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107A -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107A
KR20130096107A KR1020120017661A KR20120017661A KR20130096107A KR 20130096107 A KR20130096107 A KR 20130096107A KR 1020120017661 A KR1020120017661 A KR 1020120017661A KR 20120017661 A KR20120017661 A KR 20120017661A KR 20130096107 A KR20130096107 A KR 2013009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d interface
user interface
interface information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실
이영호
장일구
진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107A/ko
Priority to US13/685,216 priority patent/US20130219309A1/en
Priority to PCT/KR2013/000078 priority patent/WO2013125785A1/en
Priority to CN201380010348.2A priority patent/CN104137130B/zh
Priority to EP13751601.9A priority patent/EP2817699A4/en
Publication of KR2013009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또는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은, 기기 또는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기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as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태스크(task) 수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에서 생성된 이벤트(event)에 기초한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기기의 기능이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각 기능에 관련된 이벤트가 생성될 때, 생성된 이벤트에 기초한 태스크를 수행하기까지 일반적으로 유저는 멀티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이벤트가 생성되면, 유저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문자 메시지 송신측과 통화할지 문자 메시지로 답장할지를 결정한다. 유저는 결정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함으로써, 유저가 운전 중과 같이 행동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일 때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기 또는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기초한 태스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은,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의 정보를 상기 기기로부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맵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스크는 전화 걸기, 메시지 보내기, 미디어 공유하기, 미디어 플레이하기, 목적지 설정하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용 보기, 스케줄 상세 정보 보기, 투두(to do) 항목 상세 정보 보기, 및 주변 관심지역 정보 표시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기는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한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에서 상기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기 또는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태스크 수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벤트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리드하는 명령어; 및 상기 리드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구현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 방법은 상술한 컴퓨터 구현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수행 방법은, 상술한 태스크 수행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들과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예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에서 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에서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태스크 수행 시스템(100)은 기기(110), 기기(11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 네트워크(130), 및 서버(1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로 이해될 수 있다.
기기(11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기기이다. 기기(100)는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기, 텔레매틱스(Telematics)(또는 오토모티브 텔레매틱스) 기기, 또는 헤드유니트(Head Unit) 등과 같은 기기를 포함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110)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기기(1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10), 오디오 입출력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전원부(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유저와 기기(110)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 또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 언급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11)와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12)를 포함한다. 입력부(211)와 출력부(212)는 독립된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저는 입력부(211)를 사용하여 정보(information) 또는 명령(commend or instruction) 또는 데이터(data)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11)로부터 프로세서(260)로 전송 또는 입력되는 신호는 입력 정보 또는 입력 명령 또는 입력 데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211)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11)가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경우에 입력부(211)와 출력부(212)는 결합된(combined)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입력부(211)와 출력부(212)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경우에, 입력부(211)는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6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211)는 터치 센서(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를 감지한 전기적인 신호는 유저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의 외부 입력 장치(미 도시됨)를 이용한 터치 동작 및 터치 강도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신호를 포함한다. 외부 입력 장치의 터치 동작은 터치 횟수, 터치 패턴, 및 터치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의 터치 동작과 터치 강도의 다양한 조합 또는 각각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여 입력부(211)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260)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211)는 물리적인 버튼, 스위치, 및 스틱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의 터치 동작에 기초한 외부 입력 장치는 유저의 손가락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유저의 터치 동작에 기초한 외부 입력 장치는 입력부(211)의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는 유저의 신체 부위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21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입력 신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동작에 따른 신호, 및 스크롤(scroll) 동작에 따른 신호를 포함한다.
