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052A -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 Google Patents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052A
KR20130087052A KR1020137016652A KR20137016652A KR20130087052A KR 20130087052 A KR20130087052 A KR 20130087052A KR 1020137016652 A KR1020137016652 A KR 1020137016652A KR 20137016652 A KR20137016652 A KR 20137016652A KR 20130087052 A KR20130087052 A KR 2013008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yl
methyl
thien
alkyl
pipe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에스. 팔머
셀바라쥐 나타라자
Original Assignee
메르크 세로노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세로노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메르크 세로노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3008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JNK 억제제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JNK 억제제는 호르몬 억제인자와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 치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JN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NDOMETRIOSIS}
본 발명은 JNK 억제제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JNK 억제제는 호르몬 억제인자 (hormonal suppressor)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 (infertility) 치료에 관한 것이다.
자궁내막증은 여성들의 생식 (reproductive) 수명에서 여성들의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자궁내막증은 샘 (gland) 및 기질 (stroma)의 조직학을 구성하는, 자궁강 (uterine cavity) 밖 자궁내막 조직의 존재로 특징지워진다. 가장 흔히 영향받는 해부학적 부위는 난소, 자궁천골 인대 (uterosacral ligament), 골반복막 (pelvic peritoneum), 직장질중격 (rectovaginal septum), 자궁목 (cervix), 질 (vagina), 자궁관 (fallopian tube) 및 외음 (vulva)이다.
자궁내막증은 양성 (benign) 질환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자궁내막 병변은 때때로 악성 (malignant)으로 바뀐다. 다른 종류의 악성종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자궁내막증-유도 종양 (neoplasm) 발달은, 성장 인자 및/또는 종양유전자 (oncogene) 조절의 변화를 포함하여, 동시발생 사건 때문이다 (Kyama et al., 2003). 더욱이, 자궁내막증은 불임증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 (Giudice et al., 2004).
자궁내막증의 현재 치료는 호르몬 요법 및/또는 수술을 통해서 이뤄진다. 호르몬 요법은, 프로게스토젠 (progestogen), 프로게스틴 (progestin), 경구피임제 (oral contraceptive)[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과 함께], 다나졸 (Danazol)[에티스테론 (ethisterone)의 안드로젠성 (androgenic) 유도체] 및 가장 최근의 GnRH 작용제 (agonist)의 과량 투여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르몬 요법은 골반 (pelvic) 통증에 효과적이고 병변의 목적물 퇴행을 유도할 수 있지만, 심각한 위험부담 (caveat)을 갖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프로게스테론에 반응할 수 없기 때문에, 자궁내막 조직의 증식을 자극하고 일으킬 수 있다 (Dawood et al., 1993). 프로게스테론 인자가 불규칙적인 출혈과 함께 우울증, 체중 증가, 및 액체 잔류 (fluid retention)를 유발할 수 있다. 다나졸은 통증을 겪고 있는 환자의 약 66-100%에서 증상을 개선하지만, 최대 4년 후 재발률이 약 40-50%에 달한다. 다나졸 요법의 다른 결점은 체중 증가 및 안드로젠성 부작용이다. GnRH 유사체는 천연 (native) GnRH보다 더 효과적이고 더 오랫동안 작용하는데, 상기 GnRH 유사체는 모든 에스트로겐 민감 (sensitive) 조직을 성장시키기 위해 에스트로겐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작용한다. GnRH 유사체의 부작용은 주로 골밀도 (bone density)의 감소처럼, 심한 저에스트로겐혈증 (hypoestrogeniemia)에 부차적인 것이고, 5년 후 재발률이 최대 50%에 달한다 (Waller et al., 1993). 더욱이, 복잡한 치료를 통해, 많은 환자의 자궁내막 병변이 프로게스테론 및/또는 프로게스틴의 효과에 저항하거나 그렇게 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Bulun et al., 2006).
만일 생식능력을 원해 수술을 받는 것은 오래된 방법이며, 또한 심각한 질환의 경우, 수술을 통해 자궁, 관 및 난소가 제거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심지어 제한된 수술 치료가 생식능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비록 자궁내막증이 부인과학 (gynecology)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질환 중 하나이지만, 현재 상기 질환의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을 이해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선호되는 이론에 따르면, 자궁내막증 병변의 최초 부위를 떠나는 이소성 (ectopic) 자궁내막 세포들에 의해, 아마도 역류성 월경 (retrograde menstruation), 및 먼 부위에 있는 이식물, 숙주 조직의 침입 및 증식에 의해 자궁내막증 병변이 발달한다. 또한, 자궁내막증은 침입 및 전이 질환인 것으로 보인다. 비록 자궁내막 세포가 어느 정도까지 증식하더라도, 그들은 암종 (carcinoma)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종양 (neoplastic)은 아니다. 자궁내막 세포가 노화 (senescent)되고, 사멸 (apoptotic)되어 괴사 (necrotic)하는 것은 분명하다. 병변 형성에 의해 유도 또는 동반된 염증성 반응은 최종적으로 섬유증 및 반흔 (scar) 형성을 일으킨다.
종양 또는 전이 억제 인자 [예를 들어, E-카드헤린 (cadherin)]가 자궁내막증과 관련있는 지에 대해 추측되었다. E-카드헤린은 전이 억제 분자로서, 그것의 하향-조절 (down-regulation) 또는 기능적 불활성화 (inactivation)가 침입 및 전이에 필요조건이다 (Frixen et al., 1991). Zeitvogel et al. (2001)은, 자궁내막 세포에서 E-카드헤린이 결여되고, N-카드헤린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줬다. N-카드헤린이 개척 (path-finding) 분자인 것으로 제안되는데, 상기 개척 분자를 통해 세포가 정상적인 발달 및 병리적 진행에서 침입 및 이주될 수 있다.
최근에, 재조합형 인간 TNFα 결합 단백질 (rh-TBP-1)이, 자궁내막증 실험 모델에서 자궁내막 병변의 크기 및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D'Hooghe et al., 2001). 이러한 결과는 우선, TNFα-경로를 목표로 한 항-염증성 분자 (r-hTBP-1)가 배란을 억제하지 않았던 자궁내막증에 걸린 환자에게 효과적인 의학 치료를 제공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Yoshino et al. (2004)는, 세포내 (intracellular) 신호 변환기 (transducer)인 미토겐 (mitogen)-활성 단백질 카나아제 (MAPKs)가 염증전 (proinflammaotyr) 시토카인 (cytokine)에 의해 발휘된 일부 효과를 매개하는 것을 보여줬다. 또한, IL-1β, TNFα 및 H2O2에 의한 염증 자극 하에 자궁내막 세포 및 그것들의 인산화에서 MAPKs (예를 들어, ERK, JNK 및 p38)의 존재를 보여줬다. MAPKs는, 트레오닌 (threonine) 및 티로신 (tyrosine) 잔여물에서 이중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된 세린 (serine)/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 포유류 세포에서, 적어도 3개의 개별적이지만 평행한 경로가 상기 MAPKs에 대한 세포외 자극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경로는, EPKs (세포외 조절된 키나아제), JNKs (c-Jun N-말단 키나아제), 및 p38/CSBP 키나아제의 활성화를 이끄는 키나아제 연쇄반응 (cascade)으로 이뤄진다 (Dent et al., 2003).
c-Jun은 동종이합체 (homodimer) 및 이질이합체 (heterodimer)[예를 들어, c-Fos와 함께]를 형성하는 단백질로서, 염증성 반응에 관련된 많은 유전자 [예를 들어, 매트릭스 (matrix) 금속단백분해효소 (metalloproteinase)]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활성화전이 (transactivating) 복합체 AP-1을 생산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분명히, JNK 억제제에 의한 JNK 억제가 쥐 및 가슴샘없는 생쥐 실험 모델에서 자궁내막-유사 병소를 감소시킨다는 예상밖의 결과를 보여준다. 생쥐 모델은 또한, 상기 질환과 연관된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활성을 억제하고, 자궁내막증에서 증가된 것으로 발견된 몇몇 시토카인을 감소시킴으로써 획득된 상기 효과를 증명한다. 이러한 시토카인은 다른 것들 가운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된 IL-6 및 IL-8이다 (Barcz et al., 2000). 본 명세서에 설명된 JNK 억제제는, 프로게스테론에 자궁내막 세포 및 병변의 민감도를 회복시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JNK 억제제는 SPRM 또는 프로게스틴과 함께 사용되어, 자궁내막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JNK 억제제를 사용하여 자궁내막증 병변을 감소시켜, 생식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생식기 구조의 정상화가 이식률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몇몇 작은 분자들이 JNK 경로의 조정자로 제시되었다.
화학식 (A)[국제공개공보 제WO 00/35909호; 제WO 00/35906호; 제WO 00/35920호] 및 화학식 (B)[국제공개공보 제WO 00/64872호] 각각의 아릴-옥신돌 (Aryl-oxindole) 유도체가, 화학식 (A)에 적합한 신경변성 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염증 및 고체 종양과 화학식 (B)에 적합한 신경변성 질환,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심장혈관 (cardiovascular) 및 골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C)의 피라졸로안트론 (pyrazoloanthrone)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1/12609호)가 신경변성 질환,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뿐만 아니라, 심장혈관 병리 치료를 위해 JNK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Figure pat00002
화학식 (D)의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0/75118호)가, 신경변성 질환,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심장 및 파괴성 골 병리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질환 치료에 유용한 JNK 억제제로 보고되었다.
