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322A -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322A
KR20130095322A KR1020137020058A KR20137020058A KR20130095322A KR 20130095322 A KR20130095322 A KR 20130095322A KR 1020137020058 A KR1020137020058 A KR 1020137020058A KR 20137020058 A KR20137020058 A KR 20137020058A KR 20130095322 A KR20130095322 A KR 2013009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similarity
encoded
intra slice
in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391B1 (ko
Inventor
마사키 기타하라
아츠시 시미즈
나오키 오노
세이스케 교치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구비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과,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수단과, 상기 픽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수단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Quantiz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quantization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저지연을 실현하는 영상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제어 장치, 양자화 제어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3월 10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1-05287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TV 전화 등의 양방향 영상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지연을 적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지연」이란, 영상 송신측에서 어느 시각의 픽처가 카메라 등에 의해 취득되고 나서 영상의 수신측에서 이 취득한 픽처가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이다.
또한, 「픽처」란 입력 영상에서의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하나의 필드를 가리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영상을 전송할 때에 필요로 하는 대역을 작게 하기 위해 영상 부호화 기술이 적용된다. 지연 시간 중에서 영상 부호화 기술이 영향을 주는 것은 주로 영상 송신측에서의 픽처의 부호화 처리 시간, 영상 수신측에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버퍼링 시간, 영상 수신측에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 처리 시간이다. 부호화 처리/복호 처리에 의한 지연 시간의 단축에는 이들 처리의 고속화가 유효하다. 영상 수신측에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버퍼링 시간을 단축하는 데에는, 후술하는 인트라 슬라이스의 이용과 인트라 슬라이스에 적합한 양자화 제어 기술의 이용이 유효하다.
리프레시를 실현하기 위해, 인트라 픽처를 정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영상 부호화에서는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트라 픽처는 인터 픽처와 비교하여 부호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영상 수신측에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버퍼링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고, 지연 시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에서는, 인트라 픽처를 이용하지 않는 대신에 세로 또는 가로방향으로 모든 매크로 블록이 강제적으로 인트라 부호화되는 띠를 픽처 단위로 이동시켜 리프레시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 픽처에서의 인트라 슬라이스가 아닌 영역(이하,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이라고 함)에서는 인터 부호화를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픽처의 발생 부호량이 거의 일정해지고 버퍼링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 세로의 띠를 이용하는 경우는 인트라 슬라이스라고 부르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인트라 칼럼」이라고 표현되는 경우도 있음), 본원에서는 편의상 세로/가로의 띠 중 어느 것을 이용한 경우도 인트라 슬라이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세로로 인트라 슬라이스를 적용한 경우의 개념도를 도 9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인트라 슬라이스가 픽처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인트라 슬라이스가 일주하는 픽처수(본 예에서는, 픽처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하는 픽처수)를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라고 부른다.
패킷 로스 등으로 영상 수신측에서 올바른 복호 픽처를 작성할 수 없는 경우, 그 시점보다 후에 인트라 슬라이스가 픽처의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올바른 복호 화상이 얻어지게(리프레시하게) 된다. 즉, 패킷 로스 등이 발생하고 나서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의 2배의 픽처수 이내의 시간으로 리프레시할 수 있게 된다.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서는 발생 부호량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에 적절한 부호량 할당이 가능한 양자화 제어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는 이를 실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직전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발생 부호량, 평균 양자화 스텝(이하, 이들을 부호화 정보라고 총칭함)을 이용하여 이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Xi)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직전 픽처의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이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Xp)을 구한다.
그리고, Xi 및 Xp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목표 부호량(T)을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목표 부호량(Ti) 및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목표 부호량(Tp)으로 나눈다. 그리고, Ti 및 Tp에 기초하여 픽처의 각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스텝을 결정한다.
이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를 짧게 할수록(각 픽처에서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함) 화질이 악화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는 0.5초 이상으로 한다.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가 짧은 경우, 인트라 슬라이스의 면적은 매우 작고, 예를 들면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를 0.5초, 매초 30픽처라고 하면,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면적은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1/14이 된다.
