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400A -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400A
KR20130095400A KR1020120016781A KR20120016781A KR20130095400A KR 20130095400 A KR20130095400 A KR 20130095400A KR 1020120016781 A KR1020120016781 A KR 1020120016781A KR 20120016781 A KR20120016781 A KR 20120016781A KR 20130095400 A KR20130095400 A KR 20130095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rame
purified water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314B1 (ko
Inventor
장평순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2001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3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서, 상기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틀 내부로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부를 갖는 얼음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AN ICE-MAKER}
본 발명은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재활용이 가능한 제빙부를 갖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얼음을 별도로 공급하는 얼음 정수기도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얼음 생성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는 얼음 정수기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상기 제빙부의 구조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생성된 얼음을 얼음 저장부로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상기 정수 공급부를 배치하는 제빙부의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정수 공급부가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로 정수를 공급하는 경우, 제빙틀의 하부 공간을 커버하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제빙틀의 하부 공간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나아가,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는 정수가 즉시 얼음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얼음으로 생성되지 않은 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누수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한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생성이 용이하고 정수 재활용이 가능한 제빙부를 갖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틀 내부로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면부와 접촉하는 상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하측 프레임, 및 상기 하측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측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기 돌출 프레임은 제1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제빙틀 내부로 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분사부 사이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결합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정수가 저장되는 제2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력을 가져 상기 상면부를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된 정수 공급부에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므로,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누수된 물이 정수통 내부로 직접 떨어지면서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정수통에 저장된 얼음 또는 정수가 변형 또는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누수된 정수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부 및 상기 정수 공급부의 제1 상부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도 수납함으로써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을 지지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가 상기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과 접촉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얼음 생성 및 탈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를 탄성력을 가진 재질 또는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빙틀과의 접촉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의 분사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부 사이, 및 상기 분사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측 프레임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통의 내부에 수납된 제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A' 부분에 대응되는 정수 공급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a 및 4b의 제빙부에서 상면부 및 상부 프레임이 제거된 정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1)는 외부에 형성된 외부 커버(10), 얼음 출수부(11), 정수 출수부(12), 표시부(13) 및 물받침부(14)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정수통(20), 공급펌프(15), 필터부(16), 냉수 재활용부(17) 및 방열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10)는 상기 얼음 정수기(1)의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얼음 출수부(11) 및 상기 정수 출수부(12)를 통해 각각 얼음 및 정수(냉수 또는 온수를 포함함)가 출수되며, 상기 표시부(13)는 상기 얼음 정수기(1)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정수통(20)은 내부에 후술할 제빙부(30) 등을 수납하며,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 및 정수를 각각 서로 분리된 공간에 저장한다.
상기 필터부(16)는 상기 정수통(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원수를 음용이 가능한 정수로 필터링 하는 복수의 필터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6)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공급배관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정수통(20)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재활용부(17)는 상기 정수통(2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정수통의 얼음 저장부에서 녹은 얼음을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냉수 재활용부(17)에 저장된 녹은 얼음은 상기 제빙부(30)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18)는 상기 얼음 출수부(11) 및 상기 정수 출수부(12)가 형성된 측과 반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가 통과하는 냉각관을 냉각시킨다.
