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976A -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976A
KR20130091976A KR1020120013370A KR20120013370A KR20130091976A KR 20130091976 A KR20130091976 A KR 20130091976A KR 1020120013370 A KR1020120013370 A KR 1020120013370A KR 20120013370 A KR20120013370 A KR 20120013370A KR 20130091976 A KR20130091976 A KR 20130091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teokbokki
container
cooking
fish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389B1 (ko
Inventor
곽종헌
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to KR102012001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3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육수와 어묵을 담아 전기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어묵용기(10)와, 상기 어묵용기(10) 입구에 거치하는 떡볶이용기(20)를 포함하되, 상기 떡볶이용기(20)는 어묵용기(10)에 담긴 육수에 저면이 접하여 열을 전달받아 중탕으로 떡볶이를 조리함으로써 어묵과 떡볶이를 동시에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와 그것을 이용해 떡볶이와 어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A cooking apparatus for heating tteokbokki in boiling water and cooking fish cake at the same time and a recipe for cooking tteokbokki and fish cake concurrently using the said apparatus}
본 발명은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할 수 있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해 떡볶이와 어묵을 동시에 조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거리 간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어묵과 떡볶이는 가스불꽃 또는 전기로 열을 가해 조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어묵의 경우 육수를 담아둘 수 있는 용기와 열을 가하는 장치를 포함한 장치로 조리를 하고 있는데, 어묵 재질 특성상 장시간 육수에 어묵을 담가두고 장시간 우려내는 방식으로 조리를 하고 있음에 따라 비교적 낮은 온도로 장시간 열을 가하면서 조리되고 있으나, 떡볶이는 두꺼운 가래떡을 빠르게 조리하여 신속히 제공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높은 온도로 빠르게 조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안된 장치가 그리들(griddle)이 있는데, 이 외에도 떡볶이를 조리할 수 있는 장치로 특허공개 제10-2011-0083432호(2011. 7. 20.) "즉석 떡볶이 조리기 및 즉석 떡볶이 제조 방법"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거리인 어묵이나 떡볶이를 편의점과 같은 소매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미리 조리한 어묵과 떡볶이를 일정한 용기에 포장하여 제공함으로써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포장된 채 제공되는 상품의 경우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먹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과 아울러 미리 다 조리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직접 조리하여서 제공하는 길거리 음식의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조리가 완료되어 제공되는 것임에 따라 길거리 포장마차나 전문점에서 직접 조리하여 제공하는 어묵이나 떡볶이의 풍미를 제대로 재현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직접조리하는 방식으로도 어묵과 떡볶이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묵의 경우 낮은 온도로 육수를 우려내듯이 조리함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용기에 열을 가하도록 한 장치를 설치하고 어묵과 육수를 상기 용기에 담아두기만 하면 쉽게 조리할 수 있는 반면, 떡볶이는 가스 불꽃으로 직접 가열을 하면서 눌어붙지 않도록 계속 저어주면서 조리를 하기 때문에 사람이 늘 옆에서 지켜보고 있어야 하므로 편의점 등에서 상품을 판매하면서 떡볶이를 조리하여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떡볶이를 조리할 때 불꽃으로 가열하여 조리하고 있음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어서 편의점 등에서 떡볶이를 직접 조리하여 제공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본 발명은 편의점과 같은 소규모 소매점에서 어묵과 떡볶이를 즉석에서 직접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켤 줄 수 있는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해 어묵과 떡볶이를 같이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조리방법을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동시에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함에 따라 떡볶이가 용기 바닥에 잘 눌어붙지 않게 되므로 최소한의 인원으로 운용이 가능하며, 불꽃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온으로 조리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어묵과 떡볶이를 조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로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육수와 어묵을 담아 전기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어묵용기와, 상기 어묵용기 입구에 거치하는 떡볶이용기를 포함하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와 그것을 이용해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로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중탕으로 조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는 내부에 육수와 어묵을 담아 전기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어묵용기(10)와, 상기 어묵용기(10) 입구에 거치하는 떡볶이용기(20)를 포함한다.