따라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직전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에서는 영상의 성질이 크게 다른 경우가 있고, 이 경우는 복잡도 지표값(Ti)이 정확하지 않아 화질의 악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1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 전의 픽처(부호화 대상 픽처와 픽처 상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위치가 같은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데, 시간적으로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피사체가 이동한 경우 등 인트라 슬라이스의 영상의 성질이 크게 다르고, 마찬가지로 화질의 악화로 이어진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특허문헌 2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특허문헌 1의 기술과 조합한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기술은 아니지만,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도 지표값을 직전 픽처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때에, 부호화 대상 픽처와 직전 픽처의 각각의 액티비티값(activity measure: 대상 블록에서의 텍스처가 정밀할(엣지가 많을)수록 큰 값을 취하는 화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도 지표값을 보정하는 것이다. 페이드 인/아웃일 때 등 부호화 대상 픽처와 직전 픽처의 성질이 약간 다른 경우에 유효하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인트라 슬라이스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는 처리에 응용하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직전 또는 1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 전의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성질이 다른 경우에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07-09556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9-05526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응용하였을 때에,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기 위해 이용하는 인트라 슬라이스의 텍스처가 크게 다른 경우(예를 들면, 각각 다른 피사체가 비쳐 있는 경우 등)에 여전히 복잡도 지표값의 정밀도가 낮은 경우가 있어 화질이 나빠진다.
이는, H.264와 같이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에서 현저하다. H.264에서는, 부호화 대상의 블록의 근처의 복호 화소를 이용하여 다방향의 외삽 예측, 평균값 예측 등 복수의 예측 모델을 전환하여 예측을 행한다. 즉, 처리 대상의 픽처에서 예측 모델에 합치하는 텍스처를 갖는 영역에서는 고정밀도의 예측이 가능하고 발생 부호량이 작다.
한편, 예측 모델에 합치하지 않는 텍스처를 갖는 영역에서는, 예측 모델에 합치하는 텍스처를 갖는 영역보다 액티비티가 현저하게 작아도 발생 부호량이 크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응용하였을 때에, 예를 들면 직전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액티비티에 대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액티비티가 현저하게 작은 경우에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복잡도 지표값이 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된다. 그러나,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텍스처가 인트라 예측의 예측 모델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 복잡도 지표값을 작게 보정하면 화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저지연을 실현하는 영상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제어 장치, 양자화 제어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구비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과,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수단과, 상기 픽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수단을 구비한 양자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적합한 예로서, 상기 픽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선택 픽처의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를 판정하는 문턱값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 스텝 결정 수단은, 상기 문턱값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문턱값보다 상기 유사도가 큰 경우, 상기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하인 경우, 선택 픽처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초기값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은,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사도를 구한다.
다른 적합한 예로서,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은,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와 가까운 픽처에 대해 상기 유사도를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구비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양자화를 제어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으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와,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단계와,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를 갖는 양자화 제어 방법도 제공한다.
적합한 예로서,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선택 픽처의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를 판정하는 문턱값 판정 단계를 더 가지고, 상기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는, 상기 문턱값 판정 단계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문턱값보다 상기 유사도가 큰 경우, 상기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하인 경우, 선택 픽처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초기값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는,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사도를 구한다.
다른 적합한 예로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는,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와 가까운 픽처에 대해 상기 유사도를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상의 컴퓨터에 양자화 제어 처리를 행하게 하는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와,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단계와,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를 상기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기 위해, 이 인트라 슬라이스와 성질이 유사한 부호화 완료한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영상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자화 제어부(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자화 제어부(2)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인트라 슬라이스 삽입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양자화 제어부(2)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의 양자화 제어부(2)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서의 양자화 제어부(2)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서의 후보로 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세로로 인트라 슬라이스를 적용한 경우의 개념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부호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동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영상 부호화 장치(1)는 H.264에 준거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고, 입력 픽처와 입력 픽처 번호를 입력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 영상 부호화 장치(1)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H.264에 준거한 영상 부호화 장치가 보통 갖는 공지의 기능·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H.264에 준거한 영상 부호화 장치(1) 중에서 양자화 제어부(2)가 종래의 장치 구성과 다르다.
