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838A -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838A
KR20130089838A KR1020120001673A KR20120001673A KR20130089838A KR 20130089838 A KR20130089838 A KR 20130089838A KR 1020120001673 A KR1020120001673 A KR 1020120001673A KR 20120001673 A KR20120001673 A KR 20120001673A KR 20130089838 A KR20130089838 A KR 20130089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management module
production process
module
pro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550B1 (ko
Inventor
김현남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2000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5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제품 업체와 협력 업체 사이에서의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산공정 관리 모듈; 제약조건 판단 모듈; 및 설계변경 관리 모듈을 제공하여,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다수의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각각 도출하고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을 결정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효과적인 자재 관리, 제품 관리 및 품질 관리를 이루게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Collaborative facilities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완제품 업체와 협력 업체 사이에서의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조 업체는, 독자적 생산 라인을 구비하여 자재에서 완제품을 홀로 생산하기 보다는, 전문화된 다수의 협력 업체의 생산공정을 거친 부품을 조달받아 이를 완제품으로 제조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완제품 업체와 협력 업체는 하나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협업을 이루고 있는데, 종래의 수직 계열화된 계획/주문 체계에서 벗어나, 최근 다변화, 전문화 체계로 이동해가고 있다.
종래의 수직 계열화된 체계의 경우, 협력 업체 입장에서는 주문품의 생산지시 대비 실적 집계량에 치중하여 가동률 저하 문제, 재고 문제, 생산품별 자재/공구 이력 추적의 어려움 문제, 변동요인 및 제약조건 관리의 어려움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다수의 시도가 있었으나, 생산정보화 및 IT 설비 기술 적용된 예는 드물었으며, 실재 생산 정보와의 연계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완제품 업체 및 협력 업체가 함께 설비 생산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설계변경 발생시 생산성을 점검하고 소요 자재 수량을 예측함으로써 탄력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품질 관리 측면에서도, 품질 이상이 발생한 경우 문제가 되는 생산공정 등을 완제품 업체와 협력 업체가 함께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완제품 업체와 다수의 협력 업체 사이의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협력 업체의 다수의 생산공정과 연계되며, 생산시작시점, 생산종료시점, 설비가동시간 및 인력투입양이 입력되어 생산성을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도출 모듈을 구비한 생산공정 관리 모듈;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과 연계되는 제약조건 판단 모듈; 및 설계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설계변경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설계변경 관리 모듈에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은 인가된 설계변경에 따라 다수의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각각 도출하며, 상기 제약조건 관리 모듈은, 상기 도출된 생산성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생산공정을 도출함으로써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을 결정하며,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시작시점, 생산종료시점, 설비가동시간 및 인력투입양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산공정에 자재를 불출하는 자재창고와 연계되는 자재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재 관리 모듈은 상기 설계변경에 따른 소요 자재량을 연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자재량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산공정에서 제품을 수령하는 제품창고와 연계되는 제품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 관리 모듈은, 상기 설계변경 관리 모듈에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변경된 설계에 따라 예상되는 제품 개수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재 관리 모듈,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 및 상기 제품 관리 모듈은 품질 관리 모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품질 관리 모듈은 상기 자재창고, 상기 생산공정 및 상기 제품창고에 위치한 모니터링 장치와 각각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품질 이상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자재창고, 상기 생산공정 및 상기 제품창고의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을 통하여 품질 이상 위치가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은 일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정 관리 모듈은,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 일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제품 업체와 상기 협력 업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제품 업체와 상기 협력 업체는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생산공정의 생산량 및 품질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생산정보 및 품질이력이 일원화 관리될 수 있으며, 해당 시스템의 확장성 또한 높다.
또한, 완제품 업체와 협력 업체 간의 설계 변경에 기인한 문제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다품종 수주업체의 재고, 품질, 납기 문제가 바람직하게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설계 변경과 같은 생산 스케줄 변화에 따른 소요 자재 수량의 예측이 가능하며, 이러한 정보는 완제품 업체 및 협력 업체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자재 수량 변화에 따른 생산공정의 변화 역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을 판단하고, 해당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제어를 이룸으로써 전체적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종 문제 발생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가시적으로 완제품 업체 및 협력 업체 모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품질 이상 발생시 그 원인을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어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완제품 업체"는 제조 업체 중 완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물론, 다수의 협력 업체로부터 부품 등을 조달받아 이를 통하여 제품을 2차 생산하는 업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협력 업체"은 전술한 완제품 업체에 일정 공정을 거친 부품을 전달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자재 관리 모듈(100), 생산공정 관리 모듈(200) 및 제품 관리 모듈(300)을 포함한다.
