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209A -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 Google Patents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209A
KR20130091209A KR1020120012549A KR20120012549A KR20130091209A KR 20130091209 A KR20130091209 A KR 20130091209A KR 1020120012549 A KR1020120012549 A KR 1020120012549A KR 20120012549 A KR20120012549 A KR 20120012549A KR 20130091209 A KR20130091209 A KR 20130091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ube
concrete tube
slurry wall
under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803B1 (ko
Inventor
임인식
이정배
이범택
최취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1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암이상의 견고한 지반에서의 슬러리월(slurry wall) 시공시 사용되는 언더피닝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을 이용하지 않고 요철면이 구비된 언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UCT, Underpinning Concrete Tube)를 이용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슬러리월 공법에 있어서의 언더피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에 따르면, 슬러리월에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하고, 굴착부(1)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을 통해 솔져파일(30)을 근입하고, 콘크리트튜브(40)에 재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솔져파일(30)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굴착부(1)와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튜브(40)의 내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의 구조용 원형강관(20) 대신 저렴한 언더피닝용 콘크리트튜브(40)를 이용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SLURRY WALL UNDERPINN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PINNING CONCRETE TUBE WITH UNEVEN SURFACE}
본 발명은 연암이상의 견고한 지반에서의 슬러리월(slurry wall) 시공시 사용되는 언더피닝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을 이용하지 않고 요철면이 구비된 언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UCT, Underpinning Concrete Tube)를 이용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슬러리월 공법에 있어서의 언더피닝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반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의 붕괴와 지하수의 유출을 막은 상태에서, 지반에 콘크리트 재질의 흙막이벽 시공하는 슬러리월 공법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슬러리월 공법에 의해 시공된 흙막이벽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슬러리월(지하연속벽, slurry wall)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부의 내부에 안정액인 벤토나이트이수를 주입하여 슬러리월을 시공한다. 한편, 토사층~풍화암층까지는 햄머그랩(Hydraulic grab) 및 트렌치커터(BC30 등)를 이용하여 굴착을 하고 연암층은 암반을 연마하여 굴착하는 치즐링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암파쇄굴착을 하지만 이 경우 치즐링으로 인한 진동으로 인접구조물에 구조적 피해 및 민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치즐링시 소요되는 굴착비용도 매우 고가이므로 언더피닝공법을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한편 슬러리월 언더피닝 시공시 원형강관(20)이 근입되어 고정되어진다. 상기 원형강관(20)의 내부에는 언더피닝을 위한 H빔 형태의 솔져파일(30)이 근입된다. 이를 위해, 슬러리월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원형강관(20)의 내부공간을 암반천공기로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원형강관(20)의 내부공간을 통해 솔져파일(30)의 하단이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근입 및 경타를 실시한 후, 상기 원형강관(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솔져파일(30)이 원형강관(2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솔져파일(30)의 측면에는 흙막이(5)(숏크리트 또는 토류판)와 카운터월(6)(언더피닝구간 영구지하외벽체)이 시공되고 최하단에는 기초(7)가 시공된다.
