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745B1 -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745B1
KR101101745B1 KR1020100012569A KR20100012569A KR101101745B1 KR 101101745 B1 KR101101745 B1 KR 101101745B1 KR 1020100012569 A KR1020100012569 A KR 1020100012569A KR 20100012569 A KR20100012569 A KR 20100012569A KR 101101745 B1 KR101101745 B1 KR 10110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dielectric resonator
resonator assembly
conductive coat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886A (ko
Inventor
이기진
김종철
김승완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7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유전체 블록의 일면에 두 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고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의 반대면에는 코너컷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커플링이 발생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다중모드의 공진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ASSEMBLY OF DIELECTRIC RESONATOR WITH HIGH SENSITIVITY USING TRIPLE MODE}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기가 조립되어 형성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무선중계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며, 특히 소형/경량화된 중계 장치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주파 대역의 광역통신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높은 파워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높은 고주파 필터가 요구되고 있다.
유전체 공진기 또는 유전체 세라믹 필터는 이러한 요구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통신장비 및 중계기와 같은 고주파(RF) 장치의 부품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유전체 공진기는 일반적인 LC 회로를 이용한 필터에 비해 고주파에서도 공진특성이 우수하고,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높은 동작파워를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저차모드(TE mode)에서는 하나의 공진기 내에서 한 개의 모드가 집속되고 한 개의 공진이 발생되고 고차모드에서는 하나의 공진기 내에서 여러 개의 모드가 구현되어 여러 개의 공진이 발생하므로 저차 모드 공진기는 공진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공진기 내에서 복수의 모드가 집속되어 집속된 전자계 에너지를 섭동시켜 복수의 모드 커플링을 조절하여 복수의 공진을 구현하나, 그 크기는 증가하지 않는 다중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에 두 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고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의 반대면에는 코너컷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커플링이 발생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에서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에서 면측으로 홈을 가질수 있다.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 두 개가 대칭관계로 직렬로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유전체 블록의 일면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을 가지는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홀전극과 상기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도전 코팅층과 유전체 물질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양단으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핀이 상기 홀전극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 면에는 상기 윈도우를 제외하고 도전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블록은 다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에 두 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제1 유전체 공진 유닛 및 유전체 블록의 일면측에 홈을 포함하는 제2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커플링이 발생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다중모드의 공진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그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휴대인터넷 주파수 전체를 통과시킬 수 있는 다중 모드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는 조합형이므로 전후 좌우로 꺽어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중소형 중계시스템 설계자의 취향에 맞게 한정된 공간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연결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모노 모드를 이용한 8폴(Pole) 필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이용한 필터의 공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모노 모드를 이용한 8폴(Pole) 필터의 구성도로서, 8개의 공진기를 이용한 8폴(Pole)형 대역통과 필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8폴(Pole)형 대역통과 필터(100)은 육면체의 금속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된 8개의 공동(Cavity)을 갖는 하우징(Housing)(110)을 구비하며, 각각의 공동(Cavity) 내에는 8개의 높은 공진도(Q)값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130)를 지지용 서포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장착된 입출력 커넥터(Connector)(170)와, 하우징(110)의 개방면을 차폐하는 덮개(Cover)(12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각 공동(Cavity)은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130)간의 커플링 양을 조정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윈도우가 형성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면은 전기적 성능을 안정화하고 전도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전도성 물질로 도금 처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의 윈도우는 공동(Cavity)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절단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각 공동(Cavity)에 장착된 유전체공진기(130)간의 커플링 양을 조정하여 불요파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윈도우마다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윈도우내로 삽입 가능한 커플링 바(Coupling Bar)(150)를 구비함으로써 커플링 양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각 공동(Cavity)에 장착된 유전체 공진기(130)는 바닥면에서 직립되게 구비된 지지용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유전체 공진기(130)의 상면에는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튜닝 볼트(Tuning Bolt)(140)가 구비되는데, 이 튜닝 볼트(140)는 튜닝 플레이트와 튜닝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튜닝 스크류로 구성되며, 이 튜닝 볼트(140)는 너트에 의해 지지되어 덮개(120)에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각각 입출력 커넥터(1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입출력 급전 루프(160)와 접속되는데, 입력측 급전 루프(160)는 입력 커넥터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첫 번째 유전체 공진기에 전달하고, 출력측 급전 루프는 마지막 유전체 공진기로부터의 신호를 출력 커넥터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종래 8폴(Pole)형 대역통과 필터(100)는 사각형 공동(Cavity)을 갖고 있으므로 공동내의 유전체 공진기(130)는 고유모드인 TE01 δ모드를 사용하게 된다. TE01 δ모드는 사각형 공동(Cavity)내에 원통형 공진기가 놓여진 경우 형성되는 기본 모드의 일종으로서, 급전 루프(Loop)(160)와 유전체 공진기(130) 및 튜너(Tuner)(즉, 튜닝 볼트(140))가 직렬로 나열되어, 인가된 신호의 자속밀도와 자화의 세기를 유전체 공진기(130)와 튜닝 볼트(140) 사이의 커패시터(C) 값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공진점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계 분포이다.
