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13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135A
KR20130089135A KR1020120074823A KR20120074823A KR20130089135A KR 20130089135 A KR20130089135 A KR 20130089135A KR 1020120074823 A KR1020120074823 A KR 1020120074823A KR 20120074823 A KR20120074823 A KR 20120074823A KR 20130089135 A KR20130089135 A KR 2013008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part
shell
pitch direction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748B1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지
타카미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Abstract

커넥터는, 기판에 탑재 가능하고, 그리고, 끼워맞춤부와 상대측 셸을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셸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는, 끼워맞춤부가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 끼워맞춤부를 수용한다. 셸은, 복수의 제1 접속부와 복수의 제2 접속부를 갖고 있다. 제1 접속부는,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셸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는,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기판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수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에 탑재 가능하고 그리고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타입의 커넥터는, EMI(Eletromagnetic Interference)를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는, 제1 접속부(접속부)와 제2 접속부(접속부)가 형성된 셸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셸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는, 기판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 상대측 셸과 기판이 셸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EMI가 저감된다.
예를 들면, 전술의 커넥터는,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7282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59598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19152호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72824호의 커넥터는, 셸과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셸은, 수용부 내에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수용부의 아래에 형성된 제2 접속부를 갖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59598호의 커넥터는, 셸과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셸은, 수용부 내에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수용부의 전방으로 돌출한 제2 접속부를 갖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19152호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셸과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셸은, 수용부 내에 형성된 제1 접속부와, 하우징의 저면(底面)의 아래에 형성된 제2 접속부를 갖고 있다.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커넥터에 대해서는, 제1 접속부가 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바꾸어 말하면, 전술한 커넥터는, 커넥터를 용이하게 저배(reduction in height)화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17282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5959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19152호
그래서,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셸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갖는 커넥터로서, 저배화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기판에 탑재 가능하고, 그리고, 끼워맞춤부와 상대측 셸을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수용부와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과 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맞춤부가 상기 커넥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부를 수용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은 유지부(holding portion)와 2개의 단부(end portion)를 갖고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피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갖고 있다.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는,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단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기 셸은, 상판부와 하판부와 복수의 접속부를 갖고 있다.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는 복수의 제1 접속부와 복수의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상대측 셸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기판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하판부로부터 상기 상부를 초과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를 Ⅳ-Ⅳ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넥터를 Ⅴ-Ⅴ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와 도 8의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서로 끼워맞춤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 조립체를 XI-XI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콘택트(100)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00)과, 금속제의 셸(300)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0)는, 전후 방향(X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전단(front end; 11) 및 후단(rear end; 12)을 각각 갖고 있다. 커넥터(10)는, 수용부(13)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13)는, 커넥터(10)의 전단(11)에 개구되도록 하여 커넥터(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커넥터(10)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ㆍ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20)와 끼워맞춤ㆍ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10)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 가능하고, 그리고, 상대측 커넥터(20)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는 서로 끼워맞춤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20)는, 케이블(30)에 부착 가능한 케이블 커넥터이다. 상대측 커넥터(20)는, 끼워맞춤부(21)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21)는,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서로 끼워맞춤할 때, 커넥터(10)의 수용부(13)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상세하게는, 끼워맞춤부(21)는, 커넥터(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12)을 향하여 수용부(13)에 삽입된다(즉, -X 방향을 따라서 삽입됨).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13)는, 끼워맞춤부(21)가 커넥터(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12)을 향하여 커넥터(10)에 삽입되었을 때, 상대측 커넥터(20)의 끼워맞춤부(21)를 수용 가능하다. 