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923A -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923A
KR20130089923A KR1020120004281A KR20120004281A KR20130089923A KR 20130089923 A KR20130089923 A KR 20130089923A KR 1020120004281 A KR1020120004281 A KR 1020120004281A KR 20120004281 A KR20120004281 A KR 20120004281A KR 20130089923 A KR20130089923 A KR 20130089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produc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5147B1 (ko
Inventor
윤용익
송수미
이수지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고,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정보 취득부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행 정보 취득부와,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 및 실행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DB로서, 상기 사용자 DB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사용자 DB와,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융합 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엔스크린 지원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DB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CTIVE MOBILE ADVERTISEMENT BASED ON N-SCREE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스마트 공간(smart space) 내에서 취합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N-screen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으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행동을 쉽게 예측할 수 있고 소비자 행동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도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에 의해 주어지는 이러한 특성은 모바일 기기를 혁신적이고 경제적인 광고 매체로서 급부상 하게 만들었다. 모바일 광고가 가져다 줄 무한한 수익성을 예측한 기업들은 너도나도 할 것 없이 모바일 광고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가정 내의 인터넷 기반 TV(IPTV) 역시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더욱이, IPTV,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N-screen이 최근 보급됨에 따라 가정 내 모든 디바이스들이 연동되는 스마트 공간이 구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들을 둘러싼 뉴미디어 매체의 빠른 변화에 맞추어 광고의 형태 또한 현대의 합리적인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변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강력한 광고 파워를 지닌 대다수의 매체의 광고들은 쌍방형광고가 아닌 PUSH형 광고로서, 일방적으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까지 구매 시점과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달되고 있다. 새로운 매체로 급부상한 인터넷 매체와 모바일 매체 또한 아직까지 팝업, 배너광고, e-mail DM, SMS 광고 등 여전히 일방적인 메시지 형태의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원하지 않은 광고의 범람과 매체의 다변화는 광고에 대한 관심도를 떨어뜨리고 직접 구매 행동으로 연결시키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다양한 매체간의 연동을 통하여 적시적소에 소비자들에게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예컨대, 공개번호 제10-2009-118460호 참조). 그러나, 이는 단지 사용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수집해서 그 위치에 기반하여 광고 정보만을 제시하여 줄뿐이고, 사용자가 어떠한 상품 등에 대해 관심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실상 상기의 종래 기술과 동일한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사용자가 관심 있는 물품을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적시적소에 상기 해당 물품의 광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구매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광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관심 물품을 즐겨찾기 하거나 스크랩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IPTV, 태브릿 PC 등과 같이 스마트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활동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에 최적으로 부합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광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광고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고,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정보 취득부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행 정보 취득부와,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 및 실행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DB로서, 상기 사용자 DB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사용자 DB와,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융합 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엔스크린 지원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DB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추출부를 포함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IPTV,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어, 상기 광고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또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행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 및 실행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저장 단계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a)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어, 상기 광고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또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b)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c) 상기 (a) 및 (b) 명령어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d)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e)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g)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h)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IPTV,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관심을 갖지 않는 스팸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과 관련된 정보만이 적시적소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므로, 해당 상품의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N-screen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PPL 상품이 링크된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해당 상품을 선택한 경우, 관련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한 가지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근접한 경우, 그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판매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적 용어 및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가입 단계 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기반으로 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설명한다.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때에 스팸으로 인식하지 않고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소비자의 관심 정보가 무엇인지 DB화할 필요가 있고,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 정보를 원하는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제공되는 광고가 광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에게 어떤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적인 성격이 강한 정보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소비자가 수동적인 자세로 광고를 받아들였던 것을 보다 능동적인 자세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면서 보다 직접적인 구매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광고 방법은 IPTV, 태블릿 PC, 헬스케어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공간 내에서 N-screen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PUSH형과 PULL형 광고를 융합한 형태로 상기와 같은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광고 콘텐츠 중에서 소비자가 관심 있는 상품의 광고 콘텐츠만을 구매가 가능한 시점에 개인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구매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IPTV,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이용한 TV 방송 시청 도중, 관심 PPL(Products in Placement) 광고 정보를 서버로 송출하여 소비자의 관심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방송 콘텐츠 내에서 검색 기록을 DB화하여,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분석한 후, 소비자가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 근처에 근접했을 때 관련 광고 콘텐츠를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은 TV 시청에 방해받지 않고 광고 정보를 열람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 정보를 융합한 상황 정보를 통해 소비자가 상품 판매 장소에 근접했을 때 관심이 있어야 할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마트 공간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에서는, 실내의 다양한 매체(IPTV,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를 통합하여 유기적으로 연동된다. 