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26B1 -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726B1
KR102602726B1 KR1020210067074A KR20210067074A KR102602726B1 KR 102602726 B1 KR102602726 B1 KR 102602726B1 KR 1020210067074 A KR1020210067074 A KR 1020210067074A KR 20210067074 A KR20210067074 A KR 20210067074A KR 102602726 B1 KR102602726 B1 KR 10260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y
entrance
hole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117A (ko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신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호 filed Critical 신승호
Priority to KR102021006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26B1/ko
Priority to JP2024515020A priority patent/JP2024519187A/ja
Priority to CN202180098539.3A priority patent/CN117355359A/zh
Priority to EP21943166.5A priority patent/EP4349423A1/en
Priority to PCT/KR2021/006569 priority patent/WO2022250177A1/ko
Publication of KR2022015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8Labyrinth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8Playhouses, play-tents, big enough for playing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1/00Labyrinth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즐길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으로,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놀이기구 설치자와 놀이 주체인 어린이의 창의적 의견을 반영하여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 손으로 잡거나 발을 넣어 밟을 수 있는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되는 블록(100)을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하여 봉부재로 상호 연결사용하되,
상기 입출입구(D)와 큰 홀(H2)을 통해 블록 내부로 숨는 숨바꼭질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홀(H1)을 잡거나 밟고 올라가는 등벽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봉부재를 손으로 잡고 건너거나 체력을 단련하는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블록을 관람석이나 좌석 테이블처럼 조합하여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블록(100)의 내부와 블록 사이를 통과하며 잡기놀이나 미로찾기놀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a play method and play cube-block}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즐길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으로,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놀이기구 설치자와 놀이 주체인 어린이의 창의적 의견을 반영하여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아 및 어린이들의 창의력, 구성력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놀이블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블록은 다양한 입체 블록을 이용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이 건물이나 자동차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조합하면서 입체적인 구성의 경험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가진 놀이블록은 실내에서 손으로 조작하여 형태를 구성하도록 작은 크기이며 온몸을 이용해서 놀수 있는 놀이기구로는 부족하다.
유아 및 어린이들이 쉽게 질리지 않으며, 성장 발달을 제공할 수 있는 놀이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638호(2014. 01. 28) 특허문헌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1515호(2002. 06. 28)
본 발명은 종래의 작은 놀이블록의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8가지 블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시켜 놀이기구를 창작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독창적인 놀이를 즐길 수 있고, 이로 인한 아이들의 창의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가 구비되며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입체적 형상의 구조물을 만들어 다양한 놀이기구를 만들 수 있는 블록; 을 수직으로 조합배열하거나 바닥면에 수평으로 배열하여 다양한 놀이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면에 잡거나 밟는 작은 홀과 통과할 수 있는 큰 홀이 구비되는 블록을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봉부재로 상호 연결사용하되,
상기 입출입구와 큰 홀을 통해 블록 내부로 숨는 숨바꼭질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홀을 잡거나 밟고 올라가는 등벽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봉부재를 손으로 잡고 건너거나 체력을 단련하는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블록을 관람석이나 좌식 테이블처럼 조합하여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블록의 내부와 블록 사이를 통과하며 잡기놀이나 미로찾기놀이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놀이기구 블록을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구성을 갖도록 조합사용할 수 있어, 색다른 특징을 갖는 놀이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합적인 놀이기능을 제공하는 효과와, 조합된 놀이공간에서 온몸으로 즐길 수 있어 어린이들의 성장 발달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1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2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3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4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5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6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7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 중 제8블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 블록을 이용하여 입체적 놀이기구를 제작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가 구비되며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입체적 형상의 구조물을 만들어 다양한 놀이기구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구 블록(100)으로 구비된다.
특히,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 잡거나 밟는 작은 홀(H1)과 통과 할 수 있는 큰 홀(H2)이 구비되는 놀이기구 블록(100)을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하여 봉부재로 상호 연결사용하되,
상기 입출입구(D)와 큰 홀(H2)을 통해 블록 내부로 숨는 숨바꼭질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홀(H1)을 잡거나 밟고 올라가는 등벽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봉부재를 손으로 잡고 건너거나 체력을 단련하는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놀이기구 블록을 관람석이나 좌식 테이블처럼 조합하여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놀이기구 블록의 내부와 블록 사이를 통과하며 잡기놀이나 미로찾기 놀이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놀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은,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과, 제3블록(130)과, 제4블록(140)과, 제5블록(150), 제6블록(160), 제7블록(170), 제8블록(180)으로 이루어진다.
