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032A -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032A
KR20130092032A KR1020120013470A KR20120013470A KR20130092032A KR 20130092032 A KR20130092032 A KR 20130092032A KR 1020120013470 A KR1020120013470 A KR 1020120013470A KR 20120013470 A KR20120013470 A KR 20120013470A KR 20130092032 A KR20130092032 A KR 20130092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etal
carbon
pair
secondary battery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680B1 (ko
Inventor
김영준
김기재
박민식
김재헌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80B1/ko
Priority to PCT/KR2013/000781 priority patent/WO2013118998A1/ko
Priority to US14/376,701 priority patent/US9525178B2/en
Priority to CN201380008195.8A priority patent/CN104094462B/zh
Publication of KR2013009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41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H01M50/77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with external circulat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9Comprising electrode layers with interposed electrolyte compartment with possible electrolyte supply o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공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셀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가 균일하게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을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를 제공함으로써, 전극의 전도성이 향상되며, 또한, 표면에 비표면적이 넓은 탄소층을 균일하게 코팅함으로써, 반응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의 용량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셀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극에 탄소층을 균일하게 코팅함으로써, 부식 저항성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Redox flow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금속에 카본이 균일하게 코팅된 전극을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저장 기술은 전력 이용의 효율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능력이나 신뢰성 향상, 시간에 따라 변동 폭이 큰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 확대, 이동체의 에너지 회생 등 에너지 전체에 걸쳐 효율적 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며 그 발전 가능성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마이크로 그리드와 같은 반 자율적인 지역 전력 공급 시스템의 수급 균형의 조정 및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의 불균일한 출력을 적절히 분배하고 기존 전력 계통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및 주파수 변동 등의 영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이차 전지의 활용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대용량 전력 저장용으로 사용될 이차 전지에 요구되는 특성을 살펴보면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아야 하며 이러한 특성에 가장 적합한 고용량 및 고효율의 2차전지로서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가 가장 각광받고 있다.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셀프레임이 전체 셀의 윤곽을 형성하고, 셀 중앙이 이온 교환막에 의해 분리되며, 이온 교환막을 중심으로 양측에 양극 및 음극의 전극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극의 외부에 각각 전기 전도를 위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집전체가 구비되며, 전해질을 담아놓는 양극 탱크와 음극 탱크 그리고 전해질이 들어가는 유입구와 전해질이 다시 나오는 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출력 및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주로 수계 전해질이 아닌 비수계 전해질이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비수계 전해질이 적용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의 개발을 위해서는 비수계 전해질과의 친화성이 높으면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전극 사용이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치를 만족 시키는 전극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용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의 에너지 전극 소재로 사용되는 탄소계 소재의 경우 금속 전극에 비해 전도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수계 전해액과의 친화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비수계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효율 향상에 한계가 있다.
비수계 레독스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금속 전극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제조 공정상 금속전극의 비표면적 증가에 한계가 있어 비수계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이 우수한 다공성 금속을 사용하여 전극의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표면적이 넓은 탄소가 균일하게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을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표면적이 넓은 탄소를 다공성 금속 표면에 코팅함으로서 반응성이 향상된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다공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셀과, 상기 단위 셀의 양면에 접합되는 한 쌍의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바깥 면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는 상기 카본의 양은 상기 다공성 금속의 무게 대비 50wt%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금속은 니켈(Ni), 구리(Cu), 철(Fe),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백금(Pt) 및 이리듐(I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은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코팅을 위한 코팅 슬러리의 카본 함량은 50 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상기 단위 셀은 