도 2에, 도 1에 도시된 양자화 제어부(2)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양자화 제어부(2)는 유사도 계산부(21), 픽처 선택부(22), 할당 부호량 결정부(23) 및 양자화 스텝 결정부(24)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영상 부호화 장치(1)의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는, H.264에 준거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에서 대부분의 처리가 블록 단위로 행해진다.
입력 픽처의 부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부(3) 또는 인터 예측부(4)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블록과의 차분이 계산되고, 차분에 의해 구성되는 차분 화상 블록이 직교 변환/양자화부(5)에 입력된다. 직교 변환/양자화부(5)는 차분 화상 블록에 대해 직교 변환을 실시하고, 직교 변환 계수를 양자화한다. 그 결과 얻어진 직교 변환 계수 양자화값은 가변길이 부호화부(6)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다.
한편, 직교 변환 계수 양자화값은 역양자화/역직교 변환부(7)에도 입력된다. 역양자화/역직교 변환부(7)에서는 직교 변환 계수 양자화값을 역양자화하고, 역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직교 변환을 실시한다. 또, 양자화 및 역양자화는 양자화 제어부(2)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단위의 양자화 스텝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양자화 제어의 동작은 후술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역직교 변환된 블록은 인트라 예측부(3)에 입력되고, 다른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이용된다. 인트라 예측부(3)에서는, 입력 픽처의 부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 역양자화/역직교 변환부(7)로부터 출력되는 블록의 화소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행한다.
또한, 역양자화/역직교 변환부(7)로부터 출력되는 블록은 루프 필터부(8)에도 입력된다. 루프 필터부(8)에서는, 1픽처분의 블록이 입력되면 루프 필터(부호화 루프 내에서의 필터 처리)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루프 필터를 적용한 픽처는 복호측에서 얻어지는 복호 픽처와 동등해진다. 복호 픽처는 복호 픽처 메모리(9)에 저장된다.
인터 예측부(4)는, 입력 픽처의 부호화 대상 블록을 인터 예측함에 있어서 복호 픽처 메모리(9)에 저장된 복호 픽처를 참조 화상으로 한다.
인트라 슬라이스 제어부(10)는, 입력 픽처의 어느 위치에 어느 정도의 폭의 인트라 슬라이스를 삽입하는지(픽처의 어느 블록이 인트라 슬라이스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한다.
인트라 슬라이스의 위치는 입력 픽처가 진행될 때마다 단계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입력 픽처의 입력순을 나타내는 입력 픽처 번호를 이용한다. 그리고, 부호화 대상 블록이 인트라 슬라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인트라/인터 전환 스위치(11)에 통지한다.
부호화 대상 블록이 인트라 슬라이스에 포함되는 경우, 인트라/인터 전환 스위치(11)는 반드시 인트라 예측을 선택한다. 한편, 부호화 대상 블록이 인트라 슬라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인트라/인터 전환 스위치(11)는 반드시 인터 예측을 선택한다.
또, 부호화 대상 블록이 인트라 슬라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예측 효율에 따라 인트라 예측/인터 예측을 전환하는 구성으로도 되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인터 예측을 반드시 행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양자화 제어부(2)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어느 하나의 픽처를 부호화하기 위해 각 블록의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하는 인트라 슬라이스 삽입예를 도 4에 도시한다.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는 6픽처로 하고, 각 픽처에서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폭은 동일하게 한다. 또한, 선두 픽처 이외의 모든 픽처를 P픽처로 하여 부호화하는 것으로 한다. 즉, B픽처가 있는 경우와 달리 픽처가 입력된 순서로 부호화된다.
도 2에 도시된 양자화 제어부(2)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와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단, 복호 화상이 아니라 원화상임)가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분의 부호화 완료 픽처(즉, 6장)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픽처는 유사도 계산부(21)에 입력된다. 또, 유사도 계산부(21)에는, 각 픽처의 어느 위치에 인트라 슬라이스가 있는지를 지정하는 인트라 슬라이스 정보도 입력된다.
이들을 이용하여 유사도 계산부(21)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각각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C(i)), i=0~5(i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덱스임)를 구한다(단계 S1).