한편, 상기 정수통(20), 필터부(16), 냉수 재활용부(17) 및 방열부(18)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정수통의 내부에 수납된 제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통(20)의 내부에는 제빙부(30) 및 상기 제빙부(30)로 정수를 제공하는 제1, 제2 및 제3 공급배관들(31, 32, 33)이 수납된다. 상기 제빙부(30)는 정수 공급부(40) 및 얼음 생성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3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정수 공급부(40)에는 상기 공급펌프(15)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공급배관들(31, 32, 33)을 통해 상기 필터부(16)에서 필터링된 정수가 제공되며, 상기 제공되는 정수는 상기 얼음 생성부(50)에서의 얼음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냉수일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부(30)는 정수 공급부(40) 및 얼음 생성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공급부(40)는 상기 얼음 생성부(50)의 하부에 이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정수 공급부(40)는 상기 얼음 생성부(50)로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50)에서는 상기 공급된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여 정수통(2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정수 공급부(40)는 제1 하부프레임(41), 제1 상부 프레임(42), 분사부(43) 및 상면부(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40)는 지지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 및 제1 상부 프레임들(41, 42)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정수 공급부(40)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부 프레임(41)은 상기 제3 공급배관(33)과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공급 받은 정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제2 저장 공간(45)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부(43)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42)과 연결되며, 상기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53)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저장 공간(45)의 정수를 상기 제빙틀(53)로 분사한다. 상기 상면부(44)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42)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40)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빙틀(53)의 끝단과 접촉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50)는 제2 하부 프레임(51), 제2 상부 프레임(52), 제빙틀(53), 냉각관(55), 탈빙관(56) 및 고정부(5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 프레임(51)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52)은 서로 결합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50)의 외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하부 프레임(51)은 상기 제빙틀(53)의 하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빙틀(53)의 배치된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틀(53)은 상기 분사부(43)로부터 정수를 분사받아 얼음을 생성하며, 하면이 개방된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냉각관(55)은 상기 제빙틀(53)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빙틀(53)을 냉각하여 얼음의 생성을 유도한다. 상기 탈빙관(56)은 상기 제빙틀(53)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빙틀(53)에서 생성된 얼음을 탈빙하도록 열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57)는 상기 냉각관(55) 및 상기 탈빙관(56)을 상기 제빙틀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57)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빙틀(53)에 공급되는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A' 부분에 대응되는 정수 공급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상부 프레임(42)은 측면 프레임(42-1), 하측프레임(42-2) 및 상측 프레임(42-3)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42-1)은 상기 하측 및 상측 프레임들(42-2, 42-3)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정수 공급부(40)의 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하측 프레임(42-2)은 상기 분사부(43)와 연결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42-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사부(43)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프레임(42-4)를 포함하여, 제1 저장 공간(47)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저장 공간(47)은 상기 얼음 생성부(50)로부터 누수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상측 프레임(42-3)은 상기 하측 프레임(42-2) 및 상기 하측 프레임(42-2)의 돌출 프레임(42-4)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프레임(42-4)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측 프레임(42-3)은 상기 분사부(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부(4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프레임(42-3)의 개구부가 상기 분사부(43)의 대응되는 부분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분사부(43)와 상기 상측 프레임(42-3) 사이에는 제1 개구부(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면부(44)는 상기 상측 프레임(42-3)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42)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상면부(44)는 상기 제빙틀(53)의 끝단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빙틀(53)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부를 차단한다. 즉, 상기 상면부(44)는 상기 상측 프레임(42-3)과 동일하게, 상기 분사부(43)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부(4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44)의 개구부가 상기 분사부(43)의 대응되는 부분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분사부(43)와 상기 상면부(44) 사이에는 제2 개구부(48)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구부(46)가 상기 제2 개구부(48)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분사부(43)에서 상기 제빙틀(53)로 분사한 정수가 얼음으로 생성되지 않는 경우, 중력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48) 및 상기 제1 개구부(46)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제1 저장 공간(47)에 저장된다.
한편, 도 3 및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하측 프레임(42-2)과 상기 돌출 프레임(42-4)이 형성하는 제1 저장공간(47)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측 프레임(42-2)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70)의 하면은 상기 하측 프레임(42-2)에 접촉하며, 상기 지지부(70)의 상면은 상기 상측 프레임(42-3)에 접촉하여, 상기 상측 프레임(42-3) 및 상기 상측 프레임(42-3) 상에 배치된 상면부(44)를 지지한다. 그리하여, 상기 상측 프레임(42-3)과 상기 상면부(44)가 상기 제빙틀(53)의 끝단에 접촉하도록 지지한다.
