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137A -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137A
KR20130090137A KR1020120011242A KR20120011242A KR20130090137A KR 20130090137 A KR20130090137 A KR 20130090137A KR 1020120011242 A KR1020120011242 A KR 1020120011242A KR 20120011242 A KR20120011242 A KR 20120011242A KR 20130090137 A KR20130090137 A KR 2013009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frequency
service
dab
servic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882B1 (ko
Inventor
김성태
김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2001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8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3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03J7/186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combined with selection between different stations transmitting the same programm, e.g. by analysis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using two or more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하나이거나 다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그 중 하나의 튜너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의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과,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두 개이거나 복수의 서브튜너를 포함하는 경우의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DAB 환경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너에 의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링크할 서비스의 탐색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setting service link operation in DAB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ith DAB service link operation sett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AB 단말 상에 튜너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 디지털 오디오 방송 환경에서 서비스링크가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기 위한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5년 영국에서 시작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현재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서비스로 CD 수준의 오디오와 데이터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이다.
DAB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대체하면서 향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매체로서 성장하리라고 예상되며, 몇 년 전부터 북미를 제외한 세계 대다수의 국가에서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2004년경부터 DAB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DAB 서비스는 OFDM 전송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이동환경에서의 수신성능이 월등하다.
종래에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시 DAB 단말 내부에 구비된 튜너 개수, 그 수신된 서비스링크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링크 DB, 그리고 현재 튜너의 상태 등과 무관하게 일관된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여러가지 내외부 조건을 반영하지 못하여 서비스링크가 완료되는 시점이 늦어지며, 그에 따라 정확도가 낮고 심리스 링크(seamless link)를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DAB 시스템에서 DAB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링크의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은 DAB 서비스의 품질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로,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실제 방송 환경에 최적화되어 링크할 서비스에 대한 탐색 및 서비스링크 동작을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디지털 오디오 방송망과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DAB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16661호)
2.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Method for Delineating Packets in Digital Audio/Multimedia Broadcasting (DAB/DMB) Receiver Systems)(특허출원번호 제10-2006-0117617호)
3. FM 간섭하에서 DAB 시스템 性能 分析 硏究(저자명 박희석, 문서유형 학위, 논문학위수여기관 한양대학교, 학위수여년도 2001)
4. HD Radio 시스템을 위한 전파 간섭 분석(저자명 홍무현, 문서유형 석사학위논문, 학위수여기관 충북대학교, 학위수여년도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환경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너에 의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링크할 서비스의 탐색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제 1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하나이거나 다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그 중 하나의 튜너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의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DAB 단말이 DAB 방송에 대한 약전계로의 진입에 따라 튜너에 의한 서비스링크 동작 수행을 위해 서비스링크 DB에서 주파수가 추출되는 제 1 단계; 튜너에 의한 위 추출된 주파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는 그 추출된 주파수의 개수(n)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는, 위 추출된 주파수에서의 각 주파수의 정략적 수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는 단계;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 m이 초기값으로 설정되는 단계;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위 정렬된 상태를 기초로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일 측의 유효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단계;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다른 측의 유효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는,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 m에 대한 1을 더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m의 값이 n보다 큰 경우, 튜너에 의한 위 추출된 주파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종료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캔을 종료하는 단계는, m의 값이 n보다 작은 경우는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그 정렬된 상태를 기초로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일 측의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단계;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다른 측의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단계;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 m에 대한 1을 더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m의 값이 n보다 큰 경우, 튜너에 의한 위 추출된 주파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종료되는 단계;를 m의 값이 n보다 크게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제 2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두 개이거나 복수의 서브튜너를 포함하는 경우의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메인튜너의 DAB 방송의 수신 상태가 확인되는 제 1 단계;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 2 단계; 수신 상태가 서비스링크 DB의 구성이 완료되기 전까지 정상이고,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서브튜너에 의한 심리스 링크가 수행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심리스 