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513A - 개용 시스템 화장실 - Google Patents

개용 시스템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513A
KR20130087513A KR1020137001774A KR20137001774A KR20130087513A KR 20130087513 A KR20130087513 A KR 20130087513A KR 1020137001774 A KR1020137001774 A KR 1020137001774A KR 20137001774 A KR20137001774 A KR 20137001774A KR 20130087513 A KR20130087513 A KR 2013008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ontainer
liquid
surface por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마츠오
도모코 히라오
다이스케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상부 용기에 입상물을 깔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을 제공한다.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은,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21)를 갖는 배설물 수용 용기(2)와, 액투과성을 갖는 바닥면부(41), 및 바닥면부(4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42)를 갖는 상부 용기(4)를 구비하고, 바닥면부(41)의 상면측에 흡수성을 갖는 액투과 패널(3)이 배치되어 사용된다. 상부 용기(4)에서의 측벽부(42)의 바닥면부(41)로부터의 기립 각도는 90도 이상이고, 또한, 상부 용기(4)는, 바닥면부(41) 및 측벽부(42)가 이음매 없이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개용 시스템 화장실{SYSTEM TOILET FOR DOGS}
본 발명은 개용 시스템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에서 사육하는 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 용기와, 이 배설물 수용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액투과성의 바닥면부 및 이 바닥면부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를 갖는 상부 용기를 구비하는, 주로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은, 주로 고양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위 고양이 모래라고 하는 입경 수 mm 정도의 입상물을 상부 용기에 빈틈없이 깔은 상태로 사용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의 상부 용기는, 빈틈없이 깔은 입상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측벽부의 상단측이 내측으로 경사져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벽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부분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바닥면부 및 측벽부를 갖는 상부 용기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없다. 따라서, 입상물을 빈틈없이 깔아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종래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는, 주로 바닥면부를 구성하는 부분과, 측벽부의 내측으로 경사진 상단측을 구성하는 부분을 따로따로 성형한 후, 이들을 연결하여 상부 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48603호 공보
그러나, 이상의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에서는, 상부 용기에서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부분과 바닥면부를 구성하는 부분의 연결 부분에 미세한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에 동물의 배설물, 특히 뇨가 스며들어 버린다. 그 결과, 상부 용기가 쉽게 더러워지고, 이 간극을 청소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되었다.
그런데, 개는 배설을 할 때 고양이 모래와 같은 입상물의 존재를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입상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는 입상물을 잘못해서 먹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동물용 시스템 화장실을 개에게 적용하는 경우, 상부 용기에 입상물을 깔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최근, 실내에서 개를 기르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고, 실내에서 개를 기르는 가정의 증가에 따라, 용이하게 청소를 할 수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 용기에 입상물을 깔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를 갖는 배설물 수용 용기와, 액투과성을 갖는 바닥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를 갖는 상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상면측에 흡수성을 갖는 액투과 패널이 배치되어 사용되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로서,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면부로부터의 기립 각도는 90도 이상이고, 또한,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측벽부가 이음매없이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바닥면부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살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살과, 상기 제1 살 및 상기 제2 살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평면에서 볼 때의 폭방향의 길이는 5 mm∼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외측을 향해 만곡된 곡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을 포함하는 대략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액투과 패널은, 종이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일회용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에 의하면, 상부 용기에 입상물을 깔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용 시스템 화장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평면도이며, 액투과 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a는 상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캐비티 금형과 코어 금형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상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캐비티 금형과 코어 금형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지 재료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상부 용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캐비티 금형과 코어 금형을 개방하여 상부 용기를 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액투과 패널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개용 시스템 화장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에 있어서 인출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평면도이며, 액투과 패널(3)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개」란, 주로 실내에서 사육되는 개를 나타내고, 보다 상세하게는, 체중이 대략 7 kg 이하인 소형견을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21)를 가지며 상면이 개구된 배설물 수용 용기(2)와, 이 배설물 수용 용기(2)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배설물 수용 용기(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용기(4)를 구비하고, 상부 용기(4)에 흡수성을 갖는 액투과 패널(3)이 배치되어 사용된다.
배설물 수용 용기(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정방형상의 수용 용기 바닥면부(22)와, 이 수용 용기 바닥면부(22)로부터 기립하는 수용 용기 측벽부(23)를 구비한다. 이 배설물 수용 용기(2)는 배설물을 수용한다.
