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634A -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634A
KR20130091634A KR1020127028386A KR20127028386A KR20130091634A KR 20130091634 A KR20130091634 A KR 20130091634A KR 1020127028386 A KR1020127028386 A KR 1020127028386A KR 20127028386 A KR20127028386 A KR 20127028386A KR 20130091634 A KR20130091634 A KR 20130091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om arm
shuttle element
arm housing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헨리치센
다니엘 베나드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3009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61B17/0625Needle manipulators the needle being specially adapted to interact with the manipulator, e.g. being ridged to snap fit in a hole of the manipul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 기반 연조직 수복을 위한 기구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되는 기구는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고, 기구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도록 회수하여, 스티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단계들은 조직을 통해 복수의 스티치를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Soft Tissue Defec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된, 2010년 5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344,03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정형외과학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섬유륜 또는 추간 디스크의 수복 및 다른 연조직 수복 용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 통과가 연조직 결손부의 수복에 이용된다. 봉합사는 전형적으로 수술 시에 사용하기 위한 자유 바늘 또는 일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단지 하나의 방향으로만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기구)에 부착된다.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정방향 및 (사용자를 향한) 역방향으로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가 일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일방향 봉합사 통과기는 봉합사를 수동으로 회수하여 역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추가의 단계를 요구하여, 수술 기술의 복잡성 및 시술 시간을 증가시킨다. 몇몇 일방향 봉합사 통과기 설계는 봉합사의 기구식 회수 및 재장입을 허용하지만, 이러한 설계는 조직이 역방향으로 봉합사를 통과시키기 위해 기구의 말단 단부에 조직의 제1 및 제2 측면 모두를 노출시키도록 상승될 수 있기에 충분히 가요성일 것을 요구하고 또한 봉합사를 재장입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를 요구한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수동 회수 단계를 제거하고, 수술 기술의 복잡성 및 시술 시간을 감소시키고,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스티치 구성을 향상시키고, 수술적으로 수복될 수 있는 신체 조직의 수를 증가시킨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몇몇 양방향 봉합사 통과기 설계는 조직 결손부가 조직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접근될 것을 요구하고, 이는 디스크 공간으로의 수술적 접근으로 인해, 디스크륜 수복과 같은 많은 수술 절차에 대해 어렵다. 따라서, 대체로 직교하여 조직 결손부에 접근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가 평행 접근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가 부적절한 추가의 시술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방향 봉합사 통과기 설계는 예리한 바늘 선단이 양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바늘 통과는 일 방향에서는 보이고 다른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이는 신경근, 혈관, 내장, 또는 다른 민감한 해부학적 기관에 인접한 부위 내에서 시술할 때 수술적 복잡성을 일으킬 수 있다. 예리한 바늘이 그가 조직을 통과할 때마다 보이는 것을 가능케 하여 민감한 해부학적 기관의 부위 내에서 수술할 때 수술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가 유리하다.
또한, 현재의 양방향 봉합사 통과기 설계는 봉합사를 바늘에 효과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기구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봉합사를 바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특징이 또한 바람직하다.
연조직 결손부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다양한 실시예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채널, 및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boom arm)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을 갖고, 붐 아암은 또한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 아암 부분을 갖는다. 바늘이 바늘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또한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이동은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거나,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에 로킹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채널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채널은 종축을 따라 연장한다. 붐 아암이 본체로부터 연장하고,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을 갖는다. 붐 아암은 또한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 아암 부분을 갖는다. 바늘이 바늘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또한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단일 회전 이동이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거나,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에 로킹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채널, 및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붐 아암 하우징은 보어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고, 내측 표면은 제1 맞물림 부재를 갖는다. 붐 아암 하우징은 또한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바늘이 바늘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할 수 있고, 바늘은 제2 맞물림 부재를 구비한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는 또한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셔틀 요소는 제3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 및 내측 보어를 형성하며 제4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한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제1 각도 배향에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은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되고,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제2 각도 배향에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은 바늘과 셔틀 요소가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된다.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바늘 및 셔틀 요소를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셔틀 요소는 그 다음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회전된다. 바늘은 그 다음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결합 유지되는 동안,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다시 붐 아암 하우징 및 셔틀 요소로부터 후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방법은 바늘을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셔틀 요소는 그 다음 셔틀 요소가 바늘에 로킹되고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회전된다. 바늘 및 셔틀 요소는 그 다음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다시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후퇴된다.
상기 요약, 및 본 출원의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힐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를 예시할 목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열 및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는 본체, 손잡이, 붐 아암, 바늘, 셔틀 요소, 외피,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선 1c-1c를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본체, 붐 아암, 바늘, 외피, 및 셔틀 요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a는 바늘이 본체 내에서 후퇴 위치에 있고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그에 로킹되어 있는,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에 인접하여 위치된 연조직 결손부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바늘이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 내에서 전진 위치에 있고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어 있는,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바늘이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 내에서 전진 위치에 있고, 셔틀 요소가 바늘에 로킹되어 있는,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바늘이 셔틀 요소 및 본체 내에서 후퇴 위치에 있고 셔틀 요소가 바늘에 로킹되어 있는,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e는 봉합사가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도 2a에 도시된 연조직 결손부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붐 아암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붐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붐 아암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붐 아암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로킹 해제 구성에서의,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로킹 해제 구성에서의, 도 5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로킹 구성에서의,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로킹 구성에서의, 도 6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d에 도시된 바늘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바늘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바늘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로킹 해제 구성에서의,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바늘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로킹 구성에서의, 도 8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바늘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외피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외피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d에 도시된 외피, 셔틀 요소, 및 바늘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d에 도시된 바늘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바늘의 측면도이다.
도 13a는 로킹 해제 구성의 도 11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도 12a에 도시된 바늘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로킹 구성의 도 13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바늘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도 1a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4c는 조립 구성의 도 14a에 도시된 액추에이터 및 도 14b에 도시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a에 도시된 손잡이 및 본체와, 손잡이와 본체를 접합시키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손잡이, 본체, 및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도시된 손잡이, 본체, 및 하우징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5d는 도 15a에 도시된 손잡이, 본체, 및 하우징과, 도 14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기부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1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d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셔틀 요소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7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도 1d에 도시된 붐 아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9a는 로킹 해제 구성의 도 18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9b는 로킹 구성의 도 19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0a는 도 18에 도시된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과, 2차 로킹 메커니즘의 측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셔틀 요소, 붐 아암 하우징, 및 2차 로킹 메커니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에 도시된 2차 로킹 메커니즘 및 도 1a에 도시된 외피(20)의 측면 단면도이다.
