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205A -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 Google Patents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205A
KR20130098205A KR1020130006945A KR20130006945A KR20130098205A KR 20130098205 A KR20130098205 A KR 20130098205A KR 1020130006945 A KR1020130006945 A KR 1020130006945A KR 20130006945 A KR20130006945 A KR 20130006945A KR 20130098205 A KR20130098205 A KR 2013009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case
frequency filter
cavi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757B1 (ko
Inventor
박남신
정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PCT/KR2013/0015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29817A1/ko
Priority to JP2014556492A priority patent/JP5883952B2/ja
Priority to CN201610155278.5A priority patent/CN105720338B/zh
Priority to SE1451093A priority patent/SE539666C2/en
Priority to CN201380011156.3A priority patent/CN104126247B/zh
Publication of KR2013009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205A/ko
Priority to US14/333,254 priority patent/US9716301B2/en
Priority to JP2016012131A priority patent/JP6081626B2/ja
Priority to US15/183,148 priority patent/US100905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8Manufacturing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함체 내면과의 간격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조절되기 위한 주름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간단하며,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RADIO FREQUENCY FILTER WITH CAVITY STRUCTUR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티 필터와 같이,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는 통상 금속 재질의 하우징을 통해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 즉 캐비티 구조를 다수개 구비하며, 각 캐비티 구조 내부에 유전체 공진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소자를 각각 구비시켜 초고주파의 공진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캐비티 구조의 상부에는 해당 캐비티 구조의 개방면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커버에는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구조로서, 다수의 튜닝 스크류 및 해당 튜닝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일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100084호(명칭: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2004년 12월 02일, 발명자: 박종규, 박상식, 정승택)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기 등에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중계기는 통상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의 기둥에 설치되는 안테나 장치에 비해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기지국 본체 장치들은 지상에서 설치되며, 안테나 장치와 본체 장치 간에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설치 방식이 현재까지도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안테나 장치와 본체 장치간의 케이블 연결에 따른 손실 문제 및 본체 장치의 설치 공간 확보의 문제 등을 가져오며, 이에 최근 들어, 장비들의 꾸준한 경량화 및 소형화에 힘입어, 본체 장치들도 (적어도 일부 모듈은) 안테나 장치의 설치용 기둥 등에 설치되어 안테나 장치와 곧바로 연결되거나, 안테나 장치 내부에 포함되는 설치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특히,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적용되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작함에 있어서, 소형, 경량화가 더욱 주요한 고려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는 하우징 내에 공진소자를 구비시켜야 하는 구조를 가지며,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경량 및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다수의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 등의 체결 구조는 무선 주파수 필터의 경랑 및 소형화에 커다란 제약 사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한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며,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함체 내면과의 간격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조절되기 위한 주름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공진소자가 구비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를 덮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2 케이스는 각각 하나의 모재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는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간단하며, 단순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비용절감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소형&경량화로 기지국 등의 스테이션에 장착시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부분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2의 결합 구조에서 A-A'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구조에서 A-A'부분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부분 절개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A-A' 부분 절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의 주파수 튜닝 장치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A-A' 부분 절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A-A' 부분 절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A-A' 부분 절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A-A' 부분 절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는 종래와 유사하게,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를 구비하는데, 함체의 내부의 중공에 공진소자를 구비한다. 이때 함체는 공진소자가 위치하는 제1케이스와, 제1케이스를 덮는 제2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함체는 캐비티를 형성하게 되는 전체 케이스 중 미리 설정된 경계면(즉, 접합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상측 케이스(10)를 제2케이스로 구비하며, 상기 전체 케이스 중 상기 경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하측 케이스(20)를 제2케이스로 구비한다. 