링크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는 서브튜너에 의한 위 탐지된 서비스 수신시 오디오 재생은 수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리스 링크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는,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가 미리 설정된 횟수까지 수행되는 단계;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고 메인튜너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가 수신되지 못한 경우, 서브튜너에 의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리스 링크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는,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서브튜너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메인튜너에서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튜너에서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는, 서브튜너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메인튜너에 의한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 대한 수신이 시도되는 단계;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가 미리 설정된 횟수까지 수행되는 단계;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고 메인튜너에 의한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의 수신이 수행되지 못한 경우, 서브튜너에 의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제 3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두 개이거나 복수의 서브튜너를 포함하는 경우의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메인튜너의 DAB 방송의 수신 상태가 확인되는 제 1 단계;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제 2 단계;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이며, 서브튜너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비스링크 DB를 기초로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색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링크 DB를 기초로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를 탐색하는 제 3 단계는,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서브튜너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메인튜너에서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튜너에서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는 단계는, 서브튜너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메인튜너에 의한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 대한 수신이 시도되는 단계;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브튜너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비스링크 DB를 기초로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는, 위 추출된 주파수에서의 각 주파수의 정략적 수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는 제 2a 단계;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일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 그리고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수행되는 제 2b 단계; 튜너에 의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다른 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 그리고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수행되는 제 2c 단계;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위 정렬된 주파수에 대한 스캔 완료되지 않은 경우 현재 주파수를 제외하고 스캔이 완료된 주파수를 삭제한 뒤 제 2b 단계와 제 2c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 2d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디지털 오디오 방송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모드 내지 제 3 모드의 동작 방법을 설정함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너에 의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링크할 서비스의 탐색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심리스 링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제 1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제 2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제 3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AB 시스템은 DAB 송출장치(10)와 DAB 단말(20)을 포함하며, DAB 단말(20)은 제어부(21), 저장부(22), 튜너(23)를 포함한다.
이때 튜너(23)는 메인튜너(23a)와 서브튜너(23b)의 두 개 이상을 구비한다. 메인튜너(23a)는 DAB 송출장치(1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재생에 필요한 스트림을 직접 수신하여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고, 서브튜너(23b)는 DAB 송출장치(1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 재생에 필요한 스트림을 수신하지는 않고 메인튜너(23a)에 의한 오디오 출력 외에 이러한 오디오 출력을 보조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저장부(22)는 DAB 방송을 위한 서비스링크(Service Link)를 위한 서비스링크 DB(22a)가 저장된다. 여기서 서비스링크 DB(22a)는 서비스링크 동작을 위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 1 모드 내지 제 3 모드로의 동작 방법 설정이 가능한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제 1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의 동작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모드(mode 1)는 튜너(23)의 개수가 메인튜너(23a)만으로 구성되어 하나인 경우, 그리고 튜너(23) 내부의 서브튜너(23b)가 하나 이상 포함되었지만 이 중에서 단지 하나의 튜너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다. 이런 하나의 튜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튜너(23)로 표기한다.
먼저, DAB 단말(20)이 약전계로 진입한 후에(S100), 튜너(23)는 서비스링크 동작 특성상 서비스링크 동작을 수행을 개시한다(S101). 이에 따라, 제어부(21)는 저장부(22)의 서비스링크 DB(22a)로부터 주파수를 추출한 뒤, 그 추출된 주파수의 개수를 산출한다(S102).
단계(S102) 이후, 제어부(21)는 단계(S102)에서 추출된 주파수 및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예: 주파수 값)를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S103).
단계(S103) 이후, 제어부(21)는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일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104).
단계(S104) 이후, 제어부(21)는 다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105).
단계(S105) 이후, 제어부(21)는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다른 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106).
단계(S106) 이후, 제어부(21)는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양측의 모든 주파수에 대한 스캔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107).
단계(S107)의 판단 결과 스캔이 완료된 경우에는(S108) 제어부(21)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단계(S107)의 판단 결과 스캔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S108) 제어부(21)는 현재 주파수를 제외하고 스캔이 완료된 단계(S102)에서 추출된 주파수를 삭제한 뒤(S109), 앞의 단계(S104)로 회귀하여 단계(S102)에서 추출된 모든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S104)로 회귀하여 단계(S104) 내지 단계(S109)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제 1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의 동작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DAB 단말(20)이 약전계로 진입한 경우를 가정해보면(S1) 튜너(23)는 서비스링크 동작 특성상 서비스링크 동작을 수행을 개시한다(S2). 이에 따라, 제어부(21)는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던 서비스링크 DB(22a)로부터 주파수를 추출한 뒤, 그 추출된 주파수의 개수(n, n은 자연수)를 산출한다(S3).
