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522A -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522A
KR20130090522A KR1020120011732A KR20120011732A KR20130090522A KR 20130090522 A KR20130090522 A KR 20130090522A KR 1020120011732 A KR1020120011732 A KR 1020120011732A KR 20120011732 A KR20120011732 A KR 20120011732A KR 20130090522 A KR20130090522 A KR 20130090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imary
barrier
barrier structur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625B1 (ko
Inventor
조태민
김봉재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6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1Reinfor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는,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일 방벽구조물;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 및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의 결합 강도를 보강하는 웹;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은,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단일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된 웹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Liquefied Gas Storage Tank, Ship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물을 저장하는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원유(crude oil) 등과 같은 액화물은 선박을 이용하여 운반되는데, 선박에는 액화물이 적정한 압력으로 밀폐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저장탱크가 마련된다.
액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선박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독립탱크형은 저장탱크가 선체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독립된 형태의 저장탱크를 선체의 지지장치가 지지하는 방식이다. 독립탱크형은 액화물의 누출을 막는 방벽의 설치 개수 및 사용 압력에 따라 IMO Type A, B, C 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IMO Type A는 1차 방벽과 2차 방벽이 모두 설치된 것으로, AKER사의 ADBT(Aluminium Double Barrier Tank)가 대표적이다. IMO Type B는 1차 방벽을 설치하고 드립 트레이(drip tray)를 설치하여 1차 방벽의 누출을 대비하는 구조를 가지며, 저장탱크의 형태가 구형인 모스(moss)형과 각형(prismatic type)인 IHI사의 SPB(Self-supporting Prismatic-shape IMO Type B)가 있다. IMO Type C는 1차 방벽이 설치된 압력용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IMO Type A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O Type A 저장탱크는 1차 방벽(1)과 2차 방벽(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액화물 저장탱크로서, 선체(S) 내측에 설치된다. 1차 방벽(1)과 2차 방벽(2)은 보강부재(3)에 의해 상호 지지되면서 강도가 보강되며, 2차 방벽(2)은 지지부재(4)에 의해 선체(S)에 지지된다. 1차 방벽(1)은 액화물과 접하면서 액화물을 수용하게 되며, 2차 방벽(2)은 1차 방벽(1)의 파손시 액화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저장탱크의 1, 2차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화물 저장탱크의 1, 2차 방벽구조물(10)은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11)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12)과, 보강부재(3)를 형성하는 보강판(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용접된 후,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용접되고, 이에 따라 액화물 저장탱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액화물 저장탱크는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을 서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할 경우,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의 외측 단면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므로 길이 방향으로 용접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을 서로 연결한 구조만으로는 저장탱크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벽구조물들의 길이 방향 용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브라켓 등의 추가 구성물 없이 웹을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액화물의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일 방벽구조물;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 및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의 결합 강도를 보강하는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 또는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의 결합면에 대한 크랙을 방지하는 크랙방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모두 형성되며,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내판과 상기 보강판의 연결지점, 상기 외판과 상기 보강판의 연결지점,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저면판의 연결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판과 연결되는 수평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은 상기 수평판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홀에서 연장된 수평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의 일면에는 상기 수직판에 대응되는 정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은 상기 내판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은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홀에 인접하게 관통형성된 액화물 이동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물 저장탱크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드립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화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은,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단일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된 웹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웹이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저면판과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판과 연결되는 수평판을 상기 수직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에 따르면, 방벽구조물들을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브라켓 등의 추가 구성물 없이 방벽구조물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웹을 장착할 수 있다.
나아가, 액화물 저장탱크의 공간활용도를 높여 액화물의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 IMO Type A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장탱크의 1, 2차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방벽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일 방벽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일 방벽조립체와 1, 2차 방벽조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일 방벽조립체에 웹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방벽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액화물 저장탱크는 운반선을 비롯한 각종 운항용, 정박용 선박 또는 다양한 해상 구조물에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 함은 다양한 선박 및 해상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방벽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는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과, 웹(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은 각각 다수개 가 측면으로 결합되어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단일 방벽조립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1, 2차 방벽구조물(1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11)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12)과, 내판(11) 및 외판(12)을 연결하는 보강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판(11), 외판(12), 보강판(13)은 각각 별도의 판재로 제작되어 상호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판(11), 외판(12), 보강판(13)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1, 2차 방벽구조물(10)은 압출 성형을 통해 단일 부재인 H형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1, 2차 방벽구조물(10)은 다수 개가 서로 용접되어 1, 2차 방벽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상호 결합되면서 1, 2차 방벽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이 측 방향으로 서로 용접된 형태의 1, 2차 방벽조립체(100)를 도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1, 2차 방벽구조물(10)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단일 방벽구조물을 서로 용접하여 단일 방벽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방벽구조물(20)은 저면판(21)과, 저면판(21)에 결합되는 수직판(22)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수직판(22)에 결합되는 수평판(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면판(21)은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내판(11)과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판(22)은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보강판(13)과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단일 방벽구조물(20)은 별도의 판재로 제작된 저면판(21), 수직판(22)이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 있지만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일 방벽구조물(20)은 저면판(21), 수직판(22)이 서로 일체로 제작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한다.