Figure pat00003
화학식 (E)의 다른 헤테로시클릭 (heterocyclic) 화합물 (국제공개공보 제WO 01/12621호)이, 증식 질환, 신경변성 질환,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을 포함한 "JNK-매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단백질 키나아제 및 특히 c-un-N-말단 키나아제를 억제하는 데 제시되었다.
Figure pat00004
화학식 (F)로 표시된 것과 같은 벤즈아졸 (Benzazole)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1/47920호)가, 신경세포 (neuronal)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및 심장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JNK 경로의 조정자로서 설명되었다.
Figure pat00005
화학식 (G)의 몇몇 술폰아미드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1/23378호), 화학식 (H)의 술포닐 아미노산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1/23379호) 및 화학식 (J)의 술포닐 하이드라지드 (hydrazide) 유도체 (국제공개공보 제WO 01/23382호) 또한, 신경변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및 심장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JNK를 억제하는 데 개발되었다.
Figure pat00006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개개인의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JNK 억제제와 호르몬 억제인자 [예를 들어,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aromatase)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의 혼합 치료를 통한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다른 불임 치료약물 (fertility drug)과 함께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의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JNK 억제제, 호르몬 억제인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를 개인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JNK 억제제가 화학식 (Ⅲ)의 화합물, 그것의 기하 이성질체, 그것의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라세미체 형태,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Y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4-12 원자의 포화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알킬 고리이며, 그것에 의해 상기 고리 내에 있는 하나의 질소 원자가 화학식 (Ⅲ)의 술포닐기와 결합을 형성하여, 술폰아미드를 제공하고; R1은 수소, C1-C6-알콕시,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아미노, 술파닐, 술피닐, 술포닐, 술포닐옥시, 술폰아미드, 아실아미노, 아미노카보닐, C1-C6-알콕시카보닐, 아릴, 헤테로아릴, 카복시, 시아노, 할로겐, 하이드록시, 니트로, 하이드라지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할로겐, COOR3, -CONR3R3', OH, OH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C1-C4-알킬, 하이드라지도 카보닐기, 술페이트, 술포네이트, 아민 및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3'는 H, C1-C6-알킬, C1-C6-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궁내막증 질환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도 1: 자궁내막 세포 (12Z)에서 N-카드헤린 및 사이토케라틴 (cytokeratin)의 발현. JNK 억제제로 치료된 세포를 파라포름알데히드 (paraformaldehyde)로 고정하고 N-카드헤린 및 사이토케라틴에 대해 염색하였다. 형광 현미경 [위상 대조 (phase contrast) 및 형광 상 (fluorescence picture)] 하에 세포를 관찰하였다. JNK 억제제로 세포를 치료함에 따라, N-카드헤린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JNK 억제제로 치료한 후, 사이토케라틴의 발현은 달라지지 않았다.
도 2: 실험적으로 유도된 자궁내막증 쥐에서 자궁내막-유사 병소의 성장에 대한 JNK 억제제 효과. 투여량 10mg/kg의 JNK 억제제는 그것의 운반체와 효과 면에서 다르지 않았다. 투여량 30mg/kg 및 60mg/kg의 JNK 억제제가 설정된 자궁내막증 병변을 상당히 퇴행시켰다.
도 3: 쥐 자궁내막증 모델의 자궁내막-유사 병소에서 시토카인에 대한 JNK 억제제 효과. 상기 JNK 억제제가 자궁내막 병소에서 염증성 시토카인, IL-12, INF-γ, IL-10 및 MCP-1의 준위를 감소시켰다.
도 4: 쥐의 실험적으로 유도된 자궁내막증의 반대측 뿔 (contralateral horn)에서 시토카인에 대한 JNK 억제제 효과. 시토카인 발현에 대해 상기 JNK 억제제의 어떠한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도 5: 쥐 자궁내막증 모델의 NK-세포 활성에 대한 JNK 억제제 효과. JNK 억제제로 치료함에 따라, 그것의 운반체로 치료된 그룹에 비해 NK 세포 활성이 증가되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음 단락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화학적 모이어티 (moieties)의 정의를 제공하며, 달리 명확히 설명된 정의가 더 광범위한 정의를 제공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하고자 한다.
"C1-C6-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alkyl group)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n-헥실 등과 같은 기능기로 예시된다.
"아릴"은 단 하나의 고리 (예를 들어, 페닐) 또는 다중 축합 고리들 (예를 들어, 나프틸)을 지닌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의 불포화 아로마틱 (aroomatic) 카보시클릭기를 의미한다. 아릴은 페닐, 나프틸, 페난트레닐 (phenantrenyl)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1-C6-알킬 아릴"은 벤질, 펜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은 일환 (monocyclic) 헤테로아로마틱, 또는 이환 (bicyclic) 또는 삼환 (tricyclic) 융합-고리 헤테로아로마틱기를 의미한다. 특히, 헤테로아로마틱기의 예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 피롤릴, 푸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3,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벤조푸릴, 이소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벤조트리아졸릴, 이소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이미다조[1,2-a]피리딜,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퀴놀리지닐, 퀴나졸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신놀리닐, 나프티리디닐, 피리도[3,4-b]피리딜, 피리도[3,2-b]피리딜, 피리도[4,3-b]피리딜, 퀴놀릴, 이소퀴놀릴, 테트라졸릴,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5,6,7,8-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퓨리닐, 프테리디닐, 카바졸릴, 크산테닐 또는 벤조퀴놀릴 등을 포함한다.
"C1-C6-알킬 헤테로아릴"은 2-푸릴메틸, 2-티에닐메틸, 2-(1H-인돌-3-일)에틸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C2-C6-알케닐"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며,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알케닐 불포화 부위 (site)를 갖는 알케닐기를 의미한다. 알케닐기는 에테닐(-CH=CH2), n-2-프로페닐 [알릴 (allyl), -CH2CH=CH2]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2-C6-알케닐 아릴"은 2-페닐비닐 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기를 갖는 C2-C6-알케닐기를 의미한다.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은 2-(3-피리디닐)비닐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갖는 C2-C6-알케닐기를 의미한다.
"C2-C6-알키닐"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며, 적어도 하나 내지 두 개의 알키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알키닐기를 의미한다. 알키닐기는 에티닐 (-C≡CH), 프로파길 (-CH2C≡CH)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2-C6-알키닐 아릴"은 페닐에티닐 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기를 갖는 C2-C6-알키닐기를 의미한다.
"C2-C6-알키닐 헤테로아릴"은 2-티에닐에티닐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갖는 C2-C6-알키닐기를 의미한다.
"C3-C8-시클로알킬"은 단 하나의 고리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 또는 다중 축합 고리들 [예를 들어, 노르보닐 (norbornyl)]을 갖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의 포화 카보시클릭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노르보닐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1-C6-알킬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헥실메틸, 시클로펜틸프로필 등을 포함하는, 시클로알킬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상기 정의에 따른 C3-C8-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가 O, S, NR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C1-C6-알킬로 정의된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에 의해 치환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1-메틸피페라진, 모르폴린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은 2-(1-피롤리디닐)에틸, 4-모르폴리닐메틸, (1-메틸-4-피페리디닐)메틸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카복시"는 -C(O)OH기를 의미한다.
"C1-C6-알킬 카복시"는 2-카복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카복시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실"은 -C(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알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아실"은 2-아세틸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실옥시"는 -OC(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아실옥시"는 2-(아세틸옥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옥시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는 -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알콕시"는 2-에톡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알콕시 치환기를 갖는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카보닐"은 -C(O)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알콕시카보닐"은 2-(벤질옥시카보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알콕시카보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미노카보닐"은 -C(O)NR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아미노카보닐"은 2-(디메틸아미노카보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카보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실아미노"는 -NRC(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다.
"C1-C6-알킬 아실아미노"는 2-(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우레이도 (Ureido)"는 -NRC(O)NR'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며, 여기서 R' 및 R''는 그것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C1-C6-알킬 우레이도"는 2-(N'-메틸우레이도)에틸 등을 포함하는, 우레이도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미노"는 -NR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며, 여기서 R과 R'는 그것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C1-C6-알킬 아미노"는 2-(1-피롤리디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시클릭 (cyclic) 아미노"는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롤리디닐을 의미한다. "아시클릭 (acyclic) 아미노"는 -NRR'기 (여기서,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 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또는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이다)를 의미하고, 또한 이하 정의된 것과 같은 -N+RR'R" 암모늄기를 의미한다.
"암모늄"은 -N+RR'R" 양전하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 R"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며, 여기서 R과 R'는 그것들이 부착되는 질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C1-C6-알킬 암모늄"은 2-(1-피롤리디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암모늄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할로겐"은 플루오로 (fluoro), 클로로 (chloro), 브로모 (bromo) 및 요오도 (iodo) 원자를 의미한다.
"술포닐옥시"는 -OSO2-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C1-C6-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알킬", 예를 들어 -OSO2-CF3기,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C1-C6-알킬 술포닐옥시"는 2-(메틸술포닐옥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술포닐옥시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술포닐"은 "-SO2-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알킬", 예를 들어 -SO2-CF3기,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C1-C6-알킬 술포닐"은 2-(메틸술포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술포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술피닐"은 "-S(O)-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C1-C6-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알킬", 예를 들어 -SO2-CF3기,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C1-C6-알킬 술피닐"은 2-(메틸술피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술피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술파닐"은 -S-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R은 H, "C1-C6-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알킬", 예를 들어 -SO-CF3기,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술파닐기는 메틸술파닐, 에틸술파닐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1-C6-알킬 술파닐"은 2-(에틸술파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술파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술포닐아미노"는 -NRSO2-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술포닐아미노"는 2-(에틸술포닐아미노)에틸 등을 포함하는, 술포닐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아미노술포닐"은 -SO2-NRR'기를 의미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3-C8-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 아릴" 또는 "C1-C6-알킬 헤테로아릴", "C2-C6-알케닐 아릴",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알키닐 아릴", "C2-C6-알키닐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포함한다.