이러한 스마트 공간 내에서는 방송 콘텐츠 시청 중에 예컨대, IPTV를 통해 PPL 광고 콘텐츠를 시청방해 없이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다. IPTV를 중심으로, TV와 N-screen,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실내의 다양한 매체들을 연동시켜, 방송 콘텐츠 시청을 방해받지 않고, N-screen으로 상품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시청방해 없이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청을 만족하기 위하여, 방송 콘텐츠 내에 다양한 PPL 광고 콘텐츠를 링크시킨다. 클릭 한번으로 방송 내의 상품 정보와 연동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소비자의 관심 상품을 리스트화한다. 이러한 정보의 수집 경로는 크게 세 가지, 즉 물리적 상황 정보(physical sensing information), 실행 정보(virtual sensing informaiton) 및 경험 정보(logical sensing information)로 구분한다(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세 가지 정보를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hybrid contexct information)으로 전환하여, 수 많은 광고 콘텐츠 중 사용자의 관심과 가장 밀접한 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즐겨찾기 하거나 스크랩 하지 않아도 상품과 비슷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후에 추출할 수 있도록 DB화한다. 즉, 사용자의 요청을 만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열람기록을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DB화한다. 이 정보는 미리 작성된 다양한 광고 콘텐츠 DB와 매칭하여 소비자가 열함한 정보의 상품뿐만 아니라, 그 상품과 관련된 상품까지 소비자 DB에 추가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사용자 상황정보(Context Awareness)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위치를 파악, 소비자가 관심 상품 판매지 주변에 있음을 감지하고, 다양한 광고 콘텐츠 중에서 소비자 DB와 매칭되는 상품의 광고 콘텐츠만을 선별하여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관심 상품 판매지 주변에 있을 때에, 어떠한 요청 없이도 사용자에게 유용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GPS, LBS를 기반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 부근의 관심 물품 판매점 관련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서, 상점위치, 할인 쿠폰,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들로 구성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쿠폰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매를 유도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N-screen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고 N-screen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IPTV, 태블릿 PC, 스마트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상황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특정 물품에 관심을 보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200)와, 스마트 공간을 벗어나 야외의 특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공간을 벗어나 야외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스마트 공간 내에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광고 서버(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200)의 구성이 개략적인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서버(200)는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210), 실행 정보 취득부(220), 융합 정보 생성부(230), 위치 정보 취득부(240),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 광고 콘텐츠 변환부(260), 광고 콘텐츠 전송부(270), 사용자 DB(280), 광고 콘텐츠 DB(290)를 포함하고, 광고 서버 및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한편, 광고 서버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명칭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능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광고 서버(200)는 본 발명이 기본 전제로 하고 있는 N-screen 기능을 지원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단말기로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먼저,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210)는, 광고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스마트 공간 내에 설치(제공)되어 N-screen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예컨대 IPTV,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이 통신망을 기반으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 N-screen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정보(physical sensing information)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단말기가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는 경우, 그 단말기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DB(280)에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정보로서,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해상도 애트리뷰트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실행 정보 취득부(220)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지 어떠한 화면을 보고 있는지 등 사용자의 수행 패턴 정보 또는 실행 정보(virtual sensing information)를 수집하여, 사용자 DB(28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가 무엇인지(뉴스 검색, 미디어, 게임, 웹서핑 등), 시청하고 있는 드라마나 영화 콘텐츠의 장르, 현재 재생되는 동영상 이미지 속의 상품과 같은 정보들을 수집한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SBS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드라마 중의 배우가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심을 갖고, 드라마 내의 그 상품(PPL 광고 콘텐츠로서, 방송 프로그램 중에 링크되어, 사용자의 선택시 그 상품의 상세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PPL 광고 콘텐츠를 방송 프로그램에 삽입하는 기술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을 선택(터치)하면, 상품의 기본 정보 및 상세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됨과 아울러, 그 검색한 상품이 사용자별로 사용자 DB(280)에 저장된다. 즉, 실행 정보 취득부(220)는 사용자가 특정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SBS 드라마를 시청하였다는 정보, 어떠한 드라마를 시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 그 드라마의 PPL 상품 중 어떤 상품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사용자 DB(280)에 각 항목별로 그리고 사용자별로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 DB(280)에 저장되는 사용자 상황 정보는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210) 및 실행 정보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정보 외에 경험 정보(logical sensing infomration)도 포함한다. 즉 경험 정보는 사용자의 상기 기본 정보와,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들이나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관한 검색기록 등 장기간 축적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과거에 검색 혹은 열람한 이러한 정보들의 history를 통해, 현재 사용자의 그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 내지는 예측할 수 있고 또 상품에 대한 선호도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210), 실행 정보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경험 정보는 그 자체의 항목별로 사용자 DB(280)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융합되어 저장된다. 즉 융합 정보 생성부(230)는 상기 사용자 DB(280)에 저장된 물리적 상황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 DB(280)에 저장한다(도 3 참조). 