상기의 유사도란,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화상이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값이다. 유사도는, 예를 들면 각각의 인트라 슬라이스 내에서의 상대 좌표가 같은 화소값의 차분의 절대값 합(이하, SAD라고 함)을 이용한다. 이 경우, C(i)가 작을수록 2개의 인트라 슬라이스가 유사하게 된다.
다음에, 픽처 선택부(22)에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각각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C(i)), i=0~5가 입력된다.
픽처 선택부(22)에서는, C(i)를 기초로 가장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가 높은 부호화 완료 픽처(i_select)를 구한다(단계 S2). 즉, C(i_select)로서 SAD가 최소인 것을 구한다. 그리고, 부호화 완료 픽처(i_select)를 선택 픽처로서 선택 픽처의 인덱스(i_select)(선택 픽처 정보)를 할당 부호량 결정부(23)에 통지한다.
다음에, 할당 부호량 결정부(23)는,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고, 각각의 영역의 할당 부호량을 결정한다.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Xp)을 구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구한다. 여기서는, 직전 픽처의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 관한 부호화 정보(발생 부호량, 평균 양자화 스텝)를 이용하여 복잡도 지표값(Xp)을 구하는 것으로 한다(단계 S3). 구체적으로는 직전 픽처의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발생 부호량을 Gp, 평균 양자화 스텝을 Qp_ave라고 하면, Xp=Gp×Qp_ave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다음에,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Xi)을 구한다(단계 S4). Xi는, 픽처 선택부(22)에서 선택된 부호화 완료 픽처(i_select)(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 관한 부호화 정보(발생 부호량, 평균 양자화 스텝)를 이용하여 구한다. 여기서, 할당 부호량 결정부(23)에는, 상술한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 관한 부호화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발생 부호량을 Gi_select, 평균 양자화 스텝을 Qp_select_ave라고 하면, Xi=Gi_select×Qp_select_ave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양자화 스텝 결정부(24)는 부호화 대상 픽처에서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할당 부호량(각각 Xi, Xp라고 함)을 산출하고, 각각의 할당 부호량을 이용하여 각 블록의 양자화 스텝을 구한다. 이 처리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좋다.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서 이용되는 양자화 스텝을 거의 동등하게 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할당 부호량을 구한다.
Ti=T×(Xi/(Xi+Xp))
Tp=T×(Xp/(Xi+Xp))
여기서, T는 픽처 전체의 할당 부호량이다. 이 수학식의 근거는 공지이므로(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Ti에 기초하여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서의 블록 단위의 할당 부호량을 결정하고, Tp에 기초하여 비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서의 블록 단위의 할당 부호량을 결정하며, 각 블록의 양자화 스텝을 구한다(단계 S5).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와 직전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에서 현저하게 텍스처가 다른 경우에 복잡도 지표값의 추정 정밀도가 낮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를 구하고,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기 위해 이용하는 부호화 완료 픽처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텍스처가 유사한 부호화 완료한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복잡도 지표값의 정밀도가 높고,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성질에 합치한 부호량 할당이 가능해지며 보다 높은 화질을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부호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다른 점은 단계 S6, S7이 새로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단계 S2에서, 픽처 선택부(22)가 선택 픽처를 구한 후, 선택 픽처의 유사도와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S6).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도(C(i))가 SAD인 경우,「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의 판정은 실제는 「C(i_select)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지」의 판정이 된다.
이 판정의 결과,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 경우,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는 영상의 성질이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여 선택 픽처의 인덱스(i_select)를 할당 부호량 결정부(23)에 통지하고,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같이 단계 S4, S5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선택 픽처의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는 영상의 성질이 다르다고 판정하고, 픽처 선택부(22)는 할당 부호량 결정부(23)에 null 데이터를 통지한다. 이 경우, 할당 부호량 결정부(23)는 소정의 초기값으로 복잡도 지표값(Xi)을 초기화한다(단계 S7).
초기값은 여러 가지 성질의 화상에 관한 평균적인 값이면 무엇이든 좋다. 그 대표예로서는 MPEG-2 TM5에서 이용되고 있는 초기값이 있고, 이를 응용하면 좋다. MPEG-2 TM5에서는, 하나의 픽처의 복잡도 지표값(X)의 초기값으로서 이하를 정의하고 있다.