이온교환막과, 상기 이온교환막 양면에 각각 접합되며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일면이 상기 한 쌍의 전극 각각의 바깥 면에 접합되고 타면이 상기 집전체에 접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전극 상호간 상기 이온교환막을 통해 산화 환원 반응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상기 셀프레임 각각의 좌우에 배치되어 전해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양극 및 음극 탱크와, 상기 양극 및 음극 탱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해질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전해질이 상기 셀프레임을 통해 상기 단위 셀로 들어가도록 상기 펌프와 상기 셀프레임을 연결하는 유입구와, 상기 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단위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질이 상기 양극 및 음극 탱크에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카본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는 상기 카본의 양은 상기 다공성 금속의 무게 대비 50wt%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금속은 니켈(Ni), 구리(Cu), 철(Fe),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백금(Pt) 및 이리듐(I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은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코팅을 위한 코팅 슬러리의 카본 함량은 50 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전극을 가지는 스택형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가 균일하게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을 사용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를 제공함으로써, 전극의 전도성이 향상되며, 또한, 표면에 비표면적이 넓은 탄소층을 균일하게 코팅함으로써, 반응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의 용량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셀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극에 탄소층을 균일하게 코팅함으로써, 부식 저항성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모폴로지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CV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에너지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가수가 변하는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충전 또는 방전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0 V 내지 3.0 V의 전압 영역에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판형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단위 셀(100)과 단위 셀(100)의 외곽 양면에 접합되며 판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집전체(40), 그리고 각 집전체(40)의 바깥 면에 접합되며 판형으로 형성된 셀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셀(100)은 각각 판형인 이온교환막(10), 전극(20),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30, 이하 "플레이트"로 축약함)를 포함하며, 이온교환막(10)을 중심으로, 이온교환막(10) 양면에 양극(cathode)과 음극(anode)이 한 쌍인 전극(20)이 마주보며 접합되고, 양극 및 음극의 전극(20) 바깥 면에 각각 플레이트(30)가 접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극(20)과 이온교환막(10)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스킷이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이 판형인 이온교환막(10), 전극(20) 및 플레이트(30)가 다층 구조로 하나의 단위 셀(100)을 이룬다.
단위 셀(100)에서 가수가 변하는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이 이루어진다. 이때, 산화 환원 반응은 이온교환막(10)을 통해 양극 및 음극의 전극(20) 상호간 이루어지며, 이러한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가 발생된다.
단위 셀(100)의 양극과 음극의 전극(20)에서 전기가 발생하면, 플레이트(30)와 집전체(40)는 발생된 전기를 인출한다. 셀프레임(50)은 상술한 이온교환막(10), 한 쌍의 전극(20), 한 쌍의 플레이트(30), 및 한 쌍의 집전체(40)의 형상을 유지 및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 탱크(60)와 음극 탱크(70), 펌프(Pump; 61, 71), 유입구(63, 73) 및 유출구(65, 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탱크(60)와 음극 탱크(70)는 필요한 경우 인출할 수 있도록 각각 양극과 음극 전해질을 저장한다. 양극 탱크(60)와 음극 탱크(70)는 각각 양극과 음극 전해질로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수계 전해질도 가능하다. 이러한 양극 탱크(60)와 음극 탱크(70)는 각각 상술한 단위 셀(100)의 전극(20)에서 양극 및 음극에 대응하여 단위 셀(100)의 양면에 배치된다.
또한,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는 유입구(inlet; 63, 73) 및 유출구(outlet; 65, 75)를 통해 셀프레임(50)과 연결된다. 유입구(63, 73)는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의 전해질이 단위 셀(100)로 들어가는 통로이며, 유출구(65, 75)는 전해질이 다시 나오는 통로이다. 또한, 펌프(61, 71)는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로부터 전해질을 인출하여 단위 셀(100)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와 유입구(63, 73)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이에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로부터 인출된 전해질은 펌프(61, 71), 유입구(63, 73), 셀프레임(50), 및 집전체(40)를 통해 단위 셀(100)에 공급되며, 역순으로 다시 양극 탱크(60) 및 음극 탱크(70)로 회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는 이온교환막(10)은 나피온(naf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0)는 흑연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20)은 플레이트(30)의 안쪽 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전극(20)은 다공성의 금속 표면에 균일하게 탄소층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금속에 균일하게 카본을 코팅하여 전극(20)을 형성한다.
여기서, 다공성 금속은 니켈(Ni), 구리(Cu), 철(Fe),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백금(Pt) 및 이리듐(Ir)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코팅된 카본의 양은 다공성 금속 무게 대비 50wt% 이하가 되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 방법으로,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팅을 위해 카본 코팅 슬러리 제조시, 코팅 슬러리의 카본 함량이 50 wt% 이상이 되도록 한다.