상대측 커넥터(2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대측 콘택트(22)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하우징(23)과, 금속제의 상대측 셸(24)과, 금속제의 잠금 바(lock-bar; 26)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하우징(23)은, 끼워맞춤부(21)를 구성하는 판 형상의 부위를 갖고 있다. 상대측 콘택트(22)는, 판 형상의 부위(즉, 끼워맞춤부(21))의 상면 상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셸(24)은, 2개의 걸어맞춤 돌기(25)를 갖고 있다. 걸어맞춤 돌기(25)는, 상대측 셸(24)의 Y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25)의 각각은, 피치 방향(Y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융기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콘택트(100)의 각각은, 접촉부(110)와, 고정부(120)를 갖고 있다. 접촉부(110)는, 수용부(13)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120)는, 예를 들면 땜납에 의해,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콘택트(100)는, 하우징(200)에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단, 콘택트(100)는, 상이한 방법으로 하우징(200)에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콘택트(100)는, 인서트 몰드에 의해 하우징(200)에 조입(incorporate)되어 있어도 좋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유지부(210)와, 2개의 단부(220)를 갖고 있다. 유지부(210)는, 콘택트(100)를 지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콘택트(100)는, 피치 방향(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단부(22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유지부(210)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지부(210)는, Z 방향(전후 방향 및 피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부(212)와 하부(214)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부(212) 및 하부(214)는, 수용부(1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단, 상부(212) 및 하부(214)는, 수용부(13) 전체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부(220)는, 전방 장출부(protruding portion; 222)와, 후방 장출부(224)를 갖고 있다. 전방 장출부(222)는, 유지부(210)를 초과하여 전방으로(즉, +X 방향으로) 장출(protruding)되어 있다. 후방 장출부(224)는, 유지부(210)를 초과하여 후방으로(즉, ―X 방향으로) 장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부(2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유지부(2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길다. 또한, 전방 장출부(222)의 장출량(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은 후방 장출부(224)의 장출량보다도 크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300)은, 인서트 몰드에 의해 하우징(200)에 조입되고, 이에 따라, 셸(300)과 하우징(200)은 일체화되어 있다. 셸(300)과 하우징(200)은, 이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셸(300)은, 하우징(200)이 성형된 후에, 하우징(200)에 압입함으로써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단, 커넥터(10)를 저배화하기 위해서는, 하우징(200)이 성형될 때에, 셸(300)이 인서트 몰드에 의해 하우징(200)에 조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셸(300)은, 상판부(310)와 하판부(320)와 2개의 연결부(330)와 복수의 접속부(340, 350)를 갖고 있다. 상판부(310)는, 유지부(210)(즉, 하우징(200)의 상부(212)에 위치하고 있다. 하판부(320)는, 유지부(210)의 하부(214)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330)는, 유지부(210)의 피치 방향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330)의 각각은, 상판부(310)와 하판부(32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접속부(340, 350)는, 복수의 제1 접속부(340)와 복수의 제2 접속부(35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판부(310)는, 유지부(210)의 상부(212)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유지부(21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면(212f)을 갖고 있다. 상판부(310)는, 유지부(210)의 전단면(212f)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부(210)의 전단면(212f)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판부(31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판부(31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2개의 측상부(312)를 각각 갖고 있다. 측상부(312)의 각각은, 단부(220)의 상측을 덮고 있다. 상판부(310)는, 2개의 홀드 다운(hold-down; 314)을 추가로 갖고 있다. 홀드 다운(314)의 각각은, 측상부(312)의 피치 방향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홀드 다운(314)은, 예를 들면 땜납에 의해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판부(320)는, 수용부(13) 내에 있어서 일부가 노출되도록 유지부(210)의 하부(214)에 조입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하판부(320)는, 상하 방향(Z 방향)에 있어서 콘택트(100)의 접촉부(110)와 대향하고 있다.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서로 끼워맞춤할 때, 끼워맞춤부(21)는 콘택트(100)의 접촉부(110)와 하판부(320)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판부(320)는, 저면에 형성된 전연부(front edge)를 갖고 있다. 전연부(322)는, 피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지부(210)의 하부(214)는, 전연부(322)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연부(322)는, 하부(214)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따라서, 전연부(322)는, 하방으로부터(즉, 커넥터(10)의 ―Z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330)는, 피(被)잠금부(332)와 걸어맞춤구멍(334)을 갖고 있다. 연결부(330)의 대부분은, 피잠금부(332) 및 걸어맞춤구멍(334)과 그들 주변을 제외하고, 하우징(200) 내에 매설되어 있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잠금부(332)는, 하우징(200)의 후방 장출부(224) 상에 노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잠금부(332)는,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서로 끼워맞춤한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잠금 바(26)가 기울어지면, 피잠금부(332)와 잠금 바(26)는 서로 접촉하여 압압하고, 이에 따라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구멍(334)은, 전방 장출부(222)의 내측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방 장출부(222)에는, 걸어맞춤구멍(334)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방 장출부(222)는, 본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전방 장출부(222)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걸어맞춤구멍(334)은,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20)의 걸어맞춤 돌기(25)와 걸어맞춤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걸어맞춤 돌기(25)가 걸어맞춤구멍(334)에 걸어맞춤함과 함께 잠금 바(26)가 피잠금부(332)에 접촉하여 압압하고, 이에 따라 끼워맞춤 상태는, 보다 강고하게 유지된다.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하판부(32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모든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유지부(210)의 상부(212)를 초과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수용부(13)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즉, 수용부(13)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음). 