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747A -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747A
KR20230155747A KR1020220055312A KR20220055312A KR20230155747A KR 20230155747 A KR20230155747 A KR 20230155747A KR 1020220055312 A KR1020220055312 A KR 1020220055312A KR 20220055312 A KR20220055312 A KR 20220055312A KR 20230155747 A KR20230155747 A KR 2023015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additional work
vehicle
vehicle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정재훈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747A/ko
Priority to PCT/KR2022/020786 priority patent/WO2023214636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에서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생산서버; 및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고 출고되도록 하는 추가작업서버;를 포함하고,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계획을 생산서버에 송신하며,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PRODUCTION PLANNING SYSTEM AND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제조되는 제조공장과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하여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추가작업서버가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함으로써 적정 생산 물량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 차량을 주문한 고객은 정확한 납기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제조공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조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생산계획 시스템은 차량이 완성되어 출고 후 프로세스에 대한 작업계획이 반영되지 않는 생산량 위주의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생산량 위주의 생산 방식은, 완성된 차량의 관리 비용과 공수 부담 및 완성차를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차량 생산으로 인하여 완성차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의 면적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출고 후 프로세스에 대한 작업계획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출고 기념식 및 차량 출고 튜닝 등 출고 후 추가 프로세스에 대한 스케쥴이 연동되지 않고 완성차 조립 공장만을 위한 생산계획이 수립되게 된다. 출고 후 추가 프로세스는 대내외 환경에 의하여 추가작업 가능한 일자와 작업시간이 달라질 수 있어, 고정된 공정이 아니라 가변되는 공정이다. 따라서 차량 오더 주문을 넣은 고객은 출고 후 추가 프로세스의 가변되는 공정으로 인하여 오더 및 차량 대기시 정확한 납기일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 차량의 출고 후 프로세스에 대한 작업계획을 차량을 생산하는 단계에서 반영하여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0-0074788 A
본 발명은, 차량이 제조되는 제조공장과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하여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추가작업서버가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함으로써 적정 생산 물량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 차량을 주문한 고객은 정확한 납기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제조공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조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계획 수립 체계를 통하여 추가작업장의 작업일정 변화에 가변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에서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생산서버; 및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고 출고되도록 하는 추가작업서버;를 포함하고,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계획을 생산서버에 송신하며,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을 포함한다.
생산서버는 차량 오더 정보, 차량 작업 정보 및 차량 주차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생산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산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차량 주차 정보는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들이 보관되는 주차장에의 차량 입차 또는 출차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대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생산서버는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시스템을 통하여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을 통하여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이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한 경우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하는 판매서버;를 포함하고, 판매서버는 수신된 차량 오더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을 선별할 수 있다.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이 선별된 이후, 판매서버는 추가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의 생산정보를 생산서버에 송신하고,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의 생산정보가 추가작업서버에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추가작업서버에 송신되어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된 경우,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판매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판매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후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납기 정보를 고객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생산서버는 차량 생산계획과 추가작업계획이 반영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 수립할 수 있다.