출력부(2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 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부(212)는 디스플레이 기능부 또는 디스플레이로 언급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220)는 유저와 기기(110)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입출력부(220)는 마이크로폰과 같이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입력부(221), 스피커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221)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한 음성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22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6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는 음성 명령(voice command)으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저장부(240)로부터 읽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로 전송한다.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외부 기기(120)와 공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는 프로세서(26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로 전송한다.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는 수신된 전기 신호를 유저가 들을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221)와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는 헤드셋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으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스크가 오디오 재생 또는 미디어 재생일 때, 오디오 신호 출력부(222)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상기 태스크 수행으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이다.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인트라넷,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랜(LAN), 와이파이(Wi-Fi), 3G(Generation), 4G(4 Gener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120) 또는 서버(140) 또는 미 도시된 외부 기기와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미 도시됨)와 같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120)와 유선으로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기(110)가 차량(vehicle or motor vehicle)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인 경우에 통신부(230)는 상술한 USB 포트와 같은 플래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생성되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외부 기기(120)와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기기(110)의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를 비롯한 기기(110)의 각종 기능(예를 들어 통신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 자원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자원을 저장할 수 있다.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가 SMS 수신 또는 SNS 수신인 경우에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메시지 정보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한다.
저장부(240)는 기기(110)의 운영 체계를 비롯한 기기(11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자원 및 기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메모리로 언급될 수 있다.
전원부(250)는 기기(110)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250)는 배터리 및 교류 전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을 포함한다. 기기(110)는 전원부(250)를 포함하지 않고, 외부 전원 제공부(미 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connection unit)(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 제공부가 차량에 포함되고, 차량의 시거 잭(ciger jack)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공할 경우에,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시거잭과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기기(110)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은 도 2의 경우에 프로세서(260)를 단일 칩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기기 (110)의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260)를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분할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260)는 제어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부(240)로부터 리드하여 이용하거나 통신부(230)를 통해 연결된 앱 스토어 서버(미 도시됨) 또는 마켓 서버(미 도시됨)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부(261) 및 태스크 수행 제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기기(110)내의 각종 기능 모듈과 프로세서(260)간의 인터페이스 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프로세서(260)에 인터페이스 기능부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기기(110)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 프로세서(260)는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부(240)에서 리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리드부(미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리드부(미 도시됨)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선택부 또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서치부로 언급될 수 있다. 이는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된 복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선택 또는 서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부(240)로부터 리드하지 않고, 통신부(230)를 통해 서버(14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리드부(미 도시됨)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수신부로 언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1)와 태스크 수행 제어부(26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로 언급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부(261)는 기기(110)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로 언급될 수 있다. 태스크 수행 제어부(262)는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기기(110)에서 수행하는 명령어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1)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저장부(240)로부터 리드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출력부(112)에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61)는 맵 정보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독립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261)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맵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과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화면 분할방식을 이용하여 관리하거나 독립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는 출력부(212)에 출력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들과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예들이다.
도 3a는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의 일 예이다. 도 3a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은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와 맵 정보(320)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은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를 우측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그러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의 좌측 영역 또는 상측 영역 또는 하측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각각 다른 이벤트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 수 있다. 이벤트는 기기(110) 또는 기기(11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기(110)가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이면, 기기(1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차량의 시동 켜짐 이벤트, 주유 또는 충전 요청 알람 발생 이벤트, 및 차량 사고 알람 발생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차량 사고 알람 발생 이벤트는 차량의 충돌 발생 여부, 에어백 동작 여부, 및 배터리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한 결과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차량내에 구비된 프로세서(미 도시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로세서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갖는다. 차량의 시동 켜짐 이벤트 발생은 상술한 전원부(250)에서 언급된 연결부(미 도시됨)를 통한 전원 인가에 따라 인식될 수 있다.
기기(11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에, 외부 기기(1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벤트는 전화 수신, SMS(Short Message Service)/SNS(Social Network Service) 수신, 음악 수신, 스케줄 정보 수신, 동승자 정보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이 외부 기기(120)에서의 전화 수신 이벤트에 따른 것이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은 컨택(contact)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콜 키핑(call keeping)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은 도 3a의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가 외부 기기(120)에서의 SMS(Short Message Service) 수신 이벤트에 따른 것이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는 컨택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SMS 키핑(keeping)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는 도 3a의 (314_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의 (31) 및 (314_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a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에 대응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14_1)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314_2)는 전화 송신자의 얼굴 사진이다. 도 3a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에 대응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1)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32)는 SMS 송신자의 얼굴 사진이다. 그러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는 얼굴 사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는 태스크 대상(object)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 또는 태스크 대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를 만들거나 편집 시 설정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보는 이벤트에 따라 설정된다. 즉, 도 3a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14_1)의 경우에 텍스트 정보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314_2)와 송신자 식별 정보(314_4, Mike) 및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314_5, 04)를 포함한다. 도 3a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1)의 경우에 텍스트 정보는 전화 번호(33), 송신자 식별 정보(34, Bred), 및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35, 01)를 포함한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이 유저에 의해 터치 또는 클릭되면, 프로세서(260)의 태스크 수행 제어부(262)는 Bred에게 전화 걸기 태스크가 수행된다.