상측 및 하측 케이스(10, 20)는 상기 경계면에서 솔더링이나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상측 케이스(10)는 전체 필터 구조에서 볼 때 상부면만을 이루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어 마치 커버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하측 케이스(20)는 전체 필터 구조에서 하부면과 측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에서는 캐비티의 평면 구조가 전체적으로 원형이며, 이에 따라 상측 및 하측 케이스(10, 20)의 평면 구조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상측 및 하측 케이스(10, 20)의 평면 구조는 사각형 형태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하측 케이스(20)에는 그 하부면의 중앙에서 캐비티 내부를 향해 상측으로 솟아올라 돌출되며,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그 입구가 전체 케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포켓 형태의 돌출부(202)가 나머지 부위와 이음매 없이(seamless), 즉, 별도의 접합면이 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202)는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공진소자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202)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재질(합금 포함)의 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깊이가 깊은 돌출부(202)를 형성하기 위해 심가공 프레스(deep drawing press) 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돌출부(202)의 사이즈는 공진소자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당 주파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하측 케이스(20)에는 이후 입출력 단자를 접속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2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정 부위에 관통 홀(미도시)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상측 케이스(10)는 하측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재질(합금 포함)의 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성형 시에, 상측 케이스(10)에는 상기 하측 케이스(20)의 공진소자에 해당하는 돌출부(202)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기 돌출부(202)의 길이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함체 내면(즉, 상측 케이스의 내면)과의 간격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조절되기 위한 주름 구조(1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주름 구조(102)는 상하로 돌출되는 굴곡면이 폐루프 형태를 따라(예를 들어, 원형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형성되는 주름 구조(102)가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 구조(102)는 상측 케이스(10)의 절단면이 지그재그 형태로 나타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주름 구조(102)는 종래의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튜닝시에 해당 필터링 특성을 모니터링 하면서 필터링 특성이 최적화되거나, 또는 기준치를 만족하게 될 때까지 해당 주름 구조(102)와 하측 케이스(20)의 돌출부(202)의 상단과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상기 주름 구조(102)를 상측에서 눌러서 주름진 부위가 펴지도록 한다. 도 4의 (a)는 초기 제작 상태의 주름 구조(102)가 예로써 도시되며, 도 4의 (b)에는 주름 구조(102)가 주파수 튜닝 작업에 의해 펴진 상태가 예로써 도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름 구조(102)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 구조(102)는 주파수 튜닝 작업에 따른 변형 이후 원상태로 회복되지는 않도록 적절한 재질, 두께 및 크기로 설정된다. 이때 주름 구조(102)의 두께는 상측 케이스(10)의 두께에 비해 다소 얇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를 살펴보면, 주파수 튜닝 구조인 주름 구조(102)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10)가 한번의 프레스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진소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2)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10, 20)가 한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튜닝 스크류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한 구조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보다 저비용으로 신속한 제작이 가능하며,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종래에 비해 튜닝 스크류 등을 구비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공진소자를 부착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캐비티를 형성하는 내부 면의 불연속성에 기인한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 효과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 구조는 종래의 튜닝 스크류를 구비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보다 소형이면서도 더욱 고출력에 사용될 수 있다. 튜닝 스크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50W의 고출력에 사용시, 튜닝 스크류와 공진소자와의 간격이 5mm 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이는 튜닝 스크류의 에지 부위에서 정전용량이 집중되므로 튜닝 스크류와 공진소자간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튜닝 스크류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공진소자와 상단과 상측 케이스와의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으며, 고출력에도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결합 구조에서 A-A'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다수의 캐비티, 예를 들어 6개의 캐비티 구조가 다단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조가 3개씩 2줄로 위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하측 케이스(22)에는 그 하부면의 다수의 캐비티에 해당하는 위치의 중앙에서 각 캐비티 내부를 향해 상측으로 돌출되며, 그 내부가 비어 있으며, 그 입구가 전체 케이스의 외부로 향하는 포켓 형태의 다수의 돌출부(222)가 나머지 부위와 이음매 없이 형성되어 공진소자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다수의 돌출부(222)를 가지는 하측 케이스(22)는 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한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하측 케이스(22)에서는 각각의 캐비티 구조들이 서로 순차적인 커플링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 구조를 가지는 캐비티 구조간에는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224)가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커플링 윈도우(224)는 캐비티 상호간의 격벽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일정 부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케이스(12)에는 하측 케이스(22)의 다수의 돌출부(222)와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하로 돌출되는 굴곡면이 폐루프 형태를 따라(예를 들어, 원형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형성되는 다수의 주름 구조(122)가 형성되어, 주파수 튜닝을 위해 사용된다. 