소정의 용어가 다음의 설명에서 단지 편의상 사용되고, 제한적이지 않다. "우측", "좌측", "하부", 및 "상부"라는 단어는 참조되는 도면 내에서의 방향을 지시한다. "내측으로" 또는 "말단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또는 "기부로"라는 단어는 각각 환자의 신체 또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및 그의 관련 부품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한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전방", "후방", "상위", "하위"라는 단어 및 관련 단어 및/또는 문구는 참조되는 신체 내에서의 예시적인 위치 및 배향을 지시하고, 제한적으로 의미되지 않는다. 용어는 상기 열거된 단어, 그의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를 포함한다. 추가로, 3차원 좌표계가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의 부분들의 위치 및 배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좌표계는 종방향(L), 측방향(A), 및 횡방향(T)을 포함하고, 각각의 방향은 다른 2개의 방향에 대해 직교한다.
도 1a-1d를 참조하면,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종방향(L)으로 연장하고, 기부 단부(12) 및 말단 단부(1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10)는 채널(17)을 구비한 본체(16)를 포함하고, 본체(16) 및 채널(17)은 종축(1)을 따라 종방향(L)으로 신장되고, 손잡이(18)가 본체(16)에 결합될 수 있고, 붐 아암(22)이 손잡이(18)로부터 이격되어, 본체(16)에 결합될 수 있다. 붐 아암(22)은 본체(16)와 붐 아암 하우징(26) 사이에 조직 수납 갭(28)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6)에 결합되어 붐 아암 하우징(26)을 보유하는 아암(24)을 포함한다. 기구(10)는 액추에이터(30) 및 외피(20)에 의해 액추에이터(30)에 결합되는 바늘(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30) 및 바늘(32)은 본체(16)의 채널(17) 내에서, 후퇴(후방) 위치와 연장 또는 전진(전방)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하다. 기구(10)는 조직 결손부를 통해 삽입되는 봉합사의 스트랜드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40)를 추가로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셔틀 요소(40)가 바늘(32)에 결합되면, 셔틀 요소(40)는 조직 결손부를 통과할 수 있다. 셔틀 요소(40)가 조직 결손부를 통과하면, 셔틀 요소(40)는 붐 아암 하우징(26)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a-2e를 참조하면,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봉합사(4)를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a에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연조직 결손부(2)가 붐 아암(22)의 조직 수납 갭(28) 내에 배치되도록 연조직 결손부(2)에 인접하여 위치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2)은 바늘(32)의 선단(34)이 본체(16) 내에 수용되고 조직 수납 갭(28) 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후퇴 위치에 있다. 본체(16) 내에서의 바늘(32)의 이러한 배열은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가 위치되는 동안 연조직 결손부(2)에 대한 임의의 원치 않는 손상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바늘(32)의 후퇴 위치는 조직 수납 갭(2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지만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여전히 이격되어 있는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요소(40)는 붐 아암 하우징(26) 내에 위치되어 그에 로킹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바늘(32)은 전진 위치에 있다. 후퇴 위치로부터, 바늘은 본체(16)로부터, 조직 수납 갭(28) 및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병진 이동하고, 바늘(32)은 그 다음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 내에 수납된다. 바늘(32)의 전진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34)이 기구(10)의 말단 단부(14)로부터 돌출하도록, 붐 아암 하우징(26)을 통해 완전히 연장하는 바늘(32)의 선단(34)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진 위치에서, 바늘(32)의 선단(34)은 팁(34)이 말단 단부(14)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붐 아암 하우징(26) 내에 수용되어, 조직 결손부(2)에 인접한 조직에 대한 임의의 원치 않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2)은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이 함께 로킹 유지되는 동안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을 통해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는 셔틀 요소(40)를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하고 셔틀 요소(40)를 바늘(32)에 로킹시키기 위해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요소(40)는 연조직 수납 갭(28) 및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한 바늘(32)의 병진 이동이 셔틀 요소(40)가 또한 조직 수납 갭(28) 및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병진 이동하게 하도록,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회전되었다. 바늘(32) 및 셔틀 요소(40)는 붐 아암 하우징(26)을 통해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바늘(32)은 셔틀 요소(40)가 바늘에 로킹된 채로, 조직 수납 갭(28) 및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였다. 셔틀 요소가 연조직 결손부(2)를 통과할 때, 셔틀 요소(40)에 고정된 봉합사(4) 또한 연조직 결손부(2)를 통과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2)은 다시 한번 셔틀 요소(40)와 함께 후퇴 위치에 있게 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봉합사(4)는 연조직 결손부(2)를 통과하였다. 봉합사(4)는 봉합사(4)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연조직 결손부(2)에 고정될 수 있다. 봉합사(4)는 봉합사(4)를 매듭지음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는 봉합사의 일 단부 상에서 미리 매듭지어진 활주식 매듭(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봉합사(4)의 대향 단부들이 함께 매듭으로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2e를 다시 참조하면,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봉합사(4)를 통과시키는 방법은 바늘(32)을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봉합사(4)는 셔틀 요소(40)에 고정됨 -; 셔틀 요소(40)가 바늘(32)에 로킹되고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셔틀 요소(40)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32) 및 셔틀 요소(40)를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다시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추가의 단계들은 바늘(32) 및 셔틀 요소(40)를 연조직 결손부(2)를 가로질러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셔틀 요소(40)가 바늘(32)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붐 아암 하우징(26)에 로킹되도록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셔틀 요소(40)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32)을 붐 아암 하우징(26) 및 셔틀 요소(40)로부터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봉합사(4)를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통과시키는 방법은 바늘(32) 및 셔틀 요소(40)를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 셔틀 요소(40) 및 바늘(32)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봉합사(4)는 셔틀 요소(40)에 고정됨 -;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에 로킹되고 바늘(32)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셔틀 요소(40)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에 결합 유지되는 동안 바늘(32)을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다시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의 추가의 단계들은 바늘(32)을 연조직 결손부(2)를 가로질러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32)에 로킹되도록, 바늘(32) 및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셔틀 요소(40)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32) 및 셔틀 요소(40)를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3d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는 말단 선단(44)으로부터 기부 단부(46)로 연장하는 본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2)는 본체(42)의 길이(L1)를 통해 연장하는 보어(50)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48)을 가질 수 있고, 길이(L1)는 말단 선단(44)으로부터 기부 단부(46)까지 측정된다. 