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306A -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 Google Patents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306A
KR20130088306A KR1020120009463A KR20120009463A KR20130088306A KR 20130088306 A KR20130088306 A KR 20130088306A KR 1020120009463 A KR1020120009463 A KR 1020120009463A KR 20120009463 A KR20120009463 A KR 20120009463A KR 20130088306 A KR20130088306 A KR 20130088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block
cube
block
children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638B1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이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구 filed Critical 이종구
Priority to KR102012000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6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로 성형된 큐브블럭을 다양한 형태의 평면구성 및 입체구성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은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 장공 형태인 네개의 체결공이 '
Figure pat00008
'로 배열되어 상기 체결공이 몸체 각 면의 변(邊)을 향하도록 몸체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큐브블럭의 체결공에 고정판이 삽입되어 각 큐브블럭을 결합하도록 판 형태의 몸체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판이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Assembling type cube-block for chilren}
본 발명은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로 성형된 큐브블럭을 다양한 형태의 평면구성 및 입체구성으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아 및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량 향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놀이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놀이기구로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유아 및 어린이들이 이러한 블럭을 이용하여 집 또는 성 등의 건물 형태로 쌓거나, 자동차 및 탱크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쌓으면서 입체적인 구성 및 평면적인 구성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하으로써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블럭은 대부분 합성수지를 재료로 제조되고 있는데 합성수지에는 프탈레이트와 같은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장난감을 입에 물고 빠는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근래에 들어 친환경 소재인 나무를 재료로 블럭을 제조하고 있으나 소재비가 고가이고 가공이 어려워 판매가가 높게 책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나무를 소재로 제조된 블럭은 쌓는 형태가 매우 단조롭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블럭을 조립할 수 없어서 아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고, 단단한 재질인 합성수지 또는 나무로 제조된 블럭이 바닥에 굴러다니다가 아이들이 블록을 밟아 넘어져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이들이 블럭놀이를 하다가 단단한 블럭을 던져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린이에게 무해하고, 아이들이 밟거나 던지더라도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되지 않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구성 및 평면적인 구성을 만들 수 있어 어린이들이 쉽게 질리지 않고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은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 장공 형태인 네개의 체결공이 '
Figure pat00001
'로 배열되어 상기 체결공이 몸체 각 면의 변(邊)을 향하도록 몸체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큐브블럭의 체결공에 고정판이 삽입되어 각 큐브블럭을 결합하도록 판 형태의 몸체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판이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 장공 형태인 네개의 체결공이 '
Figure pat00002
'로 배열되어 상기 체결공이 몸체의 각 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몸체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큐브블럭의 체결공에 고정판이 삽입되어 각 큐브블럭을 결합하도록 한 형태의 몸체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판이 형성된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 단부에는 보조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의 외측으로 보조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큐브블럭의 몸체 및 체결구의 몸체는 종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을 절취하여 형성된 몸체의 폴삽입구에 삽입되도록 사각 파이프 형태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 측 각 모서리에 홈이 각각 형성된 폴체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 중 서로 마주하는 두 체결공을 연결하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구성 및 평면적인 구성을 만들 수 있어 어린이들이 쉽게 질리지 않고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은 어린이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독성물질이 없어 어린이들에게 무해하고, 아이들이 블럭을 밟거나 던지더라도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되지 않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큐브블럭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체결구의 고정편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큐브블럭에 폴삽입구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폴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폴체결구를 이용하여 두 개의 큐브블럭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큐브블럭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체결구의 고정편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큐브블럭에 폴삽입구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폴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폴체결구를 이용하여 두 개의 큐브블럭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은 각 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 합성수지나 나무를 성형하여 큐브블럭을 사용하지 않고 두꺼운 종이를 재질로 육면체의 몸체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큐브블럭은 도 1과 같이 각 면(111)에 체결공(112)이 형성되고, 면(111)과 면(111)을 체결하는 잡합편(113)이 형성된 전개도대로 두꺼운 종이를 재단하여 조립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육면체의 큐브블럭(110)이 성형된다.
상기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110)의 각 면(111)에는 체결공(112)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도 2와 같이 네 개의 체결공(112)이 '
Figure pat00003
' 형태로 배열되고, 각 체결공(112)이 각 면(111)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큐브블럭(110)을 쌓을 때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요소가 필요한데,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결구(120)를 사용하여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한다.