"C1-C6-알킬 아미노술포닐"은 2-(시클로헥실아미노술포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술포닐 치환기를 갖는 C1-C6-알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개별적인 치환기의 정의로 한정되지 않는 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및 "헤테로아릴" 등과 같은 상기 설정된 기능기들은 다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C1-C6-알킬 아릴", "C1-C6-알킬 헤테로아릴", "C1-C6-알킬 시클로알킬",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미노", "암모늄", "아실", "아실옥시", "아실아미노", "아미노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우레이도", "아릴", "헤테로아릴", "술피닐", "술포닐", "알콕시", "술파닐", "할로겐", "카복시", 트리할로메틸, 시아노, 하이드록시, 메르캡토, 니트로 등. 대안적으로, 상기 치환은 또한, 특히 인근 기능적 치환기가 연관되었을 때, 이웃하는 치환기의 고리가 닫히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결과, 예를 들어 락탐 (lactam), 락톤 (lacton), 시클릭 무수물 (anhydride)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보호기를 얻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리 닫힘에 의해 형성된 아세탈, 티오아세탈, 아미날을 형성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복합체"는 하기 설명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아주 작은 독성 효과를 보이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독성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는 염 또는 복합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염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산 (inorganic acid)[예를 들어, 염산 (hydrochloric acid), 브롬화수소산 (hydrobromic acid), 황산 (sulfuric acid), 인산 (phosphoric acid), 질산 (nitric acid) 등]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 염, 및 아세트산 (acetic acid), 옥살산 (oxalic acid), 타르타르산 (tartari acid), 숙신산 (succinic acid), 말산 (malic acid), 푸마르산 (fumaric acid), 말레산 (maleic acid), 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벤조산 (benzoic acid), 타닌산 (tannic acid), 파모산 (pamoic acid), 알긴산 (alginic acid), 폴리글루타민산 (polyglutamic acid), 나프탈렌 술폰산 (naphthalene sulfonic acid), 나프탈렌 디술폰산 (naphthalene disulfonic acid), 및 폴리-갈락투론산 (poly-galacturonic acid)과 같은 유기산 (organic acid)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사차 염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특히, 화학식 -NR,R',R''+Z- {여기서 R, R',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벤질이며, Z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O-알킬, 톨루엔술포네이트, 메틸술포네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벤조에이트, 숙시네이트, 아세테이트, 글리코레이트, 말리에이트 (maleate), 말레이트 (malate),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시나모에이트, 만델로에이트 (mandeloate) 및 디페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반대이온이다}의 사차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약학적 활성 유도체"는, 수용자에게 투여함에 따라, 본 명세서에 공개된 활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느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토우토머"는 오직 그들 자신 (여기서, R2 및/또는 R0은 수소이다)이며, 화학식 (Ia) 및 (Ib)를 나타낸다.
"에난티오머 과량 (Enantiomeric excess)"(ee)은 비대칭 합성 (asymmetric synthesis), 즉 비-라세미 (racemic) 개시 물질 및/또는 시약 (reagent)과 관련된 합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에난티오선택적 (enantioselective)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에 의해 획득된 생성물을 의미한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약 52% ee 정도로 하나의 에난티오머 잉여물이 생성된다.
"아로마타아제 억제제"는 효소 아로마타아제를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에스트라디올 (estradiol)의 준위를 낮추는 약물을 의미한다. 아로마타아제 억제제가 예들 들어, 아나스트로졸 (anastrozole), 레트로졸 (letrozole), 보로졸 (vorozole) 및 엑스메스탄 (exemestan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 (SERM)"는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점령함으로써,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차단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또한, SERMS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길항제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작용제를 포함한다. SERMs는 예를 들어, 타목시펜 (Tamoxifen), 라록시펜 (Raloxife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nRH 길항제"는 하수체성 (pituitary) GnRH 수용체를 경합적으로 (competitively) 차단하는 약물인 합성 GnRH 유사체를 의미하는데, 상기 하수체성GnRH 수용체는 생식샘자극호르몬 (gonadotrophin)의 형질막 (plasma membrane)에 위치하여, 빠르고 가역적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 분비물 억제를 유도한다. GnRH 길항제는 예를 들어, 세트로렐릭스 (cetrorelix), 가니렐릭스 (Ganireli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nRH 작용제"는 천연 호르몬 GnRH의 데카펩타이드 (decapeptide) 변형물을 의미하는데, 상기 변형물은 계속 노출시 뇌하수체 (pituitary gland)의 GnRH 수용체를 탈감작 (desensitize)시키는 약물이며, 이로 인해 뇌하수체-난소 축의 초기 자극을 일으키며, 이어서 순환하는 혈청 생식샘자극호르몬 농도의 감소 및 난소 기능의 억제가 차례대로 일어난다. GnRH 작용제는 예를 들어, 부세렐린 아세테이트 (Buserelin acetate), 나파렐린 (Nafarelin), 류프롤리드 (Reuprolide), 트리프토렐린 (Triptorelin), 고세렐린 (Gosereli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NK"는 JNK1, JNK2, 또는 JNK3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단백질 또는 그것의 아이소형 (isoform)을 의미한다 (Gupta et al., 1996).
"JNK-억제자"는 JNK 표적 전사 (transcription) 인자의 c-jun 아미노 말단 키나아제 (JNK) 인산화를 억제하는 화합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JNK 억제제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JNK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인자이다. 상기 억제 활성은 당기술에 잘 알려진 분석법 또는 동물 모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SPRMs)": 핵 수용체의 초과 (superfamily) 구성원 중 하나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여성 생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게스테론에 대한 수용체이다.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는, 작용 부위에 따라 다른 작용제, 길항제 또는 부분 (혼합) 작용제/길항제 활성을 가질 수 있는 약물이다. SPRM은 예를 들어, 아소프리스닐 (asoprisni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개개인의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JNK 억제제와 호르몬 억압인자 (예를 들어,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의 순차 또는 혼합 치료를 통한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료적 유효량의 두 번째 또는 추후 투여는 상기 개개인에게 투여된 초기 또는 이전 투여량보다 적거나 많거나, 또는 그것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자궁내막증 또는 관련 증상의 재발 기간 동안 또는 그에 앞서 두 번째 또는 추후 투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재발" 또는 "재발생"은 자궁내막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출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다른 불임 치료약물과 함께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의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순차 또는 혼합 치료 요법이 내분비 (endocrine)-의존 세포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JNK 억제제, 호르몬 억제인자 (예를 들어,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에 있어, JNK 억제제의 용도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대로, 상기 용어 "예방"은 자궁내막증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원인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예방, 억제, 완화, 또는 역전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자궁내막 질환의 진행을 위해 계획된 모델은, 내분비 개입에 반응하는 양성 염증성 병변에서부터, 염증 경로이외에 상향조절된 생존 경로에 관여하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호르몬적으로 무반응 병변까지의 병변 진행을 예측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JNK 억제제가 자궁내막증의 생존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자궁내막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에 있어, 호르몬 억제인자 (예를 들어,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JN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호르몬 억제인자 (예를 들어,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와 함께 사용되는 JNK 억제제는 JNK 억제제 및 호르몬 억제인자를 순차적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 있어, JNK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과 함께 JNK 억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을 치료 또는 치유하고자 할 때, 생물학적 활성 인간 융모성 생식샘자극호르몬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 또는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이 천연의 고도로 정제된 형태 또는 재조합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분자 및 그들의 생산 방법은 유럽특허출원 제EP 160,699호, 제EP 211,894호 및 제EP 322,438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rectal), 경피 (transdermal), 피하, 정맥내 (intravenous), 근육내 (intramuscular) 및 비강내 (intranasal)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벌크 (bulk) 액상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벌크 분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더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정확한 투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위 투여량 형태로 나타낸다. 상기 용어 "단위 투여량 형태"는 인간 대상자 및 다른 포유류에 대한 단일 투여량으로서 적합한 단위로 물리적으로 분리시킨 형태를 의미하는데, 각각의 단위 형태는 적합한 약학 부형제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얻도록 계산된 소정의 양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단위 투여량 형태는 액체 조성물의 경우, 사전에 충진된 또는 측정된 앰플 (ampoule) 또는 시린지 (syringe), 또는 고체 조성물의 경우, 알약, 정제, 캡슐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에서, JNK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소량 성분 (약 0.1 내지 5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40 중량%)이며, 나머지는 다양한 운반체 또는 담체 그리고 바람직한 투여 형태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보조물이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액체 형태는 완충제 (buffer), 현탁액 및 분산제, 착색제 (colorant), 향미제 (flavor) 등의 적합한 수성 (aqueous) 또는 비수성 (nonaqueous) 운반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형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성분 또는 유사한 성질을 지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미정질 셀룰로오스 (microcrystalline cellulose), 트라가칸트 검 (gum tragacanth) 또는 젤라틴 (gelatine)과 같은 결합제; 전분 (starch) 또는 락토스 (lactose)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alginic acid), 프리모겔 (Primogel), 또는 옥수수전분 (corn starch)과 같은 붕괴제 (disintegratimg agent);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magnesium stearate)과 같은 윤활제 (lubricant);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colloidal silicon dioxide)와 같은 유동화제 (glidant); 슈크로스 (sucrose) 또는 사카린 (saccharin)과 같은 감미제 (sweetening agent); 또는 박하 (peppermint), 메틸 살리실산염 (salicylate), 또는 오렌지 향과 같은 향미제.