보어(50)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늘(32)과 같은) 와이어를 활주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50)는 보어(50)의 높이(H1)가 보어(50)의 폭(W1)보다 더 작도록 D-형상이고, 높이(H1) 및 폭(W1)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각도에서 측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높이(H1) 및 폭(W1)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여 측정되고, 높이(H1)는 횡방향(T)으로 측정되고, 폭(W1)은 측방향(A)으로 측정된다. 대안적으로, 보어(50)는 보어(50)가 상이한 높이(H1) 및 폭(W1)을 갖도록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본체(42)의 내측 표면(48)은 (제4 맞물림 부재(52)로도 지칭되는) 맞물림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맞물림 부재(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편평부(54)이다. 대안적으로, 제4 맞물림 부재(52)는 리세스, 홈, 돌출부, 노치, 만입된 편평부, 또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제2 맞물림 부재(37)로도 지칭되는) 바늘(32)의 대응하는 맞물림 부재(37)와 정합 가능한 임의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셔틀 부재(40)의 본체(42)는 또한 외측 표면(56)을 갖는다. 외측 표면(56)은 상부 표면(58) 및 바닥 표면(60)을 포함할 수 있다. 셔틀 요소(40)의 높이(H2)가 횡방향(T)을 따라 상부 표면(58)으로부터 바닥 표면(60)까지 측정된다. 외측 표면(56)은 제1 측표면(62) 및 제2 측표면(6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셔틀 요소의 폭(W2)은 측방향(A)을 따라 제1 측표면(62)으로부터 제2 측표면(64)까지 측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58) 및 바닥 표면(60)은 만곡되고, 제1 측표면(62) 및 제2 측표면(64)은 편평하다. 대안적으로, 상부 표면(58), 바닥 표면(60), 제1 측표면(62), 및 제2 측표면(64)은 모두 만곡되거나,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모두 편평하거나, 또는 만곡, 부분적 만곡, 및 편평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외측 표면(56)은 또한 (제3 맞물림 부재(66)로도 지칭되는) 맞물림 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맞물림 부재(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된 방사상 홈(68)이다. 만입된 방사상 홈(68)은 대향하는 보유 벽(70)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제3 맞물림 부재(66)는 선형 리세스, 홈, 돌출부, 노치, 만입된 편평부, 또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제1 맞물림 부재(94)로도 지칭되는) 붐 아암 하우징(26)의 대응하는 맞물림 부재(94)와 정합 가능한 임의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셔틀 요소(40)는 또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의 작동 및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한 셔틀 요소(40)의 통과 중에, 봉합사(4)가 셔틀 요소(40)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고정 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71)는 외측 표면(56) 내의 리세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부재는 홈, 돌출부, 노치, 후크, 또는 봉합사(4)가 셔틀 요소(40)에 고정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사용 시에, 봉합사(4)는 고정 부재(71) 내에 위치될 수 있고, 그 다음 매듭이 봉합사가 매듭을 풀거나 봉합사(4)를 절단하지 않고서는 셔틀 요소로부터 풀릴 수 없도록 봉합사(4) 내에 결속된다.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봉합사(4)가 셔틀 요소(40)에 고정된 채로 또는 셔틀 요소(40)가 분리되어 또는 봉합사(4)가 없이 제공된 채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구(10)는 고정된 봉합사(4)의 스트랜드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셔틀 요소(40)를 구비할 수 있다.
셔틀 요소(40)의 본체(42)는 또한 말단 선단(44)에 인접한 말단 부분(72) 및 기부 단부(46)에 인접한 기부 부분(74)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 부분(72)은 셔틀 요소(40)가 말단 선단(44)에서 좁고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셔틀 요소(40)의 이러한 테이퍼링은 힘을 덜 들이고 연조직 결손부(2)에 대한 손상을 덜 야기하도록 연조직 결손부(2)를 통한 셔틀 요소(40)의 통과를 일으킬 수 있다. 기부 부분(74)은 작동 슬롯(78)을 형성하는 플랜지(76)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슬롯(78)은 종방향(L)으로 셔틀 요소(40)를 병진 이동시키거나 종방향(L)에 대해 셔틀 요소(40)를 회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외피(20)와 같은) 작동 부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도 4a-4d를 참조하면, 붐 아암(22)은 본체(16)로부터 연장한다. 붐 아암(22)은 본체(16)에 결합되어 종방향(L)을 따라 말단으로 붐 아암 하우징(26)까지 연장하는 아암(24)을 포함할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26)은 셔틀 요소(40)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아암(24)은 조직 수납 갭(28)이 붐 아암 하우징(26)과 본체(16) 사이에 배치되도록 횡방향(T)으로 본체(16)로부터 오프셋된다. 조직 수납 갭(28)은 봉합 기구(10)에 의해 수복되어야 할, 피부 또는 반월판 내의 열상과 같은 연조직 결손부(2)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섬유륜, 반월판, 회전근개, 근막, 피부, 혈관, 연골, 인대, 힘줄, 및 관절낭과 같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연조직 내의 또는 그를 통한 다른 창상, 열구, 결손부, 열상, 또는 절개부를 수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26)은 본체(16) 내에 형성된 채널(17)과 정렬된 원통형 또는 대안적으로 형성된 채널 또는 보어(90)를 형성한다. 붐 아암 하우징(26)은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 내에 보유되어야 할 때, 붐 아암 하우징(26) 내에 셔틀 요소(40)를 선택적이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제1 맞물림 부재(9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맞물림 부재(94)는 붐 아암 하우징(26)의 내부 표면(98)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96)일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는 횡방향(T)으로 대향하는 내부 표면(98)들로부터 측정된 높이(H3)를 갖는다. 보어는 플랜지(96)의 위치에서 횡방향(T)으로 대향하는 내부 표면(98)들로부터 측정된 높이(H4)를 갖는다. 높이(H4)는 높이(H3)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26)은 단일편의 재료,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아암 하우징 부분(100)들 사이에 갭(102)을 형성하는 2개의 대향하는 붐 아암 하우징 부분(1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붐 아암 하우징 부분(100)들은 측방향(A)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갭(102)을 넓히도록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분리되면, 붐 아암 하우징 부분(100)들은 갭(102)을 그의 원상태로 다시 폐쇄하도록 시도하는 힘을 가할 것이다. 붐 아암 하우징 부분(100)들의 사용은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의 시술자에게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은 로킹 해제 구성에 있다. 로킹 해제 구성에서, 셔틀 요소(40)는 종방향(L)을 따라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요소(40)의 폭(W2)은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의 높이(H3, H4)와 정렬된다. 폭(W2)이 높이(H3, H4)보다 더 작기 때문에, 셔틀 요소(40)는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 내에서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은 로킹 구성에 있다. 로킹 구성에서, 셔틀 요소(40)는 종방향(L)을 따라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맞물림 부재(66)가 제1 맞물림 부재(94)와 정렬되면, 셔틀 요소(40)는 셔틀 요소(40)의 높이(H2)가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의 높이(H3) 및 높이(H4)와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제1 맞물림 부재(94)와 제3 맞물림 부재(66)가 정합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96)는 플랜지(96)가 대향하는 보유 벽(70)들 사이에 있도록 만입된 방사상 홈(68) 내에 배치된다. 높이(H2)가 높이(H3)보다 더 작지만 높이(H4)보다 더 크기 때문에, 셔틀 요소(40)는 셔틀 요소(40)와 붐 아암 하우징(26)이 종방향(L)으로의 셔틀 요소(40)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될 수 없도록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 내에 로킹된다.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한 셔틀 요소(40)의 병진 이동은 플랜지(96)와 간섭하는 대향하는 보유 벽(70)에 의해 차단된다.