이러한 종래 대역통과 필터(100)는 한 개의 유전체 공진기(130)가 하나의 공진 모드(TE01δ 모드)만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폴(Pole)을 갖는 대역통과 필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공동과 각 유전체 공진기(130)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필수적이어서 그에 따른 소요공간이 필요하므로 대역통과 필터의 소형, 경량화를 위해서는 구조적인 개선이 필연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대역통과 필터의 소형/경량화를 위해서는 유전체 공진기(130)의 수를 줄이는 것이 요구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는 복수개의 유전체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 230, 2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유전체 공진기는 유전체로 구성된 공진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공진 유닛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모노 모드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유닛으로 해석되지 않고, 다중 모드의 공진을 발생시키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특징을 가진 부분으로 분해한 유닛을 나타낸다.
복수개의 유전체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 230, 240)은 동일 또는 다른 재질인 유전체로 형성된 유전체 블록으로서, 이러한 유전체 블록은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를 통해 필터링 하고자 하는 통과 대역폭에 따라 유전체 블록의 소재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전 코팅층(215, 225, 235, 245)를 포함한다. 도전 코팅층(215, 225, 235, 245)은 은(Ag)이나 알루미늄(Al)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공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는 복수개의 유전체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이 복수개의 유전체 유전체 공진 유닛(230, 240)과 대칭인 모습으로 형성되어 대칭관계로 직렬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유전체 유전체 공진 유닛들이 조립되었을 경우 제1 유전체 공진 유닛(210)은 제4 유전체 공진 유닛(240)과 대칭이고, 제2 유전체 공진 유닛(220)은 제3 유전체 공진 유닛(230)과 대칭일 수 있다.
대칭관계인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과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230, 240)은 서로 도전 코팅층을 사이에 두고 직렬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면,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229, 239)를 제외하고 도전 코팅층을 가지는 면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은 유전체 공진 유닛(230, 240)과 직렬로 결합되어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는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도전 코팅층(215, 225, 235, 245)에 의해서 차단된다. 따라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 내에서 주파수 신호의 방사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를 분해한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 230, 240)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유전체 공진 유닛(210)은 일측으로 예를 들어, 정면으로 유전체 블록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이러한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215)을 가지는 홀전극(217)을 포함하고, 이러한 홀전극(217)을 가지는 면의 반대면, 예를 들어 배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215)을 포함한다. 홀전극(217)의 도전 코팅층(215)과 유전체 블록의 도전 코팅층(215)은 유전체 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216)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유전체 공진 유닛(22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두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221)과 유전체 블록의 면측으로 네 개의 면측 홈(223)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들(221, 223)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227)에는 예를 들어, 배면에는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229)를 제외한 부분에 도전 코팅층(225)을 포함한다. 홈들(221, 223)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227)에는 L자형의 코너컷(228)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면측 홈(223)은 네 개이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제2 유전체 공진 유닛(220)은 홈들(221, 223)을 포함하는 면을 제외하고는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225)을 포함한다. 이러한 홈들(221, 223)의 폭과 길이는 요구되는 공진 주파수 및 그 밴드 폭(bandwidth)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3 유전체 공진 유닛(23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239)를 포함하고 정면에서 이러한 윈도우(239)를 제외한 부분은 도전 코팅층(235)을 포함하고, 윈도우(239)를 포함하는 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L자형의 코너컷(238)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239)를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은 예를 들어, 배면은 유전체가 보이며 제3 유전체 공진 유닛(230)은 이러한 윈도우(239)를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을 제외하고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235)을 포함한다.