X=(160*bit_rate)/115
이를 픽처에 대한 인트라 슬라이스의 면적으로 스케일링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를 6픽처로 하고 있으므로,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의 복잡도 지표값(Xi)은 이하와 같이 하여 계산한다.
Xi=X×(1/6)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가 현저하게 작은 경우, 선택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는 복잡도가 전혀 다르게 된다. 예를 들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텍스처가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복잡한 경우, 할당 부호량이 작아지고 화질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선택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가 작은 경우, 소정의 초기값으로 복잡도 지표값을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극단적인 화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부호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다른 점은, 도 3에 도시된 단계 S1, S2를 도 6에 도시된 단계 S11, S21로 치환한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사도 계산부(21)에서의 유사도를 상술한 픽처의 액티비티(값)를 이용하여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트라 슬라이스 내의 각 블록의 액티비티의 합계값(합계 액티비티라고 함)을 구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합계 액티비티와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합계 액티비티의 차분 절대값을 유사도라고 한다(단계 S11).
블록의 액티비티는 블록을 4개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블록에서의 화소값의 분산을 구하며, 4개의 분산값의 최소값으로서 구해진다. 합계 액티비티의 차분 절대값이 픽처 선택부(22)에 통지된다.
픽처 선택부(22)에서는, 합계 액티비티의 차분 절대값이 최소인 부호화 완료 픽처를 선택 픽처라고 하고, 선택 픽처의 인덱스(i_select)를 할당 부호량 결정부(23)에 통지한다(단계 S21).
또, 액티비티를 이용한 유사도로서는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을 이용해도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각 블록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의 차분 절대값을 구하였지만, 각 블록의 액티비티의 차분 절대값의 총합을 유사도라고 해도 된다.
여기서, 인트라 슬라이스(A, B)의 각 블록의 액티비티를 각각 act_A(j), act_B(j), j=O, 1, 2.., N-1이라고 한다. j는 인트라 슬라이스 내의 매크로 블록의 인덱스라고 하고, N은 인트라 슬라이스 내의 블록 수(매크로 블록의 수)이다. 또한, 인트라 슬라이스(A, B)에서의 블록(j)은 인트라 슬라이스 내의 상대 위치가 같다고 한다. 이때, 유사도(C)는 이하의 식으로 구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또한,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가 아니라 인트라 슬라이스를 단위로서 액티비티를 구하여 2개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액티비티의 차분 절대값을 유사도라고 해도 된다. 인트라 슬라이스를 단위로 한 액티비티는, 인트라 슬라이스를 복수의 블록(예를 들면, 면적이 균등한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블록에서의 화소값의 분산값을 구하고, 각 블록의 분산값의 최소값을 인트라 슬라이스의 액티비티라고 한다.
전형적인 유사도의 지표로서 2개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각 화소의 차분값의 절대값 합(SAD) 등의 화소 단위의 차분을 이용한 척도가 있지만, 연산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한편, 2개의 인트라 슬라이스에 같은 피사체가 비쳐 있는 경우, 각각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은 가까운 값이 되기 때문에,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은 유사도의 척도로서 유효하다.
또한,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는 양자화 제어 이외의 모드 판정 등에 유효하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즉, 모드 판정 등을 위해 이미 액티비티가 구해져 있는 경우, 이 액티비티를 본 발명에서의 유사도 계산에 유용하면, SAD와 비교하여 대폭적으로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소수를 N이라고 한 경우, 1픽처당 2개의 인트라 슬라이스 간의 SAD 계산의 연산량은 곱합 연산 횟수가 2N-1, 절대값의 연산 횟수가 N이다. 한편, 모드 판정 등에서 사전에 블록 단위(만약 블록은 종횡(세로가로) 모두 16화소라고 함)의 액티비티가 구해져 있다고 하면, 1픽처당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의 연산량은 곱합 연산 횟수가 N/256, 절대값의 연산 횟수는 1이다.