상기 체결구(120)는 도 3과 같이 45°각도로 벌어진 한 쌍의 고정편(122)이 체결구(120)의 몸체(121)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120)의 양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122)을 도 4와 같이 꺽어서 각각 서로 다른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삽입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구(120)의 고정편(122)의 단부에 보조고정편(12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큐브블럭(110)은 체결구(120)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는데 도 5의 'A' 체결공(112)에는 체결구(120)의 고정편(122)이 한 개만 삽입되는 반면에, 도 5의 'B' 체결공(112)에는 각기 다른 체결구(120)의 고정편(122)이 두 개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고정편(122)이 삽입되도록 체결공(112)은 고정편(122) 두 개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폭으로 형성하는데, 도 5의 'A'와 같이 체결공(112)에 한 개의 고정편(122)만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유격이 발생하여 체결구(120)의 고정편(122)이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으로부터 빠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120)의 고정편(122) 단부에 보조고정편(12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같이 고정편(122)의 단부에 보조고정편(123)을 구성하고 도 5와 같은 형태로 큐브블럭(110)을 조립할 때 'A'와 같이 체결공(112)에 한 개의 고정편(122)이 삽입되는 경우에 도 4와 같이 고정편(122)을 하방으로 꺽고 고정편(122) 단부의 보조고정편(123)을 상방으로 꺽어서 체결공(112)에 삽입함으로써 고정편(122) 두께의 두배 크기 폭으로 천공된 체결공(112)에 고정편(122)과 보조고정편(123)이 삽입되어 유격의 발생없이 체결구(1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체결공(112)에 두 개의 고정편(122)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의 보조고정편(123)을 뜯어 제거한 후 고정편(122)만을 삽입하여 큐브블럭(110)을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 큐브블럭(110) 및 체결구(120)는 종이를 재질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보조고정편의 절취가 가능하여 어린이들이 어른들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보조고정편(123)을 제거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큐브블럭의 체결공(112) 외측에 보조체결공(114)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보조체결공은(114) 두 개의 체결공이 '
Figure pat00004
' 형태와 같이 45°각도로 벌어진 형상으로 체결공(112) 외측에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큐브블럭(110)은 큐브블럭(110)의 변 가까이에 보조체결공(114)이 형성되기 때문에 큐브블럭(110)을 조립하기 위한 접합편이 상기 보조체결공(114)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도를 구성함으로써 큐브블럭(100)을 조립할 때 접합편이 보조체결공(114)과 같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큐브블럭(110)을 조립하기 위한 전개도 상의 각 변에 삼각형태인 접합편(117)(119)을 한 쌍씩 구성함으로써 도 7과 같이 보조체결공(114)과 접합편(117)(119)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큐브블럭(110)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큐브블럭(110)을 조립할 때 도 6의 전개도 상에서 각 면(111)의 변과 변이 만나게 되면서 각 변의 접합편이 서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도 7과 같이 크기가 큰 접합편(117)의 하부에 홈(118)을 형성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접합편(119)이 상기 홈(118)에 삽입되면서 각 접합편(117)(119)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큐브블럭(110)에 보조체결공(114)을 형성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좀더 다양한 형태로 큐브블럭(110)을 조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조체결공(114)이 형성되지 않은 큐브블럭(110)은 도 5와 같이 각 큐브블럭(110)의 면(111)과 면(111)이 일치하는 형태로 조립할 수밖에 없지만, 보조체결공(114)이 형서된 큐브블럭(110)은 도 8과 같이 두 개의 큐브블럭(110) 상부 중앙에 한 개의 큐브블럭(110)을 쌓을 수 있다. 즉,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비껴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큐브블럭(110)을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체결구(1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122)을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삽입하고, 체결구(12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편(122)을 다른 두 개의 큐브블럭(110)에 형성된 보조체결공(114)에 삽입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큐브블럭(110)을 비껴 쌓을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큐브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도 9와 같이 육면체 형태로 큐브블럭(110)이 형성되고, 큐브블럭의 각 면(111)에 체결공(112)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도 9와 같이 네 개의 체결공(112)이 '
Figure pat00005
' 형태로 배열되고, 각 체결공(112)이 각 면(111)의 변(邊)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한 체결구(120)를 이용하여 각각의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구(12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의 몸체(121) 양 단부에 각각 한 쌍의 평행한 고정편(12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편(122)을 꺽어 다른 두 개의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삽입함으로써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구(120)의 고정편(122) 단부에 보조고정편(12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술한 이유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보조체결공(114)의 구성없이도 큐브블럭(110)을 비껴 쌓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1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122)을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삽입하고, 체결구(120)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122)을 각각 두 개의 큐브블럭(110)에 형성된 체결공(112)에 삽입함으로써 도 11과 같이 비껴 쌓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큐브블럭(110)은 체결구(120)를 이용하여 큐브블럭(110)을 연속 체결하도로 구성된 것이지만 폴체결구(130)를 이용하여 두 개의 큐브블럭(110)을 소정 거리 이격시켜 큐브블럭(110)을 체결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체결구(130)를 이용하여 체결된 큐브블럭(110)을 폴체결구(1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동적인 블럭쌓기가 가능하다.