유저는 식별 정보인 '1', '2'에 대한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3a의 (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될 때, 음성 신호 입력부(221)를 통해 음성 명령 '1'이 입력되면, 오디오 신호 처리부(223)를 거쳐 프로세서(26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60)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태스크 수행 제어부(262)에 의해 Bred에게 전화 걸기 태스크를 수행한다.
또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가 서로 다른 이벤트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 때, 새로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5(315)가 생성되면, 도 3a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은 도 3b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50)과 같이 변경된다. 즉, 도 3a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에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가 가장 최근에 생성된 이벤트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이고, 카드 인터페이스 1(311)이 가장 오래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 때, 새로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5(315)가 생성되면, 시프트 동작에 의해 가장 오래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은 영역(310)상에서의 유저의 터치 스크롤(scroll) 동작에 의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이동으로 다시 볼 수 있다. 가장 오래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와 최근에 생성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이 최근에 생성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이고,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가 가장 오래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동일한 이벤트에 따른 복수의 태스크에 기초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가 외부 기기(120)에서의 SMS 수신 이벤트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일 때,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311)은 도 3a에 도시된 (33)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36)과 같이 마이크의 모바일 전화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이벤트가 기기(110)의 전원 온에 의한 경우에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전원 온 시점과 가장 가까운 미래의 유저의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참여자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할 수 있는 정보는 전화 번호 및 메일 주소 등을 포함한다. 기기(110)가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기기일 때, 상기 기기(110)의 전원 온은 차량의 시동 켜짐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이벤트가 기기(110)의 전원 온에 의한 경우에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1~4(311~314)는 유저가 자주 접촉하는 사람 또는 유저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유저가 자주 접촉하는 사람은 유저가 좋아하는 사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생성된 이벤트가 외부 기기(120)에서의 SMS(Short Message Service)수신일 때, 디스플레이 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한 태스크 수행 예이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4(314)가 SMS 수신에 따라 수신 또는 리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이고, 유저가 카드 인터페이스 4(314)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영역(310) 이외의 영역에 수신된 SMS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팝업 창(330)이 디스플레이 된다. 팝업 창(330)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도 3a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14_1)에 포함된 문자 메시지(314_2)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a의 (314_1)와 동일한 내용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유저가 디스플레이 되는 팝업 창(330)을 롱 프레스(long press)하고, 원하는 위치(331)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프로세서(260)는 위치(33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SMS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All(321)이 터치 또는 클릭될 경우에 모든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d는 외부 기기(120)의 미디어 정보 공유 수락 이벤트가 생성됨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40)의 예이다. 외부 기기(120)는 기기(110)가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기기일 때,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의 모바일 기기이거나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동승자 또는 운전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 공유가 수락됨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40)가 도 3a 내지 도 3c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영역(3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기기(110)의 저장부(240)에 저장된 주소록에 등록되어 있는 친구가 동승자인 경우에, 친구의 모바일 기기인 외부 기기(120)와 기기(110)의 연결 이벤트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디어 공유를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40)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40)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친구의 모바일 기기인 외부 기기(120)에 저장된 미디어 정보 공유를 수락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동승자가 차량에서 내리면, 미디어 공유를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3e는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예들이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0)는 외부 기기(120)에서 음악 선택에 따른 이벤트가 생성될 때 외부 기기(120)와 기기(110)간에 음악을 공유하기 위한 플레이 리스트 또는 앨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1)는 외부 기기(120)에서 음악 선택에 따른 이벤트가 생성될 때 외부 기기(120)와 기기(110)간에 음악을 공유하기 위한 뮤직 카드 정보를 포함한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0)(351)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해당되는 음악을 플레이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e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2)는 외부 기기(120)의 SMS 수신 이벤트에 따른 주변 관심 지역(Point of Interest)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2)가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맵 정보 영역(320)에 디스플레이 되는 맵 정보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e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3)는 차량의 시동이 켜진 시점에서 저장부(240)에 저장된 유저의 스케줄 정보에 따른 POI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3)가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맵 정보 영역(320)에 디스플레이 되는 맵 정보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e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4)와 (355)는 외부 기기(120)의 SNS 업데이트 이벤트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4) 또는 (355)가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팝업으로 해당 피드(feed)를 보여주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4)와 (355)에 포함되는 정보는 유저에 의한 선택 동작이 수행되지 않아도 실시간 업데이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롤링(rolling)할 수 있다.