이러한 슬러리월의 언더피닝공법은, 치즐링을 통한 암굴착 공법보다 진동과 소음이 적게 발생될 뿐 아니라, 인접건물에 근접하여 시공이 가능하므로,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을 이용한 슬러리월에서의 언더피닝 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의 언더피닝용 구조용 강관의 기능은 슬러리월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로 콘크리트의 진입을 막음으로써 공내로의 T-4 암천공과 H-Pile의 근입 이 가능토록 하는 시공상의 기능 외에는, 영구구조체로서 구조적인 기능을 하는 부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반 철골형강보다 고가인 구조용 원형강관을 비구조재 용도로 사용하고 슬러리월내에서 사장시키기 때문에, 언더피닝 공사비가 과다하게 발생되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은 내부 및 외부 표면이 매끈한 면을 가지고 있어 차후 타설되는 슬러리월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시공후 원형강관(20)의 내외측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원형강관(20)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셋째, 이질재료인 강관때문에 슬러리월 콘크리트와의 접합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강관 내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강관 외부의 슬러리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넷째, 이러한 종래의 원형강관(20)을 근입할 때는 원형강관(20)의 둘레면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를 감은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형강관(20)을 들어올려 근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원형강관(20)이 기울어져 정확히 수직으로 근입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원형강관(20)의 하단이 슬러리월 내부에 근입된 철근망(10)과 간섭되어, 원형강관(20) 근입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원형강관(20)에 의해 철근망(10)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을 이용한 슬러리월 공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구조용 원형강관을 이용하지 않고 요철면이 구비된 언더피닝용 콘크리트 튜브(UCT, Underpinning Concrete Tube)를 이용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인 강성을 더욱 높게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고 굴착부(1)에 안정액(2)을 주입하여 슬러리월을 시공하는 단계와, 시공된 슬러리월에 철근망(10)을 근입하는 단계와,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튜브(40)를 상기 철근망(10)에 지지되도록 슬러리월에 근입하는 단계와, 굴착부(1)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된 구멍(1a)에 솔져파일(30)을 근입하는 단계와,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솔져파일(30)이 콘크리트튜브(40)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튜브(40)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튜브본체(41)와, 양단이 상기 튜브본체(41)의 상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튜브본체(41)에 매입된 다수개의 인장와이어(42)와, 상기 튜브본체(41)의 양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와이어(42)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링체(43)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41)의 내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와 슬러리월 콘크리트, 및 상기 콘크리트 튜브와 튜브 내부의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이 구비되어, 슬러리월의 안정액(2)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로 유입되어 튜브 근입시 안정액에 의해 튜브가 부상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슬러리월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콘크리트가 튜브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의 하측에 밀착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고정볼트(52)로 고정되는 고정링체(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슈(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들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슈(6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위치되는 캡(61)과, 캡(61)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향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둘레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슈(60)의 전체적인 형상이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안정액에 채워져 있는 슬러리월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의 근입시, 내부에 선근입된 철근망에 상기 튜브의 선단이 걸려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슈는 추후 공내 T-4 천공시 T-4 천공비트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T-4 천공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밀착되어, 외측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슈(60)는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고정볼트(65)로 고정되며 하측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이 용접결합되는 보조링체(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인양고리(73)가 구비된 인양블록(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블록(70)을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결합한 후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상기 인양고리(73)에 걸어 콘크리트튜브(40)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양블록(7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튜브(40) 상단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블록본체(71)와, 상기 블록본체(71)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면에 고정볼트(74)로 고정되는 플랜지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73)는 상기 블록본체(71)의 내주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상기 인양블록(7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를 근입하는 경우 최대한 수직도를 유지하는 것이 철근망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양블록(70)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경에 비해 내경이 큰 관통공(75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블록본체(75)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는 고무링(76)을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73)는 상기 블록본체(75)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75)의 관통공(75a)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무링(76)이 블록본체(7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무링(76)과 블록본체(75)를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면에 결합한 후 블록본체(7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고무링(76)이 콘크리트튜브(40)와 블록본체(75)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블록본체(75)는 상승되지 않고 이에 고정된 튜브전체가 인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콘크리트튜브(40)를 길게 연결하는 조인트(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8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단에는 플랜지부(81b)가 형성된 연결부재(81)와, 상기 연결부재(81)의 상하면에 구비된 링형태의 고무패드(8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81b)와 고무패드(8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연결부가 기울어지면 상기 고무패드(82)가 압축변형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기울기에 추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80)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 