<제1블록>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11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모서리부는 경사면(C)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는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을 수 있는 작은 홀(H1)과 이용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큰 홀(H2)이 구비된다.
상기 작은 홀(H1)과 큰 홀(H2)의 모양은 원형 내지 다각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의 크기는 손을 넣어 잡거나 발로 밟고 딛는 작은 형태와 몸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홀(H1)(H2)은 하기에서 설명할 제2블록 내지 제8블록의 전반에 걸쳐 포함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블록은 터널식으로 관통형성된 놀이기구 블록으로 주로 터널 놀이로 사용되는 것으로, 아이들의 머리부 충돌에 따른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작부와 끝단부의 모서리 둘레로 연질의 폐킹(P)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할 제2블록 내지 제8블록의 전반에 걸쳐 포함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블록의 내.외부에는 다양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고, 블록은 충돌에 따른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해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블록>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록(12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모서리부는 경사면(C)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상기 입출입구(D)는 일 요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되, 개구된 곳을 시작으로 원활한 출입을 행할 수 있도록 안내편(121)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제3블록>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블록(13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제4블록>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블록(14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육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제5블록>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블록(15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육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상기 입출입구(D)는 일부가 개구됨에 의해 형성되되, 입구를 안내하는 안내편(151)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시작편(152)은 상기 안내편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블록>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블록(160)은 터널식으로 관통되며 "L"자 절곡된 상단으로 내측으로 말아지게 라운드로 구비되며 절곡된 부위로 부터 입출입구(D)가 구비되어 라운드부까지 연통되게 이루어진다.
<제7블록>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블록(17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제8블록>
첨부 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블록(18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5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는 크기가 상이하고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다.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조합을 예시로 도시한 것으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복합적 놀이기능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10 내지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과 그 외의 품목을 결합하여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을 상하로 적층하여 조립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블록(100)의 길이방향 시작부와 끝단부에 마감판(400)을 끼워 조립사용된다.
그리고 블록과 블록은 체결유닛(미도시)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블록의 하단에는 받침부재(300)을 구비하여 이격된 블록을 견고하게 받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된 블록의 상단에는 아이들이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대(2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0)을 적층하여 구성하되, 블록의 길이방향 양 사이드 출입구에는 마감판(400)을 구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입출입구의 시작편과 안내편 사이에는 받침부재(300)를 조립하여 블록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층된 블록의 상단에는 아이들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대(200)가 구비되며, 안전난간대의 요부에는 미끄럼틀(500)을 구비하여 아이들이 타고 놀수 있는 미끄럼틀 놀이기구를 제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을 수직으로 이격되게 구비하고, 블록과 블록의 상단 사이로 원형봉, 또는 철봉등을 조합하여 구름사다리운동 내지 철봉운동을 제공하는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놀이기구는 숨바꼭질 놀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철봉놀이 및 손으로 잡고 이동하는 놀이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을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조립하여 그에 따른 놀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제작함에 의해 놀이기구 설치자와 사용자인 아이들의 창의력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블록 110: 제1블록
120: 제2블록 130: 제2블록
140: 제4블록 150: 제5블록
160: 제6블록 170: 제7블록
180: 제8블록 200: 안전난간대
300: 받침부재 400: 마감판
500: 미끄럼틀 600: 철봉
D: 입출입구 P: 폐킹

Claims (11)

  1.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 손으로 잡거나 발을 넣어 밟을 수 있는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되는 놀이기구 블록(100)을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 조합사용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하여 봉부재로 상호 연결사용하되,
