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595A - 화분 제조 키트 - Google Patents

화분 제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595A
KR20130096595A KR1020120018170A KR20120018170A KR20130096595A KR 20130096595 A KR20130096595 A KR 20130096595A KR 1020120018170 A KR1020120018170 A KR 1020120018170A KR 20120018170 A KR20120018170 A KR 20120018170A KR 20130096595 A KR20130096595 A KR 2013009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ld
natural material
cover member
mo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102B1 (ko
Inventor
김명석
박영인
정영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1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1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 제조 키트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화분 제조 키트는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관통부가 형성된 성형틀; 및 성형틀이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제조 키트{FLOWERPOT MANUFACTURING KIT}
본 발명은 화분 제조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엽과 같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화분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고, 환경성 및 교육성은 물론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분 제조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각종 식물을 심어서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서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나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들의 기본적인 구조는 대부분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는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되면서도 내부에는 흙이나 기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토양이 충진되고, 하부면에는 물이 빠질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7939호 (2008. 06. 25. 공개, 발명의 명칭 : 기능성 미니 풍경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가 있다.
본 발명은 낙엽과 같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화분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고, 환경성 및 교육성은 물론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분 제조 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는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관통부가 형성된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이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틀에는, 안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성형틀이 안착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성형틀이 안착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날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날개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계부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커버부가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는, 경계부에 의해 다수의 커버부가 일렬로 구획되고, 양단부의 커버부 중 일단부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타단부의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부 중 어느 하나의 경계부는 인접한 두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절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절취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틀에 부착된 천연부재를 타공하기 위한 연통부재; 씨앗; 상기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성장토; 상기 화분의 재료가 되는 천연재료; 상기 천연재료를 상기 성형틀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천연재료와 상기 성형틀의 분리를 위해 상기 성형틀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이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틀이 이격되어 삽입되는 고정공간과, 상기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연통부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에 삽입 안착되는 고정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화분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고, 환경성 및 교육성은 물론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이 편리하고,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는 천연재료(90)를 이용하여 화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천연재료(90)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로써, 잎사귀, 줄기 표피, 껍질 등이 있다.
천연재료(90)는 토양에 매립되어서도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고, 토양에서 용이하게 부패되어 거름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천연재료(90)는 낙엽과 같이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90)를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천연재료(90)의 종류나 천연재료(90)의 건조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천연재료(90)는 자연에서 채집 또는 채취할 수 있는 낙엽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분 제조 키트는 성형틀(10)과 케이스(40)를 포함한다.
성형틀(10)은 성형하고자 하는 화분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성형틀(10)에는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관통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1)는 구멍과 같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홈과 같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와 같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틀(10)에는 안착공간(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안착공간(13)은 성형틀(10)에 함몰 형성됨으로써, 화분의 제조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부재를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40)는 성형틀(10)이 삽입 안착되어 성형틀(10)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40)는 바닥부재(50)와 커버부재(60)를 포함한다.
바닥부재(50)는 성형틀(10)이 안착된다.
바닥부재(50)는 바닥부(51)와 고정날개부(55)를 포함한다.
바닥부(51)는 성형틀(10)이 안착된다. 바닥부(51)에는 지지홈(5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511)은 천연재료(90)를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100)가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홈(511)에는 이탈홈(513)이 연통될 수 있다. 이탈홈(513)은 지지홈(511)에 안착된 접착부재(100)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탈홈(513)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착부재(100)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51)에는 지지돌부(5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부(57)는 성형틀(10)의 안착공간(13)에 삽입 지지되어 성형틀(10)이 바닥부(51)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돌부(57)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511)과 이탈홈(5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고정날개부(55)는 바닥부(51)에 구비되어 커버부재(60)와 결합된다. 고정날개부(55)는 바닥부(51)에서 연장 형성되고, 바닥부(51)와 구획되도록 접을 수 있다.
고정날개부(55)에는 걸림고정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고정부(551)는 고정날개부(55)와 구획되도록 접을 수 있다. 걸림고정부(551)는 고정날개부(55)의 일부를 절개하여 접을 수 있다.
걸림고정부(551)는 커버부재(60)에 걸림 결합된다.
