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193B1 -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93B1
KR101313193B1 KR1020110113615A KR20110113615A KR101313193B1 KR 101313193 B1 KR101313193 B1 KR 101313193B1 KR 1020110113615 A KR1020110113615 A KR 1020110113615A KR 20110113615 A KR20110113615 A KR 20110113615A KR 101313193 B1 KR101313193 B1 KR 101313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s
pair
web
barri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45A (ko
Inventor
조태민
김봉재
서용석
하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방벽과 한 쌍의 방벽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방벽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를 구비한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리브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방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절개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복수의 리브가 삽입되는 슬롯이 각각 형성된 웹(web)과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웹과 칸막이 사이에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중방벽 구조에서 방벽 사이에도 웹을 결합시킴으로써 저장탱크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Double barrier for storage tank, ship having the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나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소비지로 운송하기 위해 액화가스 운반선이 사용된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체화물은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하며, 저장탱크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 type)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으로 나뉜다. 여기서, 독립탱크형은 저장탱크가 선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독립된 저장탱크를 선체의 지지장치가 지지하는 방식으로써, 액화가스의 누출을 막는 방벽의 설치 개수 및 사용 압력에 따라, Type A, B, C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Type A는 1차 방벽과 2차 방벽이 모두 설치된 것으로써 AKER사의 ADBT(Aluminum Double Barrier Tank)가 해당된다. 그리고, Type B는 1차 방벽을 설치하고 드립 트레이(drip tray)를 설치하여 1차 방벽의 누출을 대비하는 구조로써, 탱크의 형태가 구형인 모스(moss)형과 각형(prismatic type)인 IHI사의 SPB(Self-supporting, Prismatic-shape IMO type B)가 있다. 또한, Type C는 압력용기로써 1차 방벽이 설치된다.
도 1은 독립탱크형의 Type A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독립탱크형의 Type A 구조를 가지는 저장탱크는 전체 영역에 1차 방벽(1) 및 2차 방벽(2)의 설치로 액화가스의 누출을 안전하게 막을 수 있는 구조로써, 1차 방벽(1) 및 2차 방벽(2)이 모두 저장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는 강성에 기여하며 압출성형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1차 방벽(1) 및 2차 방벽(2)은 샌드위치 구조(A)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샌드위치 구조(A)로 이루어진 저장탱크는 저장탱크의 강성을 보완하는 횡방향 보강재(예를 들면, 웹)를 견고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식으로는 1차 방벽(1)과 2차 방벽(2)의 사이에 길이방향 보강재를 설치할 수는 있었지만, 길이방향 보강재와 교차하는 횡방향 보강재를 1차 방벽(1)과 2차 방벽(2)의 사이에 설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샌드위치 구조(A)의 외부에만 횡방향 보강재를 결합할 수 있었으므로 강성을 보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50183 등에 기재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1차 및 2차 방벽 사이에 웹을 결합시킬 수 있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방벽과,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방벽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rib)를 구비한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리브가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상기 복수의 리브가 삽입되는 슬롯이 각각 형성된 웹(web)과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샌드위치 방벽을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에 대칭적으로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상기 복수의 리브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상기 한 쌍의 방벽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슬롯 및 상기 슬롯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화제가 유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웹 및 상기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I자형 빔을 플랜지가 상호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각 I자형 빔의 플랜지를 인접한 다른 I자형 빔의 플랜지와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하부 방벽의 절개부를 커버하는 하부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제 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상부 방벽의 절개부를 커버하는 상부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홈으로 노출된 상기 리브를 상기 상부 덮개 또는 상기 하부 덮개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하부 방벽의 절개부를 용접하여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상부 방벽의 절개부를 용접하여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가 제거되어 절개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방벽,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방벽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 상기 절개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리브에 삽입되는 슬롯 및 상기 리브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가 형성된 웹(web), 상기 절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리브에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칸막이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 주입되어 상기 웹과 상기 복수의 리브를 결합시키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이 제공된다.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에 대칭적으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은 상기 한 쌍의 방벽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웹에는, 상기 슬롯 및 상기 슬롯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화제가 유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절개부를 각각 커버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홈으로 노출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덮개 또는 상기 하부 덮개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절개부는 용접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상기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중방벽 구조에서 방벽 사이에도 웹을 결합시킴으로써 저장탱크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방벽 구조에서 보강부재인 웹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독립탱크형의 Type A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방벽 제조방법은, 샌드위치 방벽 제공단계(S110), 절개부 형성단계(S120), 웹과 칸막이 설치단계(S130) 및 경화제 경화단계(S140)를 포함한다.