    상기 입출입구(D)와 큰 홀(H2)을 통해 블록 내부로 숨는 숨바꼭질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홀(H1)을 잡거나 밟고 올라가는 등벽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봉부재를 손으로 잡고 건너거나 체력을 단련하는 놀이를 제공하고,
    상기 블록을 관람석이나 좌석 테이블처럼 조합하여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놀이기구 블록(100)의 내부와 블록 사이를 통과하며 잡기놀이나 미로찾기놀이를 제공하며,
    상기 놀이기구 블록(100)은,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과, 제3블록(130)과, 제4블록(140)과, 제5블록(150), 제6블록(160), 제7블록(170), 제8블록(180)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12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모서리부는 경사면(C)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블록(13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고,
    상기 제5블록(15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육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측부에는 입출입구(D)가 구비되며,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고,
    상기 제6블록(160)은, 터널식으로 관통되며 "L"자 절곡된 상단으로 내측으로 말아지게 라운드로 구비되며 절곡된 부위로 부터 입출입구(D)가 구비되어 라운드부까지 연통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11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일 모서리부는 경사면(C)으로 이루어지고,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블록(14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육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블록(17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8블록(180)은,
    터널식으로 관통된 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각 면에는 상이한 크기와 다양한 모양의 홀(H1)(H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11. 삭제
KR1020210067074A 2021-05-25 2021-05-25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KR10260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74A KR102602726B1 (ko) 2021-05-25 2021-05-25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JP2024515020A JP2024519187A (ja) 2021-05-25 2021-05-27 様々な形態で組み合わせおよび配置して様々な乗り物を構成することができる乗り物ブロック
CN202180098539.3A CN117355359A (zh) 2021-05-25 2021-05-27 能够以各种形态组合配置而构成各种游乐设施的游乐设施块
EP21943166.5A EP4349423A1 (en) 2021-05-25 2021-05-27 Amusement ride blocks capable of constructing various amusement rides by being combined and arranged in various shapes
PCT/KR2021/006569 WO2022250177A1 (ko) 2021-05-25 2021-05-27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074A KR102602726B1 (ko) 2021-05-25 2021-05-25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117A KR20220159117A (ko) 2022-12-02
KR102602726B1 true KR102602726B1 (ko) 2023-11-15

Family

ID=8422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074A KR102602726B1 (ko) 2021-05-25 2021-05-25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9423A1 (ko)
JP (1) JP2024519187A (ko)
KR (1) KR102602726B1 (ko)
CN (1) CN117355359A (ko)
WO (1) WO202225017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KR101887310B1 (ko) * 2017-07-12 2018-08-09 허준 가변형 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15Y1 (ko) 2001-11-14 2002-07-12 정용연 놀이용 시소 블럭
KR101358638B1 (ko) 2012-01-31 2014-02-05 이종구 어린이 놀이용 조립식 큐브블럭
BR102015011928A2 (pt) * 2015-05-22 2017-01-17 Janete Zen brinquedo lúdico em blocos intercambiáveis e método de travamento de blocos intercambiáveis
KR101978647B1 (ko) * 2016-11-16 2019-05-17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KR102259228B1 (ko) * 2019-06-04 2021-05-31 이남주 고정 키를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캣타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KR101887310B1 (ko) * 2017-07-12 2018-08-09 허준 가변형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49423A1 (en) 2024-04-10
KR20220159117A (ko) 2022-12-02
CN117355359A (zh) 2024-01-05
JP2024519187A (ja) 2024-05-08
WO2022250177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353B2 (en)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KR101687264B1 (ko) 실내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
US20120015582A1 (en) Modular and stackable dollhouse
KR102602726B1 (ko)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KR101278084B1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US5095852A (en) Elevator/staircase toy for small animals
KR200389153Y1 (ko) 목재 블럭 완구
CN204469212U (zh) 儿童游乐墙
JP3181308U (ja) 積木ユニット
RU18235U1 (ru)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CN205637683U (zh) 一种儿童游戏屋
CN217287148U (zh) 一种幼龄儿童益智木质玩具
KR102011562B1 (ko) 자석 낚시 놀이기구
CN218685991U (zh) 一种穿越型和挑战型结合的游乐装置
CN214714295U (zh) 一种具有内拉带的弓箭跑道
CN203879053U (zh) 一种新型儿童乐园
CN213823460U (zh) 一种多功能区游乐设施
CN208990233U (zh) 一种鲁班锁
KR20130005436U (ko) 균형잡는 학습완구
CN211215391U (zh) 一种八爪鱼主题的游乐设施
CN217119316U (zh) 一种飞碟状组合滑梯
CN213220888U (zh) 带有球状构筑的游乐设施
CN208465165U (zh) 一种海盗船外形的玩具
CN208176947U (zh) 一种半地下式游乐设施
Grey Creative learning in children's playgr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