수용 용기 바닥면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방형상으로 구성된다.
수용 용기 측벽부(23)는, 수용 용기 바닥면부(22)의 4변 각각으로부터 기립하여 설치된다. 이 수용 용기 측벽부(23)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측벽부(231)와, 이 내측 측벽부(231)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벽부(232)를 구비한다.
내측 측벽부(231)는, 수용 용기 바닥면부(2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된다. 이 내측 측벽부(231)의 내면은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내측 측벽부(231)의 외면은, 수용 용기 바닥면부(2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다.
외측 측벽부(232)는, 내측 측벽부(231)보다 높이가 높게 구성되어 있다. 이 외측 측벽부(232)의 상단측은, 외측 및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다.
배설물 수용부(21)는, 수용 용기 바닥면부(22) 및 4개의 수용 용기 측벽부(23)(내측 측벽부(231))에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배설물 수용부(2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액 시트(6)가 배치되고, 이 흡액 시트(6)에 의해 개가 배설한 뇨 등은 흡수된다.
상부 용기(4)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어 구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방형상의 바닥면부(41)와, 이 바닥면부(41)의 둘레 가장자리인 4변 각각으로부터 기립하여 배치되는 측벽부로서의 4개의 상부 측벽부(42)를 구비한다.
바닥면부(41)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살(411)과, 복수의 제2 살(412)과, 복수의 관통 구멍(413)을 구비하고, 액투과성을 갖는다.
복수의 제1 살(41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바닥면부(41)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2 살(412)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며 바닥면부(41)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관통 구멍(413)은, 인접하는 2개의 제1 살(411)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 살(4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각각이 대략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바닥면부(4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제1 살(411) 사이의 길이는, 인접하는 2개의 제2 살(412) 사이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413)은, 제1 방향(X)이 길이 방향이 되고 제2 방향(Y)이 폭방향이 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 복수의 관통 구멍(413)은, 바닥면부(4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을 포함하는 대략 전역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413)의 폭방향의 길이(D1)는, 바람직한 액체 투과성을 확보하고, 상부 용기(4)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mm∼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15 mm이다.
복수의 관통 구멍(413)의 길이 방향의 길이(D2)는, 바닥면부(41)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mm∼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mm∼70 mm이다.
제1 살(411)의 폭(W1) 및 제2 살(412)의 폭(W2)은, 바람직한 액체 투과성을 확보하고 바닥면부(41)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mm∼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mm∼6.0 mm이다.
제1 살(411) 및 제2 살(412)의 두께(바닥면부(41)의 두께)(T1)(도 3 참조)는, 바닥면부(41)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 및 배설물 수용부(21)에 수용된 뇨 등의 액체가 액투과 패널(3)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mm∼15 mm이다.
상부 측벽부(4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41)로부터의 기립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측벽부(42)의 내면은, 외측을 향해 만곡된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바닥면부(41)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완만하게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 측벽부(42)의 내면간의 거리(W3)는, 바닥면부(41)측으로부터 상단부측을 향해 서서히 커지고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부 측벽부(42)의 바닥면부(41)로부터의 기립 각도가 90도 이상이다」란,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 측벽부(42)의 내면간의 거리(W3)가 바닥면부(41)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지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상부 측벽부(42)의 외면은, 바닥면부(41)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약간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상부 측벽부(42)의 외면측의 하단부는, 외측을 향해 굴곡된 후 다시 하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이 상부 측벽부(42)의 외면측의 하단부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 용기(2)의 외측 측벽부(232)의 상단측의 외측 및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측에 결합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의 4개의 상부 측벽부(42) 중의 3개의 상부 측벽부(42)의 높이는, 대략 균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상부 측벽부(42) 중의 하나의 상부 측벽부(42a)에는, 다른 3개의 상부 측벽부(42)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된 출입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을 사용하는 개는, 이 출입구부(43)를 통해 상부 용기(4)에 출입할 수 있다.