연결부 마디에 소량의 신축성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튜브가 인양되는 경우 튜브의 각이 꺾인 분절형태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튜브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에 따르면, 슬러리월에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하고, 굴착부(1)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을 통해 솔져파일(30)을 근입하고, 콘크리트튜브(40)에 재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솔져파일(30)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굴착부(1)와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튜브(40)의 내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의 구조용 원형강관(20) 대신 저렴한 언더피닝용 콘크리트튜브(40)를 이용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콘크리트튜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콘크리트튜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콘크리트튜브에 구비되는 지지링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슈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인양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의 조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을 도시한 것으로, 구조용 원형강관(20)을 이용하는 종래의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과 달리, 요철면이 구비된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언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튜브(40)를 이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40)는 슬러리월 언더피닝에 적용되는 구조체로서, 소위 언더피닝 콘크리트 튜브(UCT, Underpinning Concrete Tube)로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언더피닝용 콘크리트 튜브(UCT)는 기존건물의 기초저면을 보강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슬러리월 공법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튜브(40)는 중앙부에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튜브본체(41)와, 양단이 상기 튜브본체(41)의 상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튜브본체(41)에 매입된 다수개의 인장와이어(42)와, 상기 튜브본체(41)의 양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와이어(42)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링체(43)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본체(41)는 일반적인 PHC파일에 비해 두께가 얇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본체(41)의 내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튜브본체(41)를 성형하는 금형의 캐비티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튜브본체(41)를 형성할 때, 상기 홈에 의해 튜브본체(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튜브본체(41)의 외측 또는 내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맞물려, 콘크리트와 튜브본체(41)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와 슬러리월 콘크리트 사이,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튜브와 튜브 내부의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장와이어(42)는 일반적인 PT강선을 이용하며, 튜브본체(41)를 제조할 때 튜브본체(41)의 둘레벽 내부에 매입고정 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지링체(43)는 강도가 높은 강철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와이어(42)가 용접결합되는 와이어결합공(43a)과 후술하는 고정볼트(52,65,74,82)가 나사결합되는 볼트결합공(43b)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와이어(42)가 매입되도록 튜브본체(41)를 성형제작한 후, 인장와이어(42)의 단부가 와이어결합공(43a)에 끼워지도록 튜브본체(41)의 양단에 상기 지지링체(43)를 결합하고, 인장와이어(42)를 지지링체(43)에 용접하여, 지지링체(43)가 튜브본체(41)의 양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이 구비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은 리브라스를 이용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브라스는 와이어메쉬와 같은 형태로 금속와이어를 엮거나, 금속판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콘크리트는 통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에 혼합된 물은 통과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의 하측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을 고정하는 고정링체(5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링체(51)는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면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강철재의 링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정링체(51)와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링체(43)의 볼트결합공(43b)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52)를 이용하여, 고정링체(51)를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을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면에 견고하면서도 수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이 구비됨으로써, 슬러리월을 시공한 후 상기 콘크리트튜브(40)를 안정액(2)이 주입된 굴착부(1)에 근입하면, 안정액(2)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로 유입되어, 튜브 근입시 안정액(2)에 의해 튜브가 부상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월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콘크리트(9)가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태의 슈(6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슈(6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위치되는 캡(61)과, 캡(61)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향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둘레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슈(60)의 전체적인 형상이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안정액에 채워져 있는 슬러리월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의 근입시, 내부에 선근입된 철근망에 상기 튜브의 선단이 걸려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슈(60)는 추후 공내 T-4 천공시 T-4 천공비트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T-4 천공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캡(61)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을 콘형태로 밴딩 및 용접하여 제작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2)는 철근과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와이어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은 상기 캡(61)의 내주면에 용접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 외주면에는 고정밴드(63)가 결합되어, 지지부재(62)의 상단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밴드(63)는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일반적인 나사조임식 밴드를 비롯하여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튜브(40)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양블록(70)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인양블록(7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튜브(40) 상단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블록본체(71)와, 상기 블록본체(71)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면에 고정볼트(74)로 고정되는 플랜지부(72)와, 상기 블록본체(71)의 내주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인양고리(73)로 구성된다.