표면에 카본이 균일하게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이 적용된 수계 또는 비수계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 및 스택형 전지
표면에 카본이 균일하게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 사용으로 비수계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의 용량 및 에너지 효율 향상과 부식 특성 개선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전극의 모폴로지를 비교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모폴로지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비교예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실시예의 FESEM 이미지를 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전극(20)은 다공성 금속 표면에 카본이 균일하게 코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금속종류 기공크기 카본코팅량
비교예 1 Ni 800 0 wt%
비교예 2 Cu 800 0 wt%
실시예 1 Ni 800 5 wt%
실시예 2 Cu 800 5 wt%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전극(20)은 다공성 금속 표면에 카본 코팅 시, Super-P:바인더:NMP=2.5:2.5:95의 조성을 갖는 슬러리를 제조한 후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코팅하였으며, 코팅된 카본의 양(카본코팅량)은 코팅 전후의 무게비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전극의 CV(Cyclic Voltammetry) 특성을 비교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CV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때, 상술한 <표 1>의 비교예와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카본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전극을 실시예로 하여 PC 기반의 유기 전해액에서 CV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 4 및 도 5에서 카본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평가를 위해 다양한 비수계 전해질에서 CV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측정조건은 1 mV/s의 scan rate로 Ag/Ag+ 대비 -1.8 ~ 0.0 V 전위 영역에서 실시하였다. 도 4는 Co(bpy)+PC 전해질에서 비교예와 실시예의 CV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Ni(bpy)+PC 전해질에서 비교예와 실시예의 CV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의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CV 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PC 기반의 비수계 전해질에서 카본이 코팅된 구리(Cu)와 니켈(Ni) 다공성 금속 전극을 적용한 경우 비교예 보다 반응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이온의 산화 반응을 위한 전류값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공성 금속을 사용하여 전극의 전도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며, 다공성 금속 표면에 코팅된 카본이 효율적으로 레독스 반응 사이트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전극의 에너지 효율 특성을 비교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에너지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예 1 및 2가 양극과 음극으로 적용된 셀(100)과 실시예 1과 2가 양극과 음극으로 적용된 셀(100)의 에너지효율 비교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본이 코팅된 실시예 1과 2를 적용한 셀(100)이 향상된 쿨롱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를 채용한 셀(100)의 경우 초기 에너지 효율이 82%이며, 이는 비교예가 채용된 셀(100)의 에너지 효율인 77% 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다공성 금속 전극의 표면에 카본 코팅을 통해 쿨롱 효율도 93%에서 95%로 증가하였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다공성 금속에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전극이 다공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이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한 카본이 코팅된다면 종래와 같이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비수계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의 전극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이 가능한 경우, 수계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의 전극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에 구비되는 전극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해액에 수용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스택형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 단위 셀
10 : 이온교환막
20 : 전극
30 : 플레이트
40 : 집전체
50 : 셀프레임
60 : 양극 탱크
70 : 음극 탱크
61, 71 : 펌프
63, 73 : 유입구
65, 75 : 유출구

Claims (14)

  1.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에 있어서,
    다공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셀;
    상기 단위 셀의 양면에 접합되는 한 쌍의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바깥 면 각각에 부착되는 한 쌍의 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는 상기 카본의 양은
    상기 다공성 금속의 무게 대비 50wt%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은
    니켈(Ni), 구리(Cu), 철(Fe),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백금(Pt) 및 이리듐(I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을 위한 코팅 슬러리의 카본 함량은 50 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은
    이온교환막;
    상기 이온교환막 양면에 각각 접합되며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전극; 및
    일면이 상기 한 쌍의 전극 각각의 바깥 면에 접합되고 타면이 상기 집전체에 접합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은
    상기 전극 상호간 상기 이온교환막을 통해 산화 환원 반응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레임 각각의 좌우에 배치되어 전해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양극 및 음극 탱크;
    상기 양극 및 음극 탱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해질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전해질이 상기 셀프레임을 통해 상기 단위 셀로 들어가도록 상기 펌프와 상기 셀프레임을 연결하는 유입구; 및
    상기 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단위 셀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질이 상기 양극 및 음극 탱크에 유입되도록 연결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9.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에 있어서,
    카본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의 표면에 카본이 코팅되는 상기 카본의 양은
    상기 다공성 금속의 무게 대비 50wt%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은
    니켈(Ni), 구리(Cu), 철(Fe), 몰리브덴(Mo), 타이타늄(Ti), 백금(Pt) 및 이리듐(I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딥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을 위한 코팅 슬러리의 카본 함량은 50 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14. 제9항 내지 제13항에 따르는 상기 전극을 가지는 스택형 전지.