도 3e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6)는 현재 시간 이벤트에 따라 다음 스케줄 항목을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카드 인터페이스정보(356)가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310)이외의 영역에서 스케줄 항목의 상세 화면 정보로 이동하는 태크스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케줄 항목의 상세 화면 정보가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e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7)는 최종 일정 목적지 설정 이벤트에 따른 투두(to do) 항목을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357)가 선택되면, 기기(110)의 프로세서(260)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310)이외의 영역에 투두 항목의 상세 화면 정보로 이동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f는 주유 알람 발생 이벤트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2(362)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60)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이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2(362)는 (36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가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2(362)를 터치 또는 클릭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60)은 맵 정보 영역(366)에 주유소를 나타내는 아이콘(367, 368, 369)이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70)으로 변경된다. 유저가 (367)지점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70)은 현재 기기의 위치인 (359)지점에서 (367)지점까지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371)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72)으로 변경하는 태스크들이 프로세서(260)에서 수행된다.
도 4는 도 3b에서와 같이 SNS(Social Network Service) 업데이트 이벤트가 생성됨에 따라 새로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6(411)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예이다. SNS 업데이트 이벤트에 따른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6(411)에 포함된 정보가 모임에 대한 위치 정보이고, 유저가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6(411)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맵 정보(320) 영역은 (400)에서 (410)과 같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6(411)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안내하는 정보(412)를 포함하도록 변경하는 태스크가 프로세서(260)에서 수행된다.
태스크 수행 제어부(262)는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f와 도 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유저가 클릭 또는 터치하는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는 전화 걸기, 메시지 보내기, 미디어 공유하기, 미디어 플레이하기, 목적지 설정하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용 보기, 스케줄 상세 정보 보기, 투두(to do) 항목 상세 정보 보기, 및 주변 관심지역 정보 표시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외부 기기(120)는 기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기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TV,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Desktop) PC, 노트북(Notebook), 테이블탑(Tabletop), 스마트 보드(Smart Board), 태블릿(Tablet) PC, 슬레이트(Slate) PC, 디지털 포토 프레임(Digital Photo Frame),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핸드헬드(handheld) 기기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기는 장치(apparatus)로 언급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는 이벤트가 생성되면, 생성된 이벤트를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140)로 전송하거나 기기(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기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기기(12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510), 오디오 입출력부(520), 통신부(530), 저장부(540), 전원부(550), 및 프로세서(560)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510)는 유저와 외부 기기(120)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 또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저 인터페이스부(51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 언급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510)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11)와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512)를 포함한다. 입력부(511)와 출력부(512)는 독립된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저는 입력부(511)를 사용하여 정보(information) 또는 명령(commend or instruction) 또는 데이터(data)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511)로부터 프로세서(560)로 전송 또는 입력되는 신호는 입력 정보 또는 입력 명령 또는 입력 데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511)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511)가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구성될 경우에 입력부(511)와 출력부(512)는 결합된(combined)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입력부(511)와 출력부(512)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경우에, 입력부(511)는 출력부(5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56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511)는 터치 센서(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를 감지한 전기적인 신호는 유저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의 외부 입력 장치(미 도시됨)를 이용한 터치 동작 및 터치 강도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 신호를 포함한다. 