샌드위치 방벽 제공단계(S110)에서는, 상호 대향되게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방벽(10, 20) 및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방벽(10, 20)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리브(rib, 30)를 구비한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브(30)는 한 쌍의 방벽(10, 20)과 연결되도록, 한 쌍의 방벽(10, 20) 사이에 한 쌍의 방벽(10, 20)과 수직한 형태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의 방벽(10, 20)과 결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I자형 빔(5)을 맞붙여 연결함으로써, 샌드위치 방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I자형 빔(5)을 플랜지(7, 8)가 상호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 때, I자형 빔(5)은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중심판재(6)의 양단에, 가로방향의 뉘어진 한 쌍의 플랜지(7, 8)가 각각 결합된 형태로서 I자형 단면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플랜지(7, 8)는 횡으로 연장되므로, 복수의 I자형 빔(5)을 나란하게 이웃하여 배치시키면 각 I자형 빔(5)의 플랜지(7, 8)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I자형 빔(5)이 나란하게 배치되면, 상호 인접한 플랜지(7, 8)가 서로 연결되게 용접할 수 있다. 즉, 한 I자형 빔의 플랜지(7, 8)를 인접한 다른 I자형 빔의 플랜지와 용접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I자형 빔(5)의 플랜지(7, 8)는 서로 연결되어 방벽(10, 20)을 구성하게 되므로, 복수의 I자형 빔(5)을 용접으로 연결하면 서로 대향된 한 쌍의 방벽(10, 2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I자형 빔(5)의 중심판재(6)는 방벽(10, 20)을 연결하는 리브(30)가 된다.
따라서, 복수의 I자형 빔(5)을 맞붙여서 샌드위치 방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I자형 빔(5)은 압출성형에 의해 동일한 규격으로 대량으로 생산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규격의 I자형 빔(5)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대형의 샌드위치 방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절개부 형성단계(S120)에서는, 후술할 웹(40)과 리브(3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샌드위치 방벽에 절개부(12, 22)를 형성하여 내부의 리브(30)를 노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리브(30)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방벽(10, 20)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12, 22)를 형성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방벽(10, 20)에서 웹(40)이 설치될 부분(11, 21)을 대칭적으로 잘라내어 절개부(12, 2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샌드위치 방벽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웹(40)을 한 쌍의 방벽(10, 20)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용접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이 때, 절개부(12, 22)의 폭은 후술할 경화제의 종류, 리브의 높이 및 경과공정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웹과 칸막이 설치단계(S130)에서는, 절개부(12, 22)의 양단에 각각 웹(40)과 칸막이(50)를 설치하여 후술할 경화제(60, 도 8 참조)가 주입될 공간을 구획한다. 이 때, 웹(40)과 칸막이(50)는 이중방벽의 횡방향 강성을 보완하도록, I자형 빔(5) 길이 방향에 대한 횡방향 즉, I자형 빔(5)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웹(40)과 칸막이(50)에는 각각 리브(3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44, 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샌드위치 방벽 내부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웹(40)은 샌드위치 방벽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웹(40)은 샌드위치 방벽의 리브(30)와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샌드위치 방벽의 강성을 보완하는 웹(40)의 보강부(42)는 리브(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샌드위치 방벽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보강부(42)의 아래에는 샌드위치 방벽의 리브(3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4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웹(40)에서 슬롯(44)이 형성된 하단부는 샌드위치 방벽의 리브(30)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샌드위치 방벽에는 대칭적인 절개부(12, 22)로 인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관통 공간의 일측에 설치된 웹(40)은 샌드위치 방벽의 한 쌍의 방벽(10, 20)과 모두 용접(46)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7을 참조).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칸막이(50)도 샌드위치 방벽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리브(3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칸막이(50)는 절개부(12, 22)의 타측에서 웹(40)을 마주하게 설치되어서, 웹(40)과 함께 샌드위치 방벽의 내부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구획하여 경화제(6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 때, 칸막이(50)도 샌드위치 방벽과 용접(54)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경화제 경화단계(S140)에서는, 경화제(60)를 이용하여 웹(40)을 샌드위치 방벽의 리브(30)와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웹(40)과 칸막이(50) 사이의 구획된 공간에 경화제(60)를 주입하고 경화시킨다.
이 때, 경화제(60)가 주입되기 이전에, 경화제(6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아래를 막는 하부 덮개(2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방벽(10, 20) 중 아래에 배치된 방벽(20)의 절개부(22)를 커버하는 하부 덮개(25)를 설치하여 경화제(60)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샌드위치 방벽에 웹(40)과 칸막이(50)가 설치되면, 웹(40)과 칸막이(50) 사이에는 웹(40), 칸막이(50) 및 리브(30)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웹(40), 칸막이(50) 및 리브(30)로 구획된 공간은 상부 및 하부로 열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에 배치된 방벽(20)의 절개부(22)에 하부 덮개(25)를 배치하고, 웹(40) 및 칸막이(50)와 용접(26)으로 결합시킨다.