물론 다수의 주름 구조(122)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12)도 한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측 케이스(12)에는 하측 케이스(22)의 다수의 돌출부(22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미세한 사이즈의 전도성 핀 주입용 홀(12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는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상측 케이스(12)와 하측 케이스(22)의 각각의 돌출부(222)간을 서로 쇼트(short)시키기 위한 전도성 핀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파수 튜닝 방식에 따라 각각의 캐비티 구조의 공진소자(즉, 돌출부)별로 주파수 튜닝 작업을 순차적으로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현재 튜닝 작업을 진행 중인 캐비티 구조외에 나머지 캐비티 구조에서 공진소자는 전기적으로 쇼트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수의 전도성 핀 주입용 홀(1222)을 통해 전도성 핀을 주입함으로써, 해당 캐비티 구조의 공진소자(돌출부)를 쇼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단자(52) 및 출력 단자(54)가 입력단 및 출력단 캐비티 구조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측 케이스(22)의 측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부착되는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 구조에서 A-A'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전체적인 외관 형태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나, 상측 케이스(14)가 전체 필터 구조에서 볼 때 상부면 및 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마치 포켓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케이스(24)는 전체 필터 구조에서 하부면에 해당하는 면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도 하측 케이스(24)에는 돌출부(242)가 형성되며, 상측 케이스(14)에는 주름 구조(142)가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구조는 제1실시예의 구조와 비교하여 상측 케이스(14) 및 하측 케이스(24)간의 경계면(접합면)이 달리 설정된 구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계면은 이외에도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전체 구조에서 측면에서 어떠한 위치에라도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측 케이스(14) 및 하측 케이스(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다수의 캐비티, 예를 들어 6개의 캐비티 구조가 다단으로 연결되는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ㅣ된 구조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구조가 3개씩 2줄로 위치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는, 전체적으로 판 형태의 하측 케이스(26)에 다수의 캐비티 구조에 대응하는 다수의 돌출부(262)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각각 캐비티 구조에 대응하는 다수의 포켓이 연결된 형태의 상측 케이스(16)에는 하측 케이스(26)의 다수의 돌출부(262)와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주름 구조(162)가 형성된다. 이때 상측 케이스(16)에서는 각각의 캐비티 구조들이 서로 순차적인 커플링 구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 구조를 가지는 캐비티 구조간에는 상호간에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264)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케이스(16)에는 하측 케이스(26)의 다수의 돌출부(262)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전도성 핀 주입용 홀(16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나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상측 케이스에 주름 구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정밀한 공정에 의해 가공 공차가 거의 없이 필터 제작이 가능하거나, 정밀한 주파수 튜닝이 요구되지 않은 필터의 경우에는 상기 주름 구조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캐비티를 가지는 필터 구조에서는, 주파수 튜닝 작업을 위해 상측 케이스에서 하측 케이스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양자를 서로 쇼트시키기 위한 전도성 핀 주입용 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하측 케이스의 돌출부의 상단에 이러한 용도의 홀을 형성하는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와 같이, 다수의 캐비티를 가지는 필터 구조에서는, 상측 케이스에서 해당 하측 케이스의 커플링 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주파수 튜닝을 위한 튜닝 구조와 유사한 주름 구조를 추가로 더 형성하여 커플링 튜닝을 수행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상측 케이스 및 하측 케이스가 모두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 상측 케이스 및 하측 케이스가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상측 케이스가 얇은 판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해당 상측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얇은 판 형태 외에도 다른 형태에서도 상측 케이스 또는 하측 케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상측 케이스에 형성되는 주름 구조가 하측 케이스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예를 들어, 평면상 중심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구조(104)는 평면상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주름 구조(104)에 의해 나타나는 원형 궤적의 사이즈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보다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주름 구조가 상측 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의 공진소자 역할을 하는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의 공진소자 역할을 하는 돌출부의 폭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함체 면, 즉, 전체 필터 구조에서 측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자바라(jabara) 형태의 주름(206, 106)을 주는 구조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상측 케이스 및 하측 케이스가 모두 프레스 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하측 케이스는 종래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름 구조를 가지는 상측 케이스만을 특징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5를 참조하면, 상측 케이스에서 주름 구조가 형성되는 부위에 적절한 형상의 돌출 부재(1108)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1108)는 상측 케이스의 프레스 성형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추후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 부재(1108)는 해당 돌출 부재(1108)를 직접적으로, 또는 돌출 부재(1108)에 형성될 수 있는 홀 등과 같은 걸림 구조에 별도의 고리 등을 연결하여 집어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주파수 튜닝 시에 하측으로 눌려져서 펴진 주름 구조를 다시 (얼마간) 원상태로 되돌려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 보다 유용하며 재튜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커버 역할을 하는 상측 케이스(즉, 제2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A-A' 부분 절단면도로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 케이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5실시예는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제2실시예 등과 마찬가지로, 6개의 캐비티 구조가 예를 들어, 3개씩 2줄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도시된 상측 케이스(11)는 이와 대응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도시된 하측 케이스는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이외에도, 종래와 통상적인 구조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제작되는 공진소자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질 수도 있다. 그럴 경우에는 상기 상측 케이스(11)에는 하측 케이스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측 케이스(11)의 적소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홀(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커버 역할을 하는 상측 케이스(11)에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지로, 하측 케이스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다수의 공진소자(21)(또는 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하로 돌출되는 굴곡면이 폐루프 형태를 따라(예를 들어, 원형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형성되는 다수의 주름 구조(112)가 형성되어, 주파수 튜닝을 위해 사용된다.