도 7a-7c를 참조하면, 바늘(32)은 선단(34), 샤프트 부분(35), 및 맞물림 부분(36)을 구비한 본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부분(35)은 본체(16)의 채널(17) 내에 끼워져서 병진 이동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 외측 치수(D1)를 형성한다. 맞물림 부분(36)은 셔틀 요소(40)의 보어(50) 내에 끼워져서 병진 이동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되며, 맞물림 부분(36)은 또한 바늘(32)과 셔틀 요소(40)가 로킹되도록 셔틀 요소(4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맞물림 부분(36)은 또한 제2 맞물림 부재(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맞물림 부재(37)는 대향하는 측벽(39)들에 의해 형성된 만입된 편평부(38)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2 맞물림 부재(37)는 리세스, 홈, 돌출부, 노치, 상승된 편평부, 또는 셔틀 요소(40)의 대응하는 맞물림 부재(52)와 정합 가능한 임의의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맞물림 부분(36)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각도에서 측정될 수 있는 높이(H5) 및 폭(W3)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H5) 및 폭(W3)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여 측정되고, 높이(H5)는 횡방향(T)으로 측정되고, 폭(W3)은 측방향(A)으로 측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폭(W3)은 외측 치수(D1)를 구비한 샤프트 부분(35)의 2개의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횡방향으로 측정되는 외측 치수(D1)는 횡방향으로 측정된 폭(W3)보다 더 크다. 높이(H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H5)보다 더 큰 외측 치수(D1)를 구비한 본체(33)의 말단 부분을 갖지 않는다.
도 8a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바늘(32)은 로킹 해제 구성에 있다. 로킹 해제 구성에서, 바늘(32)은 종방향(L)을 따라 셔틀 요소(40)에 대해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32)의 맞물림 부분(36)의 높이(H5)는 셔틀 요소(40)의 보어(50)의 높이(H1)와 정렬된다. 높이(H5)가 높이(H1)보다 더 작기 때문에, 바늘(32)은 셔틀 요소(40)의 보어(50)에 내에서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바늘(32)은 로킹 구성에 있다. 로킹 구성에서, 셔틀 요소(40)는 종방향(L)을 따라 바늘(3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맞물림 부재(37)가 제4 맞물림 부재(52)와 정렬되면, 셔틀 요소(40)는 셔틀 요소(40)의 보어(50)의 높이(H1)가 제2 맞물림 부재(37)의 폭(W3)과 정렬되도록 바늘(3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제2 맞물림 부재(37)와 제4 맞물림 부재(52)가 정합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편평부(54)는 상승된 편평부(54)가 대향하는 측벽(39)들 사이에 있도록 만입된 편평부(38) 내에 배치된다. 높이(H1)가 폭(W3)보다 더 크지만 외측 치수(D1)보다 더 작기 때문에, 바늘(32)은 바늘(32)과 셔틀 요소(40)가 종방향(L)으로의 바늘(32)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될 수 없도록 셔틀 요소(40)의 보어(50) 내에 로킹된다. 셔틀 요소(40)에 대한 바늘(32)의 병진 이동은 상승된 편평부(54)와 간섭하는 대향하는 측벽(39)에 의해 차단된다.
도 9a-10을 참조하면, 외피(20)는 기부 부분(124), 말단 부분(126), 및 기부 부분(124)과 말단 부분(126)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 부분(128)을 갖는 본체(122)를 포함한다. 본체(122)는 종방향(L)을 따라 신장되고, 본체(122)를 통해 기부 부분(124)으로부터 말단 부분(126)으로 연장하는 보어 또는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보어 또는 채널은 바늘(32)을 활주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22)는 또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가 본체(16)의 채널(17) 내에 활주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되도록 외측 치수(D2)를 형성하는 외측 표면(130)을 갖는다. 다시 도 9a-10을 참조하면, 말단 부분(126)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34)를 형성하는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2)는 셔틀 요소(40)의 작동 슬롯(78) 내에 끼워지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으며, 리세스(134)는 셔틀 요소(40)의 플랜지(76)를 수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2) 및 리세스(134)는 병진 이동 또는 회전과 같은 외피의 임의의 병진 이동이 셔틀 요소(40)로 전달되어 셔틀 요소(40)의 병진 이동 또는 회전을 일으키도록 작동 슬롯(78) 및 플랜지(76)와 정합될 수 있다.
도 11a-11b 및 12a-1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 요소(40)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32)은 각각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많은 특징을 갖는다. 상이한 특징만이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셔틀 요소(40)의 제4 맞물림 특징부(52)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5)를 포함한다. 바늘의 제2 맞물림 특징부(37)는 홈(160)을 포함한다. 홈은 종방향 부분(162) 및 방사상 부분(164)을 갖는다. 홈(160)은 돌출부(55)가 홈(160)과 정렬되면, 바늘(32)이 종방향으로 셔틀 요소(40)에 대해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55)를 수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다.
도 13a-13b를 참조하면, 사용 시에, 셔틀 요소(40)는 홈(160)의 종방향 부분(162)이 돌출부(55)와 정렬되도록 바늘(32)과 함께 각도 배향된다. 바늘(32)은 그 다음 돌출부(55)가 종방향 부분(162)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전진될 수 있다. 셔틀 요소(40)는 그 다음 회전될 수 있고, 이는 돌출부(55)가 홈(160)의 방사상 부분(164)을 따르도록 허용한다. 돌출부(55)가 방사상 부분(164)의 단부에 도달하면, 바늘(32)과 셔틀 요소(40)는 함께 로킹된다.
