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37A -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37A
KR20130097037A KR1020120018741A KR20120018741A KR20130097037A KR 20130097037 A KR20130097037 A KR 20130097037A KR 1020120018741 A KR1020120018741 A KR 1020120018741A KR 20120018741 A KR20120018741 A KR 20120018741A KR 20130097037 A KR20130097037 A KR 2013009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ible light
visually impaired
guide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246B1 (ko
Inventor
최인묵
이성준
박연규
송한욱
김민석
강대임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설치물을 거의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시각 장애인에게 해당 위치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을 안내하는 장치(100)로서, 시설물(500)에 설치된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되며,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안내 정보를 포함시키는 정보 입력 수단(110);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 및 상기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안내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 가능한 정보로 처리하는 분석부(125),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Announce system for visually-impaired peopl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단순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시각 장애인에게 목표 지점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은 사물을 보는 기관에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장애를 입어 시각적 정보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시각 장애에도 여러 정도에 따른 단계가 나뉘는데, 전혀 앞을 볼 수 없거나 잔존 시력이 있다 해도 일상 생활이 불가능한 정도의 시각 장애인도 있고, 또는 특별히 고성능의 안경 등과 같은 기구의 도움을 통해 잔존 시력을 사용하여 일상 생활이 가능한 정도의 시각 장애인도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병이나 사고 등으로 시력이 손상되었다가 정상으로 되돌아 오는 경우에도 일시적 시각 장애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시력이 정상적인 수준으로 복구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경우는 영구적 시각 장애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영구적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람을 가리켜 시각 장애인이라고 한다. 이하에서 시각 장애인과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시력과 관련한 일상 생활 또는 인식의 문제가 없는 사람을 가리켜 '일반인'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인간에게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오감을 통해 외부 환경의 정보를 인식한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사람이 인식하는 정보의 거의 반 이상이 시각을 통해 인식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시각 장애인의 경우 다른 감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 비하여 일상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극도로 높다.
특히 현대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상당히 위험이 높은 상황이 일상적으로 만들어진다. 간단한 예로 자동차의 경우, 시각 장애가 없는 일반인의 경우 큰 문제 없이 차도를 피하여 다닐 수 있으나, 시각 장애인은 자신이 걷고 있는 길이 인도인지 차도인지를 구별하는 것조차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일반인에 비해 위험 노출 정도가 훨씬 큰 것이다. 또한, 현대인의 생활상 자체가 과거와는 달리 매우 복잡 다양해지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알아야 할 정보들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인식되도록 하고 있는데, 표지판, 안내문, 안내도, 전광판 등과 같은 시각적 정보로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시각 장애인은 이러한 정보들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혼자서 쉽게 습득하기 어렵고, 따라서 일상 생활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물론 현재, 신호등에서 보행 신호가 들어올 때 안내음이 함께 나온다거나, 지하철, 기차역 등에서 지하철, 기차 등이 도착 또는 도착 예정 등의 정보가 전광판 등으로 표시되어 안내될 때 안내 방송이 함께 나오는 등과 같이, 시각 장애인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례로 공중 화장실 등과 같은 특정 장소를 안내하기 위하여 수시로 안내음을 낸다거나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바, 이러한 경우에는 시각적 정보인 안내 표지만으로 안내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특정 장소로 안내함에 있어서 청각적 정보 등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경우 시각 장애인에게 큰 불편이 따를 수밖에 없다.
한편, 현재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1-0127457호(2011.11.25, "GPS와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에는, 보행 안내가 요구되는 위치에 RFID 태그가 구비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RFID 리더기가 그 근처에 가면 해당 RFID 태그에 대응되는 음원정보가 출력되어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시각 장애인의 현재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1-0116808호(2011.10.26, "시각 장애인용 교통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버스정류장에 운행 정보, 버스 노선 등을 안내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도록 하고,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이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안내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한국특허공개 제2011-0082225호(2011.07.19,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한국특허공개 제2011-0101558호(2011.09.16,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에는 적외선 및 초음파 통신을 이용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 뿐 아니라 방향까지 제시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들을 이용함으로써, 실내에 목표 지점이 있을 때 원활한 안내를 받을 수 있는가, 목표 지점 근처에 도달하였을 때 목표 지점으로의 방향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가, 단일 개의 목표 지점에 대하여서도 정확한 거리 및 방향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가 등의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된다.
