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432A -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432A
KR20130094432A KR1020120015673A KR20120015673A KR20130094432A KR 20130094432 A KR20130094432 A KR 20130094432A KR 1020120015673 A KR1020120015673 A KR 1020120015673A KR 20120015673 A KR20120015673 A KR 20120015673A KR 20130094432 A KR20130094432 A KR 2013009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velcro
bonding member
polishing pad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147B1 (ko
Inventor
김진훈
이규희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1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3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with segments embedded in a matrix which is rubbed away during the grin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01Manufacture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18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electrolytic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0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 B24D3/0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 B24D3/1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for porous or cellular structure, e.g. for use with diamonds as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2Rubbers synthetic or natu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철자재의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황삭, 정삭 등 철자재의 연마 및 연삭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형성된 본딩 부재; 및 상기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된 벨크로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VELCRO TYPE GRINDING PAD HAVING FLEXIBLE PROPER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flexible)한 금속판을 사용하여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철자재의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황삭, 정삭 등 철자재의 연마 및 연삭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마 패드는 금속, 비철금속, 페인트 등 다양한 소재의 결합부위, 성형부위의 표면 등을 연마하여 피연마체 표면을 연삭 및 연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핸드 그라인더에 연마 패드를 장착하여 연마하고자 하는 피연마체의 표면과 마찰시켜 연마하게 된다.
이러한 연마 패드는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마 패드의 표면에 다이아몬드를 부착하여 연마 작업에 이용할 경우, 오염을 유발시키는 분진 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길어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따른 연마 패드는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기 위해 세라믹과 혼합하거나, 또는 구리재질의 동판위에 전착(Electroplated) 또는 융착(Vaccum Brazed)을 하였으나, 동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융착으로 부착하는 과정 시 장시간 동안 고온의 열(대략 1000 ~ 1100℃)에 노출되는 데 기인하여 동판이 녹아내려 다이아몬드 지립 자체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동판은 건식으로 철자재 연삭 및 연마 용도로 사용할 시, 작업 마찰열에 의해 동판이 열 변형을 일으켜 다이아몬드 지립의 탈락을 유발해 대부분 습식용 석재연마에만 국한되어 사용되었다.
한편,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숫돌(abrasive)을 대신하여 금속판을 컵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컵 형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연마 공구(옵셋)의 경우에는 금속판과 금속 피삭재의 마찰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튐이나 반발 현상으로 인해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과의 접촉이 어려워 철자재의 연삭 및 연마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7306호(2002.03.07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다양한 표면 그루브패턴을 갖는 연마패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을 뿐,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에 대하여 개시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목적에 맞게 자동화 기계,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 재질의 얇은 금속판에 전착법 또는 융착법으로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고,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자동화 기계,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형성된 본딩 부재; 및 상기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된 벨크로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1 본딩 부재; 상기 제1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된 고무 패드; 상기 고무 패드 상에 형성된 제2 본딩 부재; 및 상기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무 패드에 본딩된 벨크로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a)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a) 금속판의 가장자리가 절곡되도록 가공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제1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1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고무 패드를 본딩하는 단계; (e) 상기 고무 패드 상에 제2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2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무 패드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철 재질의 금속판에 전착법 또는 융착법으로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고,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자동화 기계 또는 수동 핸드 그라인더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자동화 기기 또는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철자재의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와 더불어 철자재의 황삭, 정삭 등의 철자재의 연마 및 연삭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휠 페이퍼의 대체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들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의 고무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의 활용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100)는 금속판(110), 다이아몬드 지립(120), 본딩 부재(130) 및 벨크로 시트층(140)을 포함한다.
금속판(110)은 연마 패드(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베어링(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도록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T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금속판(110)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금속판(110)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평면 연삭시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발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특히, 금속판(110)는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SUS)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와 같이, 금속판의 재질로 동판을 이용할 경우, 연마 및 연삭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동판이 연해져 동판의 일면 상에 전착 또는 융착된 다이아몬드 지립이 탈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금속판(110)의 재질로 동판에 비하여 열에 잘 견디는 강철인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이용함으로써, 금속판(110)의 일면 상에 전착 또는 융착되는 다이아몬드 지립(120)의 이탈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였다.