단일 방벽구조물(20)은 다수개가 서로 용접되어 단일 방벽조립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방벽구조물(20)들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일 방벽구조물(20)들이 측방향으로 서로 용접된 형태의 단일 방벽조립체(200)를 도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단일 방벽구조물(20)이 상호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단일 방벽구조물(20)은 수평판(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23)은 수직판(22)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수직판(22)의 상부에 결합되며, 수평판(23) 역시 마찬가지로 별도의 판재로 제작되거나,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수평판(23)은 전술한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내판(11)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판(22)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저면판(21)과 수평판(23) 사이에 액화물 수용 공간을 확보하여 전체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수평판(23)이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내판(11)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의 단일 방벽조립체와 1, 2차 방벽조립체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단일 방벽구조물(20)이 1, 2차 방벽구조물(10)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후술할 웹(30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격벽(bulkhead)과 같이 구획이 필요한 곳에 선택적으로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저면판(21)은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외판(12)과 연결되고, 수직판(22)은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보강판(13)과 연결되며, 수평판(23)은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내판(11)에 연결되도록 상호 용접될 수 있다.
이처럼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상대적으로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내판(11)에 비해 작은 폭을 갖는 수평판(23)에 의해 상부 양 측면 영역이 개방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용접하기가 쉬워진다.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단일 방벽조립체(200)가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면, 이어서 웹(300)이 설치될 수 있다.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설치되어 1, 2차 방벽조립체(100) 및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물론, 웹(300)은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이 서로 결합될 경우, 단일 방벽구조물(20)에 끼워질 수도 있다.)
웹(3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수직판(22)에 끼워지는 수직홀(310)과, 수직홀(310)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수평판(23)에 끼워지는 수평홀(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홀(310)과 수평홀(320)의 결합 형상은 'T'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웹(300)에는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다수의 수직판(22)과 수평판(23)에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수직홀(310)과 수평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홀(310)은 수직판(2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홀(310)은 수직판(22)의 단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평홀(320)은 수평판(2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시, 수평홀(310)은 수평판(23)의 단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웹(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단일 방벽조립체(200)가 서로 용접된 후, 단일 조립체(200)의 일측에 끼워지면서 화살표 방향처럼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어느 영역에나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단일 방벽조립체에 웹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일측에 끼워지면서 1, 2차 방벽구조물(10)에 인접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횡 방향에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300)은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용접 부위에 인접한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웹(300)은 단일 방벽구조물(20) 또는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가장자리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웹(300)이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끼워진 후,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웹(300)과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웹(300)의 저면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저면판(21) 상부에 용접될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수평판(23)의 폭이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내판(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상부 일부 영역이 노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웹(3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와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사이에 빠른 시간 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웹의 설치를 위해 종래와 같은 브라켓 등의 결합 도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
나아가,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상부 일부 영역이 개구된 형상을 갖게 되므로 저면판(21), 수직판(22), 수평판(23)이 이루는 공간으로 액화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상대적으로 1, 2차 방벽조립체(100)에 비해 더 액화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액화물 저장탱크의 수용공간이 증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는 상술한 1, 2차 방벽조립체(100)로 구성된 영역 이외에,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단일 방벽조립체(200)와 연결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1, 2차 방벽조립체(100)에 비해 더 액화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액화물 저장탱크의 수용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는 단일 방벽조립체(200)가 설치된 영역이 파손될 경우, 액화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립 트레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500)는 1, 2차 방벽조립체(100) 및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드립 트레이(500)는 필요에 따라 액화물 저장탱크의 여러 영역에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드립 트레이(500)는 단일 방벽조립체(200)가 파손되어 액화물 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된 액화물이 누출될 경우, 액화물을 수용하여 선체(S)로 액화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방벽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의 방벽구조물은 1, 2차 방벽구조물(10) 또는 단일 방벽구조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크랙방지홀(15, 16, 25, 26)이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크랙방지홀(15, 16, 25, 26)은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의 길이 방향의 결합면에 대한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크랙방지홀(15, 16, 25, 26)은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랙방지홀(15, 16, 25, 26)은 단일부재로 제작된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에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 2차 방벽조립체(100)과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랙방지홀(15, 16, 25, 26)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1, 2차 방벽조립체(100)에 형성된 제1크랙방지홀(15), 제2크랙방지홀(16) 및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형성된 제3크랙방지홀(25), 제4크랙방지홀(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크랙방지홀(15)은 내판(11)과 보강판(13)의 연결 지점에 형성되고, 제2크랙방지홀(16)은 보강판(13)과 외판(12)의 연결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크랙방지홀(25)은 수직판(22)과 수평판(23)의 연결 지점에 형성되고, 제4크랙방지홀(26)은 수직판(22)과 저면판(21)의 연결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랙방지홀(15, 16, 25, 26)을 갖는 단일 방벽조립체(200)와 1, 2차 방벽조립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용접될 경우, 용접 시 해당 부위가 용접되지 않도록 하여 용접 후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하며 피로에 강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일 방벽구조물(20) 또는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수평판(23)이 일체로 포함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방벽구조물(20) 또는 단일 방벽조립체(200)과 별도로 구성되는 수평판(400)을 구비한다.