바닥부재(50)는 지지날개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날개부(53)는 바닥부(51)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커버부재(60)를 지지한다. 지지날개부(53)는 바닥부(51)에서 연장 형성되고, 바닥부(51)와 구획되도록 접을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바닥부재(50)와 결합되어 성형틀(10)을 감싼다.
커버부재(60)는 바닥부(51)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계부(611)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커버부(61)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커버부(61)는 고정날개부(55)와 지지날개부(53)에 대응되도록 한다.
커버부(61)는 경계부(611)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다.
커버부재(60)는 경계부(611)에 의해 다수의 커버부(61)가 일렬로 구획되고, 양단부의 커버부(61) 중 일단부의 커버부(61)에 구비되는 연결부(63)가 타단부의 커버부(61)에 결합되어 바닥부(51)에 안착되는 성형틀(10)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63)는 경계부(611)에 의해 커버부(61)와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63)는 경계부(611)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63)는 타단부의 커버부(61)에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커버부(61)에는 화분의 제작 방법과 사용 방법이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분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다수의 커버부(61)로 구획하는 경계부(611) 중 어느 하나의 경계부(611)는 인접한 두 커버부(6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절취부(6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절취부(65)에 의해 상호 연결된 두 커버부(61)를 이격시켜 두 커버부(61)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61)에는 절취부(65)의 단부와 연결되는 파지부(613)가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613)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61)가 절취부(65)를 따라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부(613)는 커버부(61)의 모서리를 모따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파지부(613)는 절취부(65)에 의해 상호 연결된 두 커버부(61)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절취부(65)에 의해 인접한 두 커버부(61)가 분리되면, 커버부재(60)는 전개도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되고, 각각의 커버부(61)에 표시된 화분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는 고정틀(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틀(20)은 성형틀(10)이 삽입되고, 케이스(40)에 삽입 안착된다.
고정틀(20)에는 성형틀(10)이 이격되어 삽입되는 고정공간(21)이 형성된다. 고정공간(21)이 형성됨으로써, 성형틀(10)에 부착된 천연재료(90)의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하고, 천연재료(90)의 부착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틀(20)에는 연통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23)는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연통부(23)는 성형틀(10)의 관통부(11)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연통부(23)는 구멍과 같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홈과 같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와 같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는 화분의 제조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분의 제조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부재는 사용자가 제조하거나, 채집 또는 채취하거나, 구입할 수 있다.
화분의 제조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부재로는 연통부재(30)와, 씨앗(70)과, 성장토(80)와, 천연재료(90)와, 접착부재(100)와, 이형부재(110)로 구분할 수 있다.
연통부재(30)는 관통부(11)는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되고, 연통부(23)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경우, 성형틀(10)에 부착된 천연재료(90)를 타공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연통부재(30)는 끝이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공을 용이하게 한다.
씨앗(70)은 화분에 파종하기 위한 종자이다.
성장토(80)는 화분에 파종되는 씨앗(70)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거름이거나 이러한 거름이 함유된 토양이다.
천연재료(90)는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성형틀(10)에 의해 제조되는 화분의 재료이다.
접착부재(100)는 천연재료(90)를 성형틀(10)에 부착 고정시킨다.
이형부재(110)는 성형틀(10)에 부착되는 천연재료(90)와 성형틀(10)의 분리를 위해 성형틀(10)에 부착 또는 도포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를 이용한 화분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를 이용한 화분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은 화분제작단계와, 종자성장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분제작단계에 앞서 천연재료수집단계(a)를 통해 자연에서 낙엽과 같은 천연재료(90)를 채집 또는 채취할 수 있다.
화분제작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를 사용한다.
화분 제조 키트를 살펴보면, 케이스(40) 내부에 성형틀(10)이 삽입된 고정틀(20)이 삽입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날개부(53)는 커버부재(60)의 하측을 지지하고, 걸림고정부(551)가 커버부재(60)의 단부에 걸림 결합되어 바닥부재(50)와 커버부재(6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고정부(551)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그러면, 바닥부재(50)와 커버부재(6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40)에 수납된 성형틀(10)과 고정틀(20) 그리고 화분의 제조에 필요한 부재들을 꺼내어 화분을 제작할 수 있다.
