 비교 제조예(정제수를 함유한 영양 크림)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30명(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제조예 1에 기재된 크림의 3종류와 비교 제조예의 영양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Courage+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제조예 1 (호데닌 0.01% 함유크림) 제조예 1 (호데닌 0.05% 함유크림) 제조예 1 (호데닌 1% 함유크림) 비교 제조예
(호데닌 0% 함유크림)
피부탄력도 2.85 3.09 3.19 2.7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예 1이 비교 제조예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가 훨씬 우수하였으며, 호데닌의 함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피부탄력도 향상되었다.
제조예 1. 호데닌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
호데닌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호데닌 및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3 : 경구투여에 의한 항노화 효과
노화는 모든 생물체에 시간과 함께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조직과 기관에 나타난다. 피부는 동물의 경우 개체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가장 면적이 넓은 기관으로 피부에 나타나는 주름은 노화 정도를 가장 쉽게 판별할 수 있는 지표이다. 특히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인위적으로 노화과정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시험에서 자외선을 쬔 후 시험물질을 경구나 경피로 투여하여 그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그 물질이 실제 항노화 효과가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광노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무모생쥐 (hairless mouse)를 동물모델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6-7 주령의 암컷 무모생쥐(hairless mouse)(Skh: HR-1)를 그룹 당 8 마리씩 정상군, UV 대조군, UV/호데닌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기간 동안 사육하였다. 정상군과 UV 대조군은 0.5 ㎖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고, UV/호데닌 투여군은 고형분 기준으로 체중 Kg당 100mg의 호데닌 또는 줄기세포(인간탯줄혈액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0.5 ㎖ 식염수에 섞어 액체 투여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5주로 주 5일 동일한 시간에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후 2주부터 5주까지 UV대조군, UV/호데닌 투여군에 주 3회 태양광과 유사하게 UV를 조사하였다. 이때 실험기간 중 총 UV 조사량이 600 mJ/cm2이 되도록 하였다. 항노화 효과의 주 현상으로 주름개선 효과의 객관적 판정을 위하여 부검 전 무모생쥐(hairless mouse)의 등쪽에서 실리콘 폴리머를 이용하여 피부주형(replica)을 채취하였고 마찬가지로 5주 후에 각 샘플 처리군으로부터 피부주형을 채취하여 항노화 효과 즉 주름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름개선정도를 나타내는 R1, R2, R3, R4, R5 모두, 호데닌을 투여한 무모생쥐(hairless mouse)에서 투여하지 않은 UV/대조군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즉, 호데닌의 경구 투여에 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호데닌이 항노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4 : 호데닌에 의한 인체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인체 멜라닌세포(melanocyte)를 이용하여 실험물질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Cascade Biologics사로부터 구입한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human epidermal melanocyte) (신생아유래) 세포를 역시 같은 회사에서 구입한 인간 멜라닌세포 성장 보조제(human Melanocyte Growth supplement)를 포함한 Medium 254배지에서 배양한다.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를 6-well plate에 well당 1× 105 개로 접종한 후 5 % CO2, 37℃ 하에서 세포가 well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함량이 각각 15 ug/ml: 15 ug/ml (1:1), 7.5 ug/ml: 22.5 ug/ml (1:3), 10 ug/ml: 20 ug/ml (1:2), 20 ug/ml: 10 ug/ml (2:1), 22.5 ug/ml: 7.5 ug/ml (3:1)인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배합물, 프로파페논 (30 ug/ml), 호데닌(30 ug/ml), 양성대조군 코지산(kojic acid) (30 ug/ml) 시료를 배지에 처리한 후 5% CO2, 37℃ 하에서 이틀에 한 번 배지를 갈아주면서 5일간 배양하였다. 처리가 끝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한 후,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각 처리 그룹별 세포수를 동수로 맞추어 2 mL 튜브에 나눠담은 뒤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pellet을 얻었다. 이 세포 pellet을 60℃에서 건조한 후,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microplate reader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도 2).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조성비율이 1: 2일 때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억제력이 관찰되었다. 즉, 프로파페논 단독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44%, 호데닌 단독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26%,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1: 1 중량비 혼합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49%,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1: 3 중량비 혼합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52%,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2: 1 중량비 혼합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55%,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3: 1 중량비 혼합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54%의 멜라닌 합성 저해율을 나타낸 반면에, 본 발명의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1: 2 중량비 혼합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76%의 멜라닌합성 저해율을 나타내어 프로파페논, 호데닌 및 다른 중량비의 프로파페논과 호데닌 혼합물보다 현저하게 증가된 멜라닌합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에 의한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특정비율에서 가장 높은 상승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미백 효과 측정
제제예 1의 1-4의 제조예 A 내지 H 영양크림을 사용하였다. 인공피부는 MEL-300-B(MaTek. USA)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시료는 3일에 한 번씩 교환하면서 2주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가 끝난 조직은 10% 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 후 다시 파라핀으로 포매한 후 박절하여, 멜라닌을 특이적으로 염색할 수 있는 폰타나-마슨(Fontana-Masson) 염색을 수행하였다. 이후 Image-pro plus 프로그램(MediaCybernetics, U.S.A)을 통해 일정면적당 멜라닌양을 환산하였다.