폴체결구(130)를 이용하여 큐브블럭(11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도 12과 같이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을 절취하여 큐브블럭(110)의 면(111)에 사각형태의 폴삽입구(115)를 형성한다.
가위나 칼 등을 이용하여 체결공(112)을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가성선을 따라 잘라서 사각형태의 폴삽입구(115)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체결공(112)이 이루는 중심부분을 눌러 도 12과 같이 큐브블럭(110)의 종이가 찢어지게 한 후 이를 내부로 접어 넣어 사각형태의 폴삽입구(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큐브블럭(110)의 종이가 쉽게 뜯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체결공(112)을 연결한 점선 형태의 재단 가공한 절취선(116)을 형성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적은 힘으로도 쉽게 폴삽입구(115)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폴삽입구(115)는 폴체결구(130)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큐브블럭(110)에 폴삽입구(115)를 형성한 다음에 상기 폴삽입구(115)에 폴체결구(130)를 삽입한다.
상기 폴체결구(13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형태로 몸체(13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31)의 양측 각 모서리 부분에 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홈(133)은 제조시에 미리 형성할 수 도 있지만, 도 13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 절단선(132)을 형성하여 절단선이 형성된 부분을 눌러 홈(133)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체결구(130)를 도 12의 큐브블럭(110)의 폴삽입구(115)에 삽입하여 큐브블럭(110)의 폴삽입구(115)의 네 변이 폴체결구(130)의 홈(133) 위치에 위치하도록 폴체결구(130)를 폴삽입구(115)에 삽입한 후 큐브블럭(110) 또는 폴체결구(130)를 약 45°각도 회전시키면 폴삽입구(130)의 네변이 폴체결구(130)의 홈(133)에 삽입되어 도 14과 같이 두 개의 큐브블럭(110)이 소정 간격을 두고 체결될 뿐만 아니라 폴체결구(130)를 중심으로 큐브블럭(110)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동적인 큐브블럭을 원하는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110)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구성 및 평면적인 구성을 만들 수 있어 어린이들이 쉽게 질리지 않고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은 어린이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독성물질이 없어 어린이들에게 무해하고, 아이들이 블럭을 밟거나 던지더라도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되지 않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큐브블럭
111 : 면
112 : 체결공
113 : 접합편
114 : 보조체결공
115 : 폴삽입구
116 : 절취선
117 : 접합편
118 : 홈
119 : 접합편
120 : 체결구
121 : 몸체
122 : 고정편
123 : 보조고정편
130 : 폴체결구
131 : 몸체
132 : 절단선
133 : 홈

Claims (7)

  1.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110);,
    장공 형태인 네개의 체결공((112))이 '
    Figure pat00006
    '로 배열되어 상기 체결공(112)이 큐브블럭(110)의 각 면의 변(邊)을 향하도록 큐브블럭(110)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112); 및
    상기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고정판(122)이 삽입되어 각 큐브블럭(110)을 결합하도록 판 형태의 몸체(121)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편(122)이 형성된 체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2. 육면체 형태의 큐브블럭(110);,
    장공 형태인 네개의 체결공(112)이 '
    Figure pat00007
    '로 배열되어 상기 체결공(112)이 큐브블럭(110)의 각 면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큐브블럭(110)의 각 면에 형성된 체결공(112); 및
    상기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에 고정편(122)이 삽입되어 각 큐브블럭(110)을 결합하도록 판 형태의 몸체(121) 양단에 각각 한 쌍의 고정편(122)이 형성된 체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2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편(122) 단부에는 보조고정편(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블럭(110)의 각 면(111)에 형성된 체결공(112)의 외측으로 보조체결공(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블럭(110) 및 체결구(120)는 종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12)을 절취하여 형성된 큐브블럭(110) 면(111)의 폴삽입구(115)에 삽입되도록 사각 파이프 형태의 몸체(13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31)의 양 측 각 모서리에 홈(133)이 각각 형성된 폴체결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블럭(110)의 체결공(112) 중 서로 마주하는 두 체결공(112)을 연결하는 절취선(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KR1020120009463A 2012-01-31 2012-01-31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KR10135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63A KR101358638B1 (ko) 2012-01-31 2012-01-31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463A KR101358638B1 (ko) 2012-01-31 2012-01-31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06A true KR20130088306A (ko) 2013-08-08