한편 통상적인 대형 원주형 물체를 건축현장에서 수직으로 인양시 고강성의 천으로 구성된 BRA로 고리를 만들어 인양하게 되는데 이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UCT)를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인양할 경우, 안정액 내부로 선근입된 철근만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진 상태에서 근입하는 경우 철근망에 튜브가 걸릴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를 근입하는 경우 최대한 수직도를 유지하는 것이 철근망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인양블록(70)은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7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74)를 이용하여, 인양블록(70)을 콘크리트튜브(40) 상단의 지지링체(43)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인양고리(73)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걸어 콘크리트블록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큰크리트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을 굴착하고 굴착부(1)에 안정액(2)을 주입하여 슬러리월을 시공한 후, 시공된 슬러리월에 철근망(10)을 근입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를 상기 철근망(10)에 지지되도록 근입한다. 이때, 종래의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에서 사용되는 원형강관(20)의 하단이 연약층(3) 하측의 경암(4)에 박히도록 항타되는 것과 달리, 상기 콘크리트튜브(40)는 항타하지 않고 단순히 하단부에 구비된 슈(60)가 굴착부(1)의 바닥면에 닿도록 근입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할 때는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구비된 인양블록(70)의 인양고리(73)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걸어 콘크리트튜브(4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근입하며, 콘크리트튜브(40)의 근입이 완료되면 상기 인양블록(70)은 제거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부(1)에 콘크리트(9)를 타설하여 경화시킨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면하측을 천공한다. 이때 천공기에 설치된 T-4 드라이브(90)를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 내부로 삽입하여,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구비된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과 슈(60)를 파쇄한 후 하측으로 천공을 하여 구멍(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구멍(1a)이 천공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져파일(30)을 근입한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에 콘크리트(9)를 타설 및 경화시켜 솔져파일(30)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솔져파일(30)을 시공한 후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된 솔져파일(30)의 측면에는 흙막이(5)와 카운터월(6) 및 기초(7)를 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언더피닝공법에 따르면, 굴착부(1)와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9)가 콘크리트튜브(40)의 내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의 구조용 원형강관(20) 대신 저렴한 콘크리트튜브(40)를 이용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튜브(40)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튜브본체(41)와, 양단이 상기 튜브본체(41)의 상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튜브본체(41)에 매입된 다수개의 인장와이어(42)와, 상기 튜브본체(41)의 양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와이어(42)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링체(43)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본체(41)의 내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므로, 콘크리트튜브(40)의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튜브(40)의 내외측에 타설된 콘크리트(9)와 콘크리트튜브(40)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이 구비되어, 슬러리월의 안정액(2)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로 유입되고 콘크리트(9)는 유입되지 않으므로, 안정액(2)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가 부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크리트튜브(40)를 항타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원형강관(20)의 경우, 외부에 타설된 콘크리트(9)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강관(20)을 항타하여 원형강관(20)의 하단부가 지면에 매입되도록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튜브(40)는 하단으로 콘크리트(9)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튜브(40)를 항타할 필요가 없고, 이에따라, 항타공정을 생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항타에 따른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은 하측에 구비된 고정링체(5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콘크리트(9)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태의 슈(60)가 구비되므로,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할 때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이 철근망(10)과 간섭되어, 콘크리트튜브(40)가 정확히 근입되지 않거나 콘크리트튜브(40)에 의해 철근망(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슈(6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위치되는 캡(61)과, 캡(61)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항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둘레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로 구성되므로,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구멍(1a)을 천공할 때 천공기에 의해 슈(60)가 손쉽게 파쇄된다. 