이와 같이 이미 액티비티가 구해져 있는 경우, SAD 등의 화소 단위의 차분을 이용한 척도를 유사도라고 한 경우와 비교하여 화질을 유지하면서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영상 부호화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처리 동작이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과 다른 점은, 도 3에 도시된 단계 S1을 도 6에 도시된 단계 S12로 치환한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사도 계산부(21)에서 유사도를 구하는 대상을 6장의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화상 평면 상에서 인접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한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좌표값과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좌표값의 차분 절대값을 계산하고, 그 차분 절대값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를 인접하는 것으로서 한정한다.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의 좌표값은, 예를 들면 화상 평면에서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좌단과 우단의 수평 방향 좌표값의 중점의 좌표값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인접하는 인트라 슬라이스를 결정하는, 전술한 소정값을 하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폭이라고 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가 선택된다. 이 예에서는, 부호화 대상 픽처의 직전의 부호화 완료 픽처(화상 평면 상에서 인트라 슬라이스는 좌측 옆, 도 8에서의 A), 1 인트라 주기 전의 픽처(화상 평면 상에서 인트라 슬라이스가 같은 위치, 도 8에서의 B), 1 인트라 주기 전의 픽처의 다음 픽처(화상 평면 상에서 인트라 슬라이스는 우측 옆, 도 8에서의 C)가 선택된다.
이 경우, 이들 인트라 슬라이스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를 구하고, 픽처 선택부(22)에 유사도를 통지한다(단계 S12).
유사도 계산에 이용하는 과거의 픽처가 다수인 경우, 유사도 계산의 연산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인트라 슬라이스가 이용되는 TV 전화 등에서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스포츠 영상 등과는 달리 움직임량이 작기 때문에,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에 비쳐 있는 피사체는 화상 평면 상에서 공간적으로 가까운 부호화 완료한 인트라 슬라이스에 비쳐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사도 계산의 대상을 부호화 대상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가 공간적으로 가까운 부호화 완료한 인트라 슬라이스로 한정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화질을 유지하면서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입력 영상의 픽처 레이트가 매초 30픽처,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를 0.5초로 하여 1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분의 과거의 픽처의 전부에 대해 유사도 계산을 하는 경우, 과거의 15장의 픽처 각각에 대해 유사도 계산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일례로서 유사도 계산의 대상을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와 위치가 같은 과거의 픽처(1 인트라 슬라이스 주기 전의 픽처),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좌측 옆, 우측 옆의 인트라 슬라이스를 갖는 과거의 픽처로 한 경우는, 과거의 3장의 픽처 각각에 대해 유사도 계산을 행하게 되고 연산량은 1/5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함에 있어서,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를 구하고, 인트라 슬라이스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부호화 완료 픽처를 부호화하였을 때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달리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복잡도 지표값을 구하기 위해, 이 인트라 슬라이스와 성질이 유사한 부호화 완료한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2에서의 처리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고 실행함으로써 양자화 제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0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개재하여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통해 혹은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되어도 된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매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저지연을 실현하는 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양자화 제어를 행하는 것이 불가결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2…양자화 제어부
21…유사도 계산부
22…픽처 선택부
23…할당 부호량 결정부
24…양자화 스텝 결정부

Claims (9)

  1.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구비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수단;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수단;
    상기 픽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선택 픽처의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를 판정하는 문턱값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양자화 스텝 결정 수단은, 상기 문턱값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문턱값보다 상기 유사도가 큰 경우, 상기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하인 경우, 선택 픽처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초기값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은,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사도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 수단은,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픽처에 대해 상기 유사도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
  5.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구비하는 양자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양자화를 제어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으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단계;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선택 픽처의 유사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를 판정하는 문턱값 판정 단계;를 더 가지고,
    상기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는, 상기 문턱값 판정 단계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문턱값보다 상기 유사도가 큰 경우, 상기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유사도가 상기 문턱값 이하인 경우, 선택 픽처를 이용하지 않고 소정의 초기값에 기초하여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는, 인트라 슬라이스의 블록 단위의 액티비티의 합계값에 관한 차분 절대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사도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는, 상기 부호화 완료 픽처 중에서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가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 평면 상에서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픽처에 대해 상기 유사도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방법.