단계(S3) 이후, 제어부(21)는 단계(S3)에서 추출된 주파수 및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Scan) 명령 튜너(23)로 전송한다(S4). 이에 따라, 제어부(21)는 단계(S3)에서 추출된 주파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를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S5).
단계(S5) 이후, 제어부(21)는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인 "m"을 초기값(예컨대, '1')으로 설정한 뒤(S6), 단계(S5)에서의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수행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7).
단계(S7) 이후, 제어부(21)는 앞서 단계(S5)에서의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일 측의 주파수가 서비스링크 DB(22a)를 조회하여 유효하다면 그 주파수에 대하여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8). 만일 당해 주파수가 서비스링크 DB(22a)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그 주파수에 대해서는 스캔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S8) 이후, 제어부(21)는 다시 단계(S5)에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9).
단계(S9) 이후, 제어부(21)는 앞서 단계(S5)에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다른 측의 주파수에 대해서도 서비스링크 DB(22a)를 조회하여 유효하다면 그 주파수에 대하여 스캔을 수행하도록 튜너(23)를 제어한다(S10). 마찬가지로 만일 당해 주파수가 서비스링크 DB(22a)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면 그 주파수에 대해서는 스캔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S10) 이후, 제어부(21)는 단계(S6)에서 초기값으로 설정된 m에 대한 1을 더하는 연산을 수행한 뒤(S11), 그 m의 값이 n보다 큰 정량적 수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단계(S12)의 판단 결과 m의 값이 n보다 큰 경우 제어부(21)는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종료한다.
반대로, 단계(S12)의 판단 결과 m의 값이 n보다 적은 경우에는 앞서의 단계(S7)로 회귀하여 단계(S7) 내지 단계(S12)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 1 모드는 서비스링크 동작 특성상 DAB 단말(20)이 터널 진입 또는 주변 지형 상황 등에 의하여 약전계로 진입한 후에 서비스링크 동작을 수행하며, 이후에 다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강전계로 진입한 후에도 서비스링크를 수행하게 되는 특성과 불필요한 서비스링크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어부(21)가 상술한 단계(S7) 및 단계(S9)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서비스링크 DB(22a)에서 추출한 주파수 정보에 더해 현재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도 함께 스캔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터널 등의 약전계에서 강전계로 다시 복귀한 경우에 그 즉시 원래 듣고 있던 서비스를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
보다 실질적인 예로,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가 C이고, 서비스링크 DB(22a)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가 A, B, D, E 인 경우 스캔 순서는 "C, D, C, B, C, E, C, A"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제 2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모드(mode 2)는 튜너(23)의 개수가 메인튜너(23a) 및 하나 이상의 서브튜너(23b)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인 DAB 단말(20) 상에서의 두 개 이상의 튜너를 사용하여 서비스링크 동작을 할 때의 방식이다.
기본적인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제어부(21)가 저장부(20)에 저장된 서비스링크 DB(22a)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서브튜너(23b)를 이용해 링크할 서비스를 찾는 방식이다.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를 확인한다(S21).
단계(S21) 이후,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단계(S22)의 판단에 따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제어부(21)는 저장부(22)의 서비스링크 DB(22a)의 구성을 파악한다(S23).
단계(S23) 이후, 제어부(21)는 서비스링크 DB(22a) 구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단계(S24)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링크 DB(22a)의 구성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의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즉, 단계(S22) 내지 단계(S25)의 과정에 따라 제어부(21)는 서비스링크 DB(23a)가 저장부(22) 내에 구성될 때까지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서브튜너(23b)에 의한 서비스링크 동작에 따른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25)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의 심리스 링크 조건을 확인 후, 심리스 링크(seamless link)가 수행되도록 결정한다(S26). 이와 같이, 단계(S25)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가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한 경우, 서브튜너(23b)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며, 오디오 재생은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서브튜너(23b)는 별도 모니터링을 통해 심리스 링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S25)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단계(S29)로 진행하여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에 대한 탐지를 대기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S22)의 판단 결과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S27). 단계(S27)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서 수신을 시도하도록 한다(S28).