이상의 배설 용기(2) 및 상부 용기(4)는, 모두 사출 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여기서, 상부 용기(4)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 6a∼도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a∼도 6c는, 상부 용기(4)를 제조하는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캐비티 금형(71)과 코어 금형(72)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캐비티 금형(71)과 코어 금형(7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지 재료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캐비티 금형(71)과 코어 금형(72)을 개방하여 상부 용기(4)를 꺼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용기(4)는, 캐비티 금형(71) 및 코어 금형(72)의 사이에 형성된 상부 용기(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공간 부분에, 용융한 수지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금형(72)의 상면에는, 상부 측벽부(42)의 하면측의 형상 및 바닥면부(41)의 복수의 관통 구멍(413)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볼록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캐비티 금형(71)의 하면에는, 상부 측벽부(42)의 외면 및 내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용기(4)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금형(72)의 상면과 캐비티 금형(71)의 하면이 대향한 상태로, 이들 코어 금형(72)과 캐비티 금형(71)을 폐쇄한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 금형(71)과 코어 금형(7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용융한 수지 재료를 충전하고, 그 후, 캐비티 금형(71) 및 코어 금형(72)을 냉각시켜 충전한 수지 재료를 경화시킨다. 이어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 금형(71)과 코어 금형(72)을 개방하여 상부 용기(4)를 꺼낸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측벽부(42)의 바닥면부(41)로부터의 기립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부 측벽부(42) 및 바닥면부(41)를 포함하는 상부 용기(4) 전체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 수용 용기(2)도, 상부 용기(4)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배설물 수용 용기(2) 및 상부 용기(4)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AS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7은, 액투과 패널(3)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액투과 패널(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2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흡수성을 갖는 일회용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이 액투과 패널(3)은, 상부 용기(4)의 바닥면부(41)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바닥면부(41)의 상면의 대략 전역을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투과 패널(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41)의 크기의 대략 절반의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2장의 액투과 패널(3)에 의해 바닥면부(41)의 상면을 덮고 있다. 또, 액투과 패널(3)은, 이 액투과 패널(3)의 길이 방향이 상부 용기(4)의 출입구부(43)가 형성된 상부 측벽부(42a)가 연장되는 방향(제2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상의 액투과 패널(3)은, 소정의 액투과성, 액흡수성 및 소취성을 구비한다.
액투과 패널(3)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가지며, 복수의 구멍부(31)를 통하여 배설물을 액투과 패널(3)의 두께 방향으로 투과시킨다.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형상 및 면적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이러한 복수의 구멍부(31)를 갖는 액투과 패널(3)은, 예컨대, 스폰지형의 재료와 같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를 갖는 패널과 비교하여, 액투과 패널(3)의 내부에 잔류하는 배설물의 양을 저감하기 쉽다. 그 때문에, 개가 액투과 패널(3)을 밟은 경우에, 개의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액투과 패널(3)이, 액투과 패널(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갖는 경우,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은, 10 ㎟/개∼100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개∼60 ㎟/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액투과 패널(3)에 부착되는 배설물의 양이 증가하여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하기 어렵다. 또,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이 지나치게 넓으면, 액투과 패널(3)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액투과 패널(3)을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구멍부(31)의 개구부의 평균 면적은, 예컨대, 개구부의 사진을 화상 해석하는 방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액투과 패널(3)이,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갖는 경우, 패널의 바람직한 구조로서, 허니컴 구조 또는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들 패널 중에서는,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게 입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패널이 보다 바람직하다.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투과 패널(3)로는, 예컨대, 구멍부(31)(셀)의 사이즈가 5 mm이고, 두께가 5 mm인 적층 골판지를 들 수 있다. 패널의 재질은, COBB30법(JIS-P8140)에서 10 g/㎡∼20 g/㎡의 흡수성을 나타내는 내수 원지(耐水 原紙)를 재료로 하는 패널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흡수성 범위의 흡수성을 갖는 콜게이트 허니컴 패널은, 지흡수성(遲吸水性) 및 젖었을 때의 강도를 겸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투과 패널(3)이,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31)를 갖기 때문에, 뇨는 복수의 구멍부(31)를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개가 올라가 있는 액투과 패널(3)의 표면에서 확대되기 어렵다.
이하,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투과 패널(3)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투과 패널(3)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파판(波板)형 시트(32)와 평판(平板)형 시트(33)를 접합하여, 편측 골판지형의 부재를 얻는다. 이어서, 얻어진 편측 골판지형의 부재를 복수층 적층하고, 인접하는 층의 부재를 접합한다. 이에 따라,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복수의 구멍부(31)가 형성된 블록형의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블록형의 부재를, 구멍부(31)의 관통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구멍부(31)가 형성된 콜게이트 허니컴 구조의 액투과 패널(3)이 제조된다.