KR1020120013470A 2012-02-09 2012-02-09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KR10144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70A KR101443680B1 (ko) 2012-02-09 2012-02-09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PCT/KR2013/000781 WO2013118998A1 (ko) 2012-02-09 2013-01-31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US14/376,701 US9525178B2 (en) 2012-02-09 2013-01-31 Redox flow secondary battery
CN201380008195.8A CN104094462B (zh) 2012-02-09 2013-01-31 氧化还原液流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70A KR101443680B1 (ko) 2012-02-09 2012-02-09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32A true KR20130092032A (ko) 2013-08-20
KR101443680B1 KR101443680B1 (ko) 2014-09-26

Family

ID=4894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470A KR101443680B1 (ko) 2012-02-09 2012-02-09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25178B2 (ko)
KR (1) KR101443680B1 (ko)
WO (1) WO2013118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45B1 (ko) * 2018-12-05 2020-08-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전극 내 혼합판이 삽입된 레독스 흐름 전지
CN114733663B (zh) * 2022-03-17 2023-04-28 中材锂膜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涂覆膜生产中涂层克重监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492A (en) * 1992-10-14 1996-08-13 National Power Plc Electrochemical apparatus for power delivery utilizing an air electrode
CA2270771A1 (fr) * 1999-04-30 2000-10-30 Hydro-Quebec Nouveaux materiaux d'electrod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de surface elevee
JP3386410B2 (ja) 1999-06-29 2003-03-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の電池セル用フレーム付き双極板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JP2004063423A (ja) * 2002-07-31 2004-02-26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極製造に用いる塗布液、それを用いて製造した電極及び電池
US7820321B2 (en) * 2008-07-07 2010-10-26 Enervault Corporation Redox flow battery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storage
KR101009440B1 (ko) * 2008-10-10 2011-01-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용해 납 레독스 흐름 배터리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용해 납 레독스 흐름 배터리
KR101031019B1 (ko) * 2009-03-10 2011-04-2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이금속산화물 코팅층을 가지는 금속 전극의 제조 방법 및그에 의해 제조된 금속 전극
CN102804470B (zh) * 2009-06-09 2015-04-15 夏普株式会社 氧化还原液流电池
KR101163996B1 (ko) * 2010-04-09 2012-07-18 전자부품연구원 메탈 폼 전극을 가지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KR101067867B1 (ko) * 2010-04-14 2011-09-27 전자부품연구원 레독스 흐름 전지용 일체화된 흑연/dsa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680B1 (ko) 2014-09-26
US20150030954A1 (en) 2015-01-29
US9525178B2 (en) 2016-12-20
WO2013118998A1 (ko) 2013-08-15
CN104094462A (zh)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ed et al. Performance of Nafion® N115, Nafion® NR-212, and Nafion® NR-211 in a 1 kW class all vanadium mixed acid redox flow battery
CN103137986B (zh) 一种锌溴单液流电池
Hsieh et al. Measurement of local current density of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WO2012162390A1 (en) Flow battery and mn/v electrolyte system
KR101163996B1 (ko) 메탈 폼 전극을 가지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JP2018186014A (ja) フロー電池、フロー電池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
WO2018198252A1 (ja) 二次電池、二次電池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
CN106549179B (zh) 一种有机体系锂醌液流电池
JP2019003750A (ja) フロー電池、フロー電池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
JP5864682B2 (ja) ペースト状バナジウム電解質の製造方法及びバナジウムレドックス電池の製造方法
KR101262663B1 (ko) 금속 산화물로 표면 개질된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용 카본 펠트 전극의 제조방법
KR101145714B1 (ko) 표면 처리된 카본 펠트 전극을 가지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JP6766368B2 (ja) フロー電池、蓄電池及び給電システム
CN106450405B (zh) 液流电池电堆结构
JP2018154898A (ja) 電気化学反応装置
US20180190991A1 (en) Electrod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system
EP2800181A1 (en) Use of proton exchange membrane in iron-chromium liquid fluid battery
KR101443680B1 (ko)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KR101335431B1 (ko)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CN106450404A (zh) 液流电池电堆
KR20120029289A (ko)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된 카본 펠트 전극을 가지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 전지
KR20130042941A (ko) 레독스 커플 담지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Hosseiny Vanadium/air redox flow battery
KR20210147005A (ko) 고전압 및 확장가능한 에너지 저장을 위한 전해 배터리
JP2021026824A (ja) レドックスフロー型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