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83Y1 -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83Y1
KR200489383Y1 KR2020180001371U KR20180001371U KR200489383Y1 KR 200489383 Y1 KR200489383 Y1 KR 200489383Y1 KR 2020180001371 U KR2020180001371 U KR 2020180001371U KR 20180001371 U KR20180001371 U KR 20180001371U KR 200489383 Y1 KR200489383 Y1 KR 200489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tea leave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카모토 아츠코
Original Assignee
하리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오코리아(주) filed Critical 하리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80001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료 용기를 이루게되는 하부체와 상부체를 구비하고, 상부체 내부에 하부체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밀폐부재를 설치하며, 밀폐부재에는 음료수를 배출시킬 때 하부체 내에 존재하는 찻잎이 배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거름망을 설치하므로서, 녹차잎 또는 홍차잎과 같은 음료수 제조용 찻잎을 용기 내부에 투입하여 용이하게 음료수를 제조할 수 있고, 음료수를 배출시켜 음용할 때 찻잎이 거름망에 걸려져 배출되지 않게되어 사용상 편리함이 가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음료용기를 냉장고 내에서 눕혀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밀폐부재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거름망이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Separate type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료 용기를 이루게되는 하부체와 상부체를 구비하고, 상부체 내부에 하부체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밀폐부재를 설치하며, 밀폐부재에는 음료수를 배출시킬 때 하부체 내에 존재하는 찻잎이 배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거름망을 설치하므로서, 녹차잎 또는 홍차잎과 같은 음료수 제조용 찻잎을 용기 내부에 투입하여 용이하게 음료수를 제조할 수 있고, 음료수를 배출시켜 음용할 때 찻잎이 거름망에 걸려져 배출되지 않게되어 사용상 편리함이 가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음료용기를 냉장고 내에서 눕혀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밀폐부재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거름망이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후나, 담소(談笑)를 나눌 때, 또는 여가 시간을 달래기 위해 차를 애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스스로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커피보다는 인체에 유용한 녹차 등의 전통차를 즐기는 마니아(mania) 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전통차를 따뜻하게 즐기는 것 외에도 대형의 음료용기에 녹차잎, 홍차잎, 국화차잎 등을 넣어 찻물을 우려내어 음료수를 제조 저장하였다가 물 대신 음용하는 사용자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같이 찻물을 대량으로 우려내어 저장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음료용기가 준비되어야 하고, 또 그 음료용기 내부에 찻잎을 걸러주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 음료용기는 대부분이 찻잎을 걸러주기 위한 거름망이 고정되게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찻잎이 배출되는 음료와 함께 배출되어 찻잎을 일일이 제거한 후 마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형 음료용기는 음료 배출구가 직경이 작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망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등록실용신안 20-0334871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료 용기를 이루게되는 하부체와 상부체를 구비하고, 상부체 내부에 하부체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밀폐부재를 설치하며, 밀폐부재에는 음료수를 배출시킬 때 하부체 내에 존재하는 찻잎이 배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거름망을 설치하므로서, 녹차잎 또는 홍차잎과 같은 음료수 제조용 찻잎을 용기 내부에 투입하여 용이하게 음료수를 제조할 수 있고, 음료수를 배출시켜 음용할 때 찻잎이 거름망에 걸려져 배출되지 않게되어 사용상 편리함이 가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음료용기를 냉장고 내에서 눕혀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밀폐부재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거름망이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측에 하부결합부(11)가 구비된 하부체(10)와;
하부결합부(11)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1)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뚜껑(24)이 결합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부결합부(21)의 내측 상단에는 밀폐부재(30)가 지지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20)와;
상기 단턱(22)에 지지되어 결합되며 중앙홀(34)이 형성된 밀폐몸체(31)를 구비하고, 밀폐몸체(31)의 상측으로 삽입부(32)가 돌출되며, 삽입부(32)의 외주면상에 상부체(20)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밀폐막(33)을 형성하고, 중앙홀(34)과 접한 밀폐몸체(310의 내벽면에 거름망(4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5)을 환형으로 형성하며, 결합홈(35)의 하측벽을 부분 제거하여 복수개의 끼움홈(36)을 형성하여 구성한 밀폐부재(30)와;