제4 유전체 공진 유닛(24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두개의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241)과 유전체 블록의 면측으로 네 개의 면측 홈(243)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241, 243)을 포함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245)을 포함한다.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에서 트리플 모드의 공진이 구현되는 것을 살펴보면, 조립된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 230, 240)의 중심인 면의 윈도우(229, 239)에서 x축 방향의 커플링이 발생되고 이러한 커플링은 서로 대칭인 유전체 공진 유닛(210, 220) 및 유전체 공진 유닛(230, 240)에서 공통적이다. y축 방향의 커플링은 두 개의 대각선방향 홈(221) 및 두 개의 대각선방향 홈(241)에서 발생된다. 또한, z축 방향의 커플링은 코너컷(228) 및 이에 서로 대칭되는 코너컷(238)에서 발생된다. 커플링이 총 5개로 트리플 모드의 공진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의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의 양단으로 커넥터(260, 2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60, 270)는 SMA와 같은 동축 커넥터로서 중앙에 커넥터 핀(261, 271) 및 단자 하우징을 포함하며, 커넥터 핀(261, 271)이 홀전극(217, 247) 내부로 삽입되어 홀전극(217, 247)과 커넥터(260, 2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60, 270)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20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정면의 커넥터(260)를 입력단으로 가정할 때, 입력단으로부터의 신호는 배면의 커넥터(270)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된다. 주파수에 의한 신호는 입력단으로부터 유전체 블록들을 통해 출력단으로 전달되며, 이들 과정을 통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가 넓은 밴드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축 커넥터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00)는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 340, 350, 36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 340, 350, 360)은 동일 또는 다른 재질인 유전체로 형성된 유전체 블록으로서, 이러한 유전체 블록은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통해 필터링하고자 하는 통과 대역폭에 따라 유전체 블록의 소재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 블록의 표면에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도전 코팅층(315, 325, 335, 345, 355, 365)를 포함한다.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00)는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이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40, 350, 360)과 대칭인 모습으로 형성되어 대칭관계로 직렬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따. 따라서,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들이 조립되었을 경우 제5 유전체 공진 유닛(310)은 제10 유전체 공진 유닛(360)과 대칭이고, 제6 유전체 공진 유닛(320)은 제9 유전체 공진 유닛(350)과 대칭이며, 제7 유전체 공진 유닛(330)은 제8 유전체 공진 유닛(340)과 대칭이다. 대칭관계인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과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340, 350, 360)은 서로 도전 코팅층을 사이에 두고 직렬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면,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339, 349)를 제외한 도전 코팅층을 가지는 면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은 유전체 공진 유닛(340, 350, 360)과 직렬로 결합되어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00)의 양단으로 커넥터(370, 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300)를 분해한 유전체 공진 유닛(310, 320, 330, 340, 350, 360)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 유전체 공진 유닛(310)은 일측으로 예를 들어, 정면으로 유전체 블록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이러한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315)을 가지는 홀전극(317)을 포함하고, 이러한 홀전극(317)을 가지는 면의 반대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315)을 포함한다. 홀의 표면의 도전 코팅층(315)과 유전체 블록의 도전 코팅층(315)은 유전체 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316)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5 유전체 공진 유닛(310)에 결합된 커넥터(370)의 커넥터 핀(371)이 홀전극(317) 내부로 삽입되어 홀전극(317)과 커넥터(3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유전체 공진 유닛(32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가 보이고 두개의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321)과 유전체 블록의 면측으로 네 개의 면측 홈(323)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들(321, 323)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337)에는 유전체면이 보인다. 제6 유전체 공진 유닛(320)은 홈들(331, 333)을 포함하는 면 및 그의 반대면을 제외하고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335)을 포함한다.
