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378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378A
KR20130096378A KR1020120017774A KR20120017774A KR20130096378A KR 20130096378 A KR20130096378 A KR 20130096378A KR 1020120017774 A KR1020120017774 A KR 1020120017774A KR 20120017774 A KR20120017774 A KR 20120017774A KR 20130096378 A KR20130096378 A KR 2013009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ush button
panel
butt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010B1 (ko
Inventor
이한주
김종우
손호성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0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턴 시 버튼 가이드의 후크부와 패널의 스토퍼 간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패널 및 가압력에 의해 패널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은 후크부를 갖는 버튼 가이드를 포함하고, 패널은 푸쉬 버튼의 복귀 시 후크부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후크부와 스토퍼의 사이에 푸쉬 버튼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푸쉬 버튼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의 단면에 후크부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스토퍼의 단면과 후크부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스토퍼와 후크부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상에 공조장치의 각종 모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푸쉬 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쾌적한 탑승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여 냉,난방 및 송풍 모드를 수행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컨트롤러에는 각종 공조 환경을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푸쉬 버튼이 마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는 각종 공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가 구비되며, 이러한 컨트롤러(1)는 차량 실내의 냉방, 난방 및 송풍을 위한 공조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에는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패널(11) 상에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는 푸쉬 버튼(10)이 다수개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푸쉬 버튼(10)은 버튼 가이드(13) 및 버튼 캡(14)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3)는 버튼 캡(14)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3)는 버튼 캡(14)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푸쉬 버튼(10)은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 측으로 삽입되며, 또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로부터 돌출되어 리턴 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널(11)에는 버튼 가이드(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버튼 가이드(13)에는 스토퍼(12)에 걸려 버튼 가이드(13)가 패널(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후크부(16)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푸쉬 버튼(1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2)의 걸림부(15)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0)이 패널(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3)와 패널(11)의 스토퍼(12)의 사이에 일정 갭이 유지되며, 푸쉬 버튼(10)의 눌림 후 리턴 시 후크부(16)와 스토퍼(12)는 걸림부(15)의 일정 면적에서 접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푸쉬 버튼(10)은 눌림 후 리턴 시 원복되는 속도로 인한 충격을 후크부(16)와 스토퍼(12)가 온전히 받아 구조적으로 내구성의 저하 문제가 있었으며 후크부(16)에 대한 스토퍼(12)의 걸림부(15)와의 충격에 의해 리턴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턴 시 버튼 가이드의 후크부와 패널의 스토퍼 간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패널 및 가압력에 의해 패널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은 후크부를 갖는 버튼 가이드를 포함하고, 패널은 푸쉬 버튼의 복귀 시 후크부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후크부와 스토퍼의 사이에 푸쉬 버튼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푸쉬 버튼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의 단면에 후크부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스토퍼의 단면과 후크부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스토퍼와 후크부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차량 실내의 냉방, 난방 및 송풍과 같은 공조장치의 모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110) 및 푸쉬 버튼(1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푸쉬 버튼(120)은 가압력에 의해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며, 이와 같은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패널(1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푸쉬 버튼(120)은 버튼 가이드(140) 및 버튼 캡(141)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40)와 버튼 캡(141)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40)는 버튼 캡(14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2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 측으로 전진하여 삽입되며,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로부터 후진하여 리턴된다.
또한, 버튼 가이드(140)는 후크부(130)를 구비하며, 패널(110)은 스토퍼(150)를 구비한다. 스토퍼(150)는 버튼 가이드(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널(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120)이 패널(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크부(130)는 패널(1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튼 가이드(14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150)에 걸려 스토퍼(150)와 더불어 버튼 가이드(140)가 패널(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후크부(130)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20)이 패널(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완충수단을 더 구비한다. 완충수단은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에 발생하는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쉬 버튼(120)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의 단면에 후크부(130)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완충수단은 스토퍼(150)의 단면과 후크부(130)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한다. 이후에, 일시적으로 충격을 흡수한 완충수단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복되어 푸쉬 버튼(120)을 고정하게 된다. 결국,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와 후크부(130)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 경우, 완충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의 형태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로, 완충수단은 텐션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리브(220)는 스토퍼(150)로부터 후크부(130)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5는 푸쉬 버튼(120)이 눌러져 패널(110) 측으로 전진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크부(130)가 스토퍼(15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후에, 푸쉬 버튼(120)이 다시 눌러져 패널(110)로부터 후진 리턴하면, 후크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0)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자체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 형상의 텐션리브(220)는 후크부(130)가 스토퍼(150)와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미세하게 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텐션리브(220)는 스토퍼(150)에 별도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함께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별도의 부재의 추가 구성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둘째로, 완충수단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10)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면에 개재된다. 탄성부(210)를 고무 재질의 합성수지나 스프링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부(210)는 전술한 텐션리브(220)와 동일하게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발생하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충격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탄성부(210)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더욱 우수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탄성부(210)는 스토퍼(150)에 고정되거나 후크부(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토퍼(150) 및 후크부(130) 모두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탄성부(210)는 스토퍼(150) 및 후크부(130)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110) 및 푸쉬 버튼(1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푸쉬 버튼(120)은 가압력에 의해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며, 이와 같은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패널(1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푸쉬 버튼(120)은 버튼 가이드(140) 및 버튼 캡(141)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40)와 버튼 캡(141)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40)는 버튼 캡(14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2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 측으로 전진하여 삽입되며,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로부터 후진하여 리턴된다.
또한, 버튼 가이드(140)는 후크부(130)를 구비하며, 패널(110)은 스토퍼(150)를 구비한다. 스토퍼(150)는 버튼 가이드(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널(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120)이 패널(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크부(130)는 패널(1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튼 가이드(14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150)에 걸려 스토퍼(150)와 더불어 버튼 가이드(140)가 패널(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후크부(130)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20)이 패널(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보강 리브(300)를 더 구비한다. 보강 리브(300)는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를 접촉시킨다.
도 8은 푸쉬 버튼(120)이 눌러져 패널(110) 측으로 전진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크부(130)가 스토퍼(15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후에, 푸쉬 버튼(120)이 다시 눌러져 패널(110)로부터 후진 리턴하면, 후크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0) 측으로 이동한다.
결국, 보강 리브(300)가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를 접촉함에 따라, 버튼 가이드(140)와 패널(110) 간의 마찰 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푸쉬 버튼(120)의 리턴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50)는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일차로 보강 리브(300)와 접촉한 후 최종적으로 후크부(130)의 단부와 접촉하여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접촉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보강 리브(300)는 후크부(1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도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접촉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강 리브(300)는 직선부(310) 및 경사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직선부(310)는 후크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스토퍼(150)와 일차로 접촉하면서 마찰 면적을 증대시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경사부(320)는 직선부(310)로부터 버튼 가이드(140)의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스토퍼(150)의 단부에 걸림 현상 없이 푸쉬 버튼(120)이 원활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패널 120 : 푸쉬 버튼
130 : 후크부 140 : 버튼 가이드
150 : 스토퍼 210 : 탄성부
220 : 텐션리브 300 : 보강리브
310 : 직선부 320 : 경사부