화분제작단계는 이형부재도포단계(b)와, 천연재료부착단계(c)와, 천연재료고정단계(d)와, 배수공형성단계(e)와, 천연재료분리단계(f)를 포함한다.
이형부재도포단계(b)는 성형틀(10)의 표면에 이형부재(110)를 부착 또는 도포한다.
천연재료부착단계(c)는 접착부재(100)를 이용하여 이형부재(110)가 부착 또는 도포된 성형틀(10)에 천연재료(90)를 부착한다. 여기서 천연재료(90)는 화분의 형상을 유지하고 파종되는 식물의 생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성형틀(10)에 여러겹으로 겹쳐서 부착할 수 있다.
천연재료고정단계(d)는 천연재료(90)가 부착된 성형틀(10)을 고정틀(20)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틀(20)을 성형틀(10) 측으로 가압하면, 천연재료(90)가 매끄럽게 성형틀(1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배수공형성단계(e)는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성형틀(10)에 부착된 천연재료(90)를 타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 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성형틀(10)에는 관통부(11)가 형성되고, 고정틀(20)에는 연통부(23)가 형성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1)와 연통부(23)가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수공형성단계(e)는 별도의 연통부재(30)가 관통부(11)와 연통부(23)를 통과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천연재료(90)를 타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1)는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되고, 연통부(23)는 돌기로 형성되는 경우, 배수공형성단계(e)는 고정틀(20)의 고정공간(21)에 성형틀(10)이 삽입됨에 따라 천연재료(90)를 타공할 수 있다.
한편, 관통부(11)가 돌기로 형성되는 경우, 천연재료부착단계(c)에서 관통부(11)를 제외한 성형틀(10) 표면에 천연재료(90)를 부착함으로써, 천연재료(90)를 타공할 수 있다. 이때, 연통부(23)는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천연재료분리단계(f)는 성형틀(10)에서 상호 부착되어 고정된 천연재료(90)를 분리한다. 이때, 성형틀(10)에 이형부재(110)가 부착 또는 도포되어 있으므로, 성형틀(10)에서 고정된 천연재료(9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된 천연재료(90)는 성형틀(10)에서 분리됨으로써,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종자성장단계는 파종단계(g)와, 물주기단계(h)와, 땅파기단계(i)와, 분갈이단계(j)를 포함한다.
파종단계(g)는 화분 제조 키트에 의해 고정된 천연재료(90)에 성장토(80)를 투입하고, 씨앗(70)을 심는다.
물주기단계(h)는 파종단계(g)를 거친 고정된 천연재료(90)에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한다. 공급 주기 또는 공급량은 파종된 씨앗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여기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고정된 천연재료(90)의 성장토(80)에서 씨앗(70)을 발아시킬 수 있다.
땅파기단계(i)는 발아된 씨앗을 생장시키기 위해 발아된 씨앗을 옮겨 심는다. 여기서 옮겨 심을 장소에 고정된 천연재료(90)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한다.
분갈이단계(j)는 고정된 천연재료(90)를 삽입될 공간에 매립한다. 씨앗(70)이 발아되어 있는 고정된 천연재료(90)는 토양에서 부패되어 거름으로 변하므로, 고정된 천연재료(90)를 직접 묻어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옮겨 심어진 씨앗(70)은 생장하고, 생장된 식물에서 다시 낙엽과 같은 천연재료(90)로 채집 또는 채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성장된 식물을 확인하는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고, 환경성 및 교육성은 물론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성형틀 11: 관통부
13: 안착공간 20: 고정틀
21: 고정공간 23: 연통부
30: 연통부재 40: 케이스
50: 바닥부재 51: 바닥부
511: 지지홈 513: 이탈홈
53: 지지날개부 55: 고정날개부
551: 걸림고정부 57: 지지돌부
60: 커버부재 61: 커버부
611: 경곌부 613: 파지부
63: 연결부 65: 절취부
70: 씨앗 80: 성장토
90: 천연재료 100: 접착부재
110: 이형부재

Claims (12)

  1.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관통부가 형성된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이 삽입 안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는, 안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성형틀이 안착되는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성형틀이 안착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결합되는 고정날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계부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커버부가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경계부에 의해 다수의 커버부가 일렬로 구획되고, 양단부의 커버부 중 일단부의 커버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타단부의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9. 제7항 또는 제8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 중 어느 하나의 경계부는 인접한 두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절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절취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 부착된 천연재료를 타공하기 위한 연통부재;
    씨앗;
    상기 씨앗을 발아시켜 생장시키는 성장토;
    상기 화분의 재료가 되는 천연재료;
    상기 천연재료를 상기 성형틀에 부착 고정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천연재료와 상기 성형틀의 분리를 위해 상기 성형틀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이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이 이격되어 삽입되는 고정공간과, 상기 화분의 배수공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연통부가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에 삽입 안착되는 고정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 키트.