이러한 금속판(110)은 0.05 ~ 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판(110)의 두께가 0.05mm 미만일 경우에는 일정 강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금속판(110)의 두께가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향상 효과는 있기는 하나, 플렉서블한 특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일으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판(110)의 두께가 0.05 ~ 0.3mm인 경우에는 전착 또는 융착 후에도 플렉서블한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어 핸드 그라인더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금속판(110)의 두께가 0.3 ~ 1.0mm인 경우에는 플렉서블한 특성은 다소 저하되나, 공구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화 기계에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금속판(110)의 일면(110a)에 형성된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결합재(125)에 의하여 금속판(110)의 일면(110a)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전착(Electroplated diamond segment) 및 융착(Vaccum Brazed diamond segment)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판(110)의 일면(110a) 상에 융착으로 다이아몬드 지립(120)을 부착할 경우가 전착으로 부착할 경우에 비하여 절삭력 및 수명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 제조 방법 측면에서는 전착이 유리한 측면이 있는바, 어느 방식으로 부착할 것인가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다이아몬드 지립(120)이 금속판(110)의 일면(110a) 상에 전착법으로 부착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육각형 형상으로 복수개가 상호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오각형, 원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딩 부재(130)는 금속판(110)의 타면(110b)에 형성된다. 이때, 본딩 부재(130)는 금속판(110)과 후술할 벨크로 시트층(14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상호 간을 본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본딩 부재(130)는 약 250℃ 이상의 고열에서도 용해되지 않는 본딩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100)를 자동화 기계 또는 수동 핸드 그라인더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다 보면, 연마 패드(100)와 연마하고자 하는 대상물 간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대략 250℃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은 본딩 물질을 용해시켜 흘러내리게 하고, 이는 결국 벨크로 시트층(140)으로부터 금속판(110)을 이탈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딩 부재(130)는 고 내열성 본딩 물질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크로 시트층(140)은 본딩 부재(130)를 매개로 금속판(110)의 타면(110b)에 본딩된다.
이때,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벨크로 시트층(140)은 기재층(142) 및 벨크로 직물층(14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42)은 벨크로 시트층(14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는 면 직물, 폴리에스터 직물, 레이온 직물, 폴레에스테를 필름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 직물층(144)은 금속 샹크(110)의 타면(도 2의 110b)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불규칙한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 고리(145)들을 갖는다. 이러한 벨크로 직물층(144)의 재질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들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도 1의 100)는 금속판(110)의 일면 상에 전착법으로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120)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부채꼴 형태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도 1의 100)는 금속판(110)의 일면 상에 융착법으로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120)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다이아몬드 지립(120)은 복수개가 금속판(110)의 일면 상에 랜덤한 배열 형태 또는 규칙적인 배열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철 재질의 금속판에 전착법 또는 융착법으로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고,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함으로써, 본딩 부재를 매개로 금속판과 본딩되는 벨크로 시트층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이 그라인더 몸체의 고무 홀더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대략 1 ~ 16인치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고무 홀더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그라인더 몸체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철자재의 황삭, 정삭과 같은 연마 및 연삭, 그리고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휠 페이퍼의 대체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의 고무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200)는 그라인더 몸체(210), 고무 홀더(220) 및 연마 패드(100)를 포함한다.
그라인더 몸체(210)는 구동 모터(미도시) 및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운동하는 구동 축(212)을 구비한다.
또한, 그라인더 몸체(210)는 구동 모터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는 구동 스위치(214)와, 상기 핸드 그라인더(200)의 작동시 연마 패드(100)에 의하여 벗겨지는 이물질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 가이드(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축(212)은 그라인더 몸체(210)의 헤드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비산 방지 가이드(216)는 헤드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축(212)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고무 홀더(220)는 그라인더 몸체(210)의 구동 축(2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무 홀더(220)는 흡착 고무패드(222)와 결합 부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 고무패드(222)는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226)을 구비하며, 전술한 벨크로 시트층(도 3의 140)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부재(224)는 흡착 고무패드(222)의 관통공(226)에 고정되도록 삽입 배치되어, 상기 그라인더 몸체(210)의 구동 축(212)과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무 홀더(220)에 연마 패드(100)를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고무 홀더(220)가 완충막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불꽃 및 소음, 진동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마 패드(100)는 고무 홀더(220)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연마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마 패드는 벨크로 시트층 없이 금속판, 다이아몬드 지립 및 본딩 부재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마 패드는 본딩 부재를 매개로 고무 홀더에 직접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의 활용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선소용 철판(250)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철판(250)의 표면에 용융아연도금층(310)을 피막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 이 경우 용접하고자 하는 철판(250)들 상호 간의 용접 부분에 위치하는 용융아연도금층(250)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용접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구비하는 핸드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용접 부분에 위치하는 용융아연도금층(310)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용접성 강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400)는 금속판(410), 다이아몬드 지립(420), 제1 본딩 부재(430), 고무 패드(440), 제2 본딩 부재(450) 및 벨크로 시트층(460)을 포함한다.
