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009A - 휴대용 차 추출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 추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009A
KR20130092009A KR1020120013435A KR20120013435A KR20130092009A KR 20130092009 A KR20130092009 A KR 20130092009A KR 1020120013435 A KR1020120013435 A KR 1020120013435A KR 20120013435 A KR20120013435 A KR 20120013435A KR 20130092009 A KR20130092009 A KR 2013009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ea
extraction container
straw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102012001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009A/ko
Publication of KR2013009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휴대용 차 추출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추출통과, 상기 용기의 상부에 개폐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음료 취식용 빨대가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빨대는, 상단의 흡입부는 용기의 상단 흡입부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는 용기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차를 우려낸 후 추출통을 분리하지 않고, 추출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추출된 차 음료를 빨대를 통해 마실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추출통에 재차로 물을 부어 우려내어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차 추출 용기{TEA EXTRACTION PORTABLE VESSEL}
본 발명은 휴대용 차 추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에서 녹차와 같은 찻잎을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하되,추출통을 분리할 필요없이 찻물만 마실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용 차 추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은 차(茶) 문화가 발달하여 왔고, 다양한 종류의 차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중국은 보이차가 명차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중국은 인구의 대다수가 차를 애용하고 있어 차에 관련된 다양한 용기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근래에는 찻잎을 쉽게 우려내고 즉석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 내에 추출통을 구비한 휴대용 차 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 0215884호에는 '일회용 차 추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커피나 녹차 등을 수용하게 되는 용기체(20)를 컵(10)의 상부 내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체(20)에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물이 컵(10)내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원두커피나 녹차성분이 추출되어 이를 마실 수 있게 한 일회용 차의 추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컵(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단턱(11)을 빙둘러 형성하고, 상기 용기체(2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단턱(11)에 걸쳐지는 걸림턱(21)을 빙둘러 형성하며, 저면에는 유출구(22)를 뚫어 설치하며, 일측부(23)를 안쪽으로 만곡요입되게 형성하고, 상기 유출구(22)에는 이 유출구를 봉해주게 그 외저면에 여과지(30)를 접착한 것이다.
그리고 컵(10)에 용기체(20)를 결합한 다음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개별 포장된 원두커피나 녹차 등의 차입자(50)와, 크림(51), 설탕(52) 및 스틱(53)을 넣고 상부를 봉함지(40)로 봉합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용기 내에 넣어던 여과 추출통을 분리해내고 음료를 먹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추출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추출된 차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음료 취식구가 용기와 일체로 형성된 휴대용 차 추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추출통과, 상기 용기의 상부에 개폐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음료 취식용 빨대가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빨대는, 상단의 흡입부는 용기의 상단 흡입부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는 용기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에는 미세한 망목을 갖는 망체가 형성된 캡이 일체로 결합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흡입공에는 미세망이 일체로 성형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휴대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의 중간부위의 내주벽에는 상기 추출통이 장착되도록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통은 측면과 저면에 망체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좁아져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뚜껑은 일측이 용기와 연결밴드로 연결거나 용기와 분리된 것이며, 상기 뚜껑의 타측에는 상기 빨대의 상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을 갖는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를 우려낸 후 추출통을 분리하지 않고, 추출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추출된 차 음료를 빨대를 통해 마실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추출통에 재차로 물을 부어 우려내어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2의 일부분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2의 일부분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 추출 용기(A)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1)와, 용기(1) 내에 수용되는 추출통(2)과, 용기(1)의 상부에 개폐되도록 형성된 뚜껑(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1)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뚜껑(3)은 일측이 용기(1)와 연결밴드(31)로 연결거나 용기와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뚜껑(3)의 타측에는 후술될 빨대(4)의 상단 흡입부(4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홈(33)을 갖는 돌부(34)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A')는 뚜껑(3)에 차를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8)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8)를 개폐시키는 덮개(82)가 형성된다.
덮개(82)는 일단이 뚜껑(3)의 일부위와 얇은 두께로 이어져 형성되어 힌지부(83)가 되도록 하고, 타단에는 손톱을 넣어 걸어 제낄 수 있도록 걸림홈(84)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82)의 타단에는 걸림턱(85)을 형성하여 보관부(8)의 내측면과 억지 끼움되도록 하여 꼭맞게 결합된다.
따라서 여분의 차를 보관부(8)에 담아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의 내주벽에 음료 취식용 빨대(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용기(1)의 성형 가공시 빨대(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빨대(4)는 용기(1)의 내주벽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상단부는 입으로 빨아먹기 용이하도록 용기(1)의 상단 흡입부(42)가 상단 개구부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는 용기(1)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공(30)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흡입공(30)을 통해 우려낸 찻물이 흡입되어 용기(1)의 상단 흡입부(42)를 통해 빨아먹을 수 있다.
또한 우려낸 찻물 외에 미립자 찌꺼기가 가라앉을 경우가 있으므로 이 찌꺼기를 걸러 내기 위해 흡입공(30)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망목을 갖는 망체가 형성된 캡(6)이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초에 금형에서 성형시킬때 빨대(4)의 흡입공(30)에 미세망(39)이 일체로 성형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빨대(4)의 상단 흡입부(42)에 형성되는 개구공에는 도 3의 상부 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원형이지만 뜨거운 물을 다량 흡입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하부 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량의 물만 빨아 마실수 있도록 상단 흡입부(42)의 개구공을 판(36)으로 막고, 이 판(36)의 중앙에 슬릿(37)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용기(1)의 상단에는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휴대고리(7)가 형성된다. 휴대고리(7)는 통상의 밴드나 끈과 같은 스트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용기(1)의 중간부위의 내주벽에는 추출통(2)이 장착되도록 다수의 걸림돌기(18)가 형성된다.
추출통(2)은 측면과 저면에 망체(21)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8)가 걸리는 돌출턱(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추출통(2)을 용기(1)와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차를 우려내기 용이하고, 사용한 후에는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의 뚜껑(3)을 열고, 찻잎을 넣은 추출통(2)을 용기(1) 내에 삽입하여 걸림돌기(18)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뜨거운 물을 부어 일정 양을 채우고, 뚜껑(3)을 닫은 후 일정 시간동안 우려나도록 한다.
이후 뚜껑(3)을 열고 어느 정도 우러난 찻물을 빨대(4)를 통해 흡입하여 마신다.
찻물을 다 마신후에는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 재차 우려낼 수 있다.
따라서 추출통(2)을 분리해낼 필요없이 내부의 물을 빨대(4)를 통해 마실 수 있어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용기 2 : 추출통
3 : 뚜껑 4 : 빨대
6 : 캡 7 : 휴대고리
18 : 걸림돌기 21 : 망체
22 : 돌출턱 30 : 흡입공
34 : 돌출부 42 : 상단 흡입부