주사 가능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주사 가능 무균 식염수 또는 포스페이트-완충 식염수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주사 가능 담체에 바탕을 둔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러한 조성물에서 JNK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소량 성분으로서, 종종 0.05 내지 10 중량% 내이며, 나머지는 상기 주사 가능 담체 등이다.
위에서 설명한 경구 투여용 성분 또는 주사 가능 조성물은 단지 대표적인 것이다. 가공 기술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물질들 등이, 여기서 참조문으로 통합된 레밍톤의 약학 과학 (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 20 th Edition , 2000, Marck Publishing Company , Easton , Pennsylvania ) 5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지효성 (sustained release) 형태로 또는 지효성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지효성 물질의 설명은 레밍톤의 약학 과학 ( Remington's Pharaceutical Sciences )에 통합된 물질에서 발견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의 정의는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의 유효성을 방해하지 않고, 그것이 투여되는 숙주에 독성을 부여하지 않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경구 투여를 위해, JNK 억제제가 식염수, 덱스트로스 (dextrose) 용액, 혈청 알부민 및 링거 용액 (Ringer's solution)과 같은 담체로 주입하기 위한 단일 투여량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예를 들어, 정맥내, 피하, 근육내) 투여를 위해, JNK 억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비경구 운반체 (예를 들어, 물,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및 등장성 (isotonicity)[예를 들면, 만니톨 (mannitol)] 또는 화학적 안정성 (예를 들면, 보존제 및 완충제)을 유지하는 첨가제와 함께, 용액, 현탁액, 에멀젼 (emulsion) 또는 동결건조 분말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일반적인 기술에 의해 멸균된다.
JNK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은, 억제제의 유형, JNK에 대한 억제제의 친화력 (affinity), JNK 억제제에 의해 보여진 잔여 세포독성 (cytotoxic) 활성, 투여 경로 또는 환자의 임상 조건을 포함하는 많은 변수의 기능일 수 있다.
"약학적 유효량"은, 투여됐을 때, JNK 억제제가 JNK의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개개인에게 단일 또는 다중 투여량으로 투여된 투여량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JNK 억제제 약동학적 (pharmacokinetic) 특성, 투여 경로, 환자 상태 및 특징 (성, 연령, 체중, 건강, 신장), 증상 정도, 동시 치료, 치료 빈도 및 바람직한 효과. 개개인의 JNK 억제를 측정하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 방법뿐만 아니라, 설정된 투여량 범위의 조절 및 조종은 충분히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JNK 억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화합물은 국제공개공보 제WO 01/47920호 (어플라이드 리서치 시스템스 ARS 홀딩 NV)에 공개되었는데, 여기서 화학식 (A)의 벤즈아졸 유도체가 특히, 신경세포 질환, 자가면역 질환, 암 및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해 기술되었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에서:
G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리미디닐기이다.
L은 N, O, S (예를 들어, 피페라진,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롤리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또는 아미노기,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3-8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이다.
R1은 수소, 술포닐, 아미노,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또는 C1-C6-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예를 들어, 페닐), 할로겐, 시아노 또는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R1은 H 또는 C1-C3-알킬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는 또한, 그것의 토우토머 (tautomer), 그것의 기하 이성질체 (geometrical isomer), 그것의 에난티오머 (enantiomer), 디아스테레오머 (diastereomer) 및 라세미체 (racemate) 형태와 같은 광학적 활성 형태뿐만 아니라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ydrochloride), 하이드로브로마이드 (hydrobromide), 술페이트 (sulfate) 또는 비술페이트 (bisulfate), 포스페이트 (phosphate) 또는 수소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숙시네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이트,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및 para-톨루엔술포네이트 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화학식 (I)의 벤조티아졸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은 토우토머 형태,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화학식 (Ia)의 벤조티아졸 아세토니트릴의 토우토머 형태,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것에서 화학식 (Ia)의 벤조티아졸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진다:
Figure pat00010
R1 및 L은 화학식 (I)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모이어티 L은 화학식 -NR3R4의 아미노기인데, 여기서 R3 및 R4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된 3-8원자의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3-8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여기서, 상기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1-2번 더 융합될 수 있다),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헤테로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헤테로시클로알킬이다.
대안적으로, R3 및 R4는 그것들이 부착되는 질소와 함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R3은 수소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또는 프로필기이고, R4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 알킬-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및 비치환 또는 치환된 4-8원자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R3 및 R4는 그것들이 결합되는 질소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 또는 모르폴린 또는 피롤리딘 고리를 형성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선택적 치환기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된 3-8원자의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3-8원자의 헤테로시클로알킬, (여기서, 상기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1-2번 더 융합될 수 있다),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헤테로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헤테로시클로알킬.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L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n은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다.
R5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H,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알킬-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L이 모이어티 (d)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3-벤조티아졸-2-일(2,6-디메톡시-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H-이미다졸-5-일)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1-피페라지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벤질-1-피페리디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메틸-1-피페라지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모르폴리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메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2-(4-모르폴리닐)에틸]-1-피페라지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벤질옥시)-1-피페리디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하이드록시-1-피페리디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디메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메톡시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프로필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1H-이미다졸-1-일)프로필]아미노}-4-
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1-피롤리디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페닐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2-피리디닐)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피리디닐메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1H-1,2,3-벤조티아졸-1-일)-1-피페리디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2-피라지닐)-1-피페라지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2-피리미디닐)-1-피페라지닐]-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피리디닐)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5-브로모-2-{[2-(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모르폴린-4-일에틸)아미노]피리미디닐-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
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2-옥소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
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메틸[3-(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미디닐-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메틸-1H-이미다졸-4-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H-인돌-3-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tert-부틸({4-[1,3-벤조티아졸-2-일(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아세테이트,
{2-[(3-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2-[(2-아미노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메틸-1H-이미다졸-5-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벤질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 3-({4-[1,3-벤조티아졸-2-일(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3-벤조티아졸-2-일{2-[(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피리딘-3-일메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피리딘-4-일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tert-부틸 4-[2-({4-[1,3-벤조티아졸-2-일(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에틸]페닐카바메이트,
(2-{[2-(4-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2-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하이드록시-2-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미노}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4-디클로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메틸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3-플루오로메틸)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2-페녹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브로모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하이드록시(옥시도)아미노]페닐}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1H-1,2,4-트리아졸-1-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1H-피라졸-1-일)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4-[2-({4-[1,3-벤조티아졸-2-일(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에틸]벤젠-술폰아미드,
{2-[(2-피리딘-3-일에틸)아미노]피리미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1H-테트라졸-5-일메틸)아미노]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피리딘-3-일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피리딘-4-일메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피리딘-2-일메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피리딘-2-일프로폭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메톡시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피리딘-3-일메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2-(4-메톡시페닐)에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1,1'-비페닐]-3-일메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4,5-트리메톡시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4-디클로로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3-[(디메틸아미노)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1-옥시도피리딘-3-일)메톡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모르폴린-4-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피리딘-2-일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피페리딘-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메톡시페녹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부톡시페녹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2-[4-(4-아세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2-(4-메톡시페녹시)피리미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1,3-벤조티아졸-
2-일]아세토니트릴,
N-[2-({4-[1,3-벤조티아졸-2-일(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에틸]-4-클로로벤즈아미드,
1,3-벤조티아졸-2-일(2-메톡시-4-피리미디닐)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
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4-포르밀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2-({4-[(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1,2,4]옥사디아졸-3-일메틸-피페라진
-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2-[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일]-아세트아미드,
(2-{4-[4-(2-아미노-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3H-벤조티아졸-2-일리덴)-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일]-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국제공개공보 제WO 01/47920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부-구조 (II)의 화합물 및 그것의 상응하는 토우토머이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화학식 (II)에서 R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케닐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케닐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키닐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키닐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8-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카복시, 아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실, 아실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실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알콕시, 알콕시카보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미노카보닐, 아실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실아미노, 우레이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우레이도,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아미노, 술포닐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술포닐옥시, 술포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술포닐, 술피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술피닐, 술파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술파닐, 술포닐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술포닐아미노.
R1은 H,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특히 메틸 또는 에틸 또는 -CF3과 같은 C1-C3-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헤테로아릴, -C(O)-OR2, -C(O)-R2, -C(O)-NR2R2', -(SO2)R2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2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고 n은 0 내지 3, 더 바람직하게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피페라진 벤조티아졸 유도체는 다음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1,3-벤조티아졸-2-일[2-({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4-벤질-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1,3-벤조티아졸-2-일[2-({4-[(4-포르밀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2-({4-[(4-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1,3-벤조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1,2,4]옥사디아졸-3-일메틸-피페라진-
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2-[(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일]-아세트아미드,
2-{4-[4-(2-아미노-아세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3H-벤조티아졸-2-일리덴)-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4-(4-{4-[(3H-벤조티아졸-2-일리덴)-시아노-메틸]-피리미딘-2-일옥시메틸}-벤질)-피페라진-1-카복실산 디메틸아미드,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3H-벤조티아졸-2-일리덴)-{2-{4-[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일}-아세토니트릴.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국제공개공보 제WO 03/091249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JNK 억제제는 화학식 (Ⅲ)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13
여기서, Y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 (헤테로시클)을 포함하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4-12원자의 포화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알킬 고리이며, 그것에 의해 상기 고리 내에 있는 하나의 질소 원자가 화학식 Ⅲ의 술포닐기와 결합을 형성하여, 술폰아미드를 제공한다.