  9. 인트라 슬라이스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상의 컴퓨터에 양자화 제어 처리를 행하게 하는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유사도를 2개의 다른 인트라 슬라이스의 화상이 유사할수록 큰 값을 취하는 지표로 하고, 부호화 대상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과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영역 각각의 유사도를 구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 의해 구한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호화 완료 픽처로부터 유사도가 최대가 되는 픽처를 선택하는 픽처 선택 단계;
    상기 픽처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픽처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픽처의 부호화에 이용하는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양자화 스텝 결정 단계;
    를 상기 컴퓨터에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KR1020137020058A 2011-03-10 2012-03-05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KR101522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2872 2011-03-10
JPJP-P-2011-052872 2011-03-10
PCT/JP2012/055564 WO2012121211A1 (ja) 2011-03-10 2012-03-05 量子化制御装置及び方法、及び量子化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322A true KR20130095322A (ko) 2013-08-27
KR101522391B1 KR101522391B1 (ko) 2015-05-21

Family

ID=4679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058A KR101522391B1 (ko) 2011-03-10 2012-03-05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06803B2 (ko)
EP (1) EP2648409B1 (ko)
JP (1) JP5410638B2 (ko)
KR (1) KR101522391B1 (ko)
CN (1) CN103329532B (ko)
BR (1) BR112013019415A2 (ko)
CA (1) CA2824164A1 (ko)
ES (1) ES2604202T3 (ko)
RU (1) RU2573279C2 (ko)
TW (1) TWI510050B (ko)
WO (1) WO2012121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127A (ko) * 2016-05-31 2017-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8569B2 (ja) * 2014-10-07 2018-10-03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KR20160105203A (ko)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코덱,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JP6943628B2 (ja) 2017-05-24 2021-10-06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および映像符号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84B2 (ja) * 1993-09-20 2003-09-22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装置
US5471207A (en) * 1994-02-23 1995-11-28 Ricoh Company Ltd. Compression of palettized images and binarization for bitwise coding of M-ary alphabets therefor
US5832234A (en) * 1995-09-29 1998-11-03 Intel Corporation Encoding images using block-based macroblock-level statistics
EP1397006B1 (en) 1997-02-08 2009-07-22 Panasonic Corporation Quantization matrix for still and moving picture coding
US6023296A (en) * 1997-07-10 2000-02-08 Sarnoff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 based rate control in a coding system
JP4362795B2 (ja) * 1999-07-13 2009-11-1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US6804301B2 (en) * 2001-08-15 2004-10-1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First pass encoding of I and P-frame complexity for compressed digital video
US6882685B2 (en) 2001-09-18 2005-04-19 Microsoft Corporation Block transform and quantization for image and video coding
US6763068B2 (en) 2001-12-28 2004-07-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acroblock quantization parameters in a video encoder
US7251275B2 (en) * 2002-06-25 2007-07-3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tistical multiplexing during dual pass encoding
AU2003280512A1 (en) * 2002-07-01 2004-01-19 E G Technology Inc. Efficient compression and transport of video over a network
JP4221655B2 (ja) 2003-03-06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SG140441A1 (en) 2003-03-17 2008-03-28 St Microelectronics Asia Decoder and method of decoding using pseudo two pass decoding and one pass encoding
US20050047504A1 (en) * 2003-09-03 2005-03-03 Sung Chih-Ta Star Data stream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video compression
TWI225363B (en) 2003-11-10 2004-12-11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ntization level of a video encoding bit stream
JP4257655B2 (ja) 2004-11-04 2009-04-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
US7706442B2 (en) * 2005-02-15 2010-04-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ding mode selection of intra prediction in video compression
US8548055B2 (en) * 2005-03-10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Encoding of multimedia data
JP4146444B2 (ja) * 2005-03-16 2008-09-10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の方法及び装置
JP2008539646A (ja) * 2005-04-29 2008-11-1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高速fgsを提供するビデオ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KR20080096768A (ko) * 2006-02-06 2008-11-03 톰슨 라이센싱 사용 가능한 움직임 정보를 비디오 인코딩을 위한 움직임추정 예측자로서 재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TWI324883B (en) 2006-06-26 2010-05-11 Himax Tech Inc Method of estimating a quantization parameter