그 외에도 현재 GPS 기술 등을 활용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유사하게 보행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기술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GPS 기술의 경우 실내에서의 위치 추적이 어려워, 실외에서의 이동이 전제되어 있는 차량과는 달리 실내에서의 이동이 매우 많은 보행자에게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건물 내 화장실, 안내 센터 등과 같은 특정 장소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GPS 기술 외 다른 방향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상기 선행기술 중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기술, 버스 정류장에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기술 등이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접근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특정한 장치를 구비하여야만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를 이용한 기술의 경우 목표 지점에 RFID 태그를 부착 구비하여야만 하고, 버스 정류장 안내 시스템 기술의 경우 현재의 버스 정류장에 새로운 안내 장치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현재의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크게 떨어져, 이를 실현함에 있어 현실적으로 구축에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필요하고, 구축 비용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가시광에 해당하는 빛을 무선 통신에 활용하는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시광 통신 기술에 대해서는 한국특허공개 제2011-0099476호(2011.09.08, "가시광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한국특허공개 제2011-0093802호(2011.08.18,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등과 같은 선행기술들에 그 원리 및 특성 등이 잘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시광 통신 시스템을 시각 장애인의 안내용으로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1. 한국특허공개 제2011-0127457호(2011.11.25, "GPS와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2. 한국특허공개 제2011-0116808호(2011.10.26, "시각 장애인용 교통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3. 한국특허공개 제2011-0082225호(2011.07.19,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4. 한국특허공개 제2011-0101558호(2011.09.16,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5. 한국특허공개 제2011-0099476호(2011.09.08, "가시광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6. 한국특허공개 제2011-0093802호(2011.08.18,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설치물을 거의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시각 장애인에게 해당 위치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을 안내하는 장치(100)로서, 시설물(500)에 설치된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되며,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안내 정보를 포함시키는 정보 입력 수단(110);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 및 상기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안내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 가능한 정보로 처리하는 분석부(125),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외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트로 연결되어,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21)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122)는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소리 신호, 촉각 신호, 진동 신호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500)의 소개 정보, 상기 시설물(500)의 위치 정보, 상기 시설물(500)과 관련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 조명(550)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해당 위치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이 어떤 특정 장소(예를 들어 특정 지하철역, 건물 내 안내 센터, 화장실 등)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장소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받아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큰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현재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설치물(전광판, 조명 등)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정보 안내를 위한 장치(RFID 태그 등)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시간, 인력, 비용 등의 자원이 훨씬 절약되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단말기의 구성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100)는,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을 안내하는 장치(100)로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입력 수단(110) 및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여 이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120)로 이루어진다.