이러한 하이브리드 정보가 광고 콘텐츠 DB(290)와 매칭되어, 광고 콘텐츠 추출부(260)가 최적의 광고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여성이고 20대 대학생이며, 여성 의류에 관심이 있다는 정보가 각각 수집되어 저장된다면, 이러한 정보가 하나의 정보로 융합되어, 방송 중에 여성이 나오는 프로그램의 경우에 여성 의류 광고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N-스크린 지원 단말기 중 하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후술하는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예컨대 IPTV를 시청하면서, 태블릿 PC나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이 갖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검색 과정 없이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위치 정보 취득부(240)는 이동 중, 즉 스마트 공간을 벗어나 야외에서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때, GPS, LBS 등을 이용하여 취득하며, 이와 같이 취득된 사용자 위치 정보 역시 사용자 DB(280)에 항목별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이동 경로 history를 축적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취득부(240)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되면,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는 사용자 DB(280)와 광고 콘텐츠 DB(290)에 접근하여, 최적화된 구매 정보를 추출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명동에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는 우선 사용자 DB(280)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을 검색하고(도 5의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그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명동 지역의 판매점을 광고 콘텐츠 DB(290)를 검색하여 찾아내어, 각 판매점에서 제시하는 광고 콘텐츠(예컨대, 판매점 위치, 가격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를 추출한다. 즉 광고 콘텐츠 DB(290)에는 각종 상품의 판매점 정보, 예컨대 상품의 가격, specification 정보, 할인 정보, 상품의 판매지 정보, 판매자 정보 등 상품과 관련된 각종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콘텐츠 추출부(250)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재의 사용자 단말기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에 대한 최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콘텐츠 변환부(260)는 콘텐츠 추출부(250)에 의해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 환경에 맞게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콘텐츠 변환부(260)는 사용자 DB(28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현재 갖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규격을 확인한 후, 광고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달할 때 지연 시간을 줄이고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해당 콘텐츠를 압축하고, 단말기의 화면 사이즈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를 적합하게 한 후, 변환한다. 광고 콘텐츠 전송부(270)는 상기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해당 상품의 구매를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 콘텐츠 추출부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최적의 광고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내에서 N-스크린 지원 단말기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전에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광고 정보를 추출하여 시청 단말기 외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때도 역시 콘텐츠 변환부가 추출된 광고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기 환경에 맞춰 변환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스마트 공간 내에서의 과정(indoor process)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갖고 야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경우(outdoor process)로 구분된다.
먼저, indoor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N-screen이 지원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본 예에서는, IPTV)를 이용하여, PPL 광고 콘텐츠가 링크된 방송 프로그램(예컨대, 드라마)을 시청하면서, 그 등장 인물이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관심 상품)을 선택(터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품 소개 등 상품 정보가 N-screen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상기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관심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광고 서버(200)와 접속되어 있어서, 물리적 상황정보 취득부(210)는 사용자의 상기 단말기에 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여 사용자 DB(280)에 저장하고, 실행 정보 취득부(220)는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통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드라마 정보, 또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DB(28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물리적 상황정보 취득부(210)와 실행 정보 취득부(220)에 의해 정보가 저장되면, 융합 정보 생성부(230)는 그 정보와, 사용자의 과거 이력 정보를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사용자 DB(280)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상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지 뿐만 아니라, 과거에 관심을 표명했던 상품 정보 등이 일괄적으로 저장됨으로써, 이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있을 경우,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광고 콘텐츠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스마트 공간(indoor)을 벗어나, 야외의 특정 공간, 예컨대 강남으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 정보 취득부(24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의 GPS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어서, 광고 콘텐츠 추출부(250)는 사용자 DB(280)를 검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정보, 즉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정보 및 과거의 경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취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상기 상품과 관련된 판매점 정보를 광고 콘텐츠 DB(290)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판매점 정보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 판매점 위치, 판매자 정보 등 사용자가 상품 구매시 고려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광고 콘텐츠 변환부(260)는 사용자 DB(280)를 검색하여, 물리적 상황정보 취득부(210)에 의해 취득된 정보, 즉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해상도 애트리뷰트 등과 같은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 변환부에 의해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단시간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해당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광고 콘텐츠를 광고 콘텐츠 전송부(270)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광고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전송된 광고 콘텐츠가 전혀 관심 없는 상품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의 구매 등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상기 실시예를 변형/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00: N-screen 지원 단말기
200: 광고 서버
210: 물리적 상황정보 취득부
220: 실행 정보 취득부
230: 융합 정보 생성부
240: 위치 정보 취득부
250: 광고 콘텐츠 추출부
260: 광고 콘텐츠 변환부
270: 광고 콘텐츠 전송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고,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정보 취득부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행 정보 취득부와,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 및 실행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DB로서, 상기 사용자 DB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사용자 DB와,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융합 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가 엔스크린 지원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DB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IPTV,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
  5.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어, 상기 광고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또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행 정보 취득단계와,
    상기 물리적 상황 정보 취득부 및 실행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저장 단계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이브리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를 통해 추출되는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스크린 기반 모바일 광고 방법.