그런데, 본 제5실시예에서 상기 주름 구조(112)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하로 돌출되는 굴곡면의 측면 형상이 삼각 형태의 굴곡 구조를 가지는 것과는 달리, 사각 형태의 굴곡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사각 형태의 굴곡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원형인 다수의 홈들(112a, 112b)을 상측 케이스(11)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교대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측 케이스(11)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한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주름 구조(112)를 동시에 형성하면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사이즈 등에 따라 상기 주름 구조(112)는 평판 형태의 상측 케이스(11)를 제작한 후에,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상기 홈들(112a, 112b)을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제5실시예에서는 상측 케이스(11)의 주름 구조(112)의 부근에 내부 중공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형태를 가지는 함몰 부위(114)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 부위(114)는 보조적인 또는 추가적인 주파수 튜닝을 위한 것으로서, 보조적인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상기 함몰 부위(114)에 외부 타각 장비의 타각 핀(pin)(502)에 의한 타각 또는 누름에 의해 도트 핀 구조(1142)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트 핀 구조(1142)는 결과적으로, 함몰 부위(114)의 하면과 공진소자(21)와의 거리가 좁혀지는 것에 의해(아울러, 내부 중공의 체적이 변하는 것에 의해) 보조적인 주파수 튜닝 작업을 하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주파수 튜닝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주파수 튜닝 대상인 본 발명의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1)는 타각 핀(502)을 구비한 타각 장비(5)의 선반에 놓여진다. 타각 장비(5)는 통상적인 도트핀 마킹 머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필터(1)의 동작 특성은 계측 장비(2)에서 계측하는데, 이를 위해 계측 장비(2)는 무선 주파수 필터(1)로 미리 설정된 주파수의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그 출력을 제공받도록 무선 주파수 필터(1)와 연결된다. 계측 장비(2)에서 계측된 무선 주파수 필터(1)의 동작 특성은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장비(3)로 제공된다. 제어 장비(3)는 무선 주파수 필터(1)의 동작 특성을 모니터링 하면서, 필터링 특성이 최적화되거나, 또는 기준치를 만족하게 될 때까지 타각 장비(5)의 동작을 제어하여, 타각 장비(5)가 무선 주파수 필터(1)의 요철 구조(402)의 함몰 면에 적절한 개수 및 형상의 도트핀 구조(1142)를 형성한다.