도 14a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30)는 파지 부분(170) 및 고정 부분(172)을 포함하고, 고정 부분(172)은 파지 부분(170)에 대해 병진 이동 및 회전이 로킹된다. 파지 부분(170)은 병진 이동 및 회전에 있어서 사람의 손에 의해 조작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분(170)은 노브(174)일 수 있다. 고정 부분(170)은 제1 세트 스크루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1 리세스(176) 및 제2 세트 스크루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2 리세스(178)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세스(178)는 방사상 홈(180) 내에 배치된다. 방사상 홈(180)은 종방향(L)을 따라 측정된 길이(L2)를 갖는다. 고정 부분(170)은 또한 외피(20)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보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고정 부분은 돌출부(예를 들어, 세트 스크루(184) 또는 도 1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은 트랙(212)을 위한 다른 종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커넥터(230)가 본체(232) 및 돌출부(234)를 포함한다. 본체(232)는 바늘(32)을 수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 보어(236)를 형성한다. 바늘(32)은, 예를 들어, 리세스(238) 내로 삽입된 세트 스크루에 의해 보어(236)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234)는 외측 치수(D3)를 형성한다.
도 14c를 참조하면, 커넥터(230)는 액추에이터(30) 내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4)의 외측 치수(D3)는 돌출부(234)가 종방향(L)에 대해 방사상 홈(180) 내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돌출부가 종방향(L)을 따라 방사상 홈(180) 내에서 병진 이동할 수 없도록, 방사상 홈(180)의 길이(L2)보다 더 작다. 이러한 구성은 액추에이터(30) 및 외피(20)가 종방향(L) 둘레에서 바늘(3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동안, 액추에이터(30), 외피(20), 및 (외피(20) 내에 위치된 도시되지 않은) 바늘(32)이 종방향(L)을 따른 병진 이동에 대해 로킹되도록 허용한다.
도 15a-15d를 참조하면,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하우징(2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본체(16)를 손잡이(18)에 접합시키고,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바늘(32), 외피(20), 및 액추에이터(30)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본체(16)와 일체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본체(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고정 부재(202) 및 안내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고정 부재(202)는 본체(16)를 수납하고 본체(16)를 고정 부재(202)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보어(206)를 갖는다. 세트 스크루가 고정 부재(202)에 대해 본체(16)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리세스(20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202)는 또한 종방향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부재(204)는 셔틀 요소(40)가 바늘(32)이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만 회전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3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204)는 제1 종방향 부분(214), 제2 종방향 부분(216), 및 제1 종방향 부분(214)과 제2 종방향 부분(216) 사이에서 연장하며 이들을 접합시키는 측방향 부분(218)을 갖는 트랙(21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랙(212)은 바늘이 전진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추에이터(3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바늘(32) 및 외피(20)는 바늘(32), 외피(20), 및 본체(16) 각각이 하우징(200) 내로 연장하도록 본체(16)의 채널(17) 내에 각각 위치된다. 본체(16)는 본체(16)와 고정 부재(202)가 서로에 대해 병진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 부재(202)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6) 및 고정 부재(202)는 세트 스크루(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외피(20)는 고정 부재(202)를 통해 보어(182) 내로 연장한다. 외피(20)는 외피(20)와 액추에이터(30)가 서로에 대해 병진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도록 액추에이터(30)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와 액추에이터(30)는 세트 스크루(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바늘(32)은 고정 부재(202)를 통해 보어(182) 내로 연장한다. 바늘(32)은 바늘(32)과 액추에이터(30)가 종방향(L)으로 서로에 대해 병진 이동할 수 없지만, 종방향(L)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30)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4)는 액추에이터(30)의 방사상 홈(180)을 통해 고정 부재(202)의 종방향 홈(210) 내로 연장한다. 종방향 홈(210)은 돌출부가 종방향(L)으로 종방향 홈(210) 내에서 활주할 수 있지만 종방향(L) 둘레에서 종방향 홈(210)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돌출부(234)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230)와 바늘(32)은 세트 스크루(2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a-2d 및 14a-16을 참조하면, 사용 시에, 액추에이터(30)는 액추에이터(30)가 하우징(200)에 대해 병진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202)와 안내 부재(204) 사이에서 하우징(200) 내에 위치된다. 세트 스크루(184)가 액추에이터(30)에 부착되어 트랙(2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세트 스크루(184)가 제1 종방향 부분(214) 내에서 기부에 위치되면, 바늘(32)은 후퇴 위치에 있고, 액추이에터(30)는 종방향(L)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세트 스크루(184)가 제1 종방향 부분(214)을 따라 운행할 때, 액추에이터(30), 외피(20), 및 바늘(32)은 모두 바늘(32)이 전진 위치로 이동될 때 함께 병진 이동한다. 액추에이터(30)는 그 다음 세트 스크루(184)가 트랙(212)의 측방향 부분(218)을 따라 운행할 때, 종방향(L)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외피(20)는 액추에이터(30)와 함께 회전하고, 바늘(32)은 돌출부(234)와 종방향 홈(210)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하지 않는다. 외피(20)의 회전은 셔틀 요소(40)가 회전하여,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32)에 로킹되게 한다. 액추에이터(30)는 그 다음 바늘(32)이 다시 한번 후퇴 위치에 있을 때까지, 세트 스크루(184)가 제2 종방향 부분(216)을 따라 운행할 때, 기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7a 및 17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틀 요소(40)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많은 특징을 갖는다. 상이한 특징만이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셔틀 요소(40)의 제3 맞물림 부재(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266) 및 제2 플랜지(268)와, 제1 플랜지(266)와 제2 플랜지(268) 사이에서 연장하는 갭(270)을 포함한다. 제1 플랜지(266) 및 제2 플랜지(268)는 각각 횡방향(T)으로 셔틀 요소(40)의 외측 표면(56)으로부터 연장하여 높이(H6)를 형성한다. 제2 플랜지(268)는 셔틀 요소(40)에 봉합사(4)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부재(26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267)는 보어(269)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붐 아암 하우징(26)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많은 특징을 갖는다. 상이한 특징만이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맞물림 부재(94)는 제1 1차 로킹 메커니즘(2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1차 로킹 메커니즘(294)은 종방향을 따른 셔틀 요소(40)의 병진 이동이 일 방향에서 제1 플랜지(266)와 제1 1차 로킹 메커니즘(294) 사이의 그리고 다른 방향에서 제2 플랜지(268)와 제1 1차 로킹 메커니즘(294) 사이의 간섭에 의해 차단되도록, 갭(270)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제2 1차 로킹 메커니즘(296)이 제1 1차 로킹 메커니즘(294)과 제2 1차 로킹 메커니즘(296) 사이에 갭(298)을 형성하도록 포함될 수 있고, 갭(298)은 제1 플랜지(266)를 그들이 로킹 구성이 되면 수납하고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9a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은 로킹 해제 구성에 있다. 로킹 해제 구성에서, 셔틀 요소(40)는 종방향(L)을 따라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해 자유롭게 병진 이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요소(40)의 제1 플랜지(266) 및 제2 플랜지(268)(도시되지 않음)는 보어의 외측 치수(D4)가 셔틀 요소(40)의 높이(H6)보다 더 커서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 내에서 병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붐 아암 하우징(26)의 보어(90)와 정렬된다.