R1은 수소,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아미노, 술파닐, 술피닐, 술포닐, 술포닐옥시, 술폰아미드, 아실아미노, 아미노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콕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카복시, 시아노, 할로겐, 하이드록시, 니트로, 하이드라지드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구체적으로, R1은 수소, 할로겐 (예를 들어, 클로린), C1-C6-알킬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 또는 C1-C6-알콕시 (예를 들어, 메톡시 또는 에톡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할로겐, 특히 클로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R2는 할로겐, COOR3, -CONR3R3', OH, OH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C1-C4-알킬, 하이드라지도 (hydrazido) 카보닐기, 술페이트, 술포네이트, 아민 또는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그것에 의해, R3 및 R3'는 독립적으로 H, C1-C6-알킬, C1-C6-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시클릭 아민 Y는 화학식 (a) 내지 (d)의 시클릭 아민을 갖는다.:
Figure pat00014
그것에 의해, L1 및 L2는 서로 독립적으로, 1-3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 선택적으로 융합된,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키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C4-C8-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대안적으로, L1 및 L2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C1-C6-알킬, -C(O)-OR3, -C(O)-R3, -C(O)-NR3'R3, -NR3'R3, -NR3'C(O)R3, -NR3'C(O)NR3'R3, -(SO)R3, -(SO2)R3, -NSO2R3, -SO2NR3'R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대안적으로, L1 및 L2는 4-8원자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포화 시클릭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3, R3'는 독립적으로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2-C6-알케닐,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C1-C6-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R6은 수소, 비치환 또는 치환된 C1-C6-알킬, C1-C6-알콕시, OH,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술포닐, oxo (=O)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n'는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R6은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R6은 H이고, L2는 H이고, L1은 -NR3'R3이며, 여기서 R3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직선 (straight) 또는 분지 (branched) C4-C18-알킬, 아릴-C1-C18-알킬, 헤테로아릴-C2-C18-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비시클로 또는 -트리시클로알킬로 치환된 C1-C14-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고, 그것에 의해 상기 알킬 사슬 (chain)이 1-3의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L1은 -NHR3이고; 여기서 R3은 직선 또는 분지 C4-C12-알킬, 바람직하게는 C6-C12-알킬이며, 시클로헥실기 또는 벤질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Y는 피페리딘기이다:
Figure pat00015
L1은 -NHR3이고; 여기서 R3은 직선 또는 분지 C4-C12-알킬, 바람직하게는 C8-C12-알킬 또는 벤질기이다.
화학식 (Ⅲ)에 따른 화합물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4-클로로-N-[5-(피페라진-1-술포닐)-티오펜-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페닐아미노)-피페리딘-1-술포닐]-티오펜-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푸로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옥소-2-피롤리딘-1-일에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모르폴린-4-일-2-옥소에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피리딘-4-일메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티엔-2-일에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5-디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시클로헥실메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페닐에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플루오로벤질)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시아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피페리딘-1-일프로필)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2-니트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6-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하이드록시-4-페닐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옥소-1-페닐-1,3,8-트리아자스피로[4.5]데크-8-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메틸아닐리노)-2-옥소에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하이드록시(디페닐)메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시아노피라진-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니트로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메틸 5-{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라진-1-일}-7-(트리플루오로메틸)티에노[3,2-b]피리딘-3-카복실레이트,
에틸 2-{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일)술포닐]피페라진-1-일}-5-시아노-6-메틸니코티네이트(methylnicotinate),
4-클로로-N-{[5-({4-[5-시아노-4,6-bis(디메틸아미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6-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tert-부틸 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라진-1-일}-8-에틸-5-옥소-5,8-디하이드로피리도[2,3-d]피리미딘-6-카복실산,
7-{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라진-1-일}-1-에틸-6-플루오로-4-옥소-1,4-디하이드로[1,8]나프티리딘-3-카복실산,
7-{4-[(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라진-1-일}-1-에틸-6-플루오로-4-옥소-1,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복실산,
4-클로로-N-[(5-{[4-(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2-일카보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E)-3-페닐프로프-2-에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페닐프로필)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4,5-트리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tert-부틸벤질)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하이드록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시아노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tert-butyl 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4-클로로-N-({5-[(4-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나프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4-디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하이드록시-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메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1R,4R)-5-벤질-2,5-디아자비시클로[2.2.1]헵트(hept)-2-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N-[(5-{[4-(벤질옥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클로로디벤조[b,f][1,4]옥사제핀-11-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4-클로로페닐)-2-(5-{[4-(2-옥소-2,3-디하이드로-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아세트아미드,
4-클로로-N-({5-[(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아세틸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5-디클로로피리딘-4-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N-{[5-({4-[(2-tert-부틸-1H-인돌-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페닐아세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카보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6-클로로피리딘-2-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 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H-1,2,3-벤조트리아졸-2-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페녹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2,4-디클로로페닐)-1H-피라졸-5-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티엔-2-일-1H-피라졸-3-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3,4,5,6-펜타메틸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페닐아세틸)-1,4-디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4-메톡시페닐)-1H-피라졸-3-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페닐-1,2,4-티아디아졸-5-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페닐에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헵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옥틸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2-(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N-(4-클로로페닐)아세트아미드,
2-{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2H-1,2,3-벤조트리아졸-5-카복실산,
4-클로로-N-[(5-{[4-(5-클로로-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메틸 1-{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1H-1,2,3-벤조트리아졸-5-카복실레이트,
메틸 1-{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1H-1,2,3-벤조트리아졸-6-카복실레이트,
메틸 2-{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2H-1,2,3-벤조트리아졸-5-카복실레이트,
4-클로로-N-[(5-{[4-(6-클로로-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트리플루오로메틸)-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7-아자(aza)-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1-{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1H-1,2,3-벤조트리아졸-5-카복실산,
1-{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1H-1,2,3-벤조트리아졸-6-카복실산,
N-[(5-{[4-(2-아미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9H-퓨린-9-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6-아미노-9H-퓨린-9-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6-니트로-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H-1,2,3-트리아졸-2-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H-벤즈이미다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메틸 3-({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조에이트,
4-클로로-N-{[5-({4-[3-(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1,3-디티오란-2-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이미노)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2-하이드록시에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톨루이디노(toluidino)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1,3-옥사졸-5-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tert-부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2-디옥시도-1,3-디하이드로-2-벤조티엔-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3-디하이드로-1H-인덴-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니트로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3-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N-[(5-{[4-(3-벤질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모르폴린-4-일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시클로헥실-4-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부틸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에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퀴놀린-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퀴놀린-8-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프로필페녹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E)-3-페닐프로프-2-에노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니트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디메틸아미노)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플루오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6-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플루오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나프토일(naphthoyl)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나프토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니트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피리딘-3-일카보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1,3-벤즈옥사디아졸-5-일카보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4,6-트리플루오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6-디클로로벤조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헵트아노일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퀴놀린-8-일술포닐)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메틸 3-{[1-({5-[({3-니트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조에이트,
N-{[5-({4-[3-(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2-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2-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디메틸아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3-{[1-({5-[({4-니트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2-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2-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4-(1,3-디티오란-2-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이미노)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2-하이드록시에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2-하이드록시에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이미노)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니트로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2-디옥시도-1,3-디하이드로-2-벤조티엔-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로-1H-인덴-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2-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4-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tert-부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1,3-옥사졸-5-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2-페닐에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3-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벤질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모르폴린-4-일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프로필페녹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니트로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로-1H-인덴-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2-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4-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tert-부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1,3-옥사졸-5-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2-페닐에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3-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N-[(5-{[4-(3-벤질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니트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모르폴린-4-일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2-니트로-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페닐프로필)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니트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시클로헥실-4-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부틸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3-에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프로필페녹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N-[(5-{[4-(2,4-디플루오로벤조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2-하이드록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2-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N-{[5-({4-[4-(1,3-디티오란-2-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니트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메틸 3-({1-[(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티엔-2-일)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조에이트,
N-{[5-({4-[3-(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1,3-디티오란-2-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이미노)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2-하이드록시에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 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니트로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2-디옥시도-1,3-디하이드로-2-벤조티엔-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로-1H-인덴-5-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tert-부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1,3-옥사졸-5-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3-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프로필페녹시)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모르폴린-4-일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페닐에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벤질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페닐프로필)피페라진-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3-시클로헥실-4-하이드록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부틸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에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5-니트로-1H-피라졸-3-카복스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스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2-티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카복스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4-디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N-[(5-{[4-(1H-1,2,3-벤조트리아졸-1-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피리딘-2-카복스아미드,