도트핀 구조(1142)는 함몰 부위(114)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 부위(114))의 두께나 함몰되는 범위의 폭 등은 도트핀 구조(1142)가 형성되는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따른 스트레스에서도 원치 않는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 함몰 부위(114)의의 폭이나 두께 또는 형상 등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타각 장비(5)로 작업을 할 경우에도 상이한 가변량을 나타내는 도트핀 구조(1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 부위(114)의 보다 구체적인 상세 구조는 해당 설계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1)에 요구되는 특성이나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A-A' 부분 절단면도로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제6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 케이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미도시된 하측 케이스는 상기 도 5 등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이외에도, 종래와 통상적인 구조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제작되는 공진소자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질 수도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커버 역할을 하는 상측 케이스(13)에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지로, 하측 케이스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다수의 공진소자(21)(또는 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서, 주름 구조(13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주름 구조(132)는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평판 형태의 상측 케이스(13)의 하부면에는 어떠한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상부면에서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태(예를 들어, 원형)로 다수의 홈들(132a, 132b)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구조는,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상기 주름 구조(132)를 누를 경우에,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소 강한 누름 압력이 요구되므로, 원형인 다수의 홈들(132a, 132b) 사이를 연결하는 추가 연결 홈(13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측 케이스(13)는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한번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주름 구조(132)를 동시에 형성하면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상측 케이스(13)를 제작한 후에, 절삭 가공 등에 의해 상기 홈들(132a, 132b, 132c)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누름 부위가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질 경우에 A-A' 부분 절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 케이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상기 상측 케이스(15)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성되는 주름 구조가 구비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라, 하측 케이스에 형성 또는 설치되는 다수의 공진소자(21)(또는 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부위에서, 미리 설정된 모양(예를 들어, 원형)의 누름 부위(152)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 부위(152)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슬롯(152a, 152b)에 의해 외곽선의 대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전체 모양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곽선 중 (상기 관통 슬롯이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지점(a, b)은 상기 상측 케이스의 다른 부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누름 부위(152)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 부위(152)는 상기 관통 슬롯(152a, 152b) 및 상기 연결 지점(a, b)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누름 부위(152)는 전체적으로 이중 구조의 원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참조번호 152a로 표현한 세 개의 원호 형상의 관통 슬롯들이 연결 지점 a를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을 형성하며, 참조번호 152b로 표현한 세 개의 원호 형상의 관통 슬롯들은 연결 지점 b를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위가 이중의 원 모양이 아니라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구조나, 또는 삼중 구조의 원 모양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누름 부위(152)를 누르게 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지점(a, b)이 인장 및 구부러지는 것 등에 의해 누름 부위(152)가 하측 케이스의 공진소자(21) 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누름 부위(152)와 공진소자(21)간의 거리 조절을 통해 주파수 튜닝 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에 상기와 같은 관통 슬롯이 형성될 경우 상기 관통 슬롯을 통해 무선 신호가 다소 누설될 수 있으나, 신호 누설량이 민감하게 작용하지 않은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의 무선 주파수 필터를 채용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누름 부위가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질 경우에 A-A' 부분 절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 케이스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상기 상측 케이스(17)에는 상기 도 21 및 도 22에 개시된 제7실시예와 유사한 원리로 구현되는 누름 부위(172)를 구비하며, 다만, 본 제8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위(172)의 전체 형상이 상기 제7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누름 부위(172)는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슬롯(172a, 17b)에 의해 외곽선의 대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전체 모양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곽선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지점(a, b)은 상기 상측 케이스(17)의 다른 부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누름 부위(172)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 부위(172)는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의 양단에 상기 연결 지점(a, 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누름 부위(172)를 누르게 되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지점(a, b)이 인장 및 구부러지며, 막대 형태의 누름 부위(172)의 중심 부위가 하측 케이스의 공진소자(21) 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주파수 튜닝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의 상측 케이스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누름 부위가 눌려질 경우에 A-A'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상기 상측 케이스(19)에는 상기 도 