따라서,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을 할 때 슈(60)에 의해 작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밀착되며, 외측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고정되므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슈(6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인양고리(73)가 구비된 인양블록(70)이 구비되므로, 인양블록(70)의 인양고리(73)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걸면 콘크리트튜브(40)가 수직으로 서게 되므로, 콘크리트튜브(40)를 수직방향으로 근입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인양블록(7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튜브(40) 상단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블록본체(71)와, 상기 블록본체(71)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면에 고정볼트(74)로 고정되는 플랜지부(72)로 구성되고, 상기 인양고리(73)는 상기 블록본체(71)의 내주면에 구비되므로, 인양고리(73)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걸고 콘크리트튜브(40)를 근입할 때,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가 안정액(2)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슈(60)의 지지부재(62)는 상단이 고정밴드(6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을 별도의 보조링체(64)의 둘레면에 용접고정하고, 고정볼트(65)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상기 보조링체(64)를 고정하여 슈(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링체(64)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이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타설막이판(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체(51)과 고정볼트(52)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블록(70)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경에 비해 내경이 큰 관통공(75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인양고리(73)가 구비되는 블록본체(75)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는 고무링(7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본체(75)의 관통공(75a)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무링(76)과 블록본체(75)를 상기 고무링(76)은 블록본체(7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링(76)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무링(76)과 블록본체(75)를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면에 결합한 후,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양고리(73)에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걸어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고무링(76)이 콘크리트튜브(40)와 블록본체(75)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블록본체(75)는 상승되지 않고 이에 고정된 튜브전체가 인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길이가 짧을 경우, 조인트(8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콘크리트튜브(40)를 길게 연결하여 상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8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단에는 플랜지부(81b)가 형성된 연결부재(81)와, 상기 연결부재(81)의 상하면에 구비된 링형태의 고무패드(8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81b)와 고무패드(8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상하단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인트(8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튜브(40)의 연결부가 기울어지면 상기 고무패드(82)가 압축변형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기울기에 추종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튜브(40)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80)의 고무패드(8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는 본래의 기능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튜브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튜브 간 연결 접합부의 강성이 큰 경우 수평으로 2개 이상의 튜브가 연결되고, 야적된 상태에서 한번에 세우게 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에 휨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튜브 연결부 마디에 소량의 신축성을 허용하도록 조인트(80)를 구성시킨 상태에서 인양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튜브의 각이 꺾인 분절형태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튜브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 : 굴착부 2 : 안정액
3 : 연약지반 4 : 경암
5 : 흙막이 6 : 카운터월
7 : 기초 10 : 철근망
20 : 원형강관 30 : 솔져파일
40 : 콘크리트튜브 50 : 콘크리트타설막이판
60 : 슈 70 : 인양블록
80 : 조인트

Claims (12)

  1. 지면을 굴착하고 굴착부(1)에 안정액(2)을 주입하여 슬러리월을 시공하는 단계와,
    시공된 슬러리월에 철근망(10)을 근입하는 단계와,
    중앙부에 길이방향의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튜브(40)를 상기 철근망(10)에 지지되도록 슬러리월에 근입하는 단계와,
    굴착부(1)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면을 천공하는 단계와,
    천공된 구멍(1a)에 솔져파일(30)을 근입하는 단계와,
    콘크리트튜브(40)의 관통공(41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솔져파일(30)이 콘크리트튜브(40)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튜브(40)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41a)이 형성된 콘크리트재질의 튜브본체(41)와,
    양단이 상기 튜브본체(41)의 상하단으로 돌출되도록 튜브본체(41)에 매입된 다수개의 인장와이어(42)와,
    상기 튜브본체(41)의 양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인장와이어(42)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링체(43)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41)의 내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이 구비되어,
    슬러리월의 안정액(2)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을 통해 콘크리트튜브(40)의 내부로 유입되어 튜브 근입시 상기 안정액(2)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튜브(40)가 부상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슬러리월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콘크리트가 상기 튜브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타설막이판(50)의 하측에 밀착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고정볼트(52)로 고정되는 고정링체(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슈(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슈(6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측에 위치되는 캡(61)과,
    캡(61)의 상단 둘레부에서 상항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둘레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밀착되어, 외측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 외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슈(60)는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하단에 고정볼트(65)로 고정되며 하측 둘레면에 상기 지지부재(62)의 상단이 용접결합되는 보조링체(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인양고리(73)가 구비된 인양블록(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양블록(70)을 콘크리트튜브(40)의 상단에 결합한 후 크레인의 와이어로프(8)를 상기 인양고리(73)에 걸어 콘크리트튜브(40)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블록(7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관통공(71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튜브(40) 상단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는 블록본체(71)와,