도 18 및 19b를 참조하면,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은 로킹 구성에 있다. 로킹 구성에서, 셔틀 요소(40)는 종방향(L)을 따라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266)가 갭(298)과 정렬되면, 셔틀 요소(40)는 제1 플랜지(266)가 붐 아암 하우징(26)의 갭(298) 내에 수납되어 고정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제1 맞물림 부재(94)와 제3 맞물림 부재(66)가 정합되게 한다.
도 20a 및 20b를 참조하면,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은 셔틀 요소(40) 및 붐 아암 하우징(26)의 조기 로킹 또는 로킹 해제로 이어질 수 있는 셔틀 요소(40)의 원치 않는 회전에 대한 추가의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은 샤프트 부재(302)일 수 있다. 샤프트 부재(302)는 로킹 위치 또는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로킹 위치에서, 샤프트 부재(302)는 제1 플랜지(266)의 회전 경로 내에 배치되고, 로킹 해제 위치에서, 샤프트 부재(302)는 제1 플랜지(266)의 회전 경로로부터 제거된다. 샤프트 부재(302)는 로킹 위치로 편위되거나, 대안적으로 로킹 해제 위치로 편위되거나, 대안적으로 로킹 또는 로킹 해제 위치로 편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a-20c를 참조하면,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은 외피(20) 및 바늘(32)이 본체(16) 내로 종방향(L)으로 병진 이동할 때, 2차 로킹 메커니즘(300) 또한 종방향(L)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외피(20)에 로킹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은 외피(20)의 리세스(306)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탭(304)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20)가 말단으로 병진 이동할 때, 샤프트 부재(302)의 전방 표면(308)이 제2 1차 로킹 메커니즘(296)과 접촉하게 된다. 전방 표면(308)은 외피(20)의 추가의 병진 이동이 샤프트 부재(302)가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방 표면(308)이 제2 1차 로킹 메커니즘(296)을 따라 운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은 또한 2차 로킹 메커니즘(300)을 붐 아암(22) 내에서 로킹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로킹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는 종방향(L)으로의 2차 로킹 부재(300)의 병진 이동을 차단하는 핀 또는 샤프트 부재일 수 있다.
도 1a-20c를 참조하면, 연조직 결손부(2)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채널(17), 및 본체(16)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22)을 형성하는 본체(16) - 붐 아암(22)은 본체(16)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26)을 갖고, 붐 아암(22)은 또한 조직 수납 갭(28)이 붐 아암 하우징(26)과 본체(16)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16)와 붐 아암 하우징(26)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24)을 가짐 -; 바늘(32)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32)이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17)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한 바늘(32); 및 조직 수납 갭(28)을 가로질러 봉합사(4)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40)를 포함할 수 있고; 붐 아암 하우징(26) 및 바늘(32)에 대한 셔틀 요소(40)의 이동은 셔틀 요소(40)가 1) 붐 아암 하우징(26)에 로킹되고 바늘(32)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거나, 2)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32)에 로킹되게 한다.
대안적으로, 연조직 결손부(2)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종축(1)을 따라 연장하는 채널(17)을 형성하는 본체(16); 본체(16)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22) - 붐 아암(22)은 본체(16)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26)을 갖고, 붐 아암(22)은 또한 조직 수납 갭(28)이 붐 아암 하우징(26)과 본체(16)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16)와 붐 아암 하우징(26)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암 부분(24)을 가짐 -; 바늘(32)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32)이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17)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한 바늘(32); 및 조직 수납 갭(28)을 가로질러 봉합사(4)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40)를 포함할 수 있고; 붐 아암 하우징(26) 및 바늘(32)에 대한 셔틀 요소(40)의 단일 회전 이동은 셔틀 요소(40)가 1) 붐 아암 하우징(26)에 로킹되고 바늘(32)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거나, 2)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32)에 로킹되게 한다.
다른 대안예에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10)는 채널(17), 및 본체(16)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22)을 형성하는 본체(16) - 붐 아암(22)은 1) 본체(16)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26) - 붐 아암 하우징(26)은 보어(90)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98)을 갖고, 내부 표면(98)은 제1 맞물림 부재(94)를 가짐 -, 및 2) 조직 수납 갭(28)이 붐 아암 하우징(26)과 본체(16) 사이에 배치되도록 본체(16)와 붐 아암 하우징(26)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24)을 포함함 -; 바늘(32)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26)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32)이 붐 아암 하우징(26)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16)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한 바늘(32) - 바늘(32)은 제2 맞물림 부재(37)를 형성함 -; 및 조직 수납 갭(28)을 가로질러 봉합사(4)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40) - 셔틀 요소(40)는 제3 맞물림 부재(66)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56), 및 내측 보어(50)를 형성하며 제4 맞물림 부재(52)를 포함하는 내측 표면(48)을 포함함 - 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각도 배향에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94, 66)들은 붐 아암 하우징(26) 및 셔틀 요소(40)가 붐 아암 하우징(26)에 대한 셔틀 요소(40)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되고, 제2 각도 배향에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37, 52)들은 바늘(32) 및 셔틀 요소(40)가 바늘(32)에 대한 셔틀 요소(40)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된다.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의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됨이 이해된다.