Figure pat00005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이 1: 2의 비율로 포함된 제조예 D의 경우, 프로파페논, 호데닌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 제조예는 물론, 상이한 비율의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의 혼합물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미백을 갖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 호데닌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호데닌 추출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을 베이스로 호데닌을 각각 0.1%, 0.5% 및 1%를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호데닌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1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호데닌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호데닌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호데닌
(1%)
[시험군 3]
1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상기 표 5에서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 및 1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각각 0.00, 0.00, 0.09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호데닌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7: 항염증효능 평가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단핵구 세포인 RAW 264.7 세포(한국세포주은행)에서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COX(cyclooxygenase) 활성억제능 실험을 시행하였다. COX 활성 측정은 Wadleigh DJ 가 발표한 J Biol Chem. 2000. 3;275(9):6259-66.에 따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주를 배양한 다음 24-웰 플레이트에 세포들을 분주하였다. COX-2 루시퍼레이즈 리포터 벡터를 Superfect (Qiagen) reagent를 이용하여 형질도입하였다. LPS(리포폴리사카리드) 100 μg/ml와 PMA(포르볼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100 nM을 처리하여 COX-2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농도에 따라 희석된 시험 물질을 처리하였다. 16시간 동안 동일 조건에서 배양한 다음 세포를 수집하여 세포 용해액을 얻었다. 세포 용해액을 원심 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제거하고 일정량의 상층액을 루시퍼레이즈 기질과 반응시킨 후, 루미노미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COX 활성(%)
LPS (1 ㎍/ml) 100
LPS(1 ㎍/ml)+ 호데닌(1 μM) 98
LPS(1 ㎍/ml)+ 호데닌(10 μM) 79
LPS(1 ㎍/ml)+ 호데닌(100 μM) 71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데닌은 농도-의존적으로 COX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염증억제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활성산소로부터 섬유아세포 보호효과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serum없는 DMEM배지로 교환하고 시료를 농도별 처리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rotenone을 1uM 함께 처리하였다. 실험물질 처리 3일 후 MTT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력을 관찰하였다. MTT(3-(4,5- 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 효소에 의해 개열(開裂)하고 암청색의 formazan을 생성하였다.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러한 formazan의 생성량은 생세포수 측정에 이용된다. 측정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세포재생율을 측정하는 식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7
시험항목 호데닌
(10 μM)
호데닌
(50 μM)
호데닌
(100 μM)
세포재생율 12 31 49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데닌은 로테논(rotenone)에 의해 유도된 섬유아세포 독성 효과를 완화시켰다. 이는 호데닌이 미토콘드리아가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어하는 기전을 통해 섬유아세포를 보호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9: 모낭 진피 유두 세포( Hair follicle dermal papillar ) 증식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호데닌의 탈모방지와 육모 효과를 in vitro 조건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낭 진피 유두 세포에서 호데닌 함유된 무혈청 배지에 배양하여 이들 세포생존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모낭 진피 유두 세포는 Cell Application 사로부터 구입하였고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 (Cell Apllications, Inc. USA)배지를 이용해 배양하였다.
모낭 진피 유두 세포 성장용 배지(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를 이용해 배양한 모낭 진피 유두 세포 3 x 105 을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여 안착시킨 후, 다음 날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호데닌이 함유된 무혈청 배지에 72시간 배양한 후,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10% MTT가 들어있는 무혈청배지로 교체하고 3시간 반응 뒤 O.D 값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하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데닌은 모낭 진피 유두 세포의 세포증식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10: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
본 발명에 따른 호데닌의 탈모방지와 육모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0-1.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호데닌을 함유한 발모제 조성물은 하기 표 8의 성분 함량으로 하여 하이드로겔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시험군 1 및 2는 각각 호데닌을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이다.