가시광 통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가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이어 조명으로도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반도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조명의 빛을 통신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등장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LED 조명 통신 융합은 LED를 통해 조명을 함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융합 기술로서, 조명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이므로 가시광 무선 통신 또는 가시광 통신이라고도 한다. 가시광 통신 기술은 디지털 조명과 통신을 융합한 통신 기술로, 통신 여부가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가시광 통신 기술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LED 조명은 디지털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 조명에 비하여 기술 발전 속도가 높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조명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시광 통신에서 사용되는 빛은 780nm에서 380nm의 파장(wavelength)을 갖는 가시광선으로서,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장점이 된다. 따라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할 경우 조명으로 사용되는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각종 전자파를 이용하는 통신 방법과는 달리 인체에 무해하며, 주파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고, ISM과의 간섭도 없으며, 물리적으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초정밀 측위에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시설물(500)에 설치된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안내 정보를 포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설물(500)이란 조명이나 전광판 등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이라면 무엇이든 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은 교통 요지가 될 수도 있고, 또는 건물 내 조명이 설치된 장소라면 안내 센터, 화장실, 안내문ㆍ안내도 등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 등 어느 장소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가시광 조명(550)은 가시광 통신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LED 조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되어 발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이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된 전력 공급선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 공급되는 전력에 원하는 안내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인가하기만 하면, 기존의 시설물(500) 및 가시광 조명(550)의 구성을 전혀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가시광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시광 조명(550)을 이용하여 단지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을 부가시켜 주기만 함으로써, 별도의 안내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성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현재 많은 공공시설, 특히 지하철역, 기차역 등에는 LED로 된 전광판이 설치되어 지하철ㆍ기차 도착 여부, 지하철ㆍ기차 노선 및 시간 안내 등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러한 전광판에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을 부가하고, 이 전광판에서 제공하는 시각적인 안내 정보를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을 통해 안내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시각적인 정보를 인식할 수 없는 시각 장애인도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정보를 손쉽게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광판은 이미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시각 장애인만을 위한 안내 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본 발명을 이러한 전광판에 채용할 경우 사용자 편의성은 극대화시키면서도 경제적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외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트로 연결되어,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에서 안내될 정보의 업데이트나 변경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면서 상기 가시광 조명(550)을 통해 전달되는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시각 장애인이 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통해 각 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부(121)는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121)는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기만 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21)는 광센서일 수 있다.
상기 분석부(125)는 상기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안내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 가능한 정보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500)의 소개 정보, 상기 시설물(500)의 위치 정보, 상기 시설물(500)과 관련된 교통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500)의 소개 정보란, 예를 들어 상기 시설물(500)이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이 아니라) 바로 지하철역이라는 정보, 또는 어느 지하철역이라는 정보 등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안내문(상기 가시광 조명(550)이 설치된 곳이 어떤 안내문 앞일 경우 '상기 시설물(500)'은 안내문이 적힌 패널이 될 수 있다)의 내용을 알려 주는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시설물(500)의 위치 정보는 말 그대로 그 위치를 알려 주는 것으로서, 일례로 앞서 예로 든 '어느 지하철역이라는 정보'가 위치 정보로서 안내될 수도 있다. 상기 시설물(500)과 관련된 교통 정보란, 예를 들어 상기 시설물(500)이 지하철역이나 기차역일 경우, 지하철 또는 기차가 도착하고 있는지의 여부, 예상 도착 시간, 이정표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2)는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120)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면서 정보를 안내받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므로, 상기 출력부(122)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당연히 시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여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부(122)는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소리 신호, 촉각 신호, 진동 신호 등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리 신호는 미리 만들어진 안내 음성과 같은 소리일 수도 있고, 안내를 돕기 위한 음향과 같은 소리일 수도 있고, 또는 미리 만들어져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진 음향 패턴과 같은 소리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패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정류장 등과 같은 중요 스팟(spot)에 도착하면 '비프음이 3번 나도록 한다'는 음향 패턴을 사용자가 미리 알고 있게 하고, 실제 사용 시 중요 스팟에 도착하면 해당 음향 패턴(3번 비프음)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도착을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등과 같이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촉각 신호는 점자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고, 