Claims (47)

  1. 연조직 결손부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이며,
    채널, 및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을 형성하는 본체 -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을 갖고, 붐 아암은 또한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을 가짐 -;
    바늘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한 바늘; 및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
    를 포함하고,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이동은 셔틀 요소가 1)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거나, 2)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에 로킹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셔틀 요소의 이동은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고,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의 셔틀 요소의 이동은 셔틀 요소가 바늘에 로킹되고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의 셔틀 요소의 이동은 제2 방향으로의 셔틀 요소의 이동과 반대인,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셔틀 요소의 이동은 회전인,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채널은 종축을 따라 신장되고, 셔틀 요소의 회전은 종축에 대한 것인,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ⅰ)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바늘을 병진 이동시키고, (ⅱ) 종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바늘은 본체에 대해 회전이 로킹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본체는 셔틀 요소가 바늘이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만 회전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의 이동을 제한하는 안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셔틀 요소는 바늘 또는 붐 아암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항상 확실하게 맞물리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는 트랙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트랙을 따라 운행하도록 구성된 종동자를 포함하고, 트랙은 바늘이 전진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추에이터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본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노브; 및
    채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ⅰ) 종축을 따른 노브의 병진 이동이 종축을 따른 외피의 병진 이동을 일으키고, (ⅱ) 종축에 대한 노브의 회전이 종축에 대한 외피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노브에 결합된 외피
    를 포함하고,
    외피는 셔틀 요소와 외피가 맞물리면, 노브의 회전이 셔틀 요소가 종축에 대해 회전하게 하도록, 셔틀 요소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2. 제2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은 제1 맞물림 부재를 갖고, 바늘은 제2 맞물림 부재를 갖고, 셔틀 요소는 제3 및 제4 맞물림 부재를 갖고,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도록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이 맞물리게 하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도록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이 분리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도록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이 맞물리게 하고,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도록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이 분리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셔틀 요소에 대한 바늘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보어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붐 아암 하우징 - 붐 아암 하우징의 내측 표면은 제1 맞물림 부재를 포함함 -;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바늘; 및
    제3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셔틀 요소 - 셔틀 요소는 내측 보어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고, 내측 표면은 제4 맞물림 부재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는 제1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는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은 각각 상승된 편평부 및 만입된 편평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0. 연조직 결손부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이며,
    종축을 따라 연장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 -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을 갖고, 붐 아암은 또한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을 가짐 -;
    바늘이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한 바늘; 및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
    를 포함하고,
    붐 아암 하우징 및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단일 회전 이동은 셔틀 요소가 1)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게 하거나, 2)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에 로킹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가 바늘이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셔틀 요소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본체에 연결된 안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는 트랙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는 트랙을 따라 운행하도록 구성된 종동자를 포함하고, 트랙은 바늘이 전진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추에이터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3. 제21항에 있어서, (ⅰ)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바늘을 병진 이동시키고, (ⅱ) 종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바늘은 본체에 대해 회전이 로킹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5. 제23항에 있어서, 셔틀 요소는 바늘 또는 붐 아암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항상 확실하게 맞물리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6. 제23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본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노브; 및
    채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ⅰ) 종축을 따른 노브의 병진 이동이 종축을 따른 외피의 병진 이동을 일으키고 (ⅱ) 종축에 대한 노브의 회전이 종축에 대한 외피의 회전을 일으키도록, 노브에 결합된 외피
    를 포함하고,
    외피는 셔틀 요소와 외피가 맞물리면, 노브의 회전이 셔틀 요소의 회전 이동을 일으키도록, 셔틀 요소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7. 제21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8. 제27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셔틀 요소에 대한 바늘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29. 제20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은 제1 맞물림 부재를 갖고, 바늘은 제2 맞물림 부재를 갖고, 셔틀 요소는 제3 및 제4 맞물림 부재를 갖고, 회전 이동은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도록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이 맞물리게 하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도록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이 분리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0. 제29항에 있어서, 회전 이동은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도록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이 맞물리게 하고,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도록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이 분리되게 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1. 제3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이 맞물리게 하는 회전 이동은 제1 방향이고,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이 분리되게 하는 회전 이동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인,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2. 제30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3. 제32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붐 아암 하우징과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바늘과 셔틀 요소가 로킹 해제되면, 바늘과 셔틀 요소는 셔틀 요소에 대한 바늘의 병진 이동에 의해 분리 가능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4. 제33항에 있어서,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보어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는 붐 아암 하우징 - 붐 아암 하우징의 내측 표면은 제1 맞물림 부재를 포함함 -;
    제2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바늘; 및
    제3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셔틀 요소 - 셔틀 요소는 내측 보어를 형성하는 내측 표면을 갖고, 내측 표면은 제4 맞물림 부재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는 제1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6. 제34항에 있어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는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은 각각 상승된 편평부 및 만입된 편평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8.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이며,
    채널, 및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붐 아암을 형성하는 본체 - 붐 아암은
    본체로부터 이격된 붐 아암 하우징으로서, 붐 아암 하우징은 보어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갖고, 내부 표면은 제1 맞물림 부재를 갖는, 붐 아암 하우징과,
    조직 수납 갭이 붐 아암 하우징과 본체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본체와 붐 아암 하우징 사이에서 연장하는 오프셋된 아암 부분을 포함함 -;
    바늘로서, 바늘은 적어도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연장하는 전진 위치와 바늘이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왕복 병진 이동 가능하고, 제2 맞물림 부재를 형성하는, 바늘; 및
    조직 수납 갭을 가로질러 봉합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셔틀 요소 - 셔틀 요소는 제3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표면, 및 내측 보어를 형성하며 제4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내측 표면을 가짐 -
    를 포함하고,
    제1 각도 배향에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은 붐 아암 하우징 및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되고, 제2 각도 배향에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들은 바늘 및 셔틀 요소가 바늘에 대한 셔틀 요소의 회전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정합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39. 제38항에 있어서, 제1 각도 배향에서, 셔틀 요소는 붐 아암 하우징의 보어 내로 병진 이동 가능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0. 제39항에 있어서, 제2 각도 배향에서, 바늘은 셔틀 요소의 내측 보어 내로 병진 이동 가능한,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1. 제4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맞물림 부재들은 제1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2. 제40항에 있어서, 제2 및 제4 맞물림 부재는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3. 제42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 및 대응하는 제2 홈은 각각 상승된 편평부 및 만입된 편평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봉합사 통과 기구.