또한,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방법 등의 공지의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파판형 시트(32)와 평판형 시트(33)를 접합하는 접착제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계 내수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계 내수성 접착제는, 젖었을 때의 강도를 패널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의 액투과 패널(3)은, 바닥면부(41)의 제2 살(412)이 연장되는 방향(제2 방향(Y))을 따라서, 액투과 패널(3)의 길이 방향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바닥면부(41)의 제1 살(411)이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X))과, 액투과 패널(3)의 내부에서 파판형 시트(32) 및 평판형 시트(33)가 연장되는 방향이 교차(대략 직교)하는 관계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1 살(411)이 액투과 패널(3)을 구성하는 파판형 시트(32) 및 평판형 시트(33)에 의해 보강된다. 그 결과, 액투과 패널(3)과 바닥면부(41)에 의해 상승적으로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닥면부(41)의 두께, 그리고 제1 살(411) 및 제2 살(412)의 폭을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액투과 패널(3)을 구성하는 흡수성을 갖는 패널의 재료는, 배설물을 양호하게 투과하면서, 소정의 흡수성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을 갖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펄프 등의 목질 섬유 외에, 여러가지 유기 또는 무기의 다공질 재료나, 여러가지 유기 또는 무기의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직포 또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유기 섬유 재료의 구체예로는, 목질 섬유(펄프 등), 코튼, 마 등의 셀룰로오스성 섬유 재료나, 동물의 털(울 등) 등의 동물성 섬유,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나일론 섬유(나일론 6, 나일론 66 등), 아크릴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재료 중에서는, 패널의 재료로는, 가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싸다는 점에서, 펄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절한 액투과성과 흡수성을 실현할 수 있는 골판지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골판지는, 사이즈제 등의 소수제 또는 발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사이즈제의 종류와 양에 따라, 골판지(액투과 패널(3))에 소정의 흡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액투과 패널(3)의 두께는, 3 mm∼25 mm로 구성되고, 3 mm∼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m∼7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투과 패널(3)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이면, 액투과 패널(3)을 두께 방향으로 투과한 뇨 등의 액체가, 액투과 패널(3)의 표면(상면)까지 되돌아가기 어렵다.
액투과 패널(3)의 두께가 3 mm 미만인 경우에는, 이 액투과 패널(3)이 변형됨으로써 뇨 등의 액체의 배설물 수용부(21)에 대한 투과가 방해되거나, 개의 중량에 의해 액투과 패널(3)이 파괴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액투과 패널(3)의 두께가 25 mm를 넘는 경우에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1)에서의 배설 용기(2)의 하단부로부터 액투과 패널(3)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높아져 버린다. 또, 1회의 배설에 의한 액투과 패널(3)의 배설물의 흡수량이 증가하여 교환 사이클이 짧아지는 문제나, 교환용의 액투과 패널(3)을 보관할 때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액투과 패널(3)의 액투과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투과율의 액투과 패널(3)을 이용함으로써, 배설후의 액투과 패널(3)에 뇨가 부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액투과 패널(3)의 내부에서의 뇨의 확산이나, 액투과 패널(3)을 밟는 것에 의해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투과 패널(3)의 액투과율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액투과율 측정 방법〕
미리 중량(A)을 측정한 받침 접시를, 액투과 패널(3) 등의 액투과율을 측정하는 시료의 하부에 놓는다. 인공뇨 약 30 ml를 어림잡아 취하여 인공뇨의 중량(B)을 측정한다. 시료 상에 내경 60 mm의 원통을 놓고, 원통의 내측에 인공뇨를 골고루 적하한다. 시료로부터 인공뇨의 액적이 낙하하지 않게 된 시점에서 인공뇨를 넣은 받침 접시의 중량(C)을 측정한다. 액투과율의 값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또한, 인공뇨는 이하의 조성의 것을 사용한다.
〔인공뇨 조성〕
요소 400 g
염화나트륨 160 g
황산마그네슘(7 수화물) 16 g
염화칼슘(2 수화물) 6 g
이상을 합계 20 L가 되도록 물로 조정한다.
조정액에 청색 1호를 2 g 첨가하여 착색한다.