어묵용기(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이고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어묵이나 육수를 투입하여 담아둘 수 있다. 재질은 위생적으로 뛰어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묵용기(10)는 가열장치(40)로 가열되어 내부에 담긴 어묵과 육수를 조리한다. 가열장치(40)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장치로서 상기 어묵용기(10)와 별도로 마련하여 상기 어묵용기(10)를 가열장치(40) 위에 올려두어서 사용토록 한다. 이와 같이 어묵용기(1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 및 보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떡볶이용기(20)는 어묵용기(1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이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떡볶이 소스와 떡을 담아둘 수 있게 형성된다. 재질 또한 어묵용기(10)와 마찬가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떡볶이용기(20)는 평 단면 면적이 어묵용기(10) 입구 면적의 1/2정도 면적을 가지게 형성되어 어묵용기(10) 입구 전체를 가리지 않고 일부만을 가리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 가장자리에 어묵용기(10) 입구에 걸리는 턱을 형성함으로써 어묵용기(10)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떡볶이용기(20)는 어묵용기(10)에 담긴 육수에 저면이 접하게 설치된다. 상단이 어묵용기(10)의 상단에 걸리게 됨에 따라 아랫부분은 어묵용기(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떡볶이용기(20) 저면이 잠기도록 육수를 부어줌으로써 육수와 떡볶이용기(20) 저면이 접하여 열을 전달받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떡볶이는 육수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중탕으로 조리되므로 불꽃으로 직접 가열하지 않고 비교적 낮은 온도로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어묵용기(10) 내부에는 떡볶이용기(20)를 거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12)을 설치할 수 있다. 격판(12)으로 구획된 공간은 어묵을 종류별로 구분하거나 조리 상태별로 구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어묵이 투입되지 않은 공간을 구획하여 그 공간에 떡볶이용기(20)가 위치되게 한다.
상기 격판(12)은 육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어묵용기(10)의 크기와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높이를 가지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이 '+'자로 교차 되어 형성된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격판(12) 중 일부는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높이는 떡볶이용기(20)의 저면에 접할 정도의 높이가 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떡볶이용기(20)의 깊이가 2cm 정도라면 낮게 형성되는 격판(12)의 높이가 다른 격판(12)에 비해 2cm 정도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떡볶이용기(20)가 설치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격판(12)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는 것으로서, 낮게 형성된 격판(12) 상단이 떡볶이용기(20)의 저면에 접하여 떡볶이용기(20)를 지지함으로써 떡볶이용기기(20)가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 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는 떡볶이 조리에 사용되는 망국자(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국자(30)는 어묵용기(10) 가장자리에 걸어 주는 것으로서 망 부분에 떡을 담아 상기 육수에 담가둘 수 있게 하여 떡을 예열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어묵용기(10)와 가열장치(40)를 둘러싸 보호함과 아울러 어묵용기(10)가 가열장치(40)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얹혀져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케이스(50)를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는 나무로 틀을 짜서 형성함으로써 열을 차단하여 비교적 뜨거운 어묵용기(10)에 피부가 닿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전기를 차단하여 혹여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묵용기(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0)를 형성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뚜껑(6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내부가 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로 어묵을 조리하면서 떡볶이를 조리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7을 참고로 하여 살펴본다.
어묵용기(10)와 떡볶이용기(20)를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어묵용기(10)를 가열장치(40) 위에 얹고 떡볶이용기(20)는 어묵용기(10) 입구에 거치하여 조리기를 준비한다. 더불어 조리에 필요한 어묵과 육수 및 떡, 각종 야채 등 필요한 재료도 같이 준비한다.
조리 준비가 완료되면 가열장치(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어묵용기(10)를 가열한다. 가열 온도는 대략 80℃ 정도가 적당하고, 가열이 시작되면 동시에 어묵용기(10)에 육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어묵을 투입한다.
육수의 양은 떡볶이용기(20)의 바닥이 육수에 잠길 수 있는 정도로 투입하여 준다. 조리 과정에서 육수의 양을 수시로 확인하여 보충하여 주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과정은 육수와 어묵을 투입하여 가열하는데 의의가 있는 과정으로서, 육수와 어묵을 투입한 다음 가열장치(40)를 가동하여도 된다.
상기 상태는 어묵의 조리가 진행중인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떡볶이를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떡볶이용기(20)에 떡볶이 소스와 떡을 투입하여 상기 육수의 열로 떡볶이를 조리한다. 어묵용기(10)에 담겨 있는 육수가 떡볶이용기(20)에 접하여 열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떡볶이용기(20)에 담긴 떡과 소스는 자연스럽게 중탕 조리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탕으로 조리됨에 따라 자주 저어주지 않아도 떡과 소스가 떡볶이용기(20) 바닥에 눌어붙는 현상의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사람이 늘 옆에 붙어서 저어줄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가끔 한번 씩 확인하고 저어주거나 소비자가 요구할 때만 잠깐 가서 잘 섞어 준 후 그릇에 담아 제공하면 되므로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떡은 떡볶이용기(20)에 투입하기 전 망국자(30)에 담아 육수에 담가 일정시간 동안 미리 익힌 상태로 투입하여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떡볶이용 떡은 냉장 및 냉동 상태로 유통되고 보관되고 유통과정에서 쉽게 단단해 질 수 있으므로 말랑말랑한 상태가 되도록 미리 익혀 투입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떡을 미리 익히는 동안 소스는 떡볶이용기(20)에 미리 투입하여 예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육수에 떡을 담가서 미리 익혀서 제공하게 되면 육수가 떡에 골고루 침투하게 됨에 따라 떡볶이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떡의 예열 시간은 떡의 굵기나 재질 및 건조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하여 줌은 당연한 것으로, 일반적인 어른 손가락 굵기로 제공되는 떡의 경우 5분 정도 담가 주면 말랑말랑해질 정도로 익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떡볶이용기(20)에 떡과 소스의 투입이 완료되면 약 10분 기다렸다가 별도의 용기에 담아 취식하여 준다. 개인 취향에 따라 각종 야채 등을 추가로 투입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취식이 완료되면 뚜껑(60)을 덮어 오염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에 따르면 쉽고 편리하게 어묵과 떡볶이를 조리하여 제공하여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묵이나 떡볶이 모두 불꽃으로 직접 가열하지 않고 중탕 조리하기 때문에 떡이 눌어붙는 것을 최소로 하면서 조리하여 줄 수 있으며, 불꽃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낮은 온도로 조리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성과 화상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등 소매점에서 별도의 인력 확보 없이 어묵과 떡볶이를 안전하게 조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10 : 어묵용기, 12 : 격판,
20 : 떡볶이용기, 30 : 망국자,
40 : 가열기, 50 : 케이스,
60 : 뚜껑.