KR1020120018170A 2012-02-22 2012-02-22 화분 제조 키트 KR10140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70A KR101408102B1 (ko) 2012-02-22 2012-02-22 화분 제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70A KR101408102B1 (ko) 2012-02-22 2012-02-22 화분 제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595A true KR20130096595A (ko) 2013-08-30
KR101408102B1 KR101408102B1 (ko) 2014-06-17

Family

ID=4921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70A KR101408102B1 (ko) 2012-02-22 2012-02-22 화분 제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1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9201A (zh) * 2014-01-28 2014-04-30 胡博尧 一种层壁组合式花盆及其制作方法
CN105284472A (zh) * 2015-09-17 2016-02-03 张占海 造林用纸制无底营养杯
KR20210002842U (ko) * 2020-06-12 2021-12-21 경기도 접이식 화분
KR20220040643A (ko) * 2020-09-24 2022-03-31 이성학 모종포트 조립판재
KR102634610B1 (ko) * 2023-05-18 2024-02-07 강성기 수경재배용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1981B2 (ja) * 1993-10-05 1998-11-05 朝日工業株式会社 植木鉢の製造方法
JP3688624B2 (ja) 2001-10-26 2005-08-31 大和製罐株式会社 角形プラスチックカップの成形装置
KR200468117Y1 (ko) * 2009-02-11 2013-07-29 양진용 포장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9201A (zh) * 2014-01-28 2014-04-30 胡博尧 一种层壁组合式花盆及其制作方法
CN105284472A (zh) * 2015-09-17 2016-02-03 张占海 造林用纸制无底营养杯
KR20210002842U (ko) * 2020-06-12 2021-12-21 경기도 접이식 화분
KR20220040643A (ko) * 2020-09-24 2022-03-31 이성학 모종포트 조립판재
KR102634610B1 (ko) * 2023-05-18 2024-02-07 강성기 수경재배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102B1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02B1 (ko) 화분 제조 키트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JP2009195155A5 (ko)
KR20170118108A (ko) 접목용 육묘부재 및 육묘세트 및 접목묘 생산방법
CN104067847A (zh) 一种三叶木通的扦插育苗方法
JP2010233494A (ja) 植物栽培用容器、植物栽培用容器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JP2009159910A (ja) 植物の増殖方法
US20100242359A1 (en) Hanging planter for growing upside down plants from seeds
WO2018062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ltivating plant material
JP2006296205A (ja) 野菜の栽培方法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JP2001103841A (ja) 育苗方法及びその装置
US10136585B1 (en) In-ground seed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8289669A (ja) 立体型プランター
KR101511938B1 (ko)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101775415B1 (ko) 과일나무 재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일나무 재배방법
TWM503747U (zh) 能增加植物根部延伸空間之盆體
KR101511940B1 (ko) 재활용 친환경 노트
JPH0220224A (ja) 袋詰め栽培床及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並びに植え換え方法
JPH0775456A (ja) 水耕栽培用基材および植物の水耕栽培方法
KR101243020B1 (ko) 수경재배용 발아육모포트
KR101511943B1 (ko) 속지 묶음용 친환경 바인더
JP2006081508A (ja) 園芸用簡易鉢
KR200254406Y1 (ko) 작물 재배용 포트
EP2210462A1 (en) Germi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