상기 끼움홈(36)을 통해 결합홈(3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날개(41)가 상단 외주연에 복수개 형성되고,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저면부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된 거름망(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녹차잎 또는 홍차잎과 같은 음료수 제조용 찻잎을 용기 내부에 투입하여 용이하게 음료수를 제조할 수 있고, 음료수를 배출시켜 음용할 때 찻잎이 거름망에 걸려져 배출되지 않게되어 사용상 편리함이 가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음료용기를 냉장고 내에서 눕혀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밀폐부재에 설치되는 거름망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거름망이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형 음료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형 음료용기를 보인 분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분리형 음료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상부체 분해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밀폐부재와 거름망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측에 하부결합부(11)가 구비된 하부체(10)와;
하부결합부(11)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1)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뚜껑(24)이 결합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부결합부(21)의 내측 상단에는 밀폐부재(30)가 지지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20)와;
상기 단턱(22)에 지지되어 결합되며 중앙홀(34)이 형성된 밀폐몸체(31)를 구비하고, 밀폐몸체(31)의 상측으로 삽입부(32)가 돌출되며, 삽입부(32)의 외주면상에 상부체(20)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밀폐막(33)을 형성하고, 중앙홀(34)과 접한 밀폐몸체(310의 내벽면에 거름망(4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5)을 환형으로 형성하며, 결합홈(35)의 하측벽을 부분 제거하여 복수개의 끼움홈(36)을 형성하여 구성한 밀폐부재(30)와;
상기 끼움홈(36)을 통해 결합홈(3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날개(41)가 상단 외주연에 복수개 형성되고,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저면부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된 거름망(4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35)의 상부벽에는 끼움홈(36)에 인접하게 스톱퍼돌기(37)를 돌출형성하여 끼움날개(41)가 외력에 의해 스톱퍼돌기(37)를 통과하여 결합홈(35)에 결합된 후에는 스톱퍼돌기(37)에 의해 끼움홈(36)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분리형 음료용기는 하부체(10), 상부체(20), 밀폐부재(30), 거름망(40)으로 대별 구성된다.
하부체(10)와 상부체(20)를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음료용기의 외형을 이루게된다.
하부체(10)와 상부체(20)의 결합을 위해 하부체(10)의 상단에는 원형의 하부결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체(2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결합부(11)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상부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체(20)의 상부결합부(21)의 내측 상단에는 밀폐부재(30)가 지지 결합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체(20)의 상측으로는 음료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23)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23)에는 뚜겅(24)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하부체(10)와 상부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24)을 개방시켜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수를 배출시켜 마실 수 있게되는 것이며,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하부체(10)는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부체(20)는 불투명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밀폐부재(30)는 하부체(10)와 상부체(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의 내용물이 하부체(10)와 상부체(20)의 결합부분을 통해 유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밀폐부재(30)는 단턱(22)에 지지되어 결합되며 중앙홀(34)이 형성된 밀폐몸체(31)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밀폐몸체(31)의 상측으로는 상부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2)가 돌출되며, 삽입부(32)의 외주면상에 상부체(20)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밀폐막(33)이 형성된다.
하부체(10)와 상부체(20)가 결합될 때 밀폐몸체(31)의 외주연 하측은 하부체(10)의 상단과 밀착되고, 밀폐몸체(31)의 외주연 상측은 상부체(20)의 단턱(22)에 지지되면서 하부체(10)와 상부체(20)의 결합부분을 밀폐하게 된다.
한편, 밀폐몸체(31)의 중앙홀(34)과 접한 밀폐몸체(31)의 내벽면에 거름망(4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5)을 환형으로 형성하며, 결합홈(35)의 하측벽을 부분 제거하여 복수개의 끼움홈(36)을 형성하여 끼움홈(36)을 통해 거름망(40)의 끼움날개(41)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거름망(40)은 밀폐부재(30)에 끼워져 설치되어 하부체(10) 내에 투입되는 찻잎이 배출구(23)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거름망(40)은 전체적으로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단 외주연에는 상기 끼움홈(36)을 통해 결합홈(3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날개(41)가 복수개 형성되고,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저면부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35)의 상부벽에는 끼움홈(36)에 인접하게 스톱퍼돌기(37)를 돌출형성하여 끼움날개(41)가 외력에 의해 스톱퍼돌기(37)를 통과하여 결합홈(35)에 결합된 후에는 스톱퍼돌기(37)에 의해 끼움홈(36)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거름망(40)을 결합홈(35)에 결합시킬 때에는 손잡이(42)를 잡고 끼움날개(41)를 끼움홈(36)을 통해 결합홈(35)으로 밀어넣은 후 거름망(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끼움날개(41)가 외력에 의해 스톱퍼돌기(37)를 통과하여 환형으로 형성된 결합홈(35)에 끼워지게되는 것이며, 결합홈(35)에 끼워진 후에는 스톱퍼돌기(37)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끼움날개(41)가 자력으로 끼움홈(36) 측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된다.