도 5은 도 4a 및 4b의 제빙부에서 상면부 및 상부 프레임이 제거된 정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70)는 개구부(72)가 형성된 상면(71), 상기 상면(71)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대칭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면(73), 상기 제1 측면(73)으로부터 상기 상면(71)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하면(74), 및 상기 하면(74)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면(75)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71)은 상기 상측 프레임(42-3)을 지지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상기 상면(71)의 개구부(72)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4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70)의 지지력 또는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74)은 상기 하측 프레임(42-2)에 접촉하고, 상기 상면(71) 및 하면(74)은 상기 제1 측면(73)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측면(73)이 비스듬하게 한 쌍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면(71) 및 하면(74)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70)는 탄성력을 갖게 되어, 상기 지지부(70)가 상기 상측 프레임(42-3) 및 상기 상면부(44)를 상기 제빙틀(53)의 끝단에 접촉하도록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구조체로서, 상기 지지부(70)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상측 프레임(42-3) 및 상기 상면부(44)의 고정 및 지지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저장 공간(47)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개수 및 배치 간격 등은 상기 제1 저장 공간(47)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저장 공간(47)에 저장된 누수된 정수는 제2 가이드부(60)와 연결된 통로(49)를 통하여 상기 제2 가이드부(60)의 가이드 배관(61)이 형성하는 정수 유출부(62)를 통해 별도의 누수 정수 저장부(미도시)로 이동되어, 재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된 정수 공급부에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므로,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누수된 물이 정수통 내부로 직접 떨어지면서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정수통에 저장된 얼음 또는 정수가 변형 또는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 내부에 누수된 정수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부 및 상기 정수 공급부의 제1 상부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도 수납함으로써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을 지지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가 상기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과 접촉하여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얼음 생성 및 탈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를 탄성력을 가진 재질 또는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면부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빙틀과의 접촉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공급부의 분사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면부 사이, 및 상기 분사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의 상측 프레임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얼음 생성부의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1)

  1.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아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부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에서, 상기 제빙부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틀을 포함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틀 내부로 정수를 공급하며,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정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면부와 접촉하는 상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도 동시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하측 프레임, 및 상기 하측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측 프레임의 연장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기 돌출 프레임은 제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는 상기 제1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제빙틀 내부로 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분사부 사이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로부터 누수되는 정수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공급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결합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정수가 저장되는 제2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탄성력을 가져 상기 상면부를 상기 제빙틀의 하부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120016781A 2012-02-20 2012-02-20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KR10140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81A KR101402314B1 (ko) 2012-02-20 2012-02-20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81A KR101402314B1 (ko) 2012-02-20 2012-02-20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400A true KR20130095400A (ko) 2013-08-28
KR101402314B1 KR101402314B1 (ko) 2014-06-02

Family

ID=4921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781A KR101402314B1 (ko) 2012-02-20 2012-02-20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3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2947Y2 (ko) * 1985-11-21 1991-07-12
JP2957839B2 (ja) * 1993-03-15 1999-10-0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の水皿構造
KR200458160Y1 (ko) * 2009-05-07 2012-01-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20110003731A (ko)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냉온수기용 얼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314B1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16B1 (ko) 얼음 정수기
KR101795424B1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30110875A (ko) 제빙기
KR20130095400A (ko) 제빙장치를 갖는 얼음 정수기
KR101409478B1 (ko) 단열 구조가 개선된 음용수 공급기
KR102354052B1 (ko) 제빙기
CN103393533B (zh) 雾发生装置
CN206330352U (zh) 制冷器具
US20160131417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KR20130008179A (ko) 정비가 용이한 얼음 정수기
KR101327448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1826874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140080178A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N107906816B (zh) 冰浆生成热交换装置及冰浆生成方法
KR101647651B1 (ko) 제빙기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KR101948000B1 (ko) 얼음 정수기
KR101631207B1 (ko) 얼음 정수기
KR101326702B1 (ko) 얼음 정수기
CN217287469U (zh) 一种冷水机用过滤装置
KR20160044266A (ko) 생맥주 냉각장치
KR101373841B1 (ko) 제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JP2010185674A (ja) テストヘッド
JP2022124015A (ja) 炭酸水製造装置
KR20150114161A (ko) 이너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