금속판(4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도 1의 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410)은 원판 형상을 갖는 평탄부(412)와, 상기 평탄부(412)의 가장자리로부터 후술할 고무 패드(44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1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부(412)는 금속판(410)의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리고 절곡부(414)는 금속판(4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판(410)의 가장자리를 고무 패드(44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할 경우, 피연마체와의 접촉각이 커지는 효과로 피연마체의 굴곡진 부분에 대한 절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이아몬드 지립(42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지립(도 1의 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본딩 부재(430)는 금속판(410)의 타면(410b)에 형성되고, 제2 본딩 부재(450)는 제1 본딩 부재(430)를 매개로 금속판(410)의 타면(410b)에 본딩되는 고무 패드(44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본딩 부재(430, 450)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 내열성 본딩 물질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 패드(440)는 제1 본딩 부재(430)를 매개로 금속판(410)의 타면(41b)에 본딩된다. 이러한 고무 패드(440)는 제1 및 제2 본딩 부재(430, 450)를 매개로 금속판(410)과 후술할 벨크로 시트층(460)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본딩된다. 이러한 고무 패드(440)는 적정 강도 및 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고무 패드(440)는 1.0 ~ 10.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벨크로 시트층(46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시트층(도 3의 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달리, 금속판의 가장자리의 일 부분을 고무 패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굴절시킴과 더불어, 금속판과 벨크로 시트층 사이에 제1 및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고무 패드를 삽입시킴으로써, 적정 강도 및 탄성을 가지면서도 피연마체와의 접촉각이 커지는 효과로 피연마체의 굴곡진 부분에 대한 절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마 패드를 자동화 기계,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철자재의 황삭, 정삭과 같은 연마 및 연삭,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510), 본딩 부재 형성 단계(S520) 및 벨크로 시트층 본딩 단계(S530)를 포함한다.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510)에서는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한다. 이때, 다이아몬드 지립은 결합재를 매개로 금속판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지립은 전착(Electroplated diamond segment) 및 융착(Vaccum Brazed diamond segment)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판의 일면 상에 융착으로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할 경우가 전착으로 부착할 경우에 비하여 절삭력 및 수명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반면, 제조 방법 측면에서는 전착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본딩 부재 형성 단계(S520)에서는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적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본딩 부재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본딩 부재는 250℃ 이상의 고열에서도 용해되지 않는 본딩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 내열성 본딩 물질로는 고 내열성 본딩 물질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가 있다.
벨크로 시트층 본딩 단계(S530)에서는 본딩 부재를 매개로 금속판의 타면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한다. 이때, 벨크로 시트층은 기재층 및 벨크로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은 벨크로 시트층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그 재질로는 면 직물, 폴리에스터 직물, 레이온 직물, 폴레에스테를 필름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 직물층은 금속판의 타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불규칙한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 고리들을 갖는다. 이러한 벨크로 직물층의 재질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510) 이전에 금속판의 외주면을 열처리하는 금속판 열처리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판 열처리 단계는 내마모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과정(S510 ~ S530)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철 재질의 금속판에 전착법 또는 융착법으로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고,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자동화 기계,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자동화 기계, 수동 핸드 그라인더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불꽃 및 소음,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철자재의 페인트, 용융아연도금, 녹 등의 제거와 더불어 철자재의 황삭, 정삭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금속판 가공 처리 단계(S610),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620), 제1 본딩 부재 형성 단계(S630), 고무 패드 본딩 단계(S640), 제2 본딩 부재 형성 단계(S650) 및 벨크로 시트층 본딩 단계(S660)를 포함한다.