즉, 단일 방벽구조물(20)은 저면판(21)과 수직판(22)을 가지며, 저면판(21)과 수직판(22)은 별도의 판재로 제작되어 상호 용접되거나 압출 성형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 방벽구조물(20)이 상호 연결된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전술한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양단에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조립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단일 방벽조립체(200)는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더욱 용이하게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웹(30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평홀(320, 도 3 참조)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의 웹(30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홀(310)에 의해 수직판(22)에 직접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웹(300)은 수직홀(310)의 내측에서 연장된 확장홀(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홀(315)은 웹(300)의 가공 시 수직홀(310)의 내측에 집중되는 응력을 방지하여 웹(300)의 크랙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확장홀(315)은 웹(300)이 단일 방벽구조물(20) 또는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장착될 경우, 수직홀(310)과 수직판(22)의 용접 시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웹(300)은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수직홀(310)에 인접하게 관통 형성된 액화물 이동공(330)을 더 포함한다.
액화물 이동공(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차 방벽조립체(100)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구분된 공간을 연통시켜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수용된 액화물이 1, 2차 방벽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액화물 이동공(300)이 형성된 웹(300)은 액화물 저장탱크에 수용되는 액화물의 저장공간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액화물 이동공(330)은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방벽조립체(200)와 1, 2차 방벽조립체(100)가 길이 방향으로 용접되고 웹(300)이 장착되면 수평판(400)을 설치한다.
수평판(4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으로 덮도록 수직판(2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수평판(400)은 전술한 수평판(23)과 마찬가지로 1, 2차 방벽구조물(10)의 내판(11)의 폭보다 작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판(400)은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결합될 경우, 각각의 단일 방벽구조물(20)의 상부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판(400)의 일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직판(22)에 대응되는 정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정렬홈은 수직판(22)의 길이 방향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수평판(4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400)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웹(300)이 설치된 단일 방벽조립체(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화물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따르면 1, 2차 방벽구조물들을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브라켓 등의 추가 구성물 없이 1, 2차 방벽구조물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웹을 장착할 수 있다. 나아가 액화물 저장탱크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액화물의 저장용량을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을 정리하여 단계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물 저장탱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11)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12)과, 상기 내판(11) 및 상기 외판(12)을 연결하는 보강판(13)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10)을 제작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즉, 본 단계는 1, 2차 방벽구조물(10)을 제작하는 과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판(11), 외판(12), 보강판(13)은 각각 별도의 판재로 제작되어 상호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판(11), 외판(12), 보강판(13)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1, 2차 방벽구조물(10)은 압출 성형을 통해 단일 부재인 H형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1, 2차 방벽구조물(10)은 다수 개가 서로 용접되어 1, 2차 방벽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1, 2차 방벽구조물(10)들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상호 결합되면서 1, 2차 방벽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판(12)과 연결되는 저면판(21)과, 상기 저면판(21)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13)과 연결되는 수직판(22)을 포함하는 단일 방벽구조물(20)을 제작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단일 방벽구조물(20)을 제작하는 과정으로서, 1, 2차 방벽구조물(10)을 제작하는 단계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판재로 제작된 저면판(21), 수직판(22)이 상호 결합된 형태일 수 있지만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단일 방벽구조물(20)은 다수개가 서로 용접되어 단일 방벽조립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방벽구조물(20)들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10)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20)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1, 2차 방벽구조물(10)의 양단에 단일 방벽구조물(20)을 선택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10)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20)은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설명한 바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판(22)에 끼워지는 수직홀(310)이 형성된 웹(300)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20)에 설치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웹(300)의 수직홀(310)을 단일 방벽구조물(20)의 수직판(22)에 맞춰 끼우고, 마찰교접용접 또는 MIG용접 등을 수행하여 웹(300)을 단일 방벽구조물(20)에 설치하게 된다.