(액투과율 계산식)
액투과율(%)=(중량(C)-중량(A))÷중량(B)×100
액투과 패널(3)은, 바람직하게는 10%/min∼50%/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in∼40%/min의 흡수성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의 액투과 패널(3)을 이용함으로써, 배설물의 대부분이 투과한 후에, 소량 부착되는 배설물을 액투과 패널(3)에 흡수시킬 수 있어, 발이 젖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투과 패널(3)의 흡수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배설물이 투과하는 도중에 다량의 배설물이 액투과 패널(3)에 흡수되어 버린다. 그 결과, 액투과 패널(3)에서의 배설이 행해진 개소를, 개가 밟음으로써 배설물이 스며나와, 쉽게 발이 젖게 된다. 액투과 패널(3)의 흡수성이 지나치게 낮으면, 액투과 패널(3)에 부착된 배설물이, 액체의 상태로 액투과 패널(3)의 표면에 잔존해 버려 쉽게 발이 젖게 된다. 액투과 패널(3)의 흡수성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흡수성 측정 방법〕
액투과 패널(3) 등의 측정 대상을 5 cm×5 cm로 컷트한 시료의 중량(A)을 측정한다. 컷트된 시료를 1분간 인공뇨에 침지한다. 1분간 침지후, 시료를 들어 올려, 표면에 부착된 인공뇨를 닦아낸 후, 각 시료의 중량(B)을 측정한다. 흡수율의 값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또한, 인공뇨는 액투과율의 측정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흡수성 계산식)
흡수성(%/min)=(중량(B)-중량(A))÷중량(A)×100
이상 설명한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21)에 흡액 시트(6)를 수용한 상태로, 배설물 수용 용기(2)의 상부에 상부 용기(4)를 배치하고, 이 상부 용기(4)의 바닥면부(41)에 액투과 패널(3)을 배치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21)와 액투과 패널(3) 사이에 바닥면부(41)가 배치되기 때문에, 흡액 시트(6)의 상면과 액투과 패널(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5)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상부 측벽부와 바닥면부를 따로따로 성형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상부 용기를 구성하면, 상부 측벽부와 바닥면부의 연결 부분에 간극이 생겨버려, 이 간극에 뇨 등의 액체가 스며들어 버린다. 따라서, 상부 측벽부(42)의 바닥면부(41)로부터의 기립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하여 상부 용기(4)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했다. 이에 따라, 상부 측벽부(42)와 바닥면부(41) 사이에 이음매를 두지 않고 상부 용기(4)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뇨 등의 액체가 상부 측벽부(42)에 부착되더라도, 이 부착된 액체는, 상부 측벽부(42)로부터 바닥면부(41)를 향해 원활하게 흘러 바닥면부(41)로부터 배설물 수용 용기(2)에 투과된다. 따라서, 상부 용기(4)가 뇨 등의 액체에 의해 쉽게 더러워지기 않기 때문에,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청소에 따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바닥면부(41)의 상면측에 흡수성을 갖는 액투과 패널(3)을 배치함으로써, 상부 용기(4)에 입상물을 깔지 않고 바람직하게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을 사용할 수 있다.
(2) 복수의 관통 구멍(413)의 평면에서 볼 때의 폭방향의 길이를 5 mm∼20 mm로 했다. 이에 따라, 상부 용기(4)를 청소하는 경우에, 청소를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복수의 관통 구멍(413)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기(4)의 청소를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은, 바닥면부(41)의 상면측에 액투과 패널(3)을 배치하여 사용한다. 그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용기(4)와 액투과 패널(3)을 병용함으로써, 바닥면부(4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살(411)의 폭(W1), 및 제2 살(412)의 폭(W2)을 종래에 비해 좁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부(41)에 오물이 부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4) 상부 측벽부(42)의 내면을 곡면에 의해 구성하고, 바닥면부(4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도 관통 구멍(413)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상부 측벽부(42)의 내면에 부착된 뇨 등의 액체를 상부 측벽부(42)에 잔존시키지 않고 곡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바닥면부(41)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관통 구멍(413)을, 바닥면부(41)에서의 상부 측벽부(42)와의 경계부인 바닥면부(4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형성했기 때문에, 상부 측벽부(42)의 내면을 타고 흘러 온 뇨 등의 액체를, 관통 구멍(413)을 통해 신속하게 배설물 수용 용기(2)에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기(4)에 배설된 뇨 등의 액체를, 상부 용기(4)에 잔존시키지 않고 신속하게 배설물 수용 용기(2)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4)가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다.