21 내지 도 24에 개시된 제7 및 제8실시예와 유사한 원리로 구현되는 누름 부위(192)를 구비하며, 다만, 본 제9실시예에서는 누름 부위(192)의 전체 형상이 다른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상기 누름 부위(192)는 제7 및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슬롯(192a)에 의해 외곽선이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 부위(192)는 상기 외곽선 중 관통 슬롯(192a)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 지점(a)을 통해 상측 케이스(19)의 다른 부위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 누름 부위(192)를 누르게 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지점(a)이 인장 및 구부러지며, 'ㄷ'자 형태의 누름 부위(192)의 일단이 하측 케이스의 공진소자(21) 측으로 밀려 내려가는 것에 의해 주파수 튜닝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5 및 도 26에서는, 상기 누름 부위(192)가 상측 케이스(19)에서 공진소자(21)의 상단과 마주하는 위치의 중심에서 다소 벗어나서, 공진소자(21)별로 하나나 2개씩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누름 부위(192)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해당 필터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서는, 상측 케이스(19)에, 상기 누름 부위(19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커플링 튜닝용 누름 부위(19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도시되고 있는데, 상기 커플링 튜닝용 누름 부위(194)는 하측 케이스에서 각각의 캐비티들간의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플링 튜닝용 누름 부위(194)는 주파수 튜닝을 위한 튜닝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커플링 튜닝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16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내지 제9실시예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들을 비롯하여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몰 부위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플링 튜닝을 위한 누름 구조도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다른 실시예들의 누름 구조도 커플링 튜닝을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캐비티 구조가 다단으로 연결된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각 캐비티별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가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21)

  1.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공진소자가 위치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를 덮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는 각각 하나의 모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소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중앙측에서 솟아올라 돌출되어 형성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구조가 다수개 다단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함체가 다수개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 구조를 가지는 캐비티 구조간에는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4.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함체 내면과의 간격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조절되기 위한 주름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공진소자가 구비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를 덮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2 케이스는 각각 하나의 모재 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소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중앙측에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구조는,
    상기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구조는,
    상기 공진소자의 폭방향 선단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구조는,
    상기 공진소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과 마주보는 함체의 면 또는 공진소자의 길이방향 선단면에는 함체와 공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쇼트시키기 위한 핀 주입용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구조는,
    인접한 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2. 제4항에 있어서,
    캐비티 구조가 다수개 다단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함체가 다수개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 구조를 가지는 캐비티 구조간에는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공진소자가 위치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를 덮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주름 구조는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구조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교대로 형성되는 폐루프 형태의 다수의 홈들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서 상기 주름 구조의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 부위를 가지며, 상기 함몰 부위에는 외부 타각 장비에 의해 다수의 도트핀(dot peen)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6.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공진소자가 위치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를 덮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부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 슬롯 및 상기 관통 슬롯이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지점에 의해 둘러싸이게 형성되는 누름 부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위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상기 관통 슬롯들이 복수의 상기 연결 지점을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위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상기 관통 슬롯들이 복수의 상기 연결 지점을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위는 복수의 상기 관통 슬롯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막대 형태의 양단에 상기 연결 지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위에서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이 형성되는 상기 관통 슬롯 및 상기 연결 지점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구조가 다수개 다단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상기 함체가 다수개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 구조를 가지는 캐비티 구조간에는 연결 통로 구조인 커플링 윈도우가 형성되며,