금속판 가공 처리 단계(610)에서는 금속판의 가장자리가 절곡되도록 가공 처리한다. 본 단계에서, 금속판은 가공 처리되어 원판 형상을 갖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고무 패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부는 금속판의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리고 절곡부는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620)에서는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한다. 이때, 다이아몬드 지립은 결합재를 매개로 금속판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지립은 전착(Electroplated diamond segment) 및 융착(Vaccum Brazed diamond segment)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본딩 부재 형성 단계(S630)에서는 금속판의 타면에 제1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1 본딩 부재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본딩 부재의 재질로는 고 내열성 본딩 물질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고무 패드 본딩 단계(S640)에서는 제1 본딩 부재를 매개로 금속판의 타면에 고무 패드를 본딩한다. 고무 패드는 적정 강도 및 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고무 패드는 1.0 ~ 10.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2 본딩 부재 형성 단계(S650)에서는 고무 패드 상에 제2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적정 온도에서 경화하여 제2 본딩 부재를 형성한다. 이때, 제2 본딩 부재의 재질로는, 제1 본딩 부재와 마찬가지로, 고 내열성 본딩 물질인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벨크로 시트층 본딩 단계(S660)에서는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고무 패드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한다. 이때, 벨크로 시트층은 기재층 및 벨크로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은 금속판 가공 처리 단계(S610)와 다이아몬드 지립 부착 단계(S620) 사이에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외주면을 열처리하는 금속판 열처리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판 열처리 단계는 내마모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과정(S610 ~ S660)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는 금속판의 가장자리의 일 부분을 고무 패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굴절시킴과 더불어, 금속판과 벨크로 시트층 사이에 제1 및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고무 패드를 삽입시킴으로써, 적정 강도 및 탄성을 가지면서도 피연마체와의 접촉각이 커지는 효과로 피연마체의 굴곡진 부분에 대한 절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마 패드 110 : 금속판
120 : 다이아몬드 지립 125 : 결합재
130 : 본딩 부재 140 : 벨크로 시트층
142 : 기재층 144 : 벨크로 직물층
145 : 필라멘트 고리 TH : 관통홀

Claims (10)

  1.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형성된 본딩 부재; 및
    상기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된 벨크로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의 높이가 동일한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스틸(S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부재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5.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지립;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형성된 제1 본딩 부재;
    상기 제1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된 고무 패드;
    상기 고무 패드 상에 형성된 제2 본딩 부재; 및
    상기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무 패드에 본딩된 벨크로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원판 형상을 갖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고무 패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7. (a)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다이아몬드 지립은 상기 금속판의 일면 상에 전착법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다이아몬드 지립은 상기 금속판의 일면 상에 융착법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
  10. (a) 금속판의 가장자리가 절곡되도록 가공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가공 처리된 금속판의 일면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제1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1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고무 패드를 본딩하는 단계;
    (e) 상기 고무 패드 상에 제2 본딩 물질을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2 본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본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무 패드에 벨크로 시트층을 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제조 방법.
KR1020120015673A 2012-02-16 2012-02-16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0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73A KR101350147B1 (ko) 2012-02-16 2012-02-16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73A KR101350147B1 (ko) 2012-02-16 2012-02-16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32A true KR20130094432A (ko) 2013-08-26
KR101350147B1 KR101350147B1 (ko) 2014-01-09

Family

ID=4921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73A KR101350147B1 (ko) 2012-02-16 2012-02-16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99A (ko) * 2015-04-02 2016-10-13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변형 및 이탈 방지 효과가 우수한 원터치 타입의 그라인더용 연마 유닛
KR20220055036A (ko) * 2020-10-26 2022-05-03 노바텍(주) 플렉시블 메탈 다이아몬드 연마패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361Y1 (ko) 1998-12-29 2001-10-25 이상돈 표면가공용다이아몬드페이퍼
KR100625210B1 (ko) 2005-05-17 2006-09-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이아몬드 융착 림 블레이드
KR20100127427A (ko) * 2009-05-26 2010-12-06 조희철 연마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299A (ko) * 2015-04-02 2016-10-13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변형 및 이탈 방지 효과가 우수한 원터치 타입의 그라인더용 연마 유닛
KR20220055036A (ko) * 2020-10-26 2022-05-03 노바텍(주) 플렉시블 메탈 다이아몬드 연마패드
WO2022092478A1 (ko) * 2020-10-26 2022-05-05 노바텍(주) 플렉시블 메탈 다이아몬드 연마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147B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2765B1 (en) Backup shoe for microfinishing and methods
JP4371661B2 (ja) 研磨ディスクおよび締結具
RU2357850C2 (ru) Шлифовальный элемент
US8366518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JP2008515238A (ja) 成形したcmpパッドドレッサーおよび関連した方法
JP5730929B2 (ja) カップ型回転砥石
KR20110042215A (ko) 연마 브러시
TW201111108A (en) Rough grinding tool
KR101350147B1 (ko)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벨크로 타입의 연마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104999A1 (en) Abrasive pad
JP2004276197A (ja) ディスク状砥石
US20150306727A1 (en) Polishing method and holder
KR20180012307A (ko) 연마재 및 연마재의 제조방법
EP2153938A1 (en) Surface treatment tool and spare part for said tool
KR20170073854A (ko) 연마 장치의 연마 디스크
JP2007175832A (ja) 研磨シート及び研磨工具
JP3942573B2 (ja) スムージング工具及びスムージング方法
KR102354813B1 (ko) 변형 및 이탈 방지 효과가 우수한 원터치 타입의 그라인더용 연마 유닛
KR102006334B1 (ko) 브러시형 연마 제품 및 장치
JP2022014953A (ja) 砥石
KR200354831Y1 (ko) 그라인더용 연마휠
JPH0727748U (ja) 被研磨体保持具
JP2003117842A (ja) 研磨用軟質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345A (ja) 研摩ホイール
JPS6176278A (ja) 複合式回転研摩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