Claims (5)

  1. 내부에 육수와 어묵을 담아 전기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어묵용기(10)와, 상기 어묵용기(10) 입구에 거치하는 떡볶이용기(20)를 포함하되,
    상기 떡볶이용기(20)는 어묵용기(10)에 담긴 육수에 저면이 접하여 열을 전달받아 중탕으로 떡볶이를 조리함으로써 어묵과 떡볶이를 동시에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묵용기(10) 내부에는 떡볶이용기(20)를 거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12)이 설치되되,
    상기 격판(12) 상단에 떡볶이용기(20)의 저면이 지지 되어 떡볶이용기(20)가 안정적으로 거치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묵용기(10) 가장자리에 걸되, 떡을 담아 상기 육수에 담글 수 있는 망국자(3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망국자(30)로 떡을 미리 익혀 떡볶이용기(20)에 투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4. 입구에 떡볶이용기(20)가 거치된 어묵용기(10)에 떡볶이용기(20) 하부가 잠기도록 육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어묵을 투입하여 가열하고,
    상기 떡볶이용기(20)에 떡볶이 소스와 떡을 투입하여 상기 육수의 열로 떡볶이를 조리함으로써 어묵을 조리하면서 동시에 떡볶이를 중탕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떡은 망국자(30)에 담아서 육수에 담가 일정기간 미리 익힌 다음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KR1020120013370A 2012-02-09 2012-02-09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KR10131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70A KR101315389B1 (ko) 2012-02-09 2012-02-09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70A KR101315389B1 (ko) 2012-02-09 2012-02-09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76A true KR20130091976A (ko) 2013-08-20
KR101315389B1 KR101315389B1 (ko) 2013-10-08

Family

ID=4921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70A KR101315389B1 (ko) 2012-02-09 2012-02-09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506A (zh) * 2020-06-04 2021-12-07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电饭煲制作高汤饭的方法及可制作高汤饭的电饭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01Y1 (ko) * 2013-08-19 2014-11-28 이정임 요식업용 전기 중탕기
KR101459246B1 (ko) 2013-09-16 2014-11-12 이재호 떡볶이용 조리 식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30Y1 (ko) * 2008-04-08 2011-03-09 지인구 안전 조리기
KR20100009264U (ko) * 2009-03-12 2010-09-27 류정권 분식 조리대
KR200446437Y1 (ko) * 2009-03-16 2009-10-29 이정임 가판대용 전열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506A (zh) * 2020-06-04 2021-12-07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电饭煲制作高汤饭的方法及可制作高汤饭的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389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1518B (zh) 多功能早餐机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US6265695B1 (en) Food thermalization device and method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KR101315389B1 (ko) 떡볶이 중탕 조리 겸용 어묵조리기 및 그것을 이용한 떡볶이와 어묵의 동시 조리방법
US1437073A (en) Portable heater and cooker
CN205107268U (zh) 一种微火锅
KR100909072B1 (ko) 식탁용 조리기
CN103549872B (zh) 电饭煲
US20140109773A1 (en) Device for roasting corn on cob
KR101340648B1 (ko) 조리기구
RU2565565C2 (ru) Блок-мультиварка
CN103549871B (zh) 一种电饭煲
KR20140018708A (ko) 육수 가열장치
KR20110101842A (ko) 직화 구이식 오븐 뚜껑 및 오븐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CN207613656U (zh) 一种明火烤炉
JPH04117919A (ja) 加熱調理器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20200098022A (ko) 개선된 에어 프라이어
CN204764948U (zh) 一种多功能家用早餐机
RU22773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кофе "хот сэнд"
EP0517694A4 (en) Cooking kit for microwave oven
KR20110002894U (ko) 해물찜용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