    상기 주름 구조는 제2 케이스에서 상기 커플링 윈도우와 대응되는 부위에도 추가로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130006945A 2012-02-27 2013-01-22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86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1518 WO2013129817A1 (ko) 2012-02-27 2013-02-26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JP2014556492A JP5883952B2 (ja) 2012-02-27 2013-02-26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CN201610155278.5A CN105720338B (zh) 2012-02-27 2013-02-26 具有腔结构的射频滤波器
SE1451093A SE539666C2 (en) 2012-02-27 2013-02-26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CN201380011156.3A CN104126247B (zh) 2012-02-27 2013-02-26 具有腔结构的射频滤波器
US14/333,254 US9716301B2 (en) 2012-02-27 2014-07-16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a hollow box with a wrinkle structure and including a resonance element disposed therein which is short-circuited to the box by a pin
JP2016012131A JP6081626B2 (ja) 2012-02-27 2016-01-26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US15/183,148 US10090572B1 (en) 2012-02-27 2016-06-15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a hollow box with a resonance element disposed therein and a depression with dot peen structures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22 2012-02-27
KR20120019722 201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205A true KR20130098205A (ko) 2013-09-04
KR101869757B1 KR101869757B1 (ko) 2018-06-21

Family

ID=4945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945A KR101869757B1 (ko) 2012-02-27 2013-01-22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16301B2 (ko)
JP (2) JP5883952B2 (ko)
KR (1) KR101869757B1 (ko)
CN (2) CN105720338B (ko)
SE (2) SE540506C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75A1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f 필터 튜닝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JP2017533655A (ja) * 2014-10-28 2017-11-0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US10116027B2 (en) 2015-10-05 2018-10-30 Kmw Inc. RF filter tu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ter using the same
WO2019199096A1 (ko) * 2018-04-13 2019-10-1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d로 인한 성능 저하에 강인한 rf 캐비티 필터 및 rf 캐비티 필터 제조 방법
KR102074493B1 (ko) * 2019-08-20 2020-02-06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고주파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81950B1 (ko) * 2019-08-20 2020-02-26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고주파 필터 및 그 튜닝 장치
CN113131114A (zh) * 2019-12-31 2021-07-1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其盖板组件以及通信设备
WO2022080858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조립체
KR20220049469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57B1 (ko) * 2012-02-27 2018-06-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730084B1 (ko) * 2015-04-20 2017-04-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105244574B (zh) 2015-08-18 2018-03-09 深圳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新型腔体滤波器
CN111509341B (zh) * 2015-11-13 2021-12-07 康普公司意大利有限责任公司 调谐元件、装置、滤波器组件以及对滤波器进行调谐的方法
US10050323B2 (en) 2015-11-13 2018-08-14 Commscope Italy S.R.L. Filter assemblies, tuning elements and method of tuning a filter
EP3301754B1 (en) * 2016-09-29 2021-04-21 Rohde & Schwarz GmbH & Co. KG Hollow conductor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hollow conductor system
CN109983617B (zh) * 2016-12-09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滤波装置
CN109314293B (zh) 2017-01-13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腔体谐振器、滤波器及通信设备
EP3748766A4 (en) * 2018-01-31 2021-11-03 KMW Inc. CAVITY FILTER
WO2019200604A1 (en) * 2018-04-20 2019-10-24 Nokia Shanghai Bell Co., Ltd. Filter apparatus, method
CN110767969A (zh) * 2018-07-27 2020-0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
CN109921160B (zh) * 2019-03-21 2023-11-03 深圳国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tm模介质滤波器
US11894592B2 (en) * 2019-09-13 2024-02-06 Selki Chiba High frequency filter
EP4060806A4 (en) * 2019-11-13 2024-04-10 Kmw Inc DIELECTRIC CERAMIC FILTER
WO2023130219A1 (en) * 2022-01-04 2023-07-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lter cover, resonator, rf cavity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6202A1 (en) * 2000-03-30 2001-10-04 Tuomo Raty Coaxial cavity resonator, filter and use of resonator component in a filter
US6466110B1 (en) * 1999-12-06 2002-10-15 Kathrein Inc., Scala Division Tapered coaxial resonator and method
WO2008026493A1 (fr) * 2006-08-31 2008-03-06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filtr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2011082882A (ja) * 2009-10-09 2011-04-21 Panasonic Corp 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357A (en) * 1980-03-04 1981-12-22 Tektronix, Inc. Foreshortened coaxial resonators
JPS58123609U (ja) * 1982-02-17 1983-08-23 株式会社東芝 マイクロ波共振器
JPS59139701A (ja) * 1983-01-30 1984-08-10 Nippon Dengiyou Kosaku Kk コムライン型帯域通過ろ波器
JPH045704U (ko) * 1990-05-02 1992-01-20
FI87852C (fi) 1991-04-12 1993-02-25 Lk Products Oy Avstaembart keramiskt filter och foerfarande foer dess avstaemning
US5329687A (en) 1992-10-30 1994-07-19 Teledyne Industries, Inc. Method of forming a filter with integrally formed resonators
FI95087C (fi) * 1994-01-18 1995-12-11 Lk Products Oy Dielektrisen resonaattorin taajuuden säätö
SE9702063D0 (sv) * 1997-05-30 1997-05-30 Ericsson Telefon Ab L M Filter tuning arrangement