외부 입력 장치의 터치 동작은 터치 횟수, 터치 패턴, 및 터치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의 터치 동작과 터치 강도의 다양한 조합 또는 각각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여 입력부(511)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560)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511)는 물리적인 버튼, 스위치, 및 스틱 중 적어도 하나와 상술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의 터치 동작에 기초한 외부 입력 장치는 유저의 손가락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유저의 터치 동작에 기초한 외부 입력 장치는 입력부(511)의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는 유저의 신체 부위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51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입력 신호는 기기(110)와 연결을 위한 신호, 미디어 공유 수락 신호, 재생을 위한 미디어 선택 신호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5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 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부(212)는 디스플레이 기능부 또는 디스플레이로 언급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520)는 유저와 외부 기기(120)간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입출력부(520)는 마이크로폰과 같이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입력부(521), 스피커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522)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521)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로 전송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52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56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5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5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53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560)는 저장부(540)로부터 읽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통신부(53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로 전송한다. 통신부(53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는 기기(110)와 공유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523)는 프로세서(56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부(522)로 전송한다. 오디오 신호 출력부(522)는 수신된 전기 신호를 유저가 들을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521)와 오디오 신호 출력부(522)는 헤드셋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인트라넷,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랜(LAN), 와이파이(Wi-Fi), 3G(Generation), 4G(4 Gener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110) 또는 서버(140) 또는 미 도시된 외부 기기와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미 도시됨)와 같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기(110)와 유선으로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기기(110)와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외부 기기(120)의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를 비롯한 외부 기기(120)의 각종 기능(예를 들어 통신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 자원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자원을 저장할 수 있다.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기기(120)에서 이벤트 발생 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기기(110) 또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140)로 전송한다.
저장부(540)는 외부 기기(120)의 운영 체계를 비롯한 외부 기기(12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자원 및 외부 기기(1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메모리로 언급될 수 있다.
전원부(550)는 외부 기기(120)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250)는 배터리 및 교류 전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60)는 외부 기기(120)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560)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은 도 5의 경우에 프로세서(560)를 단일 칩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외부 기기(120)의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560)를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분할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560)는 통신부(530)를 통해 기기(110)와 외부 기기(120)를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120)에서 상술한 사전에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이벤트 발생을 통신부(530)를 통해 기기(110) 또는 서버(140)로 알린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30)는 도 2의 통신부(230) 및 도 5의 통신부(530)에서 언급한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프로세서(260)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의 동작 흐름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기기(110) 또는 기기(110)에 연결된 외부 기기(120)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S601).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유저의 입력 신호가 수신됨(S602)에 따라 프로세서(260)는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S60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에서 기기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서버가 제공하는 예의 동작 흐름도이다.
즉. 기기(110)에서 이벤트가 생성되면(S701),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서버(140)로 전송된다(S702). 이에 따라 서버(14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로부터 리드하여 기기(110)로 전송한다(S703, S704). 이에 따라 기기(110)는 수신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S705).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한 유저의 클릭 또는 터치 동작에 기초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S706), 기기(110)는 해당되는 태스크를 수행한다(S707).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에서 기기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기에서 생성하는 예의 동작 흐름도이다.
즉. 기기(110)와 외부 기기(120)가 연결된 후(S801), 외부 기기(120)에서 이벤트가 생성되면(S802), 외부 기기(12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기기(110)로 전송한다(S803). 이에 따라 기기(11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부(240)로부터 리드한다(S804). 기기(110)는 리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S705).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한 유저의 클릭 또는 터치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S806), 기기(110)는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한다(S807).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에서 외부 기기(120)에서 생성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예의 동작 흐름도이다.
