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522A -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522A
KR20130089522A KR1020120010952A KR20120010952A KR20130089522A KR 20130089522 A KR20130089522 A KR 20130089522A KR 1020120010952 A KR1020120010952 A KR 1020120010952A KR 20120010952 A KR20120010952 A KR 20120010952A KR 20130089522 A KR20130089522 A KR 2013008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emostatic
intranasal
present
hemosta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522A/ko
Publication of KR2013008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혈용 물질 및/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바, 상온에서와 달리 비강 내 주입되면 고체 상태로 상이 빠르게 변화하여, 비강 구조에 맞게 코 속으로 온전히 스며들며, 효과적으로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A nasal cavity hemosta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강 내 삽입되면 상이 변화하여 효과적으로 지혈이 가능한 새로운 지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강 출혈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게 되며 대부분은 쉽게 저절로 치유되나, 때로는 그 정도가 심하여 입원 및 수술 치료를 요하며,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한 경우 수혈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현재, 비강 출혈을 지혈하기 위하여 대부분은 바세린 거즈 또는 메로셀(Merocel)을 이용한 전비공 패킹이 사용 되며, 그 외 전기소작술, 진정제 섭취와 같은 내과적 요법, 얼음 또는 찬물 찜질 등이 치료에 이용된다.
보통 비강 내 출혈지점은 전방부와 후방부 출혈로 분류되므로, 전방부 출혈의 경우 비경이나 내시경으로 출혈 부위의 확인이 가능한 경우 전기소작술을 시행하며, 출혈부위가 불명확 할 경우 전비공 패킹을 한다. 후방 출혈 시는 거즈 또는 Foley 도관을 이용하여 후비공 패킹을 시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현재까지의 치료 방법은 많은 시간과 조작이 요구 되며, 특히 환자에게 있어 비강 내 반복되는 기구 및 지혈제의 삽입은 통증을 유발 시켜, 고통을 느끼게 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협조가 매우 어려우며, 이로 인해 출혈이 더 조장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심한 비출혈의 경우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이는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역시 많은 손해가 발생한다.
이에 비강 내 출혈은 현재 원인이나 치료방법 등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비강 출혈 발생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병원 또는 가정에서 소아에게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비강 내 지혈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온에서와 달리 비강 내 주입되면 (겔 또는) 고체상태로 빠르게 변화하고, 비강 구조에 맞게 코 속으로 온전히 스며들어 효과적으로 출혈을 멈추게 하는 새로운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이드로겔(hydroge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겔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겔 또는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무 형식으로 비강 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 중합체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실크, 덱스트란 설페이트, 콜라겐, 셀룰로오스, 전분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플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메틸옥사졸린, 폴리에틸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성 중합체, 아크릴성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페뮬렌,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스파르트아미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혈 효과를 갖는 물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분해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및/또는 지혈용 조성물, 및/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비강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에 상온에서는 겔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상태로 변화하는 특징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지혈용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생분해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지혈제; 및 상기 지혈제의 분해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거제로 구성된 비강 지혈제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온에서와 달리 비강 내 주입되면 겔 또는 고체상태로 빠르게 변화하고, 비강 구조에 맞게 코 속으로 온전히 스며들어, 효과적으로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을 함유한 지혈제의 상온에서의 모습(왼쪽)과 비강 내 온도에서의 모습(오른쪽)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강내 지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비강 구조에 맞게 흡수되도록 제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와 달리 비강 내 주입되면 상(phase)이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효과적으로 비강 출혈을 중단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원인이 없는 특발성의 비강 출혈 증상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병원 치료나, 수술이 필요할 정도의 심한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고혈압이나 심장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 환자에서 아스피린 등의 항혈소판 제재 및 혈액순환제 등의 복용이 증가하여 촉발된 것으로 판단되며, 고령인구 증가 또한 하나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비출혈의 치료는 생각보다 간단치가 않으며, 환자에게는 특히나 많은 불편과 고통이 따른다. 