추가작업서버는 완성차 재고 현황, 출고 예정 차량 및 추가작업 일정을 포함하는 추가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생산서버에서 제조공장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추가작업서버에서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추가작업서버에서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하며, 생산서버에서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단계; 생산서버에서 수정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추가작업서버에서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추가작업장에 입고된 차량들의 추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을 포함한다.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생산서버는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생산서버에서 제조공장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이전에는, 판매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오더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을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이 제조되는 제조공장과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하여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추가작업서버가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함으로써 적정 생산 물량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 차량을 주문한 고객은 정확한 납기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제조공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조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계획 수립 체계를 통하여 추가작업장의 작업일정 변화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고객 오더 정보 수신,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 제조공장의 생산계획 수립 및 고객에게 납기를 안내하는 일련의 과정이 도식화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이 운용되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 요소를 위주로 나타낸 것으로, 실제 차량의 구현에 있어서는 이보다 더 적거나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에서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생산서버 및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고 출고되도록 하는 추가작업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서버에서 수립된 차량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이 생산되도록 제어하여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제조되게 된다. 추가작업장은 차량의 출고 후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는 곳이며,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작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추가작업은 차량의 출고 후 프로세스, 즉 차량의 PPF필름을 작업하는 프로세스가 포함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애프터마켓에서 차량에 추가적인 옵션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프로세스가 포함되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제조공장을 제어하는 생산서버, 추가작업장을 제어하는 추가작업서버 및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하는 판매서버는 후술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산서버는 차량 오더 정보, 차량 작업 정보 및 차량 주차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생산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산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생산서버에서 차량의 생산정보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획득되는 정보는 차량 오더 정보, 차량 작업 정보 및 차량 주차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차량 오더 정보는 고객이 차량 판매 시스템을 통하여 판매서버에 주문하는 차량 오더를 의미할 수 있고, 차량 작업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출고 후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차 정보는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들이 보관되는 주차장에의 차량 입차 또는 출차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대수가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술한 차량 주차 정보는 제조가 완료된 차량의 보관 현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오더 정보, 차량 작업 정보 및 차량 주차 정보는 각각 별도의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 판매서버,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제 시스템이 구성되어 별도의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작업 정보가 복수 개가 획득되는 경우, 별도의 스케쥴 취합 시스템을 통하여 차량 작업 정보를 취합하여, ERP 시스템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업 관리 시스템, 주차 관제 시스템, 판매서버 및 스케쥴 취합 시스템은 모두 전원부, 통신부, 기억장치가 마련되고, 통신부를 통하여 각 서버, 시스템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고객 오더 정보 수신,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 제조공장의 생산계획 수립 및 고객에게 납기를 안내하는 일련의 과정이 도식화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내용을 정리하면, 고객이 차량을 오더하면 ERP 시스템은 판매서버로부터 신규 차량 오더 및 차량 오더 변경 사항을 받아온 다음, 작업 관리 시스템, 스케쥴 취합 시스템으로부터 출고 후 프로세스 수행과 관련한 신규 작업 일정 및 변동된 작업 일정을 받아오게 된다.
구체적으로, 판매서버는 고객이 추가작업을 요청한 차량과 추가작업을 요청하지 않은 차량을 각각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과 추가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으로 먼저 선별하고, ERP 시스템, 작업 관리 시스템, 스케쥴 취합 시스템에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ERP 시스템은 받아온 신규 작업 일정 및 변동된 작업 일정을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입력하고, 작업 관리 시스템과 스케쥴 취합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출고 후 작업 관련 신규 일정 및 변동 일정을 입력하게 된다. 또한 ERP 시스템은 주차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주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생산서버는 ERP 시스템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고객의 오더 정보, 추가작업장의 추가적업계획 등)를 기반으로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차량 생산계획은 생산물량 계획과 차량의 투입계획을 고려하여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시스템을 통하여 수립될 수 있다.
이후,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를 통하여 차량이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MES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ERP 시스템은 주차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차량 주차 정보,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판매서버에 송신하고, 판매서버는 생산계획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납기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산계획 수립 체계를 통하여 추가작업장의 작업일정 변화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고 출고되도록 하는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계획을 생산서버에 송신하며,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한 경우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생산서버가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한 이후 다시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추가작업서버에서 추가작업계획이 수립된 경우에는, 생산서버는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하고,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생산서버의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한 차량의 생산계획 수정은 일정 간격으로 반복 수립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하루 간격을 의미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생산서버에 마련된 ERP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추가작업서버에 마련된 ERP 시스템은 완성차 재고 현황, 출고 예정 차량 및 추가작업 일정을 포함하는 추가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추가작업서버가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함으로써 적정 생산 물량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 차량을 주문한 고객은 정확한 납기를 안내받도록 하는 효과도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성차 재고 현황, 출고 예정 차량 및 추가작업 일정은 각각 별도의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 판매서버, 작업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제 시스템이 구성되어 별도의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작업 정보가 복수 개가 획득되는 경우, 별도의 스케쥴 취합 시스템을 통하여 차량 작업 정보를 취합하여, ERP 시스템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을 바탕으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이 운용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고객이 판매서버를 통하여 차량을 오더하면 판매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오더받은 신규 차량 오더 및 차량 오더 변경 사항을 ERP 시스템에 송신한다(S10).