KR100829169B1 (ko) * 2006-07-07 2008-05-13 주식회사 리버트론 H.264 코딩의 압축모드 예측 장치 및 방법
US8036270B2 (en) * 2006-07-27 2011-10-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tra-frame flicker reduction in video coding
EP2080377A2 (en) 2006-10-31 2009-07-2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ating bit streams
US7653130B2 (en) * 2006-12-27 2010-01-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it rate reduction in video telephony
US8718139B2 (en) * 2007-01-12 2014-05-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decoding device and image decoding method
US8265142B2 (en) * 2007-03-14 2012-09-1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Encoding bit-ra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therefor, an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the program
US8331438B2 (en) * 2007-06-05 2012-12-11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selection of picture-level quantization parameters for predicted video pictures
KR101345295B1 (ko) * 2007-06-11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트라 픽처만을 이용한 동영상 시퀀스의 부호화시의비트율 제어 방법 및 장치
JP4527756B2 (ja) 2007-08-27 2010-08-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制御装置、映像符号化制御方法、映像符号化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427785B2 (ja) * 2007-09-28 2014-02-26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デオ圧縮技法及びビデオ伝達技法
CN101897190B (zh) * 2007-11-28 2012-06-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和图像编码装置
US9008174B2 (en) * 2008-01-10 2015-04-14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illumination compensation of intra-predicted video
US8542730B2 (en) * 2008-02-22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Fast macroblock delta QP decision
KR101460608B1 (ko) * 2008-03-04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링된 예측 블록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장치
US20090274211A1 (en) * 2008-04-30 2009-11-0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quality intra mode prediction in a video coder
JP2010035025A (ja) * 2008-07-30 2010-02-12 Canon Inc 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232114B2 (ja) * 2008-09-29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EP2334079B1 (en) * 2008-09-29 2014-05-14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encoding moving picture and moving picture encoding device
JP5564061B2 (ja) * 2009-02-06 2014-07-3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ビデオ・エンコーダおよびデコーダにおける暗黙的および半暗黙的イントラ・モード信号伝達方法および装置
JP5353532B2 (ja) * 2009-07-29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EP3337171A1 (en) * 2009-10-22 2018-06-20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c intra prediction mode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CN105791823B (zh) * 2009-12-08 2019-11-29 交互数字麦迪逊专利控股公司 视频编码和解码的自适应模版匹配预测的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127A (ko) * 2016-05-31 2017-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06803B2 (en) 2018-02-27
CN103329532B (zh) 2016-10-26
JPWO2012121211A1 (ja) 2014-07-17
RU2013135712A (ru) 2015-04-20
EP2648409A4 (en) 2014-05-21
BR112013019415A2 (pt) 2019-09-24
KR101522391B1 (ko) 2015-05-21
CA2824164A1 (en) 2012-09-13
TW201244488A (en) 2012-11-01
TWI510050B (zh) 2015-11-21
EP2648409A1 (en) 2013-10-09
EP2648409B1 (en) 2016-08-17
US20130343453A1 (en) 2013-12-26
ES2604202T3 (es) 2017-03-03
JP5410638B2 (ja) 2014-02-05
RU2573279C2 (ru) 2016-01-20
WO2012121211A1 (ja) 2012-09-13
CN103329532A (zh)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13340B2 (en) Video decoder, video encoder, video decoding method, and video encoding method
KR100932879B1 (ko) 매크로블록 레벨 레이트 제어
CN108012163B (zh) 视频编码的码率控制方法及装置
KR100846512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3566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coding at frame level
RU257374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 и программы для них
US20170041606A1 (en) Video encoding device and video encoding method
US111342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coding within image frame
US20170099491A1 (en)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medium storing program for encoding moving picture
KR20130126698A (ko)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부호화 프로그램
KR20130095322A (ko) 양자화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양자화 제어 프로그램
JP5706291B2 (ja) 映像符号化方法,映像復号方法,映像符号化装置,映像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2008311824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CN114071159B (zh) 帧间预测方法、编码器、解码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700877B2 (ja) 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プログラム及びチップ
KR20100094759A (ko) 동영상 부호화의 연산 복잡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0124054A (ja)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