따라서, 셸(300)이(특히 하판부(320)가) 인서트 몰드에 의해 하우징(200)에 조입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10)를 저배화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판부(32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면(320f)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하판부(320)의 전단면(320f)은, 상부(212)의 전단면(212f)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하판부(320)의 전단면(320f)으로부터 상부(212)의 전단면(212f)을 초과하여 상부(212)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모든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단부(220)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즉, 전방 장출부(222)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음).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셸(300)의 측상부(312)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끼워맞춤했을 때, 모든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가 상대측 커넥터(20)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즉,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10) 및 상대측 커넥터(20))를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시인할 수 없다.
제1 접속부(340)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즉,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20)의 상대측 셸(24)과 접촉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속부(350)는, 커넥터(10)가 탑재되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속부(350)는,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땜납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접속부(350)는, 커넥터(10)가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었을 때,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하면, 상대측 셸(24)은, 셸(300)을 통하여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든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부(34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제2 접속부(350)와 혼재하도록 하여 나열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부(34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 옆의 접속부(340, 350)는, 제2 접속부(350)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와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그리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와의 사이의 전기적 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짧은 전기적 경로를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속부(34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 옆의 접속부(340, 350) 중 적어도 한쪽이 제2 접속부(350)라면, 짧은 전기적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단, 보다 다수의 전기적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가 피치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나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혼재하고 있는 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제1 접속부(340)에서 제2 접속부(350)까지 연장되는 전기적 경로를 가능한 한 짧게 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를 피치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의 열 중 가장 외측은, 제2 접속부(350)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접속부(350) 중 2개는, 제1 접속부(340)와 제2 접속부(350)의 열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최(最)외측 접속부이다. 모든 제1 접속부(34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최외측 접속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최외측 접속부의 사이에서는,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만이 유지부(210)의 상부(21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2개의 최외측 접속부는, 제2 접속부(35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최외측 접속부는, 제1 접속부(340)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최외측 접속부의 한쪽이 제1 접속부(340)이고, 다른 한쪽이 제2 접속부(350)라도 좋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제1 주부(主部; 342) 및 제2 주부(35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1 주부(342) 및 제2 주부(352)의 각각은,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주부(342) 및 제2 주부(352)는, 모두 하판부(32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을 몰드할 때, 수용부(13)를 형성하는 금형과 간섭하는 일 없이,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주부(342)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하방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340) 및 제2 접속부(350)는,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가 분리되어 있는 미(未)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1 주부(342)가 제2 주부(35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주부(342)에는, 상방으로 돌출한(즉, +Z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344)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44)는, 커넥터(10)와 상대측 커넥터(20)와의 끼워맞춤시에, 상대측 셸(24)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제1 주부(342)는, 볼록부(344)의 사이즈만 하방으로 변위한다(즉, -Z 방향으로 변위함). 제1 주부(342)가 변위할 때, 제1 접속부(340)는 탄성을 발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340)는, 그 탄성에 의해 볼록부(344)를 상대측 셸(24)에 밀어 붙이고, 그에 따라 셸(300)과 상대측 셸(24)과의 전기적 접속은, 보다 강고해진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4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즉, 제1 접속부(340)의 폭)는, 제2 접속부(350)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즉, 제2 접속부(350)의 폭)보다도 작다. 제2 접속부(350)는 넓은 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2 접속부(350)와 기판(도시하지 않음)과의 사이의 그라운드 접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접속부(340)는 좁은 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접속부(340)의 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속부(340)와 상대측 셸(24)과의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여러 가지 형상ㆍ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즉,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이하에, 전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몇 가지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한 하우징(200)의 단부(220)는, 유지부(210)보다도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길다. 