이상의 각 단계에 따라, 1, 2차 방벽구조물(10)과 단일 방벽구조물(20), 그리고 단일 방벽구조물(20)에 결합된 웹(300)을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계 외에도, 내판(11)과 연결되는 수평판(23)을 상기 수직판(22)에 설치하는 단계(S5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의 경우, 수직판(22) 상에 수평판(23)을 설치하여 수직판(22)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이때 수평판(23)의 폭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화물 저장탱크는, 이후 선박의 선체에 설치되어 액화물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 2차 방벽구조물 11: 내판
12: 외판 13: 보강판
20: 단일 방벽구조물 21: 저면판
22: 수직판 23: 수평판
100: 1, 2차 방벽조립체 200: 단일 방벽조립체
300: 웹 310: 수직홀
315: 확장홀 320: 수평홀
330: 액화물 이동공 400: 수평판

Claims (13)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단일 방벽구조물;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 및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의 결합 강도를 보강하는 웹;
을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 또는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의 결합면에 대한 크랙을 방지하는 크랙방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모두 형성되며,
상기 크랙방지홀은,
상기 내판과 상기 보강판의 연결지점,
상기 외판과 상기 보강판의 연결지점,
상기 수직판과 상기 저면판의 연결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수직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판과 연결되는 수평판을 더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상기 수평판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홀에서 연장된 수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의 일면에는 상기 수직판에 대응되는 정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상기 내판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은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홀에 인접하게 관통형성된 액화물 이동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물 저장탱크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드립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액화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1차 방벽을 형성하는 내판과, 2차 방벽을 형성하는 외판과,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을 연결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1, 2차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판과 연결되는 저면판과, 상기 저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단일 방벽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1, 2차 방벽구조물과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판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된 웹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웹을 상기 단일 방벽구조물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웹이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저면판과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과 연결되는 수평판을 상기 수직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KR1020120011732A 2012-02-06 2012-02-06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KR10132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32A KR101324625B1 (ko) 2012-02-06 2012-02-06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32A KR101324625B1 (ko) 2012-02-06 2012-02-06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22A true KR20130090522A (ko) 2013-08-14
KR101324625B1 KR101324625B1 (ko) 2013-11-01

Family

ID=4921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32A KR101324625B1 (ko) 2012-02-06 2012-02-06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6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630A (en) 1992-11-10 1995-03-21 Us Shipbuilding Corporation, Inc. Simplified midbody section for marine vesse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JP3401727B2 (ja) * 1993-05-14 2003-04-28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 マリンユナイテッド 液体ガス貯蔵装置およびその運搬船
JP3396340B2 (ja) * 1995-06-13 2003-04-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ハニカムパネル式船体構造
GB2380970B (en) * 2001-10-15 2005-02-16 Intelligent Engineering Connector for structural sandwich plate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625B1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391B2 (ja) 液化物貯蔵タンク及びこれを含む船舶
AU2016252093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ed tank fitted with a through-element
US937617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KR10064931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앵커 구조체
KR101652220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064931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 구조체
US10557592B2 (en) Corner structure of LNG storage tank
US10730591B2 (en) Multi-lobe cargo tank
KR20130009071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리퀴드 돔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200480586Y1 (ko) 액체 화물 탱크용 슬로싱 저감 모듈
KR101324625B1 (ko)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KR100839748B1 (ko) Lng 수송선의 저장탱크 구조
KR20160027381A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30221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336226B1 (ko) 액화물 저장탱크 제작용 단위재를 이용한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 방법 및 선박 제조 방법
KR10171200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313193B1 (ko)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084B1 (ko) 샌드위치단열구조가 적용되는 lpg 탱크, 코퍼댐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US20230288027A1 (en) Guiding structure for a tower for loading/unloading a tank intended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1125107B1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00125873A (ko) 저장탱크의 3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00118930A (ko) Lng 저장탱크
KR101755551B1 (ko) 함몰형 가스 저장용기
TW202326022A (zh) 液化氣體儲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