즉. 기기(110)와 외부 기기(120)가 연결된 후(S901), 외부 기기(120)에서 이벤트가 생성되면(S902), 외부 기기(12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서버(140)로 전송한다(S903). 이에 따라 서버(11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술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리드한다(S904). 서버(140)는 리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기(110)로 전송한다(S905). 이에 따라 기기(110)는 수신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12)에 디스플레이 한다(S906).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한 유저의 클릭 또는 터치 동작에 기초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S907), 기기(110)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도 3a 내지 도 3f 및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한다(S908).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서버(14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서버(140)는 저장부(1001), 통신부(1002), 및 프로세서(1003)를 포함한다.
저장부(1001)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SNS에 기초하여 수집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술한 카드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부(1001)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서버(140)는 외부 저장 장치(미 도시됨)에 저장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도 2의 통신부(230)와 같이 구성되어 네트워크(130)를 통해 기기(110) 및 외부 기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미 도시된 SNS 서버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3)는 저장부(1001)에 저장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거나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 앱 스토어 또는 마켓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태스크 수행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 로드 받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의 동작 흐름도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1002)를 통해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면(S1101), 프로세서(1003)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부(1001)에 저장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카드 인터페이스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리드한다(S1102), 상기 리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또는 서치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3)는 리드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통신부(1002)를 통해 기기(110)로 전송한다(S1103). 이 때, 프로세서(1003)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타겟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타겟 기기는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기기이다.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타겟 기기의 식별 정보는 복수의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타겟 기기의 식별 정보가 기기(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기기(미 도시됨)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프로세서(1003)는 기기(110)를 포함한 복수의 기기로 리드된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기기는 기기(110)와 같이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의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기기(110)에 복수의 외부 기기(120, 1201, 1202)가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1200)의 예이다. 기기(110)는 제 1 내지 제 3 외부 기기(120, 1201, 1202)에서 각각 생성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외부 기기(1201)와 제 3 외부 기기(1202)는 제 1 외부 기기(120)와 같이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제 2 외부 기기(1201)와 제 3 외부 기기(1202)는 다른 유저의 기기이거나 다른 종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3 외부 기기(120, 1102)는 서로 다른 유저의 스마트 폰이고, 제 2 외부 기기(1101)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태스크 수행 방법 및 태스크 수행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의 정보를 상기 기기로부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맵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기기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전화 걸기, 메시지 보내기, 미디어 공유하기, 미디어 플레이하기, 목적지 설정하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용 보기, 스케줄 상세 정보 보기, 투두(to do) 항목 상세 정보 보기, 및 주변 관심지역 정보 표시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한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10.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에서
    상기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2. 태스크 수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수행 방법은,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3.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기기 또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서의 이벤트 생성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기초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상기 기기에서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는,
    상기 이벤트의 정보를 상기 기기로부터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어;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기.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는,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어;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기.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와 독립되게 디스플레이 되는 맵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는 전화 걸기, 메시지 보내기, 미디어 공유하기, 미디어 플레이하기, 목적지 설정하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용 보기, 스케줄 상세 정보 보기, 투두(to do) 항목 상세 정보 보기, 및 주변 관심 지역 정보 표시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기.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0.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기기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1.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벤트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리드하는 명령어; 및
    상기 리드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서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송하는 명령어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의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타겟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20017661A 2012-02-21 2012-02-21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KR20130096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61A KR20130096107A (ko) 2012-02-21 2012-02-21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US13/685,216 US20130219309A1 (en) 2012-02-21 2012-11-26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CT/KR2013/000078 WO2013125785A1 (en) 2012-02-21 2013-01-07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380010348.2A CN104137130B (zh) 2012-02-21 2013-01-07 任务执行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EP13751601.9A EP2817699A4 (en) 2012-02-21 2013-01-07 PERFORMAN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61A KR20130096107A (ko) 2012-02-21 2012-02-21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07A true KR20130096107A (ko) 2013-08-29

