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339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339A
KR20130090339A KR20130009623A KR20130009623A KR20130090339A KR 20130090339 A KR20130090339 A KR 20130090339A KR 20130009623 A KR20130009623 A KR 20130009623A KR 20130009623 A KR20130009623 A KR 20130009623A KR 20130090339 A KR20130090339 A KR 2013009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ttery
battery pack
battery arra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117B1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어레이, 사이드 플레이트, 탑 커버, 엔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배터리 어레이는 제1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다. 배터리 어레이는 제1-1, 1-2, 2-1, 2-2, 3-1, 3-2면의 육면체로 형성된다. 탑 커버는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제1-1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에 보강프레임을 구비한다. 보강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단면 형상이 ‘L’형으로 형성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제3-1면 및 제3-2면에 구비되고, 상기 탑 커버에 고정된다. 사이드 플레이트는 제2-1면 및 제2-2면에 구비되고, 각각 제1-1면의 탑 커버의 양 측면을 가압하는 거치부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경량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팩과 냉각부재의 접촉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며, 복수의 배터리 셀의 냉각효율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져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고출력, 고용량을 구현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배터리를 하나의 단위로 배터리 팩을 구성하고, 이러한 배터리 팩 다수를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대용량 및 고출력 전원으로써 구동하게 된다.
한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특성상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은 진동 등으로 인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배터리 팩은 냉각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자동차의 저면 등에 고정된다. 또한, 수냉식의 냉각을 하는 HEV, PHEV, EV 전지는 냉각부재와의 접촉성에 따라 냉각 효율이 좌우된다. 특히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 셀들과 냉각부재와의 접촉 압력이 다를 경우 셀간 온도 편차를 크게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냉각부재와 각각의 셀들이 충분하면서 균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터리 팩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배터리 팩과 냉각부재와의 접촉 압력을 증가 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터리 팩의 고정을 위한 하중이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어레이;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배터리 어레이를 덮고 내부에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 어레이상의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에 체결된 제2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커버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 상기 보강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 L 자형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벽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L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의 각각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를 향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측벽의 제2영역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체결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U 자형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외측을 향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 냉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개싱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개싱 가이드부는 가스의 방출을 위한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한 폐쇄된 채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쌍의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커버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커버는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또는 철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재와 사이드 프레임이 직접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배터리 팩과 냉각부재와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사출(특히,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보강 프레임이 탑 커버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에 의한 고정력이 각 배터리 셀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팩과 냉각부재의 접촉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증대시키며, 복수의 배터리 셀의 냉각효율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터리 어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보강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c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보강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a 내지 도 6c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상하좌우' 등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어레이, 사이드 플레이트, 탑 커버, 엔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어레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배터리 어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배터리 어레이는 제1 방향(도면 상 X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렬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10)을 구비한다. 배터리 셀(10)은 제1 전극단자(11)와 제2 전극단자(12)를 구비하고, 특정 상황에서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벤트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배터리 셀(10)들 사이에는 배리어(115)가 개재될 수 있다. 배리어(115)에는 스페이서(115a)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이격시키고, 상기 배터리 셀(10) 사이의 공간을 형성시켜 배터리 셀(10)을 냉각시키는 냉매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 배터리 셀(10)들은 인접하는 타 배터리 셀(10)의 단자간을 연결하게 된다. 배터리 어레이(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배터리 셀의 단자들이 정렬된 XY 평면을 제1-1면이라 하고, 제1-1면의 맞은편 면을 제1-2면이라 한다. 또한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1면의 양 측면을 따라 제1-2면까지 형성되는 ZX평면과 평행한 면을 제2-1 및 제2-2면이라 하고,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1면의 양 단부로부터 제1-2면까지 형성되는 YZ 평면과 평행한 면을 제3-1 및 제3-2면이라 가정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엔드 플레이트, 사이드 플레이트 및 냉각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드 플레이트(200)는 배터리 어레이(100)의 제3-1면 및 제3-2면에 구비된다. 엔드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냉각부재(500) 탑 커버(400) 및 사이드 플레이트(300)와 고정된다. 고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배터리 어레이(100)의 제2-1면 및 제2-2면에 구비된다.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본체(310)와 거치부(311)를 포함한다. 본체(310)는 배터리 어레이(100)의 제2-1면 및 제2-2면에 밀착되어 구비되며, 배터리 셀(10)이 이탈하거나, 배터리 어레이(100)가 횡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거치부(311)는 본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제1-1평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거치부(311)는 후술할 제1 커버(410)의 측면부를 냉각부재(500) 방향(D1)으로 가압한다. 한편, 사이드 플레이트(300)의 본체(310)는 상술한 엔드 플레이트(200)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사이드 플레이트(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경량화 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용 등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 구성의 지지 역할 뿐 아니라 경량화 또한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따라서 배터리 팩(1000)의 구조 유지에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는 한 사이드 플레이트(300)에는 개수 및 크기에 제한없이 제1 경량화 홀(3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300)의 하부에는 연장부(351)이 형성된다. 연장부(351)는 배터리 어레이(100)의 제2-1면 및 제2-2면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연장부(35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고정부(352)가 형성된다. 고정부(352)는 후술할 냉각부재(50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00)이 냉각부재(500)에 고정됨으로써 거치부(311)가 보다 견고하게 탑 커버(400)의 양 측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장부(351)에도 경량화를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면에는 냉각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부재(500)는 냉매 유출입구(501)를 둘 이상 구비하여 냉매를 유출입 시켜 배터리 팩을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이 경우 엔드 플레이트(200)와 사이드 플레이트(300)는 냉각부재(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고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탑 커버 및 보강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보강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a 내지 도 4c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탑 커버(400) 제1 커버(410)와 제2 커버(450)로 나뉜다. 제1 커버(410)는 배터리 어레이(100)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양 단부가 엔드 플레이트(200)와 고정된다. 제1 커버(410)에는 각 배터리 셀(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디개싱 가이드부(412)와 디개싱 홀(411)이 형성된다.