소아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비 출혈을 해결할 수 있는 비 출혈 치료제가 학계는 물론 관련 시장에서도 크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비강 구조에 알맞게 잘 스며들며 효과적으로 비강 내 지혈이 가능하도록 개량된 상태의 지혈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온에서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이나 비강 내 삽입되면 체온에 의해 온도 상승으로 상이 빠르게 변화하여 고체 상태가 되어 출혈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hydroge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겔 상태로 존재하다가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혹은 도 1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상온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왼쪽)하다가 비강 내 삽입되면 겔 또는 고체 상태(오른쪽)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은 스프레이나 분무 형식으로 비강 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프레이 용기나 분무기 용기에 담겨 비강 내 분사를 통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은 상기와 같은 상온 및 비강 내 삽입시 상(phase) 변화 특성을 갖는 물질이라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은 상기 하이드로겔 이외에 본 조성물이 상기 상 변화 특성을 가질 수 있게끔 하는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하이드로겔과 특유의 방법으로 혼합되어 본 조성물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polymer)일 수 있는데, 천연 중합체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실크, 덱스트란 설페이트, 콜라겐, 셀룰로오스, 전분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중합체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플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메틸옥사졸린, 폴리에틸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성 중합체, 아크릴성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페뮬렌,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스파르트아미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은 지혈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지의 지혈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이드로겔 및 상기 공지된 지혈 물질은 혼합되어 비강 내 효과적으로 스며들며 비강에 삽입되었을때 빠르게 상(phase)이 고체상태로 변화하여 지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강 출혈 증상이 해결된 후 본 조성물은 별도의 제거 없이도 스스로 비강 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조성물은 구성요소에 더불어 생분해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과 혼합되어 본 조성물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본 조성물에 생분해성 물질 또는 생분해성 특징을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 본 조성물의 분해능을 가진 별도의 물질을 출혈이 멈춘 후 비강 내 분사하거나 또는 삽입하여 본 조성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지혈제와 상기 지혈제의 분해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거제로 구성된 비강 지혈제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지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 및/또는 공지된 지혈용 조성물, 및/또는 생분해성 물질, 및/또는 본 지혈제의 온도에 따른 상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지혈용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하이드로겔에 생분해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에 상온에서는 겔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특징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돼지 비강 안에 인위적인 손상을 가한 후 출혈을 유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을 주입한 결과, 10분 뒤 내시경을 이용하여 비강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이 출혈 부위에서 고체 상태로 굳어 있음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출혈이 멈췄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시예 1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지혈용 조성물은 온도와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강 내에서 상(phase)이 빠르게 변화하는 지혈제이며, 비강 구조에 맞게 최적화 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지혈제”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정량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조성물에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로는 액체 또는 겔(gel) 상태의 재형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강 지혈용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레이 방식, 스퀴즈 방식, 또는 전동식 기계 등에 의한 투여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임의의 제제 형태로 사용 가능하므로 페이스트상, 연고, 스프레이용 제제 등으로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강 내 도입되어야 하므로,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 삽입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의 지혈 효과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의 동물 모델에서의 지혈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돼지 비강 안에 인위적인 손상을 가하여, 출혈을 시켰다. 그리고 5분 뒤,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를을 주사기(10ml)를 이용하여 비강 내 주입하였다. 주입 후 10분 뒤 내시경을 이용하여, 비강을 관찰하여 겔의 형태 및 지혈 정도를 비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돼지의 종류 및 비강 상태는 최대한으로 동일하게 설정 하였으며, 각 물질의 주입 용량 및 농도 역시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그 결과, 겔이 고체의 형태로 딱딱하게 굳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비강 내 출혈이 멈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지혈이 잘 안 되지 않은 몇몇 돼지에게는 다시 한번 비강내 주사하였다. 그리고 3일 후 더 이상의 출혈이 없다면, 다시 내시경으로 비강을 관찰하여 젤의 형태를 관찰 하였다.
3일이 지난 후, 몇몇의 경우는 젤이 저절로 소실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몇몇의 경우는 젤이 일부 비강내 남아있어 온도 증가 또는 젤 제거 물질을 삽입하여 제거를 시도하였다.