단계(S28) 이후,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하도록 대기한다(S29). 단계(S22)로부터 단계(S29)까지의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21)는 단계(S22)의 판단에 따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으로 링크 수행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서브튜너(23b)의 상태를 파악한 뒤 서브튜너(23b)가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하지 못한 경우 단계(S28)와 같이 메인튜너(23a)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서 계속 수신 시도를 한다. 이후, 단계(S29)와 같이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에 대해서는 링크할 서비스를 별도 지정한 횟수까지 계속 탐지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다.
단계(S29) 이후,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메인튜너(23a)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브튜너(23b)에 의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도록 한다(S30).
한편, 단계(S27)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에서 서브튜너(23b)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도록 한다(S31). 즉, 제어부(21)는 단계(S22)의 판단에 따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으로 링크 수행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서브튜너(23b)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서브튜너(23b)가 링크할 서비스를 찾은 경우 튜너 전환을 통해 바로 링크할 서비스로 전환하도록 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단계(S22)의 판단 결과 서비스링크 DB(22a)가 저장부(22)에 구성되기 전에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약전계 등으로 인해 수신 불가 상태가 되면, 메인튜너(23a)는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서 계속 수신을 시도하고(S28), 서브튜너(23b)는 별도의 서비스링크 DB(23a)의 구성을 통하여 생성한 서비스링크 DB(23a)를 이용하여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하며, 링크할 서비스를 찾은 후 바로 링크할 서비스로 전환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제 3 모드)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3 모드(mode 3)도 제 2 모드와 동일하게 튜너(23)의 개수가 메인튜너(23a) 및 하나 이상의 서브튜너(23b)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인 DAB 단말(20) 상에서의 두 개 이상의 튜너를 사용하여 서비스링크 동작을 할 때의 방식이다.
기본적인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메인튜너(23a)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가 속해 있는 주파수 밴드(예를 들면, BAND III 혹은 L BAND 등)의 모든 주파수를 서브튜너(23b)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스캔하고 이때 얻어진 데이터를 서비스링크 DB(22a)와 비교하여 링크할 서비스를 찾는 것이다.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를 확인한다(S41).
단계(S41) 이후에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단계(S42)의 판단 결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
단계(S43)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서비스링크 DB(22a)와 비교하여 서브튜너(23b)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를 탐색한다(S44).
한편 단계(S42)의 판단 결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의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S45).
그리고 단계(S45)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서브튜너(23b)에 의해 그 탐지된 서비스로 전환이 수행되도록 한다(S46).
즉, 제어부(21)는 단계(S42)의 판단에 따라 메인튜너(23a)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으로 링크 수행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서브튜너(23b)의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서브튜너(23b)가 링크할 서비스를 찾은 경우 튜너 전환을 통해 바로 링크할 서비스로 전환하도록 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단계(S46)에서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메인튜너(23a)에 의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반대로 단계(S45)의 판단 결과 서브튜너(23b)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서 수신을 시도하도록 한다(S47).
단계(S47) 이후, 메인튜너(23a)가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앞의 단계(S43)으로 회귀하여 서브튜너(23b)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뒤, 그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링크 DB(22a)와 비교하여 서브튜너(23b)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를 탐색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S45), 단계(S47), 단계(S43) 그리고 단계(S43)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요약하면, 메인튜너(23a)가 링크할 서비스를 찾지 못한 경우에 제어부(21)는 메인튜너(23a)에 대해서는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서 계속 수신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며, 서브튜너(23b)에 대해서는 새로이 링크할 서비스를 탐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DAB 송출장치
20: DAB 단말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튜너
23a: 메인튜너
23b: 서브튜너

Claims (13)

  1.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서 튜너의 개수가 하나이거나 다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그 중 하나의 튜너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DAB 단말이 DAB 방송의 약전계로 진입함에 따라 튜너에 의한 서비스링크 동작 수행을 위해 서비스링크 DB에서 주파수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추출된 주파수와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서의 각 주파수의 정략적 수치와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는 제 2a 단계;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 m이 초기값으로 설정되는 제 2b 단계;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상기 정렬된 상태를 기초로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일 측의 유효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제 2c 단계;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 그리고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서 m 번째로 근접한 다른 측의 유효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차례로 수행되는 제 2d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의 개수(n, n은 자연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은,