이 때, 하부 덮개(25)에 리브(30)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을 형성하고 용접홈으로 노출된 리브(30)도 하부 덮개(25)와 용접(26)으로 결합시켜서 하부 덮개(25)를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절개부(12, 22)의 폭이 매우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별도의 덮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만을 이용하여 절개부(12, 22)를 커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획된 공간에 경화제(60)를 투입하여 경화시키면 웹(40)은 리브(30)와 경화제(60)로 인해 결합되게 된다. 이 때, 경화제(60)로는 시멘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웹(40), 칸막이(50) 및 리브(30)로 둘러싸여 구획된 공간에 경화제(60)인 시멘트를 부어서 리브(30)에 웹(40)과 칸막이(50)를 함께 결합시킨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웹(40)의 슬롯(44)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경화제(60)가 유입되는 결합홀(4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40)에는 경화제(60)로 결합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향된 한 쌍의 방벽(10, 20)으로 이루어진 이중방벽 구조에서도 한 쌍의 방벽(10, 20) 사이에 웹(40)을 배치하고 결합시킴으로써, 이중방벽의 강성을 높여서 전체 저장탱크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30)와 웹(40)을 일일이 용접시키지 않고 한번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보강부재인 웹(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화제(60)가 수용된 공간의 상부를 막는 상부 덮개(15)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방벽(10, 20) 중 위에 배치된 방벽(10)의 절개부(12)에 상부 덮개(15)를 배치하고, 웹(40) 및 칸막이(50)와 용접(16)으로 결합시킨다.
이 때, 상부 덮개(15)에 리브(30)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을 형성하고 용접홈으로 노출된 리브(30)도 상부 덮개(15)와 용접(16)으로 결합시켜서 상부 덮개(15)를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절개부(12, 22)의 폭이 매우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별도의 덮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만을 이용하여 절개부(12, 22)를 커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방벽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의 구조를 정리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은 한 쌍의 방벽(10, 20), 복수의 리브(30), 웹(40), 칸막이(50) 및 경화제(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방벽(10, 20)은 이격된 1차 및 2차 방벽을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방벽(10, 20)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리브(30)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리브(30)는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방벽(10, 20)에 결합되어 한 쌍의 방벽(10, 20)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방벽(10, 20)에는 일부가 제거되어 절개부(12, 22)가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12, 22)의 일단에는 웹(40)이 설치되어 있다. 웹(40)은 리브(30)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42) 및 보강부 하부에 형성된 슬롯(44)을 구비하여, 절개부(12, 22)로 노출된 복수의 리브(3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방벽(10, 20)에는 대칭적인 절개부(12, 22)가 형성되어 절개부(12, 22)를 통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로 관통된 공간을 통과한 웹(40)은 한 쌍의 방벽(10, 2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절개부(12, 22)의 타단에는 칸막이(50)가 설치된다. 이 때, 칸막이(50) 에도 슬롯(52)이 형성되어서, 칸막이(50)는 절개부(12, 22)로 노출된 복수의 리브(3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칸막이(50)는 한 쌍의 방벽(10, 2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경화제(60)는 웹(40)과 칸막이(50) 사이의 구획된 공간에 채워져 웹(40)과 복수의 리브(30)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웹(40), 칸막이(50) 및 리브(30)로 둘러싸인 공간에 경화제(60)가 주입되고 경화된다.
이 때, 웹(40)에는, 슬롯(44)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경화제(60)가 유입되는 결합홀(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40)은 경화제(60)와 결합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리브(30)와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방벽(10, 20)의 절개부(12, 22)에는 절개부(12, 22)를 커버하는 상부 덮개(15) 및 하부 덮개(2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덮개(15) 및 하부 덮개(25)는 절개부(12, 22) 형성으로 인하여 단절된 한 쌍의 방벽(10, 20)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경화제(60) 주입 시에 경화제(60)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덮개(15) 및 하부 덮개(25)가 웹(40) 및 칸막이(50)와 용접(16, 26)으로 결합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상부 덮개(15) 및 하부 덮개(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리브(30)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접홈으로 노출된 리브(30)는, 상부 덮개(15) 또는 하부 덮개(25)에 용접(16, 26)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절개부(12, 22)의 폭이 매우 작게 형성될 경우에는 별도의 덮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만을 이용하여 절개부(12, 22)가 커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은 선박에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LNG 운반선이나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 저장탱크를 구비한 다양한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선박은 자항능력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는 종래의 선박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20: 방벽
12, 22: 절개부
30: 리브
40: 웹
44, 52: 슬롯
45: 결합홀
50: 칸막이
60: 경화제

Claims (16)

  1.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방벽과,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방벽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rib)를 구비한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리브가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상기 복수의 리브가 삽입되는 슬롯이 각각 형성된 웹(web)과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샌드위치 방벽을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에 대칭적으로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상기 복수의 리브에 끼우는 단계;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상기 한 쌍의 방벽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 및 상기 슬롯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화제가 유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웹 및 상기 칸막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I자형 빔을 플랜지가 상호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각 I자형 빔의 플랜지를 인접한 다른 I자형 빔의 플랜지와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하부 방벽의 절개부를 커버하는 하부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상부 방벽의 절개부를 커버하는 상부 덮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홈으로 노출된 상기 리브를 상기 상부 덮개 또는 상기 하부 덮개에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방벽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하부 방벽의 절개부를 용접하여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제를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한 쌍의 방벽 중 상부 방벽의 절개부를 용접하여 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제조방법.