(5) 액투과 패널(3)을 일회용 패널에 의해 구성하고, 바닥면부(4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했다. 따라서, 액투과 패널(3)이 뇨의 흡수나 대변이 가득차는 것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이 오염된 액투과 패널(3)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개용 시스템 화장실(1)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A)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1A)의 인출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2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A)은, 배설물 수용 용기(2A)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설물 수용 용기(2A)는, 본체부(24A)와, 이 본체부(24A)에 삽탈 가능한 인출 트레이(25A)를 구비한다. 본체부(24A)는 상부 용기(4A)를 지지한다. 이 본체부(24A)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방형상의 바닥면부와, 이 바닥면부의 4변으로부터 기립하는 4개의 측벽부를 구비한다. 4개의 측벽부 중의 하나의 측벽부에는, 인출 트레이(25A)의 크기에 대응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트레이(25A)는, 배설물 수용부(21A)를 갖고 구성되어 있고, 이 배설물 수용부(21A)에 흡액 시트(6)가 배치된다. 이 인출 트레이(25A)는, 본체부(24A)의 측벽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본체부(24A)에 삽입된다.
제2 실시형태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1A)에 의하면, 상기 (1)∼(5)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6) 배설물 수용 용기(2)를, 배설물 수용부(21A)를 갖는 인출 트레이(25A)를 포함하여 구성했다. 따라서, 배설물 수용부(21A)에 수용된 뇨 등의 액체나 이 뇨 등의 액체를 흡수한 흡액 시트(6)를, 인출 트레이(25A)를 인출하여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교환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개용 시스템 화장실(1A)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개용 시스템 화장실의 바람직한 각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 : 개용 시스템 화장실 2 : 배설물 수용 용기
3 : 액투과 패널 4 : 상부 용기
6 : 흡액 시트 21 : 배설물 수용부
31 : 구멍부 41 : 바닥면부
42 : 상부 측벽부(측벽부) 411 : 제1 살
412 : 제2 살 413 : 관통 구멍

Claims (5)

  1.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를 갖는 배설물 수용 용기와,
    액투과성을 갖는 바닥면부, 및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를 갖는 상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부의 상면측에 흡수성을 갖는 액투과 패널이 배치되어 사용되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로서,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면부로부터의 기립 각도는 90도 이상이고, 또한,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바닥면부 및 상기 측벽부가 이음매 없이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살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살과,
    상기 제1 살 및 상기 제2 살에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평면에서 볼 때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평면에서 볼 때의 폭방향의 길이는 5 mm∼20 mm인 개용 시스템 화장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외측을 향해 만곡된 곡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바닥면부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을 포함하는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용 시스템 화장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투과 패널은, 종이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를 갖는 일회용 패널인 개용 시스템 화장실.
KR1020137001774A 2010-06-25 2011-06-06 개용 시스템 화장실 KR20130087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5695 2010-06-25
JP2010145695A JP5752898B2 (ja) 2010-06-25 2010-06-25 犬用システムトイレ
PCT/JP2011/062961 WO2011162091A1 (ja) 2010-06-25 2011-06-06 犬用システムトイ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513A true KR20130087513A (ko) 2013-08-06

Family

ID=4537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774A KR20130087513A (ko) 2010-06-25 2011-06-06 개용 시스템 화장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213311A1 (ko)
EP (1) EP2586299A4 (ko)
JP (1) JP5752898B2 (ko)
KR (1) KR20130087513A (ko)
CN (1) CN102958357B (ko)
AU (1) AU2011270414B2 (ko)
BR (1) BR112012031789A2 (ko)
WO (1) WO2011162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0224B2 (en) * 2013-04-05 2017-09-05 Todd Kupka Pet training apparatus and waste receptacle
JP6192468B2 (ja) 2013-09-30 2017-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の包装体
USD754404S1 (en) * 2013-11-05 2016-04-19 Jansen Holding B.V. Grating for the keeping of poultry