그러나, 단부(220) 및 유지부(210)는, 이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단부(2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유지부(2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거의 동일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대측 커넥터(20)는, 케이블 커넥터이다. 그러나, 상대측 커넥터(20)는, 케이블 커넥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대측 커넥터(20)는, 커넥터(10)의 수용부(13)에 수용되는 끼워맞춤부(21)를 갖고 있는 한,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2012년 2월 1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020182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기판에 탑재 가능하고, 그리고, 끼워맞춤부와 상대측 셸을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수용부와 복수의 콘택트와 하우징과 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넥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을 향하여 상기 커넥터에 상기 끼워맞춤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끼워맞춤부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유지부(holding portion)와 2개의 단부(end portion)를 갖고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피치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는,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단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셸은, 상판부와 하판부와 복수의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복수의 제1 접속부와 복수의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상대측 셸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기판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하판부로부터 상기 상부를 초과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와 혼재하도록 나열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양 옆의 상기 접속부 중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2 접속부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제1 주부(主部) 및 제2 주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제1 주부 및 제2 주부는, 상기 하판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부는, 상기 제2 주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는, 저면(底面)에 형성된 전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연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상기 하부는, 상기 전연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연부는, 하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은, 인서트 몰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조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셸과 상기 하우징과는 일체화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20074823A 2012-02-01 2012-07-10 커넥터 KR101313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20182A JP5826654B2 (ja) 2012-02-01 2012-02-01 コネクタ
JPJP-P-2012-020182 2012-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35A true KR20130089135A (ko) 2013-08-09
KR101313748B1 KR101313748B1 (ko) 2013-10-01

Family

ID=488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823A KR101313748B1 (ko) 2012-02-01 2012-07-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1366B2 (ko)
JP (1) JP5826654B2 (ko)
KR (1) KR101313748B1 (ko)
CN (1) CN103247900B (ko)
TW (1) TWI472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6654B2 (ja) * 2012-02-0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71683B2 (ja) * 2012-03-27 2016-03-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99733B2 (ja) 2015-11-18 2018-03-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9659773B (zh) * 2019-01-18 2023-11-24 江苏联炜诚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5591B2 (ja) * 2004-12-14 2011-01-05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TWI313527B (en) 2006-11-03 2009-08-11 Ks Terminal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204309Y (zh) * 2008-03-25 2009-03-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618745B1 (ja) * 2009-12-04 2011-01-2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USD626511S1 (en) * 2010-02-03 2010-11-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5480652B2 (ja) * 2010-02-03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2420B2 (ja) * 2010-02-23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063748B2 (ja) * 2010-06-30 2012-10-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61490B2 (ja) * 2010-07-06 2012-06-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26654B2 (ja) * 2012-02-0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688207S1 (en) * 2012-02-14 2013-08-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688209S1 (en) * 2012-02-14 2013-08-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4295A (zh) 2013-08-16
US20130196546A1 (en) 2013-08-01
KR101313748B1 (ko) 2013-10-01
CN103247900B (zh) 2016-04-20
TWI472095B (zh) 2015-02-01
JP5826654B2 (ja) 2015-12-02
CN103247900A (zh) 2013-08-14
JP2013161540A (ja) 2013-08-19
US8721366B2 (en)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76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US7364464B2 (en) Electrical docking connector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342185B2 (ja) コネクタ
JP6278841B2 (ja) コネクタ
US924626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313748B1 (ko) 커넥터
US8657633B2 (en) Connector
JP2010277861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20120071030A1 (en) Shield case, connector having the shield cas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connector
EP1235303A2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2623814A (zh) 端子和端子连接结构
JP2012104413A (ja) 基板用コネクタ
US9240641B2 (en) Electric connector and fixer used therefor
KR101307483B1 (ko) 커넥터
JP504448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239718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CN107332002B (zh) 电连接器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10038574A (ko) 커넥터
KR101168545B1 (ko) 헤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