  9.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가 제거되어 절개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방벽;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사이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방벽에 결합된 복수의 리브;
    상기 절개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리브에 삽입되는 슬롯 및 상기 리브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부가 형성된 웹(web);
    상기 절개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리브에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칸막이; 및
    상기 웹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 주입되어 상기 웹과 상기 복수의 리브를 결합시키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벽에 대칭적으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및 상기 칸막이는 상기 한 쌍의 방벽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에는, 상기 슬롯 및 상기 슬롯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화제가 유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절개부를 각각 커버하는 상부 덮개 및 하부 덮개를 더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및 상기 하부 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리브를 노출시키는 용접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접홈으로 노출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부 덮개 또는 상기 하부 덮개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방벽의 절개부는 용접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이중방벽.
  16.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장탱크의 이중방벽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10113615A 2011-11-02 2011-11-02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15A KR101313193B1 (ko) 2011-11-02 2011-11-02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15A KR101313193B1 (ko) 2011-11-02 2011-11-02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45A KR20130048645A (ko) 2013-05-10
KR101313193B1 true KR101313193B1 (ko) 2013-09-30

Family

ID=4865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15A KR101313193B1 (ko) 2011-11-02 2011-11-02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2187U (ko) * 1985-01-18 1986-08-01
WO1987002086A1 (en) 1985-09-27 1987-04-09 British Shipbuilders Construction of large sandwich structures
JP2002012182A (ja) 2000-06-29 2002-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殻構造を有する船体構造
KR20110064981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 플레이트, 이를 구비한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 용기 및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2187U (ko) * 1985-01-18 1986-08-01
WO1987002086A1 (en) 1985-09-27 1987-04-09 British Shipbuilders Construction of large sandwich structures
JP2002012182A (ja) 2000-06-29 2002-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二重殻構造を有する船体構造
KR20110064981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 플레이트, 이를 구비한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 용기 및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45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5003B2 (en) Cargo tank for extremely low temperature substance carrier
CN102159451B (zh) 液化气储罐和包含液化气储罐的海运结构
US8671863B2 (en) Hull conversion of existing vessels for tank integration
KR20210003145A (ko) 선박용으로 구성된 액체 가스 화물용 저장 및/또는 운송 탱크
JP2018525578A (ja) コルゲート金属シートを備えたコーナー配置が設けられた二次密閉膜を有する密閉断熱タンク
CN116428506A (zh) 绝热密封贮罐
KR20060043695A (ko) 비투과성 탱크 멤브레인의 지지 및 단열을 위한 자체 지지목재 박스
JP7195071B2 (ja) 密閉断熱タンク
CA2957403C (en) Corner structure of lng storage tank
JP7268969B2 (ja) アングルブラケットを備える密閉断熱タンク
CN109477610B (zh) 纳入多面体支撑结构中的密封且热绝缘的贮罐
KR102437681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
AU2014285934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KR20100011978U (ko)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KR20180029033A (ko) 응력 완화 슬롯이 제공된 절연 코너 블록을 포함하는 선박
JP2019049348A5 (ko)
KR101259149B1 (ko) 액상화물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00123157A (ko) 보강 구역을 포함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체 기밀식 용기 벽
CN108883815B (zh) 具有空隙空间的船舶货舱
AU2014255598B2 (en) 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KR10125905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13193B1 (ko) 저장탱크의 이중방벽과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제조방법
EP2089267B1 (en) Upper structure of cargo tank in lngc
KR102205481B1 (ko) 샌드위치단열구조의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샌드위치단열구조가 적용되는 lpg 탱크, 코퍼댐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324625B1 (ko) 액화물 저장탱크와 이를 구비한 선박 및 액화물 저장탱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