  8.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서 취득한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실외 공간에서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실외에서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표명한 상품 관련 정보만을 제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부근의 판매점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엔스크린(N-screen) 기반 모바일 광고 서버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a) 상기 사용자의 실내 공간에 설치 또는 제공되어, 상기 광고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또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의 파워, 메모리, 대역폭 및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b)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실행 정보를 취득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실행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의 종류,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되어 있는 PPL 상품을 선택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c) 상기 (a) 및 (b) 명령어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단말기 정보와 실행 정보 외에, 상기 사용자가 과거 이용한 콘텐츠 및 관심을 표명한 상품들에 대한 검색 기록을 포함하는 경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명령어와,
    (d)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 실행 정보 및 경험 정보를 하나의 정보로 융합하여, 하이브리드 정보로 변환한 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e)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포함된 경험 정보에 매치되고 또 상기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단말기 외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을 벗어나 야외로 이동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g)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취득되면, 복수의 상품의 정보, 판매점 정보, 판매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 관심을 표명한 상기 PPL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사용자 위치 부근의 판매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와,
    (h)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시간 내에 전송되도록 압축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화면에 맞춰 적합하게 하여 변환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정보는 상기 PPL 상품의 상세 내역, 할인 정보, 해당 상품의 판매지 정보 및 판매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엔스크린을 지원하는 IPTV,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04281A 2012-01-13 2012-01-13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37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81A KR101375147B1 (ko) 2012-01-13 2012-01-13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81A KR101375147B1 (ko) 2012-01-13 2012-01-13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923A true KR20130089923A (ko) 2013-08-13
KR101375147B1 KR101375147B1 (ko) 2014-03-17

Family

ID=4921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81A KR101375147B1 (ko) 2012-01-13 2012-01-13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203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의 동작 방법과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및 단말의 동작 방법과 단말
KR20160099190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533472A (zh) * 2019-08-30 2019-12-03 北京牧家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的广告播放系统和方法
US11093997B2 (en) 2015-12-07 2021-08-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vehicle connectivity in association with payment trans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09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18466A (ko) * 2005-08-10 2007-02-14 에라 디지털 미디어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동적 마켓 데이터 수집 및 광고 전달 시스템
KR100837695B1 (ko) * 2005-11-18 2008-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203A (ko) * 2014-02-18 2015-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의 동작 방법과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및 단말의 동작 방법과 단말
KR20160099190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093997B2 (en) 2015-12-07 2021-08-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vehicle connectivity in association with payment transactions
CN110533472A (zh) * 2019-08-30 2019-12-03 北京牧家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的广告播放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147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614B2 (en) Interactive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player utilizing a client server architecture
US98990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2018025376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10506278B2 (en) Interactive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player utilizing a client server architecture
US20080052750A1 (en) Direct-point on-demand information exchanges
JP5122167B2 (ja) 画像配信装置、端末、画像配信方法、及び画像視聴プログラム
CN108141563A (zh) 所连接媒体装置上的数字覆盖报价
US20130117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elevision advertised product and recording media thereof
KR20100071559A (ko) 대화형광고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연동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5147B1 (ko)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9899A (ko)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기기
KR20160027486A (ko) 광고 제공 장치, 광고 표시 장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표시 방법
KR101690528B1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1024404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KR20110088643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콘텐츠 이용자의 개인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57297A1 (en) Marketing Method and Computer System thereof for Cloud System
KR20170080550A (ko) 간접광고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판매 방법
JP2021163506A (ja) 拡張現実システム
WO2008147149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KR20170073744A (ko) 간접광고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판매 방법
KR20100069130A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98374A (ko)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 그 시스템 및 서버
JP5579230B2 (ja) 動画表示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52168A (ko) 온라인 간접광고 제공방법, 그 기록매체 및 온라인 간접광고 제공서버, 온라인 간접광고를 포함하는 통합쇼핑몰 홈페이지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온라인 간접광고를 포함하는 통합쇼핑몰 홈페이지 제공서버 및 그 시스템
KR101544547B1 (ko) 사용자에 의한 컨텐트 이용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