  44.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방법이며,
    바늘 및 셔틀 요소를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 셔틀 요소 및 바늘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봉합사는 셔틀 요소에 고정됨 -;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고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에 결합 유지되는 동안, 바늘을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다시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바늘을 연조직 결손부를 가로질러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셔틀 요소가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바늘에 로킹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 및 셔틀 요소를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6. 연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방법이며,
    바늘을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 셔틀 요소 및 붐 아암 하우징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봉합사는 셔틀 요소에 고정됨 -;
    셔틀 요소가 바늘에 로킹되고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로킹 해제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 및 셔틀 요소를 붐 아암 하우징으로부터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바늘 및 셔틀 요소를 연조직 결손부를 가로질러 붐 아암 하우징 내로 전진시키는 단계;
    셔틀 요소가 바늘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붐 아암 하우징에 로킹되도록 바늘 및 붐 아암 하우징에 대해 셔틀 요소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바늘을 붐 아암 하우징 및 셔틀 요소로부터 연조직 결손부를 통해 후퇴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28386A 2010-05-06 2011-05-06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KR20130091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403110P 2010-05-06 2010-05-06
US61/344,031 2010-05-06
PCT/US2011/035589 WO2011140486A1 (en) 2010-05-06 2011-05-06 Soft tissue defec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634A true KR20130091634A (ko) 2013-08-19

Family

ID=4412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386A KR20130091634A (ko) 2010-05-06 2011-05-06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55533B2 (ko)
EP (1) EP2566400A1 (ko)
JP (1) JP2013525083A (ko)
KR (1) KR20130091634A (ko)
CN (1) CN103079479A (ko)
AU (1) AU2011249910A1 (ko)
BR (1) BR112012027381A2 (ko)
CA (1) CA2796091A1 (ko)
WO (1) WO20111404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73A (ko) * 2017-02-22 2019-10-1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봉합 기반 폐쇄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1216C (en) 2010-09-24 2021-06-01 Sportwelding Gmbh Device and method for fixating a suture anchor in hard tissue
WO2012037699A1 (en) 2010-09-24 2012-03-29 Sportwelding Gmbh Suture anchor and method for fixating a suture relative to hard tissue
US9386976B2 (en) 2011-01-28 2016-07-12 Sportwelding Gmbh Method and device for fixating a suture anchor with a suture in hard tissue
US8864777B2 (en) 2011-01-28 2014-10-21 Anchor Orthopedics Xt Inc. Methods for facilitating tissue puncture
RU2602326C2 (ru) 2011-01-28 2016-11-20 СпортУэлдинг ГмбХ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фиксатора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шов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ли фиксатора с головкой в твердой ткани
US8882834B2 (en) 2011-07-08 2014-11-11 Smith & Nephew, Inc. Soft tissue repair
US9357997B2 (en) 2011-07-08 2016-06-07 Smith & Nephew, Inc. Suture passer and method
US9662105B2 (en) 2011-07-08 2017-05-30 Smith & Nephew, Inc. Suture passer and method
EP2744422B1 (en) 2011-08-18 2019-05-01 Anchor Orthopedics XT Inc. Bi-directional suture passer and kit
WO2014141208A1 (en) * 2013-03-15 2014-09-18 Anchor Orthopedics X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suture
US9968373B1 (en) * 2014-02-21 2018-05-15 Surgentec, Llc Handles for needle assemblies
US10016189B2 (en) * 2014-12-15 2018-07-10 Lsi Solutions, Inc. Surgical rib retractor and methods thereof
WO2017044838A1 (en) * 2015-09-11 2017-03-1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Laparoscopic suturing system
EP3316795B1 (en) * 2015-09-29 2020-09-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wist needle passer closure device
US10702263B2 (en) * 2017-05-30 2020-07-07 Suture Ease, Inc. Biological tissue access and closur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11648003B2 (en) * 2017-05-30 2023-05-16 Suture Ease, Inc. Biological tissue access and closur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12218589A (zh) * 2018-05-29 2021-01-12 易缝合股份有限公司 生物组织进入和闭合设备、系统以及方法
EP3968867A1 (en) * 2019-05-16 2022-03-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uture based closure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WO2021202508A1 (en) 2020-03-31 2021-10-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uture based closure device
CN111991043B (zh) * 2020-09-18 2023-03-28 二零二零(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深通道的缝合装置
WO2022182567A1 (en) * 2021-02-25 2022-09-01 Stryker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assing and retrieving suture through tissue
WO2023278219A1 (en) * 2021-07-02 2023-01-05 Hologic, Inc. Running stitch sutur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601A (en) 1980-04-07 1982-08-24 Mamoru Fukuda Continuous suturing device
US5336229A (en) * 1993-02-09 1994-08-09 Laparomed Corporation Dual ligating and dividing apparatus
GB9405790D0 (en) 1994-03-23 1994-05-11 Univ London Sewing device
DE60028772T2 (de) 1999-07-02 2007-03-29 Quickpass, Inc. Chirurgisches nähgerät
US6626930B1 (en) * 1999-10-21 2003-09-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nimally invasive mitral valve repair method and apparatus
US6551330B1 (en) * 2000-09-21 2003-04-22 Opus Medical, Inc. Linear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s
US6533796B1 (en) * 2000-10-11 2003-03-18 Lsi Solutions, Inc. Loader for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US8313496B2 (en) * 2001-02-02 2012-11-20 Lsi Solutions, Inc. System for endoscopic suturing
US6997931B2 (en) * 2001-02-02 2006-02-14 Lsi Solutions, Inc. System for endoscopic suturing
JP3921681B2 (ja) * 2001-10-01 2007-05-30 ニプロ株式会社 心臓内縫合装置
JP3890589B2 (ja) 2002-04-15 2007-03-07 ニプロ株式会社 心臓内縫合装置
US7381210B2 (en) 2003-03-14 2008-06-03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tral valve repair system and method for use
US7211093B2 (en) * 2004-01-14 2007-05-01 Lsi Solutions, Inc. Sew-right running stitch instrument
US8226667B2 (en) * 2006-10-05 2012-07-24 Tyco Healthcare Group Lp Axial stitching device
EP2389118B1 (en) 2009-01-26 2019-05-15 Synthes GmbH Bi-directional suture pas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473A (ko) * 2017-02-22 2019-10-11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봉합 기반 폐쇄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49910A1 (en) 2012-11-08
US9155533B2 (en) 2015-10-13
WO2011140486A1 (en) 2011-11-10
EP2566400A1 (en) 2013-03-13
US20110276064A1 (en) 2011-11-10
BR112012027381A2 (pt) 2017-07-18
JP2013525083A (ja) 2013-06-20
CN103079479A (zh) 2013-05-01
CA2796091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634A (ko) 연조직 결손부 장치 및 관련 방법
EP2730233B1 (en) Suture snare with retractable sleeve
US11779326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AU2014216180B2 (en) Medical fastening device
JP2020151596A (ja) 解剖学的組織を縫合するための縫合装置及び方法
US9820754B2 (en) Circular bone tunneling device employing a stabilizing element
KR101332173B1 (ko) 최소 침입성 외과용 조립체 및 방법들
EP0986330B1 (en) Stitching devices for surgery
US9913636B2 (en) Multiple portal guide
JP6855457B2 (ja) 腹腔鏡下縫合システム
EP3349665B1 (en) Forceps with locking mechanism
CN107440753B (zh) 内窥镜缝合装置
CN108392234B (zh) 内窥镜缝合装置
US10058324B2 (en) Suture device
US11197665B2 (en) Needle reload device for use with endostitch device
US11871922B2 (en) Endoscopic stitching device
US10806441B2 (en) Endoscopic stitching device
CN209529225U (zh) 击发机构及吻合器
KR20140138125A (ko) 관절경 수술 장치
CN115778456A (zh) 穿线夹持器、内镜夹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