US5977849A (en) * 1997-07-22 1999-11-02 Huhges Electronics Corporation Variable topography electromagnetic wave tun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I106658B (fi) 1997-12-15 2001-03-15 Adc Solitra Oy Suodatin ja säätöelin
CH696098A5 (de) * 2002-12-11 2006-12-15 Thales Suisse Sa Abstimmbare Hochfrequenz-Filt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5184734A (ja) * 2003-12-24 2005-07-07 Pearl Kogyo Co Ltd 整合器
DE102004010683B3 (de) 2004-03-04 2005-09-08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filter
US7327210B2 (en) * 2004-06-15 2008-02-05 Radio Frequency Systems, Inc. Band agile filter
JP4191198B2 (ja) 2006-02-09 2008-12-03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ィルタ
EP2099091B1 (en) 2008-03-04 2017-11-22 HMD global Oy Variable radio frequency band filter
KR101094759B1 (ko) 2009-08-04 2011-12-16 주식회사 알림테크놀러지 무선 주파수 필터의 커버 결합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무선 주파수 필터
CN101916895A (zh) * 2010-08-20 2010-12-1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腔体滤波器制造方法
CN101976750A (zh) * 2010-10-29 2011-02-1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
CN201868545U (zh) * 2010-11-05 2011-06-15 升达科技股份有限公司 空腔滤波器的高次谐波抑制装置
CN202004122U (zh) * 2010-12-24 2011-10-0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通信设备以及射频通信装置
CN102623785B (zh) * 2011-01-28 2015-09-09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介质滤波器、介质谐振器、盖板单元及通信设备
CN102354780A (zh) * 2011-07-22 2012-02-1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通信设备
KR101869757B1 (ko) * 2012-02-27 2018-06-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6110B1 (en) * 1999-12-06 2002-10-15 Kathrein Inc., Scala Division Tapered coaxial resonator and method
US20010026202A1 (en) * 2000-03-30 2001-10-04 Tuomo Raty Coaxial cavity resonator, filter and use of resonator component in a filter
WO2008026493A1 (fr) * 2006-08-31 2008-03-06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filtr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2011082882A (ja) * 2009-10-09 2011-04-21 Panasonic Corp フィルタ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3655A (ja) * 2014-10-28 2017-11-0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US9985330B2 (en) 2014-10-28 2018-05-29 Kmw Inc. Radio frequency filter with cavity structure
WO2017061675A1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f 필터 튜닝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US10116027B2 (en) 2015-10-05 2018-10-30 Kmw Inc. RF filter tu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ter using the same
US20190027798A1 (en) * 2015-10-05 2019-01-24 Kmw Inc. Rf filter tu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ter using the same
US10608308B2 (en) * 2015-10-05 2020-03-31 Kmw Inc. RF filter tu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ter using the same
WO2019199096A1 (ko) * 2018-04-13 2019-10-1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d로 인한 성능 저하에 강인한 rf 캐비티 필터 및 rf 캐비티 필터 제조 방법
KR102074493B1 (ko) * 2019-08-20 2020-02-06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고주파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
KR102081950B1 (ko) * 2019-08-20 2020-02-26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고주파 필터 및 그 튜닝 장치
CN113131114A (zh) * 2019-12-31 2021-07-1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及其盖板组件以及通信设备
WO2022080858A1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조립체
KR20220049469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40506C2 (en) 2018-09-25
CN105720338A (zh) 2016-06-29
JP2015510353A (ja) 2015-04-02
CN105720338B (zh) 2019-07-16
SE1451093A1 (sv) 2014-09-18
SE1651093A1 (sv) 2016-08-08
CN104126247A (zh) 2014-10-29
JP2016059078A (ja) 2016-04-21
US10090572B1 (en) 2018-10-02
US9716301B2 (en) 2017-07-25
CN104126247B (zh) 2016-04-13
SE539666C2 (en) 2017-10-24
JP6081626B2 (ja) 2017-02-15
KR101869757B1 (ko) 2018-06-21
US20140327499A1 (en) 2014-11-06
JP5883952B2 (ja)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8205A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10269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US7138891B2 (en) Dielectric resonator device,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6291699B2 (ja) クロスカップリングを利用する空洞フィルタ
US9184479B2 (en) Multi mode filter for realizing wide band using capacitive coupling / inductive coupling and capable of tuning coupling value
EP3208885B1 (en) Multi-mode resonator
US7304554B2 (en) U-shaped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resonator filter
US20220271410A1 (en) Resonator apparatus, filter apparatus as well as radio frequency and microwave device
US20190058235A1 (en) Multimode resonator
EP3384551B1 (en) Coaxial resonator with dielectric disc
KR20160118667A (ko) 공진기 필터
JP3480381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200482481Y1 (ko)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101745B1 (ko)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US20080211603A1 (en) Filter Coupled by Conductive Plates Having Curved Surface
KR101730084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WO2013129817A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645671B1 (ko) 스텝 임피던스 공진소자가 교차 배열되는 고주파 필터
JP3937320B2 (ja) 帯域阻止フィルタ
CN107925144B (zh) 导波管滤波器
KR101142907B1 (ko) 고주파 필터
JPH09246808A (ja) 誘電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
JP2005005930A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