각 배터리 셀(10)의 전극 단자(11, 12)들은 둘러쌓고 있는 단자커버(430)를 통하여 단락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 된다. 또한 연결된 단자들끼리 공간적으로 구분하는 제1 구획벽(423)을 구비하여 볼트, 너트 또는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어 제1 및 제2 전극 단자(11, 12)들 간에 단락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자커버(430)의 측면 외측에는 탑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구획벽(420)이 구비된다.
제1 커버(410)의 상부에는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커버(4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450)는 디개싱을 위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디개싱 유로(412) 또는 이물질의 투입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단자커버(430)들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홀(451)를 통하여 제1 커버(410a)에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한편, 제1 커버(410)의 경우 절연 및 이물질 투입의 방지가 주 목적이므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사이드 프레임(300)의 거치부(311)에 의하여 탑 커버의 양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은 일 부분에 집중되며, 이러한 압력은 배터리 팩(1000)이 뒤틀리거나 휘는 등 구조적인 안정성을 해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하에서 설명할 강화 부재로서 보강 프레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개싱 가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개싱 가이드부는 가스의 방출을 위한 개구부를 양단에 구비하고 배터리 셀에서 방출된 가스가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만 배출되도록 폐쇄된 형태의 채널 또는 유로형태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440)은 수직 프레임(441)과 수평 프레임(442)으로 구분된다. 수직 프레임(441)은 수평 프레임(442)의 일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종단면의 형상이 먼저 'L'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보강 프레임의 경우에도 경량화를 위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제2 경량화 홀(443a, 443b)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300)과 마찬가지로 보강 프레임(440a, 440b)의 최소 강도를 유지하는 한 제2 경량화 홀(443a, 443b)의 개수, 크기 및 형태에 관계없이 형성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은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알루미늄(Al) 합금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티타늄(Ti), 니켈(Ni), 망간(Mn), 크롬(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특수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중 사출방식으로 보강 프레임(440)과 제1 커버(41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수직 프레임(441)이 제1 커버(410)의 제2 구획벽(420) 내부에 구비되고, 수평 프레임(442)이 제1 커버(410)의 제2구획벽(420)의 외측으로 연장된 측면 단부측(421)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구획벽(420)은 측벽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측벽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L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 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구획벽(420)이고, 제2영역은 상기 측면 단부측(421)을 나타낸다.