KR101358638B1 KR101358638B1 (ko) 2014-02-05

Family

ID=4921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63A KR101358638B1 (ko) 2012-01-31 2012-01-31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6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686A1 (ru) * 2015-04-16 2016-10-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Йохо" Набор для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объемные элементы и соединители
ITUB20153586A1 (it) * 2015-09-11 2017-03-11 Simon Carlo Marussi Gruppo modulare per la formazione di costruzioni ad uso ludico.
KR101883287B1 (ko) * 2018-06-28 2018-07-30 (주)신흥이앤지 큐브 적층 구조의 어린이 놀이 시설물
KR102125408B1 (ko) * 2018-12-26 2020-06-22 김유인 음양오행 및 황색계열 조명을 이용한 큐브형 식품 보관장치
KR2022011813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디스럽션 종이 블록 놀이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65B1 (ko) 2019-09-23 2021-05-03 주식회사 딥비전 사용자 중심의 도안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602726B1 (ko) 2021-05-25 2023-11-15 신승호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185A (en) * 1993-02-22 1994-01-25 Lee Robert W Universal foldable toy blocks with alignable slots
DE29514651U1 (de) 1995-09-12 1995-11-02 Achtelig Marc Dipl Ing Fh Dipl Falt-Stech-System zur Nachbildung quaderförmiger, in Reihe und über Eck verbaubarer Bausteine aus flächigen, faltbaren Werkstoffen
US5662508A (en) 1995-11-13 1997-09-02 Inland Container Corporation Toy building block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686A1 (ru) * 2015-04-16 2016-10-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Йохо" Набор для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содержащий объемные элементы и соединители
CN107533809A (zh) * 2015-04-16 2018-01-02 尤克霍有限责任公司 包括三维元件和连接器的构建套装附件
ITUB20153586A1 (it) * 2015-09-11 2017-03-11 Simon Carlo Marussi Gruppo modulare per la formazione di costruzioni ad uso ludico.
WO2017042734A1 (en) * 2015-09-11 2017-03-16 Marussi Simon Carlo Modular unit for forming constructions for toy use
KR101883287B1 (ko) * 2018-06-28 2018-07-30 (주)신흥이앤지 큐브 적층 구조의 어린이 놀이 시설물
KR102125408B1 (ko) * 2018-12-26 2020-06-22 김유인 음양오행 및 황색계열 조명을 이용한 큐브형 식품 보관장치
KR20220118139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디스럽션 종이 블록 놀이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638B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638B1 (ko)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US10709998B2 (en) Card-like structure and connector toys for building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US20100056013A1 (en) Magnetic Toy Construction Piece and Set
US20120071061A1 (en) Toy building block
US9364767B2 (en) Toy building block
RU2744062C9 (ru) Состав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игр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блоков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US20120156960A1 (en) Transformable Toy Robot
TW201245590A (en) Coupling structure
KR101898623B1 (ko) 종이 완구블록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101508097B1 (ko) 유희 연결구
US2693663A (en) Building construction toy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US9144747B2 (en) Constructible playhouse
CN210078820U (zh) 一种用于建构游戏的连接板
CN218589665U (zh) 户外大型积木组
CN209171822U (zh) 一种epp多功能儿童环保爬爬垫
CN217697922U (zh) 一种可拼接箱体的模块组件
CN107533809A (zh) 包括三维元件和连接器的构建套装附件
CN212787018U (zh) 一种可以自由组装的箱体
SK500952016U1 (sk) Stavebnicový systé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