    상기 주파수 스캔을 위한 변수 m에 대한 1을 더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m이 n 보다 큰 경우에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추출된 주파수와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을 종료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4.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두 개이거나 복수의 서브튜너를 포함하는 경우의 상기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튜너의 DAB 방송의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수신 상태가 서비스링크 DB의 구성이 완료되기 전까지 정상이고,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상기 심리스 링크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상기 탐지된 서비스 수신시 오디오 재생은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횟수까지 수행하여,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고 상기 메인튜너에 의해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가 수신되지 못한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서비스 전환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a 단계;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상기 메인튜너에서 상기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을 수행하는 제 3b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3b 단계는,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튜너에 의한 상기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 대한 수신을 시도하는 제 3b1 단계;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동작을 미리 설정된 횟수까지 수행하는 제 3b2 단계;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고 상기 메인튜너에 의한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의 수신이 수행되지 못한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서비스 전환을 수행하는 제 3b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9. DAB 방송을 수신하는 DAB 단말 내부에 튜너의 개수가 메인튜너 및 서브튜너를 포함하여 두 개이거나 복수의 서브튜너를 포함하는 경우의 상기 DAB 단말 내부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튜너의 DAB 방송의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비스링크 DB를 기초로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를 탐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메인튜너의 수신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한 링크할 서비스의 탐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a 단계;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된 경우, 상기 메인튜너에서 상기 서브튜너로의 튜너 전환을 통한 서비스 전환을 수행하는 제 3b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튜너에 의한 상기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에 대한 수신을 시도하는 제 3c 단계;
    상기 메인튜너가 수신하고 있던 주파수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수신한 방송정보 데이터가 있는 경우 서비스링크 DB를 기초로 상기 서브튜너에 의해 링크할 서비스를 탐색하는 제 3d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파수에서의 각 주파수의 정략적 수치와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의 정량적 수치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는 제 2a 단계;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일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 그리고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수행되는 제 2b 단계;
    상기 튜너에 의한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다른 측에 가장 근접한 주파수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스캔, 그리고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에 대한 스캔이 수행되는 제 2c 단계;
    상기 현재 수신중인 주파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정렬된 주파수에 대한 스캔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 주파수를 제외하고 스캔이 완료된 주파수를 삭제한 뒤 상기 제 2b 단계와 상기 제 2c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 2d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11242A 2012-02-03 2012-02-03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7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42A KR101375882B1 (ko) 2012-02-03 2012-02-03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242A KR101375882B1 (ko) 2012-02-03 2012-02-03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137A true KR20130090137A (ko) 2013-08-13
KR101375882B1 KR101375882B1 (ko) 2014-03-20

Family

ID=4921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242A KR101375882B1 (ko) 2012-02-03 2012-02-03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8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414A (ja) 2000-12-15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882B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9330B (zh) 无线终端中的动态备选频率频道切换
KR20080112128A (ko) 위성 전송 채널 검출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수신디바이스
EP1166452B1 (en)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EP2632065B1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broadcasting station
KR100549379B1 (ko) 이동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및 프로그램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CN102047569B (zh) 接收装置
KR101375882B1 (ko)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dab 서비스링크 동작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3890661B (zh) 一种基于数字信号广播的电台切换方法
CN106027185B (zh) 接收器中无线电服务跟随的管理方法和对应接收器
JP5787788B2 (ja) 受信装置、放送局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5192300B2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携帯型機器
KR101331402B1 (ko)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동작을 위한 링크 db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2693668B1 (en) Radio receiver
EP2866363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US9008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radio in portable terminal
JP2001203596A (ja) アナログおよびディジタルで伝送されるラジオ放送番組のための受信機
JP2002016509A (ja) 自動ラジオボタンミュート
JP2010252072A (ja) 移動型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移動型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チャンネルサーチ方法
US9419734B2 (en) Enhanced radio
JP2017028425A (ja) 受信装置
JP2008136069A (ja) オートチャンネル切替え方式
KR101386193B1 (ko) 듀얼튜너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시점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219431B1 (ko)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전환 방법
JP3148047B2 (ja) 多重放送受信機
JP2000209167A (ja) デジタル音声放送の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