제7 유전체 공진 유닛(33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가 보이고 홈(331)을 포함한다. 홈(331)은 일면에 도전 코팅층(335)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홈(331)을 포함하는 유전체면의 반대면은 예를 들어, 배면은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339) 및 이러한 윈도우(339)를 제외한 부분에 도전 코팅층(335)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7 유전체 공진 유닛(330)은 홈(331)을 포함하는 유전체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335)을 포함한다.
제8 유전체 공진 유닛(34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면이 보이는 윈도우(349) 및 이러한 윈도우(349)를 제외한 부분에 도전 코팅층(345)을 포함하고, 윈도우(349)를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은 유전체가 보인다. 따라서, 윈도우(349)를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345)를 포함한다.
제9 유전체 공진 유닛(35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가 보이며 홈(351)을 포함할 수 있다. 홈(331)은 일면에 도전 코팅층(335)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홈(351)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면은 유전체가 보인다. 따라서, 홈(351)을 포함하는 면 및 그의 반대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355)를 포함한다.
제10 유전체 공진 유닛(360)은 유전체 블록의 일측에는 예를 들어, 정면에는 유전체가 보이고 두개인 대각선방향의 대각선 방향 홈(361)과 유전체 블록의 면측으로 네 개의 면측 홈(363)을 포함하며, 이러한 홈들(361, 363)을 포함하는 면을 제외한 면들은 도전 코팅층(365)를 포함한다. 제10 유전체 공진 유닛(360)은 일측으로 예를 들어, 배면으로 유전체 블록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이러한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365)을 가지는 홀전극(367)을 포함한다. 홀의 표면의 도전 코팅층(365)과 유전체 블록의 도전 코팅층(365)은 유전체 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366)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0 유전체 공진 유닛(360)에 결합된 커넥터(380)의 커넥터 핀(381)이 홀전극(367) 내부로 삽입되어 홀전극(367)과 커넥터(38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가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이 직렬로 결합되어 형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러한 복수개의 유전체 공진 유닛이 전후 좌우로 꺽어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를 이용한 필터의 공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리플 모드의 공진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
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부위가 과장되게 도시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는바, 본 발명의 내용이 도면의 구체적인 비율이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210: 제1 유전체 공진 유닛
215, 225, 235, 245: 도전 코팅층 216: 유전체 간격
217, 247: 홀전극 220: 제2 유전체 공진 유닛
221, 241:대각선방향 홈 223, 243:면측 홈
228, 238: 코너컷 229, 239: 윈도우
230: 제3 유전체 공진 유닛 240: 제4 유전체 공진 유닛

Claims (15)

  1. 유전체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에 두 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고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의 반대면에는 코너컷을 가지는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커플링이 발생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에서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에서 면측으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 두 개가 대칭관계로 직렬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을 가지는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홀전극의 도전 코팅층과 상기 홀전극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의 도전 코팅층이 유전체 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양단으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핀이 상기 홀전극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 면에는 상기 윈도우를 제외하고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블록은 다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9. 유전체 블록으로 형성되는 유전체 공진 유닛이 복수개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면에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에 두 개인 대각선 방향의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제1 유전체 공진 유닛 및
    유전체 블록의 일면측에 홈을 포함하는 제2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커플링이 발생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에서
    상기 대각선방향 홈을 가지는 면에서 면측으로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 유닛 두 개가 대칭관계로 직렬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유전체 블록의 일면의 중심부로 연장된 홀을 가지며, 상기 홀의 표면으로 도전 코팅층을 가지는 홀전극을 포함하는 제3 유전체 공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전체 공진 유닛은