또한 보강 프레임(440)의 길이, 특히 수평 프레임(442)의 길이는 상술한 거치부(311)에 의한 압력을 효율적으로 분배시키기 위하여 거치부(3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보강 프레임(440, 440a 440b, 440c)들은 공통적으로 수직 프레임(441) 및 수평 프레임(442)이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어레이(100) 또는 배터리 팩(1000)이 수직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드 프레임(300)의 거치부(311)에 의한 압력을 각 배터리 셀(10)에 고루 분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 커버 및 보강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프레임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보강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a 내지 도 6c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9a 및 9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평 프레임(442)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부(445a, 445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돌출부(44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돌출부(445b)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강 프레임(440d, 440e)이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하여 제1 커버(410a, 410b) 내에 구비되기 때문에 돌출부(445a, 445b)는 제1 커버(410a, 410b)의 재질인 합성 수지에 의하여 둘러쌓여져 절연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300)의 거치부(311)에는 상술한 돌출부(445a, 445b)에 대응하는 체결홀(312a, 312b)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사이드 프레임(300)의 거치부(311)에는 돌출부(445a, 445b)의 위치, 크기 및 개수에 대응하도록 체결홀(312a, 312b)들이 형성된다. 조립 시에는 돌출부(445a, 445b)가 체결홀(312a, 312b)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돌출부(445a, 445b)와 체결홀(312a, 312b)이 체결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뒤틀림 현상이 더욱 줄어들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440d, 440e)들은 공통적으로 수직 프레임(441) 및 수평 프레임(442)이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어레이 또는 배터리 팩이 수직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드 프레임(300a, 300b)에 의한 수직 방향의 압력을 각 배터리 셀(10)에 고루 분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된 단일의 돌출부(445a)는 거치부(311a)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또 다른 수직 프레임처럼 기능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410b)에 다수의 돌출부(445b)가 형성된 경우에는 사이드 프레임(300b)의 거치부(311b)와 제1 커버(410b)의 체결력을 부가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조립된 배터리 팩은 외부 단자(431)를 통하여 인접하는 배터리 팩끼리 연결되어 보다 큰 단위로서 배터리 모듈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배터리 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배터리 어레이 200: 엔드 플레이트
300: 사이드 플레이트 310: 사이드 플레이트 본체
311: 거치부 400, 400a, 400b: 탑 커버
410, 410a, 410b: 제1 커버 420: 제2 커버
440, 440a, 440b, 440c, 440d, 440e: 보강 프레임
1000: 배터리 팩

Claims (17)

  1.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어레이;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양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배터리 어레이 상의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에 체결된 제2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 상기 보강 프레임이 구비된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 배터리 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L 자형 단면을 갖는 배터리 팩.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L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각각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를 향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거치부는 상기 측벽의 제2영역과 접촉되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U 자형 단면을 갖는 배터리 팩.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부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의 외측을 향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와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냉각부재가 결합된 배터리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커버에 연결된 배터리 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커버는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또는 철합금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0130009623A 2012-02-03 2013-01-29 보강 프레임이 마련된 배터리 팩 KR101669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4763P 2012-02-03 2012-02-03
US61/594,763 2012-02-03
US13/733,799 2013-01-03
US13/733,799 US9660231B2 (en) 2012-02-03 2013-01-03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339A true KR20130090339A (ko) 2013-08-13
KR101669117B1 KR101669117B1 (ko) 2016-10-25

Family

ID=4766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623A KR101669117B1 (ko) 2012-02-03 2013-01-29 보강 프레임이 마련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60231B2 (ko)
EP (1) EP2624330B1 (ko)
JP (1) JP6198401B2 (ko)
KR (1) KR101669117B1 (ko)
CN (1) CN10324776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83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0770765B2 (en) 2016-09-28 2020-09-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frame structure and frame assembly for the battery module
KR20220084756A (ko) * 2020-12-14 2022-06-21 (주) 영진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US11721851B2 (en) 2017-12-12 2023-08-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795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1772115B1 (ko) * 2013-09-03 2017-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455478B2 (en) * 2014-01-07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V battery pack with battery cooling assembly and method
US10090494B2 (en) * 2014-03-31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structure for battery cells within a traction battery assembly
US9887439B2 (en) * 2014-05-13 2018-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biasing a battery cell to enhance thermal energy transfer
US9472792B2 (en) 2014-05-21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taining battery cells of traction batteries
CN105322113B (zh) 2014-07-30 2019-09-2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US20160359151A1 (en) 2015-06-05 2016-12-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upport member for battery pack top housing
US9929441B2 (en) * 2015-10-02 2018-03-27 Bosch Battery Systems, Llc Elastic bellows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JP6629140B2 (ja) * 2016-05-31 2020-01-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KR102092113B1 (ko) * 2016-06-15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방식의 체결 부재로 결합된 외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1018392B2 (en) 2016-07-07 2021-05-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arrier, battery module and vehicle with a battery system
US9960402B2 (en) * 2016-09-07 2018-05-01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Process of manufacturing a battery system assembly using the battery system assembly press
US11367916B2 (en) * 2016-09-23 2022-06-21 Artisan Vehicle Systems, Inc. Modular battery cover for electric vehicle