USD897055S1 (en) * 2015-07-08 2020-09-22 Sharon Louise Goddard / Imel Exterior mounted litter box for inside animals
JP1594892S (ko) * 2017-05-09 2018-01-15
JP1595379S (ko) * 2017-05-10 2018-01-22
JP1609544S (ko) * 2017-11-29 2018-07-23
TWD195470S (zh) * 2017-12-15 2019-01-11 南英美 Animal note device
KR102206569B1 (ko) * 2018-11-30 2021-01-22 이용필 애완동물 배변판
JP2023103503A (ja) * 2022-01-14 2023-07-27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2121A (en) * 1971-11-12 1973-08-14 J Brazzell Animal commode
US3827401A (en) * 1972-10-16 1974-08-06 G Franzl Sanitary receptacle for pets
US5355837A (en) * 1993-09-21 1994-10-18 Reyes Richard B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US5482007A (en) * 1994-03-31 1996-01-09 Kumlin; Robert R. Disposable pet toilet assembly
JP3609855B2 (ja) * 1994-08-29 2005-01-1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US5699754A (en) * 1996-01-31 1997-12-23 Cahajla; Janice Litter box
US6079363A (en) * 1998-10-07 2000-06-27 Maclaine; Joanne Portable canine waste station
DE60112340T2 (de) * 2000-01-14 2006-04-06 Kao Corp. Absorbierende Matte zur Behandlung von Ausscheidungen
US7011043B2 (en) * 2003-01-02 2006-03-14 Michael Diep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ulling animal claws
KR100547022B1 (ko) * 2003-04-04 2006-01-31 이광훈 애완동물용 용변기
JP3939272B2 (ja) * 2003-06-20 2007-07-04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2006000044A (ja) * 2004-06-17 2006-01-05 Kazuhiko Sawa ペット用トイレ
US20050284392A1 (en) * 2004-06-29 2005-12-29 Hillman Kathleen T Portable pet waste station
US7107933B2 (en) * 2004-08-19 2006-09-19 Mohr Catherine C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WO2006025435A1 (ja) * 2004-09-02 2006-03-09 Kao Corporation ペット用トイレ
JP2006238780A (ja) * 2005-03-03 2006-09-14 Ooshima Design Sekkei:Kk ペット用トイレ
JP2007174942A (ja) * 2005-12-27 2007-07-12 Kao Corp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US7392765B2 (en) * 2006-01-18 2008-07-01 Terry R. Lingmann Biodegradable pet mat
JP4476973B2 (ja) * 2006-07-10 2010-06-09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愛玩動物の排尿用床材
JP4996997B2 (ja) * 2007-06-29 2012-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排泄物処理シート
JP5650364B2 (ja) * 2007-07-11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排泄物処理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CN201308039Y (zh) * 2007-10-30 2009-09-16 梁坤铉 一种动物马桶
US20090178622A1 (en) * 2008-01-10 2009-07-16 Mikael Havluciyan Pet Potty
JP5127660B2 (ja) * 2008-10-09 2013-01-23 株式会社リッチェル 愛玩動物用トイレ
CA2717831A1 (en) * 2009-09-15 2011-03-15 Patricia Ann Tierney Pet litter box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US20120000428A1 (en) * 2010-07-01 2012-01-05 Georgia-Pacific Wood Products Llc Small animal bedding system
US8851014B2 (en) * 2011-11-29 2014-10-07 Brian Hecht Litter box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3311A1 (en) 2013-08-22
CN102958357A (zh) 2013-03-06
BR112012031789A2 (pt) 2016-10-04
AU2011270414A1 (en) 2013-01-31
JP5752898B2 (ja) 2015-07-22
EP2586299A4 (en) 2017-01-04
WO2011162091A1 (ja) 2011-12-29
AU2011270414B2 (en) 2016-08-11
EP2586299A1 (en) 2013-05-01
CN102958357B (zh) 2015-01-28
JP2012005440A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7513A (ko) 개용 시스템 화장실
JP5563293B2 (ja)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6008537B2 (ja) 犬用システムトイレ
US8707901B2 (en) System toilet for dogs
JP3939272B2 (ja) 動物用トイレ
KR101863975B1 (ko) 액체 투과 패널
AU2008273449A1 (en) Excrement disposal sheet and animal toilet utilizing the same
JP2010239914A (ja) ペット用トイレ
JP4455604B2 (ja) 動物用トイレ
JP5752900B2 (ja) 液透過パネル
KR20120004948A (ko) 일회용 고양이 화장실
JP6280430B2 (ja) ペット用シーツ及びそ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システム
JP4437264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2021042995A (ja) 尿検査用容器及び尿検査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