본 고안의 분리형 용기를 이용하여 찻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체(10) 내에 물과 찻잎을 투입한 후 상부체(20)를 하부체(20)의 상측으로 결합하여 밀폐시키며, 이우 용기를 흔들어주거나 냉장고에 일정시간 보관하여 찻물이 우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용기를 보관할 때에는 용기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밀폐부재(30)에 의한 밀폐력이 향상되어 음료의 누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찻물이 우려진 음료가 완성된 후 상부체(20)에 결합된 뚜껑(24)을 개방시켜 배출구(23)를 통해 음료를 배출시킬때에는 찻잎이 거름망(40)에 의해 걸러지게되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원하게 냉장보관된 찻물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10: 하부체, 11: 하부결합부,
20: 상부체, 21: 상부결합부,
22: 단턱, 23: 배출구,
24: 뚜껑, 30: 밀폐부재,
31: 밀폐몸체, 32: 삽입부,
33: 밀폐막, 34: 중앙홀,
35: 결합홈, 36: 끼움홈,
37: 스톱퍼돌기, 40: 거름망,
41: 끼움날개, 42: 손잡이,

Claims (2)

  1. 상측에 하부결합부(11)가 구비된 하부체(10)와;
    하부결합부(11)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1)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뚜껑(24)이 결합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부결합부(21)의 내측 상단에는 밀폐부재(30)가 지지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20)와;
    상기 단턱(22)에 지지되어 결합되며 중앙홀(34)이 형성된 밀폐몸체(31)를 구비하고, 밀폐몸체(31)의 상측으로 삽입부(32)가 돌출되며, 삽입부(32)의 외주면상에 상부체(20)의 내벽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밀폐막(33)을 형성하고, 중앙홀(34)과 접한 밀폐몸체(31)의 내벽면에 거름망(4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5)을 환형으로 형성하며, 결합홈(35)의 하측벽을 부분 제거하여 복수개의 끼움홈(36)을 형성하여 구성한 밀폐부재(30)와;
    상기 끼움홈(36)을 통해 결합홈(3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날개(41)가 상단 외주연에 복수개 형성되고,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의 저면부에는 손잡이(42)가 형성된 거름망(40); 으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35)의 상부벽에는 끼움홈(36)에 인접하게 스톱퍼돌기(37)를 돌출형성하여 끼움날개(41)가 외력에 의해 스톱퍼돌기(37)를 통과하여 결합홈(35)에 결합된 후에는 스톱퍼돌기(37)에 의해 끼움홈(36)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2. 삭제
KR2020180001371U 2018-03-29 2018-03-29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KR200489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1U KR200489383Y1 (ko) 2018-03-29 2018-03-29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1U KR200489383Y1 (ko) 2018-03-29 2018-03-29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83Y1 true KR200489383Y1 (ko) 2019-06-11

Family

ID=668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71U KR200489383Y1 (ko) 2018-03-29 2018-03-29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19B1 (ko) * 2005-02-23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균일한 휘도를 위한 백라이트 제어기가 구비된 필드 순차구동 액정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13A (ja) * 1992-07-08 1994-02-01 Nissho Corp キャップ取付構造
KR20130003391A (ko) * 2011-06-30 2013-01-09 (주)한선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13A (ja) * 1992-07-08 1994-02-01 Nissho Corp キャップ取付構造
KR20130003391A (ko) * 2011-06-30 2013-01-09 (주)한선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19B1 (ko) * 2005-02-23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균일한 휘도를 위한 백라이트 제어기가 구비된 필드 순차구동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492B1 (en) Liqui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JP5513475B2 (ja) 濾過機能付き携帯用飲料容器
US9629379B2 (en) Method of preparing iced tea
AU20143520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KR100627443B1 (ko) 차류 제조용 용기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CN109414133A (zh) 用于针对热饮和冷饮的罐和瓶的封闭套置件
KR200489383Y1 (ko) 찻잎 거름망이 구비된 분리형 음료용기
KR20110002519A (ko) 차 거름용기
CN206390713U (zh) 一种分离式泡茶杯
CN106983336A (zh) 一种水杯
KR200419616Y1 (ko) 차(茶) 용기
KR200471426Y1 (ko) 배기형 찻병
JP2005027980A (ja) 飲用具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101262237B1 (ko) 음료 추출용 캡슐
CN210144385U (zh) 一种组合式茶水分离杯盖及带有该杯盖的杯子
JP7350032B2 (ja) 茶こし付き飲用ボトル
CN212557255U (zh) 一种中药材储藏装置
CN209074055U (zh) 一种便于存放泡饮物品的水杯
CN202060456U (zh) 多效能泡茶罐
US10588448B2 (en) Modular filter for a vacuum mug
CN206537645U (zh) 一种茶叶贮藏罐
KR20230079583A (ko) 차 추출용기,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조립체, 차 추출용기를 포함하는 차 추출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