N-[(5-{[4-(헥실옥실)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헵타노일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프로필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디메틸아미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톡시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메틸 3-({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푸릴)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조에이트,
3-({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푸릴)술포닐]피페리딘-4-일}아미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메톡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니트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클로로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N-{[5-({4-[4-(아미노카보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1,3-디티오란-2-일)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N-({5-[(4-{3-[아미노(이미노)메틸]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N-({5-[(4-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니트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2-푸릴}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오펜-3-카복실산,
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옥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오펜-3-카복실산,
N-(2-하이드록시에틸)-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오펜-3-카복스아미드,
N-({4-(하이드라지노카보닐)-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오펜-3-카복스아미드,
N-[2-(디메틸아미노)에틸]-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오펜-3-카복스아미드,
N-({4-(하이드록시메틸)-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닐리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3-티아졸-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헵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펜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부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도데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R)-1-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프로폭시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아담안틸메틸(adamantylmethyl)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피리딘-2-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에틸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1H-이미다졸-1-일)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옥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헵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조아미드,
3-메톡시-N-[(5-{[4-(옥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펜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부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도데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R)-1-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프로폭시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아다만틸메틸(adamantylmethyl)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3-디에톡시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피리딘-2-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에틸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1H-이미다졸-1-일)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헵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옥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펜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부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도데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R)-1-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프로폭시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아다만틸메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피리딘-2-일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에틸헥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1H-이미다졸-1-일)프로필]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헵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옥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펜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부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도데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프로폭시에틸)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에틸헥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헥실아미노)아제판-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4-메틸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1S,2R)-2-페닐시클로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1-나프틸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페닐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페닐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노닐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데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1,1'-비페닐]-4-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3-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티엔-2-일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퀴놀린-4-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1,1'-비페닐]-4-일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노}에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프로필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4-디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메틸 [{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티에닐)술포닐]-4-피페리디닐}(헥실)아미노]아세테이트,
tert-부틸 [{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티에닐)술포닐]-4-피페리디닐}(헥실)아미노]아세테이트,
[{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티에닐)술포닐]-4-피페리디닐}(헥실)아미노]아세트산,
N-[(5-{[3-(헵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3-(옥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3-(펜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부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도데실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1R)-1-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3-[(2-프로폭시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1-아다만틸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3-[(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3-[(2-피리딘-2-일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3-[(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2-에틸헥실)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3-(헥실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3-(헵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헥실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펜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부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3-[(2-시클로헥실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1R,2R,4S)-비시클로[2.2.1]헵트-2-일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3-{[(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3-[(1-아다만틸메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3-[(3-모르폴린-4-일프로필)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2-피리딘-2-일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2-피페리딘-1-일에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2-에틸헥실)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옥틸아미노)피롤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메틸 (2S)-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티에닐)술포닐]-4-(헥실아미노)-2-피롤리딘카복실레이트
3-메톡시-N-{[5-({4-[(펜틸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2-(부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부틸아미노)메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시클로헥실메틸)(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크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피리딘-3-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크로로-N-{[5-({4-[헥실(피리딘-4-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피리딘-2-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부틸(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3-페닐프로필)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헥실(2-페닐에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5-브로모-2-푸릴)메틸](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3-클로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프로필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디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3,4,5,6-펜타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프로폭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부톡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메톡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피리딘-4-일메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피리딘-2-일메틸)아미노]피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피리딘-3-일메틸)아미노]피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N-{[5-({4-[(4-tert-부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3-에톡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페녹시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벤질}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메틸술포닐)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3,5-bis(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5-bis(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에틸술파닐)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3-[(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5-일)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요오도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벤질옥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메시틸메틸(mesitylmethyl)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클로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에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4-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4-부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이소프로필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4-이소부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1-하이드록시-1람브다(lambda)~5~-피리딘-4-일)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5-일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프로필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디플루오로메톡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프로폭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4-부톡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퀴놀리닐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4-tert-부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4-클로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페녹시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술파닐]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디닐]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3-메톡시-N-[(5-{[4-({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3-메톡시-N-[(5-{[4-({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4-({1-메틸-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R)-3-({[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메틸)피롤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헥실아미노)메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롤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R)-3-[(헥실아미노)메틸]피롤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4-클로로-N-[(5-{[3-({[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메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2-옥소-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N-[(5-{[4-(헥실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N-[(5-{[4-(헥실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2-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2-하이드록시-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벤즈아미드,
N-[(5-{[4-(헥실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2-티옥소-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2-티옥소-N-({5-[(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N-[(5-{[4-(부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피리딘카복스아미드,
N-({5-[(4-{에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4-클로로-N-[(5-{[4-({이미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술포닐}-2-티에닐)에틸]벤즈아미드,
1-[(5-{[(4-클로로벤조일)아미노]메틸}-2-티에닐)술포닐]-4-(헥실아미노)프롤린(proline),
에틸 2-{[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티오펜-3-카복실레이트,
N-{[5-{[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4-(트리메틸실릴)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N-({5-{[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4-[하이드록시(페닐)메틸]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5-[(3-메톡시-벤조일아미노)메틸]-2-[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미노)-피페리딘-1-술포닐]-티오펜-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
N-[(4-클로로-5-{[4-(헥실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3-메톡시벤즈아미드.
화학식 (Ⅲ)의 화합물을 국제공개공보 제01/23378호, 제02/28856호 및 제02/26733호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JNK 억제제는 화학식 (C)에 도시된 대로 피라졸로안트론 (pyrazoloanthrone) 유도체 일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01/12609호).
Figure pat00016
또 다른 실시예에서, JNK 억제제는 화학식 (IV)를 가질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03/018022호).
Figure pat00017

본 발명은 이제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며, 어떤 방법으로든 제한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궁내막증 모델
JNK 억제제의 효과를 자궁내막증의 시험관내 및 생체내 모델 둘 다에서 측정하였다. 자궁내막증을 억제하는 데 있어 상기 약물 치료의 효능을 두 개의 생체내 모델들에서 테스트하였는데, 하나는 i) 가슴샘없는 생쥐이고 또 다른 하나는 ii) 쥐 모델 및 생체내 증식 장기 배양 모델이다.
실시예 1.1: N- 카드헤린 발현
생체내 연구를 위해, 인간 자궁내막 세포 (12Z)를 사용하였다 (Zeitvogel et al., 2001). 이러한 세포들은 침습적(invasive)이고 N-카드헤린을 발현하는 반면, 덜 침습적인 세포들은 낮은 준위의 N-카드헤린을 갖는다. 이러한 세포들을 JNK 억제제로 치료하고 세포들을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이러한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 항체와, 이어서 알렉스아플루오르 (Alexafluor)[플루오로크롬 (fluorochrome)]에 결합된 이차 항체를 사용하여, 고정된 세포의 N-카드헤린 및 사이토케라틴을 염색하였다. 형광 현미경 하에 세포를 관찰하고, 위상 대조 및 형광 상을 획득하였다. 도 1은 이러한 세포에서 N-카드헤린 및 사이토케라틴의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JNK 억제제로 세포를 치료함에 따라, N-카드헤린의 발현이 감소되었고 (도 1), 이러한 경로가 N-카드헤린 발현 및 자궁내막증의 침습 활성의 조절에 연관돼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면, 사이토케라틴의 발현, 상피 세포에 대한 표지 (marker)가 상기 화합물의 치료에 따라 변경되지 않았다 (도 1). 이것은, 오직 자궁내막 세포만이 JNK 억제제 치료에 의해 영향받고, 상피 세포는 영향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JNK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자궁내막증과 연관된 침습 성질이 특이적으로 억제되어, 자궁내막증 치료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실시예1 .2 가슴샘없는 생쥐 모델
인간 자궁내막 조직을 난소절제된 (ovarectomized) 가슴샘없는 생쥐에 주입하여, 질환을 설정하였다 (Bruner-Tran et al., 2002). 간단히 말해서, 정상적인 자원자 또는 자궁내막 환자로부터 획득한 자궁내막 생검 (biopsies)을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24시간 동안 에스트라디올 (estradiol)의 존재 하에 배양하였다. 에스트라디올을 이식하여, 난소절제된 가슴샘없는 생쥐 안에 치료된 조직을 피하 또는 복막내로 주입하였다. 주입 2-4일 내에, 이소성 (ectopic) 자궁내막 병변이 상기 생쥐에서 발달되었다. 조직 주입 후 10-12일째에 프로게스테론 또는 JNK 억제제로 치료하기 시작하였다. 화합물을 10mg/kg 및 30mg/kg/동물의 투여량으로 30일 동안 투여하였다. 이 모델을 사용한 이전 실험을 통해, 프로게스테론 치료가 질환의 진행을 막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것을 대조군으로써 사용하였다. 치료를 종결한 후, 생쥐를 죽이고, 피하 및 복막내 부위에서 발견된 이식된 조직으로부터 발달된 병변을 측정하였다 (크기 및 수 둘 다).
하기 표 1은, 상기 설명된 대로 수행된 연구 결구를 나타낸다. 투여량 30mg/kg의 JNK 억제제가, 프로게스테론 치료에 비해, 50%의 생쥐에서 설정된 질환을 퇴행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평균 병변 크기 또한 치료에 의해 약 20% 줄어들었다. TBP로 수행된 또 다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 프로게스테론에 비해, 병변 크기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고, 상기 질환을 지닌 생쥐 수가 약 60%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 모델이 인간 자궁내막 조직의 성장/퇴행을 측정하고, 따라서 인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결과는 중요하다.