    상기 블록본체(71)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며 콘크리트튜브(40)의 상면에 고정볼트(74)로 고정되는 플랜지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73)는 상기 블록본체(71)의 내주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블록(70)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경에 비해 내경이 큰 관통공(75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블록본체(75)와,
    상기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부에 결합되는 고무링(76)을 포함하며,
    상기 인양고리(73)는 상기 블록본체(75)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본체(75)의 관통공(75a)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무링(76)이 블록본체(7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무링(76)과 블록본체(75)를 콘크리트튜브(40)의 외측둘레면에 결합한 후 블록본체(7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고무링(76)이 콘크리트튜브(40)와 블록본체(75)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블록본체(75)는 상승되지 않고 고정된 콘크리트튜브 전체가 인양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콘크리트튜브(40)를 길게 연결하는 조인트(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8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하단에는 플랜지부(81b)가 형성된 연결부재(81)와,
    상기 연결부재(81)의 상하면에 구비된 링형태의 고무패드(8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81b)와 고무패드(8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3)에 의해 콘크리트튜브(40)의 상하단에 결합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연결부가 기울어지면 상기 고무패드(82)가 압축변형되어, 콘크리트튜브(40)의 기울기에 추종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KR1020120012549A 2012-02-07 2012-02-07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KR10131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49A KR101311803B1 (ko) 2012-02-07 2012-02-07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49A KR101311803B1 (ko) 2012-02-07 2012-02-07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09A true KR20130091209A (ko) 2013-08-16
KR101311803B1 KR101311803B1 (ko) 2013-09-25

Family

ID=4921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549A KR101311803B1 (ko) 2012-02-07 2012-02-07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770A (ko) * 2018-01-17 2019-07-25 김민규 매립형 파일 근입 및 인양 기구 및 그 기구를 적용한 파일의 시공방법
KR20190114558A (ko) * 2018-03-30 2019-10-10 김민규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KR20190124881A (ko) * 2018-04-27 2019-11-06 백남진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KR102288469B1 (ko) * 2021-02-25 2021-08-10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중 튜브강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지중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81B1 (ko) * 2014-09-01 2015-01-19 도원건설 주식회사 에이치(h)형강을 삽입하기 위한 천공부를 천공할 수 있는 에이치(h)형 천공부재 및 에이치(h)형 천공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68528B1 (ko) 2020-06-16 2020-10-21 도원에프앤지(주) 케이싱 인발이 가능한 지하연속벽 언더피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4705U (ko) * 1973-11-08 1975-06-30
JP3221895B2 (ja) * 1991-11-05 2001-10-22 清水建設株式会社 大口径地下壁体の構築方法および管埋設用掘削装置
JP3005609B2 (ja) * 1992-01-30 2000-01-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高耐力鋼製連続壁等の施工方法
JP5268470B2 (ja) * 2008-07-23 2013-08-21 株式会社大林組 鉄筋かごの揚重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770A (ko) * 2018-01-17 2019-07-25 김민규 매립형 파일 근입 및 인양 기구 및 그 기구를 적용한 파일의 시공방법
KR20190114558A (ko) * 2018-03-30 2019-10-10 김민규 파일 인양 장치 및 파일 인양 방법
KR20190124881A (ko) * 2018-04-27 2019-11-06 백남진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방법
KR102288469B1 (ko) * 2021-02-25 2021-08-10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이중 튜브강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지중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803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1311803B1 (ko) 요철면이 구비된 언디피닝용 원심성형 콘크리트 튜브를 이용한 슬러리월 언더피닝 공법
KR101302743B1 (ko) 벽체말뚝용 피에이치씨 파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JP4069509B2 (ja) 地下掘削空間外周部における逆打支柱の施工方法
JP5976373B2 (ja) 杭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07162266A (ja) 二段山留め壁とその構築方法
KR101893658B1 (ko) 모노파일 시공을 위한 현장 타설 말뚝 상단과 교각 하단 사이 연결부 거푸집 장치 및 시공방법
CN206616550U (zh) 一种狭小空间施工灌注桩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CN211037053U (zh) 管井悬吊保护结构
CN108086307A (zh) 钢管混凝土挖孔灌注复合微型桩
JP3453664B2 (ja) 縦坑の構築工法
JP6445892B2 (ja) 沈設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沈設構造物
KR101383817B1 (ko) 역타공법
CN212656218U (zh) 重型桩机荷载托换结构
CN113089654B (zh) 复杂土层挖孔桩施工工艺及施工用钢护筒
GB2378471A (en) Method of forming enlarged pile heads with pre-cast driven piles
KR101257905B1 (ko) 매입말뚝을 이용한 기초 공법
JP5628459B1 (ja) 防護柵の支柱構造体
RU2123091C1 (ru) Фундамент под металлическую колонну,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и рихтования
KR101517169B1 (ko) 지중 압입장치가 구비된 지하구조물
JP3827309B2 (ja) 埋め込み杭工法用補助装置及び埋め込み杭工法
JP3160485U (ja) 深礎基礎杭体鉄筋籠の坑内建込工法
KR20170129327A (ko) Phc 파일
KR102502549B1 (ko) 착탈식 보조말뚝용 상부 phc말뚝 및 이를 적용한 phc 역타 기초파일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