Family

ID=4898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661A KR20130096107A (ko) 2012-02-21 2012-02-21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19309A1 (ko)
EP (1) EP2817699A4 (ko)
KR (1) KR20130096107A (ko)
CN (1) CN104137130B (ko)
WO (1) WO2013125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0722B (zh) * 2013-12-30 2019-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的获取及展示方法和装置
US9569284B2 (en) * 2014-12-29 2017-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osing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US20170351990A1 (en) * 2016-06-01 2017-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relative tags in connection with use of autonomous vehicles
KR102635945B1 (ko) * 2016-07-19 2024-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4595147B (zh) * 2022-02-24 2023-05-09 珠海海奇半导体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屏幕的调试系统及其测试方法
CN116679883B (zh) * 2023-06-13 2024-02-02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车辆的信息存储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947B1 (en) *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US7207008B1 (en) * 2001-09-12 2007-04-1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active notification of events
US20040153338A1 (en) * 2002-05-08 2004-08-05 Back Kim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7948448B2 (en) * 2004-04-01 2011-05-24 Polyvision Corporation Portable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7353466B2 (en) * 2004-05-28 2008-04-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 objects on dynamically scaled timeline
US9193375B2 (en) * 2005-08-10 2015-11-24 Autoliv Asp, Inc. Steering apparatus
US7646296B2 (en) * 2006-08-11 2010-01-12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sending navigational data via a wireless messaging service on a navigation system
US20080102889A1 (en) 2006-10-30 2008-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endar events
US8457682B2 (en) * 2008-03-04 2013-06-04 Dbsd Satellite Services G.P.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satellite assistance services
US8228300B2 (en) * 2008-03-28 2012-07-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hysical feedback to indicate object directional slide
US8073590B1 (en) * 2008-08-22 2011-12-06 Boadin Technology,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tilizing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mobile device by a vehicular assembly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KR20100070092A (ko) * 2008-12-17 2010-06-25 정관선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종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입출력장치로 이용하기 위한 핸드폰 구동방법
US20100274847A1 (en) * 2009-04-28 2010-10-28 Particle Programmat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ndicating a status of a user
US20100289800A1 (en) 2009-05-14 2010-11-18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transformation process improvements
US20110004845A1 (en) * 2009-05-19 2011-01-06 Intellibor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 User of An Event Or Information Using Motion And Transparency On A Small Screen Display
TWI397302B (zh) * 2009-05-26 2013-05-2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與行動通訊裝置的組合
KR101626446B1 (ko) * 2009-08-21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8417553B2 (en) * 2009-10-14 2013-04-09 Everbridge, Inc. Incident communication system
KR101164813B1 (ko) * 2009-11-13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단말기 및 영상표시방법
EP2556339B8 (en) * 2010-04-09 2018-12-26 TomTom Navigation B.V.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cost function
AU2011288893A1 (en) * 2010-08-09 2013-02-28 Intelligent Mechatronic Systems Inc.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nd computing device
US20130038437A1 (en) * 2011-08-08 2013-02-14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for task and notification handling in a connected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7130B (zh) 2018-06-22
EP2817699A1 (en) 2014-12-31
US20130219309A1 (en) 2013-08-22
CN104137130A (zh) 2014-11-05
WO2013125785A1 (en) 2013-08-29
EP2817699A4 (en)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3818B (zh) 在设备之间共享屏幕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设备
EP27201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ask recommendation icon in a mobile device
US9971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ne or more objects based on the relationships of the objects
EP2703979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ist scroll bar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6414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EP2770500B1 (en) Method for providing a voice-speech service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2755118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text awareness
KR101894395B1 (ko) 캡쳐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140297674A1 (en) Terminal apparatus mountable in vehicle, mobile device for working with th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JP6306307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機器
CN105765520A (zh) 用于提供锁定屏幕的设备和方法
US9507514B2 (en)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input devices for handwritten data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for performing data sharing among dedicated devices using handwritten data
KR20140143971A (ko) 홈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40027034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디바이스와 그 기록 매체
KR102004986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KR20130096107A (ko)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CN103823609A (zh) 通过接近触摸输入提供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
KR20140028546A (ko) 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9178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102121536B1 (ko) 액티비티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30663A (ko) 이동단말기의 초기셋팅방법
KR201600778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