가슴샘없는 생쥐 이종이식 (xenograft) 모델의 자궁내막 병변의 퇴행에 있어 JNK 억제제 (화학식 I의 JNK 억제제) 및 단백질 면역조절 인자의 효과
치료 병변 (% 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테론으로 치료된 그룹과 비교
병변 크기
JNK 억제제
30mg/kg x 30일
50% 감소 20% 감소
TBP-1 (대조군)
5mg/kg x 30일
60% 감소 변화 없음
가슴샘없는 생쥐의 또 다른 실험에서, 자궁내막 환자에게서 인간 자궁내막 조직을 얻었고, 에스트라디올 단독 하에, 또는 에스트라디올과 메드록시 (medroxy)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MPA) 또는 JNK 억제제를 혼합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에스트라디올을 이식하여, 난소절제된 생쥐에 치료된 조직을 피하 또는 복막내로 주입하였다. 주입 2-4일 내에, 이소성 자궁내막 병변이 상기 생쥐에서 발달되었다. 조직 주입 후 10-12일째에 MPA 단독으로, JNK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MPA에 JNK 억제제를 혼합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다. 30/mg/kg/동물의 투여량으로 JNK 억제제를 30일 동안 투여하였다. 치료 종결 후, 생쥐들을 죽이고, 피하 및 복막내 부위에서 발견된 이식된 조직으로부터 발달된 병변의 크기 및 수를 측정하였다. MPA와 화학식 I에 따른 JNK 억제제의 혼합물로 치료함에 따라, 에스트라디올 단독으로 치료된 병변의 부하 및 크기와 비교했을 때, 병변 크기가 약 15 내지 30% 가량 줄어들었고, 병변 부하는 약 50% 감소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화학식 I의 JNK 억제제와 프로게스틴의 혼합물이 자궁내막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쥐 모델
앞서 설명한 대로, 쥐에 자궁내막증을 유도하였다 (D'Antonio et al., 2000). 간단히 말해서, 자가 (autologous) 자궁뿔 (uterine horn) 분절을 쥐 배벽 (abdominal wall)의 내면 (inner surface) 위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 3주째에, 이식된 조직의 크기 및 생존력 (viability)을 측정하였다. 상기 조직의 부착 확인 후 1주일째에, 치료를 시작하였다. 대조군에 운반체만을 주입하였다. 상기 JNK 억제제를 하루 당 10mg/kg 및 30mg/k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9일 동안 JNK 억제제로 치료하고, 마지막 치료 2시간 후에 쥐를 마취시킨 후,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자궁내막증-유사 병소의 표면적 (surface area)을 측정하고, PBS로 자궁내막-유사 병소를 씻었으며, 반대측 자궁 씻겨낸 것을 시토카인 측정을 위해 또한 수집하였다. 조직학 및 NK 세포 활성 측정 각각을 위해 자궁내막-유사 병소 및 비장 (spleen)을 제거하였다. 이 모델에서, 투여량 10mg/kg의 JNK 억제제는 상기 운반체와 효과 면에서 다르지 않지만, 투여량 30mg/kg 및 60mg/kg의 JNK 억제제는 상기 설정된 자궁내막 병변을 상당히 퇴행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2). 앙타이드(antide)로의 치료 (비교를 위해)는 약 85%의 퇴행을 보여주었다 (데이터 미도시).
실시예 1.4: 쥐 모델/ 시토카인 준위 측정
이러한 최근 연구로부터의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자궁내막 병소 또는 어떠한 병변도 없는 반대측 자궁뿔에서 측정된 시토카인 준위의 변화이다. 시토카인 준위에 대한 JNK 억제제의 효과를 상기 쥐 모델에서 측정하였다 (참조: 실시예 1.3). 이러한 결과는, 상기 JNK 억제제로의 치료가 자궁내막 병소에서 염증성 시토카인, IL-12, INF-γ, IL-10 및 MCP-1의 준위를 감소시킨 것을 보여준다 (도 3). 종래에, 이러한 시토카인이 질환을 갖은 여성의 복막액 (peritoneal fluid)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대측 뿔에서, 상기 JNK 억제제는 상기 시토카인 발현에 어떠한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도 4). 더욱이, 운반체로 치료된 그룹에 비해, 상기 억제제 치료가 NK 세포 활성을 증가시켰다 (도 5). 자궁내막증에 걸린 여성에게서 림프구 세포용해 (cytolytic) 활성이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상기 JNK 억제제 치료로 인한 NK 세포 세포용해 활성의 증가가 이소성 자궁내막을 제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더욱이, JNK를 사용한 이러한 결과는, 상기 JNK 억제제의 효과로 인해, 질환을 갖지 않은 자궁 또는 복막강 일부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상기 질환 조직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모델에서 쥐의 면역 시스템은 손상되지 않고, 만일 분자가 일차 메커니즘으로서, 오직 숙주의 면역-조정된 경로에만 영향을 끼친다면, 이러한 모델에서 분자의 영향력은 가슴샘없는 생쥐에서 관찰된 것보다 더 강해야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실, 가슴샘없는 생쥐 및 쥐 모델로부터의 이러한 결과는, 상기 분자가 가슴샘없는 생쥐에 남아있는 자궁내막 조직 또는 면역 세포 집단에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활성을 갖는 것을 암시한다. 상기 쥐 모델의 또 다른 중요한 차이는, 무손상 자궁근육층 (myometrial) 및 자궁내막 조직이 실험 쥐 안에서 외과적으로 절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개의 모델 시스템으로부터의 결과는, JNK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키나아제 억제제가 자궁내막증에 연관돼 있고, 질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물질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5. 증식 장기 배양 모델
공여 (donor) 집단 (자궁내막증 병력이 없음) 및 외과적으로 확인된 자궁내막증에 걸린 여성으로부터 배란 바로 전에 생검으로 정상적인 자궁내막 조직을 획득하였다. 생검에 앞서 사전 동의를 얻고, 인간 피실험자 보호를 위한 밴더빌트 대학 임상연구 심의 기관 및 위원회 (Vanderbilt University's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Committee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로부터 인간 조직 사용을 승인받았다.
자궁내막 생검을 작은 입방체 (~1x1 ㎣)로 절개하고, 치료 그룹 당 8-10 조각의 조직을 조직 배양 삽입물에서 현탁하였다. 장기 배양을 혈청 보충물과 DME/F-12 배지에서 총 72시간 동안 37℃에서 유지하였다. 조직 치료는 JNK 억제제와 함께 및 그것들 없이, 17β-에스트라디올 (E), E + 프로게스테론 (P), 또는 E + 메드록시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MPA)를 포함한다. 실험 조건을 초기화할 때까지, 배양물을 E에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JNK 억제제를 농도 5 또는 15μM에서 사용하고, MPA를 농도 50, 100 또는 250μM에서 사용하였다.
장기 배양물, 및 쿠마시 플러스 단백질 분석 (Coomassie Plus Protein Assay)[피어스 (Pierce)사]을 사용하여 정량화된 분비 단백질로부터 배지를 수집하고, 총 단백질 20㎍을 10% SDS-PAGE로 만들었다. 단백질을 PVDF 막으로 옮기고, 10% 탈지 우유 (non-fat milk) 및 0.05% Tween-20으로 PBS에서 차단하였다. 인간 MMP-3 (자궁내막 조직에 대한 표지)을 인식하는 일차 항체로 PBS/우유/Tween에서 하룻밤 동안 4℃에서 블롯 (Blot)을 배양하고, 1시간 동안 이차 항체로 세척하고 배양하였다. 화학발광 (chemiluminescence)[아머샴 (Amersham)] 및 자가방사선술 (autoradiography)에 의해 단백질을 시각화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써, 동일한 블롯을 일차 항원 없이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 획득한 자궁내막 배양물과 다르게, 정상적인 인간 자궁내막 배양물이 MPA 치료에 민감하여, MPA만으로는 질환을 퇴행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화학식 I의 JNK 억제제가 MPA 치료와 혼합되었을 때, MPA에 대한 민감성은 자궁내막증 환자로부터 얻은 배양물에서는 복원되었고, 정상적인 자원자로부터 얻은 배양물에서는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화학식 I의 JNK 억제제와 프로게스틴의 공동 투여가 자궁내막증의 재발을 예방하고 치료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Claims (12)

  1. 치료적 유효량의 JNK 억제제를 개인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JNK 억제제가 화학식 (Ⅲ)의 화합물, 그것의 기하 이성질체, 그것의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라세미체 형태,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Figure pat00020

    여기서, Y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4-12 원자의 포화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알킬 고리이며, 그것에 의해 상기 고리 내에 있는 하나의 질소 원자가 화학식 (Ⅲ)의 술포닐기와 결합을 형성하여, 술폰아미드를 제공하고;
    R1은 수소, C1-C6-알콕시,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아미노, 술파닐, 술피닐, 술포닐, 술포닐옥시, 술폰아미드, 아실아미노, 아미노카보닐, C1-C6-알콕시카보닐, 아릴, 헤테로아릴, 카복시, 시아노, 할로겐, 하이드록시, 니트로, 하이드라지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할로겐, COOR3, -CONR3R3', OH, OH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C1-C4-알킬, 하이드라지도 카보닐기, 술페이트, 술포네이트, 아민 및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및 R3'는 H, C1-C6-알킬, C1-C6-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NK 억제제가 호르몬 억제인자와 함께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 억제인자가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NK 억제제가 JNK 억제제 단독으로 또는 자궁내막증-관련 불임증 치료용 다른 불임치료 약물과 함께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할로겐, C1-C6-알킬 및 C1-C6-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Y가 다음의 화학식들을 갖는 시클릭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Figure pat00021

    그것에 의해, L1 및 L2는 서로 독립적으로, 1-3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로 선택적으로 융합된 C1-C6-알킬, C2-C6-알케닐, C2-C6-알키닐, C4-C8-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L1 및 L2는 독립적으로,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헤테로아릴-C1-C6-알킬, -C(O)-OR3, -C(O)-R3, -C(O)-NR3'R3, -NR3'R3, -NR3'C(O)R3, -NR3'C(O)NR3'R3, -(SO)R3, -(SO2)R3, -NSO2R3 및 -SO2NR3'R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3, R3'는 H, C1-C6-알킬, C2-C6-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기이거나; 또는
    L1 및 L2는 4-8원자의, 포화 시클릭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기를 형성하고;
    R6은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OH,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술포닐, 옥소(=O)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n'는 0 내지 4의 정수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R6이 H이고, L2가 H이고, L1이 -NR3'R3이며; 여기서 R3' 및 R3 중 적어도 하나가 수소가 아니고, 직선 또는 분지 C4-C18-알킬, 아릴-C1-C18-알킬, 헤테로아릴-C2-C18-알킬, C3-C12-시클로알킬 또는 -비시클로 또는 -트리시클로알킬로 치환된 C1-C14-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이고, 그것에 의해 상기 알킬 사슬이 1-3의 O 또는 S 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L1이 -NHR3이며; 여기서 R3 이 직선 또는 분지 C4-C12-알킬, 시클로헥실기 또는 벤질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Y가 하기 화학식의 피페리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Figure pat00022