성분 함량(%)
시험군 1 시험군 2
호데닌 0.1 1.0
방부제(그람벤) 0.8 0.1
점증제(Xanthan-Gum) 0.3 0.1
총 중량 100 100
10-2. 탈모방지 및 육모 효과 측정
40대에서 60대 후반에 이르는, 모낭이 위축되어 두피가 매끈매끈한 민 대머리성 탈모증 환자, 전형적인 남성탈모증 환자 및 급성 원형탈모증 환자 등 40명을 4개 군으로 나누고, 1군당 10명씩 할당하였다. 상기 1에서 제조한 발모제를 탈모증 환자의 탈모부위에 1일 2회 각각 3㏄씩 6개월간 적용하였다. 1개월 단위로 탈모 및 육모 상태를 관찰하였다. 비교군으로는 시판중인 목시딜(한미약품)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50% 에탄올만을 적용하였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4: 높은 효과 있음 = 신생모가 보임
3: 중간 정도의 효과 있음 = 신생모가 보임(솜털)
2: 약간 효과 있음 = 탈모의 수가 감소함
1: 효과 없음 =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음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 대조군 비교군 실험군 1 실험군 2
효능/효과 1.5 3.8 2.4 3.2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데닌을 포함하는 발모제를 사용한 탈모증 환자에게서 처치 1개월 또는 2개월째부터 솜털을 비롯한 강모의 신생모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처치 6개월째에는 80% 이상의 환자에게서 발모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신생모가 지속적으로 자라났으며 탈모 현상이 발견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함량 : 중량%)
호데닌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함량 : 중량%)
호데닌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3. 영양크림 (함량 : 중량%)
호데닌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4. 영양크림 (프로파페논, 호데닌 조성물)
프로파페논과 호데닌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예는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8
1-5. 마사지 크림 (함량 : 중량%)
호데닌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6. 팩 (함량 : 중량%)
호데닌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제제예 2 : 약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호데닌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호데닌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호데닌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
  2.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3. 호데닌(horden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의 개선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증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의 개선은 피부 미백 증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로파페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로파페논과 호데인의 중량비가 1: 1.5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프로파페논 및 호데닌의 전체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 0.0001 내지 10% (w/w)인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데닌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제,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21394A 2012-02-29 2012-02-29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3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4A KR101436199B1 (ko) 2012-02-29 2012-02-29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CT/KR2012/001994 WO2013129723A1 (en) 2012-02-29 2012-03-20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94A KR101436199B1 (ko) 2012-02-29 2012-02-29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94A true KR20130099694A (ko) 2013-09-06
KR101436199B1 KR101436199B1 (ko) 2014-09-01

Family

ID=4908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94A KR101436199B1 (ko) 2012-02-29 2012-02-29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6199B1 (ko)
WO (1) WO20131297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386A (ko) * 2015-11-26 2017-06-05 코웨이 주식회사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71315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20071313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피부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373B4 (de) 2014-05-26 2019-03-21 Maltaflor International Gmbh Düngemittel, umfassend den Inhaltsstoff Hordenin
CN110151742B (zh) * 2019-05-22 2021-08-24 王雄 大麦芽碱在制备治疗垂体瘤药物中的用途
WO2022194755A1 (en) 2021-03-16 2022-09-22 Unilever Ip Holdings B.V. Use of hordenine for treating cellular senescen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0482B1 (en) * 2000-05-18 2002-01-22 Zhishin, Llc Methods for inducing weight loss in a human with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WO2003097077A1 (en) * 2002-05-15 2003-11-27 Zhishin Inc. Novel dosage forms for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US20040146539A1 (en) * 2003-01-24 2004-07-29 Gupta Shyam K. Topical Nutraceutical Compositions with Selective Body Slimming and Tone Firming Antiaging Benefits
US20040208902A1 (en) * 2003-04-18 2004-10-21 Gupta Shyam K. Controlled-release nano-diffusion delivery system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060039887A1 (en) * 2004-08-20 2006-02-23 Infinity2 Health Sciences, Inc.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kin care
KR100919897B1 (ko) * 2007-11-05 2009-09-3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096206B1 (ko) * 2008-11-20 2011-12-22 스킨큐어(주) 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386A (ko) * 2015-11-26 2017-06-05 코웨이 주식회사 호르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71315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20071313A (ko)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에이엠메딕스 피부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199B1 (ko) 2014-09-01
WO2013129723A1 (en)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533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781027B1 (ko) 구기자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47541B1 (ko) 우방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40068986A (ko) 줄기 세포 인자의 생산ㆍ방출의 억제에 의한 소양, 피부거칠어짐, 민감성 피부 개선용 및 미백용 약제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48800B1 (ko) 브라질리안 페퍼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23684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81137A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9730872B2 (en)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with veratric acid or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244653B1 (ko) 진세노사이드 알비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10825B1 (ko) 굴거리나무 잎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60672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0919897B1 (ko)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7784B1 (ko) 시호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460670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871B1 (ko) 아스파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