온열감이나 질감 등과 같은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고, 모공ㆍ체모의 미세 자극 등으로 인한 바람 느낌 등과 같은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 신호는 방향에 따른 진동 신호(예를 들어 좌우에 진동 수단이 구비되어, 좌측만 진동/우측만 진동 등과 같은 방식), 패턴에 따른 진동 신호(예를 들어 중요 스팟에 도착하면 짧게 3번 진동되는 패턴 등과 같은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출력부(122)는 한 가지 형태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다양한 신호들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는 개략적으로, 소리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122a), 점자 부호 등과 같은 촉각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122b), 특정 패턴의 진동과 같은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122c)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2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소리 신호 출력 시 유/무선 이어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면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주머니에 넣거나 손에 쥐고 휴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신체 접촉 부분(손잡이 등)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뿐 아니라, 상기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단말기(120)는 안경 형태, 모자 형태, 의류 형태, 신발 형태, 손목ㆍ팔ㆍ발목ㆍ다리ㆍ허리 등 신체 일부에 두를 수 있는 밴드 형태, 목걸이 형태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20)를 신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하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안내 장치 110: 정보 입력 수단
120: 단말기 121: 수신부
122: 출력부 125: 분석부
500: 시설물 550: 가시광 조명

Claims (7)

  1.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시각 장애인을 안내하는 장치(100)로서,
    시설물(500)에 설치된 가시광 조명(550)에 구비되며, 가시광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안내 정보를 포함시키는 정보 입력 수단(110);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 및 상기 수신부(121)에서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안내 정보를 분석하여 인식 가능한 정보로 처리하는 분석부(125),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수단(110)은
    외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트로 연결되어, 상기 가시광 조명(550)에서 발생되는 광신호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21)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22)는
    상기 분석부(125)에서 처리된 안내 정보를 소리 신호, 촉각 신호, 진동 신호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시설물(500)의 소개 정보, 상기 시설물(500)의 위치 정보, 상기 시설물(500)과 관련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조명(550)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KR1020120018741A 2012-02-23 2012-02-23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KR10137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41A KR101371246B1 (ko) 2012-02-23 2012-02-23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41A KR101371246B1 (ko) 2012-02-23 2012-02-23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37A true KR20130097037A (ko) 2013-09-02
KR101371246B1 KR101371246B1 (ko) 2014-03-07

Family

ID=4944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41A KR101371246B1 (ko) 2012-02-23 2012-02-23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8B1 (ko) * 2014-09-15 2015-01-15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6080616A1 (ko) * 2014-11-18 2016-05-26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6133249A1 (ko) * 2015-02-16 2016-08-25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비상대피 보조 시스템
KR20190056281A (ko) *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49B1 (ko) * 2008-12-12 2011-05-25 한국광기술원 가시광 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8B1 (ko) * 2014-09-15 2015-01-15 (주)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6043357A1 (ko) * 2014-09-15 2016-03-24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US10441494B2 (en) 2014-09-15 2019-10-15 Yuyang Dnu Co., Ltd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WO2016080616A1 (ko) * 2014-11-18 2016-05-26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6133249A1 (ko) * 2015-02-16 2016-08-25 ㈜유양디앤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비상대피 보조 시스템
KR20190056281A (ko) *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46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334B2 (en) System and method to assist users having reduced visual capability utilizing lighting device provided information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Castillo-Cara et al. Ray: Smart indoor/outdoor routes for the blind using Bluetooth 4.0 BLE
US11331242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CN102044145A (zh) 车辆与实体通信
KR1013712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JP2007257463A (ja) 指向性音声案内システム及び指向性音声案内方法
CN109166306A (zh) 一种用于信号控制交叉口的导盲装置及系统
Hatakeyama et al. Remote infrared audible signage system
ES2401252A2 (es) Bastón virtual para auxilio a personas ciegas
Ross et al. Talking braille: a wireless ubiquitous computing network for orientation and wayfinding
KR10129852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Coughlan et al. The crosswatch traffic intersection analyzer: a roadmap for the future
KR20230023981A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0684A (ja)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
JP7379489B2 (ja) 通信システム、処理装置及び所持物
KR20160059495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60050410A (ko) 무선 태그 지도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24012002A (ja) 微弱電波送信機能付き信号表示装置
Jerabek et al. Expansion of information system with NFC technology for visually impaired passengers
Huaranga Junco et al. Ray: Smart indoor/outdoor routes for the blind using Bluetooth 4.0 BLE
US11844741B2 (en) Travel assistance system
KR102304156B1 (ko) 관제 서버, 이동 보조 수단, 및 지능형 안내 블록을 이용한 안내 시스템 및 안내 방법
JP2003310677A (ja) 視覚障害者向け誘導装置及び誘導システム
US20220223069A1 (en) Orientation aid system for blin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