    상기 홀전극의 도전 코팅층과 상기 제3 유전체 공진 유닛의 도전 코팅층은 유전체 물질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양단으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핀이 상기 홀전극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의 중앙부 면에는 상기 윈도우를 제외하고 도전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KR1020100012569A 2010-02-10 2010-02-10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KR10110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69A KR101101745B1 (ko) 2010-02-10 2010-02-10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69A KR101101745B1 (ko) 2010-02-10 2010-02-10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86A KR20110092886A (ko) 2011-08-18
KR101101745B1 true KR101101745B1 (ko) 2012-01-05

Family

ID=4492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569A KR101101745B1 (ko) 2010-02-10 2010-02-10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005B1 (ko) * 2012-05-31 2014-08-20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3차원 적층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CN109244606B (zh) * 2018-09-12 2024-02-06 江西一创新材料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
KR102144811B1 (ko) * 2018-09-12 2020-08-1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세라믹 도파관 필터
CN219144465U (zh) * 2019-09-02 2023-06-0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介电tm01模式谐振器的电子系统和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158A (ko) * 2000-03-13 2001-10-23 서평원 마이크로스트립 대 도파관 천이 구조 및 이 천이 구조를이용한 로컬 다중점 분산 서비스 장치
US20050128031A1 (en) 2003-12-16 2005-06-16 Radio Frequency Systems, Inc. Hybrid triple-mode ceramic/metallic coaxial filter assembly
KR20090009633A (ko) * 2007-07-20 2009-01-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광디스크
KR20090069895A (ko) * 2007-12-26 2009-07-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손실이 없는 유전체 조합형 고감도 공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158A (ko) * 2000-03-13 2001-10-23 서평원 마이크로스트립 대 도파관 천이 구조 및 이 천이 구조를이용한 로컬 다중점 분산 서비스 장치
US20050128031A1 (en) 2003-12-16 2005-06-16 Radio Frequency Systems, Inc. Hybrid triple-mode ceramic/metallic coaxial filter assembly
KR20090009633A (ko) * 2007-07-20 2009-01-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광디스크
KR20090069895A (ko) * 2007-12-26 2009-07-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손실이 없는 유전체 조합형 고감도 공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886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2314B2 (en) Dielectric mono-block triple-mode microwave delay filter
US6954122B2 (en) Hybrid triple-mode ceramic/metallic coaxial filter assembly
JP3506104B2 (ja) 共振器装置、フィルタ、複合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8543192A (ja) 同軸共振器に接続可能な端壁を備えたマイクロ波フィルタ
KR101320896B1 (ko) 유사 TM110 mode를 이용한 세라믹 판넬 공진기와 그 공진기를 이용한 RF 듀얼 모드 필터
US10847861B2 (en) Multimode resonator
EP3208885B1 (en) Multi-mode resonator
EP2395599B1 (en) A TE011 cavity filter assembly and method
JP3409729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送受共用器および通信機
JPH11251803A (ja) 帯域阻止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装置
KR101101745B1 (ko) 트리플 모드를 이용한 고감도 유전체 공진기 조립체
KR20170019876A (ko) 무선 주파수 필터의 공진기
KR20150010541A (ko) 다중모드 공진기
JP3480381B2 (ja) 誘電体共振器装置、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装置、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CN105762448B (zh) 一种可控混合电磁耦合基片集成波导滤波器
JP2001189612A (ja) 共振器、共振素子、共振器装置、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1315878B1 (ko) 이중 모드 유전체 공진기 필터
WO2014132657A1 (ja) 有極型帯域通過フィルタ
KR101238258B1 (ko) 메타물질 씨알엘에이치 동축선 공동 공진기
KR101468409B1 (ko) 홈이 파인 도체판을 포함하는 이중 모드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한 필터
KR20090109445A (ko) 원반형 홈을 갖는 원통형 유전체 공진기 및 그를 이용한다중 모드 대역통과 필터
JP2001085908A (ja) 多重モード共振器装置、フィルタ、複合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Li et al. Wideband bandpass frequency selective structure based on periodic array of multi-layer strip lines
CN212461993U (zh) 微波谐振器和滤波器
KR101033506B1 (ko) 커플링 소자를 구비한 광대역 공진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