자재 관리 모듈(100)은 자재 창고(10)와 연계되어 해당 자재의 수량, 품질, 출하 계획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자재 관리 모듈(100)은 품질 관리 모듈(120)을 포함하며, 품질 관리 모듈(120)은 자재 창고(10) 내의 소정의 모니터링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완제품 업체(50) 및 협력 업체(60)는 품질 관리 모듈(120)을 이용하여 자재의 품질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설계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자재 관리 모듈(100)은 설계 변경이 이루어진 생산공정(20, 30)의 정보에 따라 소요 자재량을 연산한다.
생산공정 관리 모듈(200)은 생산공정(20, 30)과 연계되어 해당 생산공정의 생산성 도출, 품질 관리, 일정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생산공정 관리 모듈(200)은 생산성 도출 모듈(210), 품질 관리 모듈(220) 및 일정 관리 모듈(230)을 포함한다.
생산성 도출 모듈(210)에는 해당 생산공정(20, 30)의 생산시작시점, 생산종료시점, 설비가동시간 및 인력투입양이 입력되어 생산성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사항들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도출하는 방법 자체는 종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품질 관리 모듈(220)은 해당 생산공정(20, 30) 내의 소정의 모니터링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완제품 업체(50) 및 협력 업체(60)는 품질 관리 모듈(120)을 이용하여 자재의 품질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일정 관리 모듈(230)은 해당 생산공정(20, 30)의 일정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제품 관리 모듈(300)은 제품 창고(40)와 연계되어 해당 자재의 수량, 품질, 출하 계획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제품 관리 모듈(300)은 품질 관리 모듈(320)을 포함하며, 품질 관리 모듈(120)은 제품 창고(40) 내의 소정의 모니터링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완제품 업체(50) 및 협력 업체(60)는 품질 관리 모듈(120)을 이용하여 자재의 품질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은 수주 관리 모듈(440), 제약조건 판단 모듈(450), 설계변경 관리 모듈(460), 운영 관리 모듈(47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더 포함한다.
수주 관리 모듈(440)은 완제품 업체(50)로부터 협력 업체(60) 각각에 부가되는 수주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설계변경 관리 모듈(460)은 완제품 업체(50)로부터 설계변경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협력업체(60)에 전달하거나 또는 자재창고(10), 생산공정(20, 30) 및 제품창고(40)와 연계됨으로써 설계변경시 변경되는 공정, 자재, 제품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약조건 판단 모듈(450)은 설계변경 관리 모듈(460)을 통하여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어떤 생산공정(20, 30)의 생산성이 가장 낮은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설계변경에 이르지 못하는 제약조건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설계변경 관리 모듈(460)을 통하여 A 파트의 설계가 "1"에서 "2"로 변경되었음이 인가된 경우, 제약조건 판단 모듈(450)은 A 파트의 설계가 "2"로 변경되었을 경우의 생산성을 도출하여, 제약조건은 생산공정1(2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공정1(20)의 일정 관리 모듈(230)은 해당 생산공정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도록 일정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장비 구동 시간, 투입 자재량, 투입 인력 등을 상승시킬 수 있다.
운영 관리 모듈(470)은 전술한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한편, 완제품 업체(50) 및 다수의 협력 업체(60)는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어떠한 단말기를 통하여서도 접속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완제품 업체(50)에 의하여 설계 변경이 발생한 경우(S100), 이는 설계변경 관리 모듈(450)을 통하여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인가된다.
다음, 설계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의 각 생산공정(20, 30)의 생산성이 도출된다(S200).
다음, 제약조건 판단 모듈(450)은, 도출된 생산성 중 가장 낮은 생산성의 생산공정을 판단함으로써,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을 판단한다(S300).
다음,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공정이 조절된다(S400).
예를 들어, 생산공정1(20)의 일정이 문제되어 제약조건이 발생한 경우, 일정 관리 모듈(230)은 생산공정1(20)의 일정을 조절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예를 들어, 생산공정1(20)에 불출되는 자재가 부족하여 제약조건이 발생한 경우, 해당 자재 불출량을 증가시킨다.