제거 후 3일 뒤에는 다시 내시경으로 출혈 부위를 확인하고 지혈의 완전 여부를 관찰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돼지에서 출혈이 완전히 멈추고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도 말끔하게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하이드로겔(hydroge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겔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온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겔 또는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무 형식으로 비강 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중합체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실크, 덱스트란 설페이트, 콜라겐, 셀룰로오스, 전분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플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메틸옥사졸린, 폴리에틸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옥사졸린,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성 중합체, 아크릴성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페뮬렌,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스파르트아미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혈 효과를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분해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분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지혈용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이드로겔에 생분해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에 상온에서는 겔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비강 내 삽입되면 고체상태로 변화하는 특징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지혈제; 및
    상기 지혈제의 분해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거제로 구성된 비강 지혈제 세트.
KR1020120010952A 2012-02-02 2012-02-02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KR2013008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952A KR20130089522A (ko) 2012-02-02 2012-02-02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952A KR20130089522A (ko) 2012-02-02 2012-02-02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522A true KR20130089522A (ko) 2013-08-12

Family

ID=4921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952A KR20130089522A (ko) 2012-02-02 2012-02-02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5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8265A (zh) * 2015-05-08 2015-09-09 四川大学 温敏型胶原基复合止血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6010330A1 (ko) * 2014-07-16 2016-01-21 주식회사 제네웰 고분자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팩킹용 고분자 폼
KR20190005593A (ko) * 2017-07-07 2019-01-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용 다공성 스펀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3080485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생체적합성 분말형 지혈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30A1 (ko) * 2014-07-16 2016-01-21 주식회사 제네웰 고분자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팩킹용 고분자 폼
KR20160009724A (ko) * 2014-07-16 2016-01-27 주식회사 제네웰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비압박 지혈 팩킹용 고분자 폼
CN104888265A (zh) * 2015-05-08 2015-09-09 四川大学 温敏型胶原基复合止血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90005593A (ko) * 2017-07-07 2019-01-1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용 다공성 스펀지 및 그 제조방법
WO2023080485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생체적합성 분말형 지혈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17533A (ja) 皮膚の種々の損傷創面の治療の外用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6121561B2 (ja) 組織再生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1111678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ain relief without numbness
KR20130089522A (ko) 비강 내 지혈용 조성물
WO2009100435A2 (en) 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s
KR102200656B1 (ko)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개선된 창상 치료 조성물
JP2001510795A5 (ko)
PT2377541E (pt) Utilização de quitosana para o aumento da velocidade de crescimento das unhas
JP2019206544A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を含む抗炎症溶液
KR101067443B1 (ko)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함유하는 치핵 치료를 위한 국소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JP5796728B1 (ja) 創傷治癒を促進し生体諸臓器の被覆(コーチング)及び庇護を目的とした生体皮膜剤。
RU2177314C2 (ru) Состав с антисептическими, репаративными и болеутоляющими свойствами
CA3038870A1 (en) Lidocaine formulations for use in chronic open wounds
JP2001510794A (ja) レボブピバカインとその使用
US2018021438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carring
AU2007280440A1 (e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xcessive scarring
KR101607229B1 (ko) 말기름을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JP7169633B2 (ja) 表面麻酔剤
JP2024503490A (ja) シロスタゾールを含む組成物の脳血管疾患への応用
CN104510751B (zh) 一种治疗妇女痛经的中药单体组合物及其用途
WO202321738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mprising a volatile anaesthetic
RU2249448C2 (ru) Суппозитории с дибунолом и экстрактом прополиса для лечения гинекологических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Alam et al. Non-healing Ulcer Treated with Unani Formulation Zaroor-e-Qaw: A Case Report
CA2896936A1 (en) A use of the mixture of a salt and suga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employed for treating lax vagina syndrome or colpoxerosis disease in a mammal
BR102017011377A2 (pt) composição e formulação tópica anestésica e seu 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