Claims (6)

  1. 패널(110) 및 가압력에 의해 상기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12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120)은 후크부(130)를 갖는 버튼 가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110)은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상기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푸쉬 버튼(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130)와 상기 스토퍼(150)의 사이에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후크부(130)와 상기 스토퍼(150)의 접촉면에 개재되는 탄성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스토퍼(150)로부터 상기 후크부(130)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판 형상을 갖는 텐션리브(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버튼 가이드(140)와 상기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상기 후크부(130)와 상기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상기 버튼 가이드(140)와 상기 스토퍼(150)를 접촉시키는 보강 리브(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300)는,
    상기 후크부(1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300)는:
    상기 후크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310); 및
    상기 직선부(310)로부터 상기 버튼 가이드(140)의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20120017774A 2012-02-22 2012-02-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143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ko) 2012-02-22 2012-02-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ko) 2012-02-22 2012-02-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8A true KR20130096378A (ko) 2013-08-30
KR101430010B1 KR101430010B1 (ko) 2014-08-13

Family

ID=4921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ko) 2012-02-22 2012-02-22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104A (zh) * 2017-12-20 2019-06-28 大众汽车有限公司 具有集成在仪表板中的平视显示器的交通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62B1 (ko) * 2002-08-13 2005-05-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히터 제어 버튼의 구조
KR100529148B1 (ko) * 2004-03-18 2005-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작동 소음 저감형 히터 콘트롤 버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104A (zh) * 2017-12-20 2019-06-28 大众汽车有限公司 具有集成在仪表板中的平视显示器的交通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010B1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1218B (zh) 冲击反馈操作装置
CN107428224B (zh) 汽车的通风口把手
US20120096666A1 (en) Wiper blade
KR101650796B1 (ko) 조절 노브 장치
US9421888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6665148B2 (ja) 車両用ピラートリムアッセンブリ
KR1014300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JP6514658B2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US9129764B2 (en) Switch device
KR101816684B1 (ko) 차량용 파워 시트의 스위치 장치
KR102418585B1 (ko) 차량용 콘솔 트레이 레일 구조
WO2018220695A1 (ja) 車両用内装部材
KR101241150B1 (ko) 차량 오디오용 노브의 충격흡수 구조
JP7152269B2 (ja) 車両用ドア
KR101509751B1 (ko) 모드 컨트롤 스위치 유닛
KR101610635B1 (ko) 글로브 박스 소음방지 장치
US9931915B2 (en) Sliding member, sunshade device provided with the sliding member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the sunshade device
JP6543106B2 (ja) 吸音材
KR101518954B1 (ko) 컨트롤 스위치 유닛
CN218563336U (zh) 汽车扶手箱解锁按钮防刮伤装置
KR101746459B1 (ko) 시트용 스위치장치
CN113291237B (zh) 物品盒及车辆用座椅
JP7491044B2 (ja) 押釦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17040118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6772647B2 (ja) 車両用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