다음, 이러한 사항을 포함하는 변경된 설계가 반영된다(S50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품질 관리 역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제품 또는 생산중(WIP; work in product)인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는 자재의 문제, 생산공정의 문제 또는 제품창고의 문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특정 완제품 또는 생산중인 제품의 품질 이상 신호가 인가된 경우, 해당 제품에 연계되는 자재창고(10), 생산공정(20, 30)들 및 제품창고(40)의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120, 220, 320)이 조사된다. 이를 통하여 품질 이상을 야기한 품질 이상 위치가 효과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자재창고
20, 30: 생산공정
40: 제품창고
50: 완제품 업체
60: 협력 업체
100: 자재 관리 모듈
120: 품질 관리 모듈
200: 생산공정 관리 모듈
210: 생산성 도출 모듈
220: 품질 관리 모듈
230: 일정 관리 모듈
300: 제품 관리 모듈
320: 품질 관리 모듈
440: 수주 관리 모듈
450: 제약조건 판단 모듈
460: 설계변경 관리 모듈
470: 운영 관리 모듈
500: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완제품 업체와 다수의 협력 업체 사이의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협력 업체의 다수의 생산공정과 연계되며, 생산시작시점, 생산종료시점, 설비가동시간 및 인력투입양이 입력되어 생산성을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도출 모듈을 구비한 생산공정 관리 모듈;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과 연계되는 제약조건 판단 모듈; 및
    설계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설계변경 관리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설계변경 관리 모듈에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은 인가된 설계변경에 따라 다수의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각각 도출하며,
    상기 제약조건 관리 모듈은, 상기 도출된 생산성이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생산공정을 도출함으로써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을 결정하며,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시작시점, 생산종료시점, 설비가동시간 및 인력투입양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성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공정에 자재를 불출하는 자재창고와 연계되는 자재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재 관리 모듈은 상기 설계변경에 따른 소요 자재량을 연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자재량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공정에서 제품을 수령하는 제품창고와 연계되는 제품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 관리 모듈은, 상기 설계변경 관리 모듈에 설계변경이 인가된 경우 변경된 설계에 따라 예상되는 제품 개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관리 모듈,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 및 상기 제품 관리 모듈은 품질 관리 모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품질 관리 모듈은 상기 자재창고, 상기 생산공정 및 상기 제품창고에 위치한 모니터링 장치와 각각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품질 이상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자재창고, 상기 생산공정 및 상기 제품창고의 각각의 품질 관리 모듈을 통하여 품질 이상 위치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공정 관리 모듈은 일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정 관리 모듈은, 상기 제약조건이 되는 생산공정의 생산 일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제품 업체와 상기 협력 업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기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제품 업체와 상기 협력 업체는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생산공정의 생산량 및 품질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20001673A 2012-01-05 2012-01-05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36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73A KR101367550B1 (ko) 2012-01-05 2012-01-05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73A KR101367550B1 (ko) 2012-01-05 2012-01-05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38A true KR20130089838A (ko) 2013-08-13
KR101367550B1 KR101367550B1 (ko) 2014-03-12

Family

ID=4921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673A KR101367550B1 (ko) 2012-01-05 2012-01-05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776A (ko) * 2014-12-12 2016-06-22 (주)엠아이시스 원자재-부품-완제품의 공급망에서 정보관리 이슈별 유저 맞춤형 그룹핑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408789A (zh) * 2021-05-26 2021-09-17 常熟市百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企业的生产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747A (ko) * 2022-05-04 2023-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52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의 생산공정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JP2010160566A (ja) * 2009-01-06 2010-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仕入先評価支援装置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776A (ko) * 2014-12-12 2016-06-22 (주)엠아이시스 원자재-부품-완제품의 공급망에서 정보관리 이슈별 유저 맞춤형 그룹핑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408789A (zh) * 2021-05-26 2021-09-17 常熟市百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企业的生产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550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vanov et al. Coordination of production and ordering policies under capacity disruption and product write-off risk: An analytical study with real-data based simulations of a fast moving consumer goods company
US20130211870A1 (en) Real-time tracking of product using a cloud platform
Duffuaa et al. An integrated model of production scheduling, maintenance and quality for a single machine
US8290607B2 (en) Planning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tock and production plan in batch process industry
Bouslah et al. Joint production and quality control of unreliable batch manufacturing systems with rectifying inspection
Agrawal REVIEW ON JUST IN TIME TECHNIQUES IN MANUFACTURING SYSTEMS.
KR20130124328A (ko) 툴링 활동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5301466A (ja) 生産計画立案装置および方法
Seitz et al. Data driven supply allocation to individual customers considering forecast bias
JPWO2004027533A1 (ja) 部品在庫量管理装置
Teo et al. An application of master schedule smoothing and planned lead time control
KR101367550B1 (ko)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Yildiz et al. Production planning using evolving demand forecas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la‐Risku et al. Site inventory tracking in the project supply chain: problem description and solution proposal in a very large telecom project
Herps et al. A simulation-based approach to design an automated high-mix low-volume manufacturing system
CN116258337A (zh) 一种基于企业制造运营的产业链协同管理系统
Costantino et al. Inventory control system based on control charts to improve supply chain performances
KR100453699B1 (ko)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Birkmaier et al. Towards a robust digital production and logistics network by implementing flexibility measures
KR20200137066A (ko)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KR20210045385A (ko) 자동 적재창고 연동 생산관리 시스템
Leiva First principles of smart manufacturing
Khan et al. Supply Chain Management 4.0: Looking Backward, Looking Forward
JP2008171237A (ja) サプライチェーンの効率的管理支援方法
Moohialdin et al. Effect of failure type on downtime duration for a manufacturing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