DE102016221817A1 (de) * 2016-11-08 2018-05-09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an Batteriezellen und Batterie
CN106450091B (zh) * 2016-11-25 2019-07-09 北京海博思创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
JP6586969B2 (ja) * 2016-12-20 2019-10-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CN110402501A (zh) 2017-01-27 2019-11-01 Cps科技控股有限公司 电池带
US11936032B2 (en) 2017-06-09 2024-03-19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bsorbent glass mat battery
KR20200014317A (ko) 2017-06-09 2020-02-10 씨피에스 테크놀로지 홀딩스 엘엘씨 납산 배터리
CN110770936A (zh) * 2017-06-12 2020-02-0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WO2019065197A1 (ja) * 2017-09-26 2019-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拘束部材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US10720619B2 (en) 2017-10-16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ray frame mounting inserts for securing battery assemblies
KR102497037B1 (ko) * 2017-12-06 2023-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팩 구조
KR102585988B1 (ko) * 2018-06-20 2023-10-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617730B1 (ko) 2018-10-08 2023-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00040024A (ko) 2018-10-08 2020-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00040025A (ko) * 2018-10-08 2020-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20898B1 (ko) 2018-10-17 2021-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TWM612458U (zh) 2019-03-12 2021-06-01 美商米沃奇電子工具公司 動力工具
US20220278411A1 (en) * 2019-08-03 2022-09-01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nd power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this power supply device
US11901570B2 (en) 2019-09-16 2024-02-13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KR102473336B1 (ko) * 2019-10-07 2022-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64825B1 (ko) * 2019-10-10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5966823A (zh) * 2021-05-14 2023-04-14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电池包的装配工艺及车辆
CN117916942A (zh) * 2021-09-01 2024-04-19 莫列斯有限公司 用于电池单元阵列的汇流排组件
CN217589292U (zh) * 2022-01-24 2022-10-14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电池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280A (en) * 1995-10-13 1998-01-20 Gnb Technologies, Inc. Sealed lead-acid cell tray assembly and motive powered vehicle using such cell tray assembly
TW447153B (en) * 1999-06-07 2001-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orage battery
JP5059990B2 (ja) 2000-02-15 2012-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固定方法
JP3887145B2 (ja) 2000-05-25 2007-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カバーの衝撃吸収構造
JP4136328B2 (ja) 2001-05-14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拘束装置
JP3850688B2 (ja) * 2001-07-19 2006-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電池及び組電池の冷却装置
JP3891860B2 (ja) 2002-02-26 2007-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集合電池および電池システム
JP4849903B2 (ja) * 2006-02-08 2012-01-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919390B1 (ko) 2006-02-13 2009-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직 적층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
JP4283833B2 (ja) * 2006-09-06 2009-06-2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141057B1 (ko) 2007-06-28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
KR101029838B1 (ko) * 2007-06-28 201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JP5334420B2 (ja) * 2008-01-16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EP2273583B1 (en) 2008-04-11 2014-07-23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ealed rectangular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same
US8580423B2 (en) * 2009-10-22 2013-11-12 Samsung Sdi Co., Ltd. Bus bar hold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182427B1 (ko) 2009-12-21 2012-09-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US20110165451A1 (en) 2010-01-05 2011-07-07 Myung-Chul Kim Battery pack
JP2011175743A (ja) * 2010-02-23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US8999557B2 (en) * 2010-04-21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elastic frame
US9065111B2 (en) * 2010-05-26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126889B1 (ko) 2010-05-31 2012-03-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02010046529A1 (de) * 2010-09-24 2012-03-29 Volkswagen Ag Rahmensystem für Batteriezellen sowie Batteriemodul
KR101191659B1 (ko) *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734704B2 (ja) * 2011-02-28 2015-06-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783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0770765B2 (en) 2016-09-28 2020-09-08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frame structure and frame assembly for the battery module
US11721851B2 (en) 2017-12-12 2023-08-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220084756A (ko) * 2020-12-14 2022-06-21 (주) 영진 하이브리드 차량용 경량 배터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60231B2 (en) 2017-05-23
CN103247766A (zh) 2013-08-14
KR101669117B1 (ko) 2016-10-25
JP6198401B2 (ja) 2017-09-20
EP2624330A1 (en) 2013-08-07
US20130202926A1 (en) 2013-08-08
EP2624330B1 (en) 2018-05-02
JP2013161792A (ja) 2013-08-19
CN103247766B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117B1 (ko) 보강 프레임이 마련된 배터리 팩
KR101794265B1 (ko) 보강 비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8808887B2 (en) Battery pack
KR10118242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252952B1 (ko) 배터리 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
US9153806B2 (en) Power source unit
US7858229B2 (en) Cell-module cartridge, cell-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KR20120047800A (ko) 배터리 모듈
KR102257681B1 (ko) 배터리 모듈
US20140212723A1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252936B1 (ko) 배터리 팩
US10868347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 cooling plate with embedded cooling tubes
KR20130015115A (ko) 배터리 모듈
CN114342167A (zh) 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车辆
JP2015225765A (ja) 蓄電装置の冷却構造
KR101799565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US7960941B2 (en) Battery module
US20200358152A1 (en) Battery pack
KR2011007536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101252949B1 (ko) 배터리 모듈
EP2804235B1 (en) Secondary battery
KR101312274B1 (ko) 배터리 팩
KR20140052519A (ko) 배터리 팩
KR20170142481A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