Claims (6)

  1.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추출통과, 상기 용기의 상부에 개폐되도록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음료 취식용 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빨대의 상단부는 상기 용기의 상단 흡입부 보다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빨대의 하단부는 상기 용기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에는 망체가 형성된 캡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미세망이 일체로 성형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휴대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중간부위의 내주벽에는
    상기 추출통이 장착되도록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추출통은 측면과 저면에 망체가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돌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좁아져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은 일측이 용기와 연결밴드로 연결거나 용기와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 뚜껑의 타측에는 상기 빨대의 상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을 갖는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차를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 추출 용기.

KR1020120013435A 2012-02-09 2012-02-09 휴대용 차 추출 용기 KR20130092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35A KR20130092009A (ko) 2012-02-09 2012-02-09 휴대용 차 추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35A KR20130092009A (ko) 2012-02-09 2012-02-09 휴대용 차 추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09A true KR20130092009A (ko) 2013-08-20

Family

ID=4921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435A KR20130092009A (ko) 2012-02-09 2012-02-09 휴대용 차 추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583A (ko) 2021-11-29 2023-06-07 이기욱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583A (ko) 2021-11-29 2023-06-07 이기욱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34493B2 (en)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JP6185058B2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バイス
US7958816B2 (en) Multi-function beverage brewer and cup
US20090250479A1 (en) Method &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KR10163666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JP2012515043A (ja) 使い捨てコーヒー豆抽出機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20130092009A (ko) 휴대용 차 추출 용기
US20120024163A1 (en) Ring-shaped adapter having a net for brewing tea in disposable cups
KR200489383Y1 (ko)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CN209932278U (zh) 一种饮水杯
CN208491588U (zh) 一种即滤即饮咖啡杯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200461353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101826151B1 (ko) 드립 커피용 컵 세트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KR200454639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JP3095901U (ja) 茶の抽出器具
JP3123356U (ja) 湯飲み
KR200341752Y1 (ko) 차컵
KR20200070959A (ko) 휴대성이 향상된 드립용 원두커피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