판매서버로부터 신규 차량 오더 및 차량 오더 변경 사항을 수신받은 ERP 시스템은 차량 오더 및 스케쥴 취합 시스템에 송신한다(S11).
이후, 스케쥴 취합 시스템은 수신받은 신규 차량 오더 및 차량 오더 변경 사항을 각 작업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고(S12), 작업 관리 시스템, 스케쥴 취합 시스템으로부터 출고 후 프로세스 수행과 관련한 신규 작업 일정 및 변동된 작업 일정을 받아와 스케쥴 취합 시스템에 송신한다(S13).
스케쥴 취합 시스템은 수신받은 신규 작업 일정 및 변동된 작업 일정을 다시 ERP 시스템으로 송신하게 된다(S14).
이후, ERP 시스템은 받아온 신규 작업 일정 및 변동된 작업 일정을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입력하고, 작업 관리 시스템과 스케쥴 취합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출고 후 작업 관련 신규 일정 및 변동 일정을 입력하고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시스템에 입력받은 기준 정보들을 송신한다(S16). 여기서 ERP 시스템이 입력하는 차량 주차 정보는 주차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받을 수 있다(S15).
이후, 생산서버는 ERP 시스템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고객의 오더 정보, 추가작업장의 추가적업계획 등)를 기반으로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S17). 차량 생산계획은 생산물량 계획과 차량의 투입계획을 고려하여 APS 시스템을 통하여 수립될 수 있다. ERP 시스템은 수립된 생산계획을 수신받고,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및 판매서버에 다시 송신한다(S18).
이후,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를 통하여 차량이 생산된다(S19). 또한, 판매서버는 생산계획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납기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S20).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세부적인 기술적 특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에서의 각 구성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판매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판매서버는 수신된 차량 오더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을 선별할 수도 있다.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과 추가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을 분류하면 추가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으로 선별된 경우 생산서버에서 차량의 추가작업을 고려하지 않고 제조공장에서 차량 생산계획이 수립되도록 생산정보를 생산서버에 송신하며,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으로 선별된 경우 추가작업서버에서 차량의 추가작업을 고려하여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이 수립되도록 생산정보를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추가작업서버에 송신되어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된 경우,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판매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추가작업서버는 차량에 대한 추가작업 수행이 완료된 경우 고객의 차량 오더에 대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판매서버에 송신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으며, 반드시 고객의 차량 오더 내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판매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후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납기 정보를 고객에게 송신함으로써 납기일, 추가 작업장의 작업일정 변화에 대하여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이 제조되는 제조공장과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하여 추가작업이 필요한 경우 추가작업서버가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함으로써 적정 생산 물량 계획이 수립되도록 하고, 차량을 주문한 고객은 정확한 납기를 안내받을 수 있으며, 제조공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을 제조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계획 수립 체계를 통하여 추가작업장의 작업일정 변화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에서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생산서버; 및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되고 출고되도록 하는 추가작업서버;를 포함하고,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계획을 생산서버에 송신하며,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산서버는 차량 오더 정보, 차량 작업 정보 및 차량 주차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생산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산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 주차 정보는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들이 보관되는 주차장에의 차량 입차 또는 출차 정보 및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대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산서버는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시스템을 통하여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을 통하여 수립된 생산계획에 따라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산서버는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한 경우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하는 판매서버;를 포함하고,
    판매서버는 수신된 차량 오더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이 선별된 이후, 판매서버는 추가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차량의 생산정보를 생산서버에 송신하고,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의 생산정보가 추가작업서버에 송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추가작업서버에 송신되어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입고된 차량들이 추가작업장에서 추가작업이 수행된 경우, 추가작업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판매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판매서버는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후 추가작업이 수행된 차량에 대한 납기 정보를 고객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산서버는 차량 생산계획과 추가작업계획이 반영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일정 간격으로 반복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작업서버는 완성차 재고 현황, 출고 예정 차량 및 추가작업 일정을 포함하는 추가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12. 생산서버에서 제조공장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추가작업서버에서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 입고되어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는 추가작업장의 추가작업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추가작업서버에서 생산서버에 추가작업계획을 송신하며, 생산서버에서 수신된 추가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단계;