    여기서, L1은 -NHR3이며; 여기서 R3은 직선 또는 분지 C4-C12-알킬, 또는 벤질기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NK 억제제가 4-클로로-N-[(5-{[4-(부틸아미노)피페리딘-1-일]술포닐}티엔-2-일)메틸]벤즈아미드 아세토니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11. 제1항에 따른 JNK 억제제, 호르몬 억제인자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르몬 억제인자가 GnRH 길항제, GnRH 작용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정자 및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정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37016652A 2005-07-15 2006-07-12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KR20130087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965805P 2005-07-15 2005-07-15
US60/699,658 2005-07-15
EP05109447 2005-10-11
EP05109447.2 2005-10-11
PCT/US2006/027455 WO2007011762A2 (en) 2005-07-15 2006-07-12 Jn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eosi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526A Division KR20080044836A (ko) 2005-07-15 2006-07-12 자궁내막증 치료용 jnk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052A true KR20130087052A (ko) 2013-08-05

Family

ID=3570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652A KR20130087052A (ko) 2005-07-15 2006-07-12 자궁내막증 치료 및 예방용 jnk 억제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92414B2 (ko)
EP (1) EP1904181A2 (ko)
JP (1) JP2009509916A (ko)
KR (1) KR20130087052A (ko)
AU (1) AU2006270184B2 (ko)
BR (1) BRPI0613042A2 (ko)
CA (1) CA2611598A1 (ko)
EA (1) EA016437B1 (ko)
MX (1) MX2008000663A (ko)
SG (1) SG165343A1 (ko)
WO (1) WO2007011762A2 (ko)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86474T2 (de) 1983-11-02 2000-08-03 Applied Research Systems Produkte und Methoden für die Herstellung einer heterodimerer menschlicher LH mit einem Met42 Val55 alpha Untereinheit
US4923805A (en) 1983-11-02 1990-05-08 Integrated Genetics, Inc. Fsh
IT1206302B (it) 1987-06-26 1989-04-14 Serono Cesare Ist Ricerca Ormone follicolo-stimolante urinario
US4988679A (en) 1989-01-03 1991-01-29 Leonard Chavkin Liquid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IE82916B1 (en) 1990-11-02 2003-06-11 Elan Corp Plc Formulation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eases
RU2166955C2 (ru) 1991-01-18 2001-05-20 Эмген Инк.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обусловленных повышением уровня фактора, вызывающего некроз опухолевых клеток
US5433951A (en) 1993-10-13 1995-07-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captopril and method
EP0727406B1 (de) 1995-02-16 2001-09-05 MERCK PATENT GmbH Vinylenverbindungen und flüssigkristallines Medium
FR2762514B1 (fr) 1997-04-29 1999-10-22 Sanofi Sa Utilisation de derives de la tetrahydropyridine pour la preparation de medicaments pour le traitement des maladies entrainant une demyelinisation
SE9801474D0 (sv) 1998-04-27 1998-04-27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TW591026B (en) 1998-06-23 2004-06-11 Upjohn Co Inhibitors of alpha4beta1 mediated cell adhesion
AU770060B2 (en) 1998-12-17 2004-02-12 F. Hoffmann-La Roche Ag 4,5-azolo-oxindoles
CN1147486C (zh) 1998-12-17 2004-04-28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4-和5-炔基羟吲哚和4-和5-烯基羟吲哚
KR20010101266A (ko) * 1998-12-17 2001-11-14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Jnk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로서의 4-아릴옥신돌
ATE425142T1 (de) 1999-04-23 2009-03-15 Vertex Pharma Inhibitoren von c-jun n-terminal kinasen (jnk)
AU5316900A (en) 1999-06-03 2000-12-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c-jun n-terminal kinases (jnk)
AU6909600A (en) 1999-08-13 2001-03-13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c-jun n-terminal kinases (jnk) and other protein kinases
KR100835700B1 (ko) 1999-08-19 2008-06-09 시그널 파머슈티컬스 인크 Jnk억제제로서의 피라졸로안트론과 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EP1088815A1 (en) 1999-09-28 2001-04-04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sulfonyl amino acid derivatives
EP1088821A1 (en) 1999-09-28 2001-04-04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sulfonamide derivatives
EP1088822A1 (en) 1999-09-28 2001-04-04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sulfonyl hydrazide derivatives
US20020115689A1 (en) 1999-12-21 2002-08-22 Joanne Waldstreicher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EP1110957A1 (en) * 1999-12-24 2001-06-27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Benz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JNK modulators
BR0108685A (pt) * 2000-02-25 2003-12-30 Procrea Biosciences Inc Marcadores relacionados com endometriose
EP1193267A1 (en) 2000-09-27 2002-04-03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hydrophilic sulfonamid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rotein JunKinases
EP1193268A1 (en) 2000-09-27 2002-04-03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Pharmaceutically active sulfonamide derivatives bearing both lipophilic and ionisable moieties as inhibitors of protein Junkinases
US6399626B1 (en) 2000-10-02 2002-06-04 Wyeth Hydroxyesters of 7-desmethylrapamycin
US20030134836A1 (en) 2001-01-12 2003-07-17 Amgen Inc. Substituted arylami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7115617B2 (en) 2001-08-22 2006-10-03 Amgen Inc. Amino-substituted pyrimidinyl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ATE340572T1 (de) 2001-12-07 2006-10-15 Applied Research Systems Benzazole derivate zur behandlung von scleroderma
US7803749B2 (en) * 2002-01-09 2010-09-28 Xigen Sa Peptide inhibitors of MKK7 kinase binding to insulin binding proteins
GB0204159D0 (en) 2002-02-22 2002-04-10 British Biotech Pharm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NZ535349A (en) 2002-03-08 2007-01-26 Signal Pharm Inc JNK inhibitors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in a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and other proliferative disorders in refractory patients in particular
EA009682B1 (ru) 2002-04-25 2008-02-28 Апплайд Резеч Системз Арс Холдинг Н. В. Пиперазинбензотиазолы, используемые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 для лечения церебральных ишемических расстройств или расстройств цнс
TW200410631A (en) 2002-09-25 2004-07-01 Meiji Seika Kaisha Slow-releasable pesticide granules
TWI291467B (en) 2002-11-13 2007-12-21 Millennium Pharm Inc CCR1 ant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WO2004082665A1 (ja) 2003-03-17 2004-09-30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放出制御組成物
DE602004010178T2 (de) 2003-09-12 2008-09-11 Laboratoires Serono S.A., Coinsins Benzothiazol-derivate zur behandlung von diabetes
US20070079629A1 (en) 2003-10-30 2007-04-12 Laboratories Serono S.A.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atomizing liquid or pasty-like substances
RU2253489C1 (ru) * 2004-04-07 2005-06-10 Научный центр акушерства, гинекологии и перинатологии РАМН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есплодия у женщин с наружным генитальным эндометриозом
DK1812072T3 (da) * 2004-11-17 2008-12-01 Ares Trading Sa Benzothiazol-præparat og anvendelse deraf
US7838522B2 (en) * 2004-11-17 2010-11-23 Ares Trading S.A. Benzothiazole formulations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11762A2 (en) 2007-01-25
AU2006270184B2 (en) 2011-09-29
SG165343A1 (en) 2010-10-28
WO2007011762A8 (en) 2007-08-02
EP1904181A2 (en) 2008-04-02
JP2009509916A (ja) 2009-03-12
EA016437B1 (ru) 2012-05-30
CA2611598A1 (en) 2007-01-25
US8592414B2 (en) 2013-11-26
WO2007011762A3 (en) 2007-04-05
BRPI0613042A2 (pt) 2010-12-14
EA200800343A1 (ru) 2008-06-30
US20090176761A1 (en) 2009-07-09
MX2008000663A (es) 2008-03-13
AU2006270184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0241B2 (ja) Jnk阻害剤およびスクロスポリンを含んでなる組成物
AU2006287767B2 (en) IK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AU2006287765B2 (en) P13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WO2007141224A2 (en) Jnk inhibitors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JP2009507072A (ja) 子宮内膜症の処置のためのpi3k阻害剤
AU2006270184B2 (en) JN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eosis
US8658640B2 (en) JN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
AU2011265521B9 (en) JNK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eosis
KR20080052641A (ko) 자궁내막증 치료용 pi3k 억제제
MX2008002908A (es) Inhibidores de ikk para el tratamiento de endometriosis
CN101262906A (zh) 治疗子宫内膜异位症的jnk抑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