    생산서버에서 수정된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장에서 차량이 생산되도록 하는 단계; 및
    추가작업서버에서 수립된 추가작업계획에 따라 추가작업장에 입고된 차량들의 추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차량의 생산계획을 수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생산서버는 수정된 차량의 생산계획을 다시 추가작업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생산서버에서 제조공장의 차량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이전에는,
    판매서버는 고객으로부터 차량 오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오더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차량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방법.
KR1020220055312A 2022-05-04 2022-05-04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5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12A KR20230155747A (ko) 2022-05-04 2022-05-04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22/020786 WO2023214636A1 (ko) 2022-05-04 2022-12-20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312A KR20230155747A (ko) 2022-05-04 2022-05-04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747A true KR20230155747A (ko) 2023-11-13

Family

ID=8864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312A KR20230155747A (ko) 2022-05-04 2022-05-04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5747A (ko)
WO (1) WO202321463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88A (ko) 1999-05-26 2000-12-15 정몽규 차체 공장의 동적 부품 투입 지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2691A1 (en) * 2001-03-07 2004-06-24 Thomas Lupp Method and device for ordering products in particular motor vehicles
JP2003177812A (ja) * 2001-12-10 2003-06-27 Mazda Motor Corp 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装置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47178B2 (ja) * 2009-04-02 2013-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産順序再計画システム、生産順序再計画装置及び方法
KR101367550B1 (ko) * 2012-01-05 2014-03-1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협업형 설비 생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87518B1 (ko) * 2020-04-10 2022-04-18 (주)쓰리뷰 기계설비의 셋업시간 최소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88A (ko) 1999-05-26 2000-12-15 정몽규 차체 공장의 동적 부품 투입 지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36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6845B2 (en) Monitoring and reporting incremental job status system and method
US10114670B2 (en) Point-of-use-toolkit
US200700940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arallelization of back-order processing
Hallerbach et al. Context-based configuration of process variants
US20020062239A1 (en) Program planning management system
US68711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coordinating orders with product materials progressing through a manufacturing flow
CN102012696B (zh) 用于在生产过程中传送调整模式的方法和系统
EP2084640A2 (en) Intelligent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342027B1 (ko)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US200701986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Whitney Control principles in flexible manufacturing
Barlatt et al. Ford motor company implements integrated planning and scheduling in a complex automotive manufacturing environment
KR20230155747A (ko) 차량의 통합 생산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US6917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duction of molds
CN117035279A (zh) 排产计划联动调整方法及装置
Viana et al. Guidelines for integrated planning and control of engineer-to-order prefabrication systems
US73105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mold manufacturing
KR100561067B1 (ko) 부품 자동 발주 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5144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лительности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JP2024521039A (ja) 装置のメンテナンスを最適化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システム
US8295964B2 (en) Method for selecting equipment resources in a manufacturing process
JP4318162B2 (ja) 生産日程計画管理方法及び生産日程計画管理プログラム
US201802402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scheduling and planning
CN102004972A (zh) 变更工作分解结构的方法和装置
CN116757464B (zh) 生产计划管理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