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600A -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600A
KR20130084600A KR1020127029402A KR20127029402A KR20130084600A KR 20130084600 A KR20130084600 A KR 20130084600A KR 1020127029402 A KR1020127029402 A KR 1020127029402A KR 20127029402 A KR20127029402 A KR 20127029402A KR 20130084600 A KR20130084600 A KR 2013008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zone
current collector
heating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577B1 (ko
Inventor
주잔네 리진스키
귄터 샬
당 쿠옹 판
베른하르트 로일
군터 포르트마이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3008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75Cleaning of wiper blades
    • B60S1/0477Arrangement for deicing or for removing debris from wiper blades
    • B60S1/048Arrangement for deicing or for removing debris from wiper blades with a heating device for the wiper par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the windscreen wipe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로, 특히 상기 창유리 표면의 시야 위로 연장되는 투명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은 하나 이상의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 1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 및 제 2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은 각각의 경우, 전원에 의해 제공되는 공급 전압을 적용한 후에, 각각의 경우 전류가 제 1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가열 구역 및 제 2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가열 구역 위로 흐르도록, 두 개 이상의 집전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 내에 배치되는데, 상기 가열 요소는 이 가열 요소로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표면 영역 중에서 가열될 수 있게 하는 옴 저항을 갖는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이 가열 요소로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 내에서 또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TRANSPARENT PANEL HAVING HEATABLE COA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창유리는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되어 있고, 특허 문헌에 이미 여러차례 기재되었다. 단지 예를 들어, 이와 관련하여 독일 공개 특허 출원 DE 10200705286, DE 102008018147 A1, 및 DE 102008029986 A1을 참조한다.
자동차에서, 상기 창유리는, 방풍유리(windshield)의 중심 시야("시야 A")가 후면 유리창과는 다르게 법적으로 무엇이든지 시야 제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방풍유리로 자주 사용된다.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심지어 중심 시야에 있는 응축된 수분, 얼음 및 눈이 단시간에 제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는 대개, 두 개의 개별 창유리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접착제 층에 의해 서로에 접합되는 복합 창유리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접착제 층에 인접한 두 개의 개별 창유리 중 하나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가열가능한 코팅이 예를 들어, 후에 차례로 두 개의 개별 창유리에 접합되는 캐리어(carrier) 필름 상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조들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제조된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은 개별 층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그러한 개별 층을 포함하는 연속 층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가열 전류는 대개 적어도 한 쌍의 스트립(strip)- 또는 밴드 형태의 전극("버스 바(bus bars)")에 의해 가열가능한 코팅 내로 도입된다. 상기 전극은 집전 전도체(collecting conductor)로서 가열 전류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코팅 내로 도입시키고 이 전류를 널리 분산시킨다. 밴드 형태의 집전 전도체는 불투명하므로, 이들 전도체는 전형적으로 불투명한 마스킹용 스트립으로 덮여진다. 상기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스크린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스크린인쇄용 페이스트로서 창유리에 적용되는 비전도성의 흑색 안료첨가된(pigmented) 베이킹가능 물질로 제조된다.
가열가능한 코팅의 전기 시트 저항은 연속 제조에서 현재 사용된 물질의 경우에 비교적 높은데, 제곱미터 당 몇 Ω 정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열 출력을 얻기 위해서 가열 전압은 상응하게 높아야 하는 반면,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는 단지 12 내지 24 볼트의 탑재 전압(onboard voltage)이 표준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원칙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의 층 두께는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증가될 수 있지만, 이것은 항상 창유리의 빛 투과율의 감소를 동반하며 그에 따라 이것은 법적으로 단지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다. 시트 저항이 전류 경로의 길이와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반대 극성의 집전 전도체는 가능한 최대의 열 출력을 얻기 위해 이들 전도체 사이에서 최소의 가능한 거리를 가져야 한다.
높기보다는 대개 더욱 넓은 자동차 유리창 창유리의 경우에, 결과적으로 집전 전도체는 가열 전류가 유리창 창유리 높이의 더욱 짧은 경로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창유리의 더욱 긴 측면(조립된 위치에서는 최상부 및 최하부)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이들은 서로 마주보는 마스킹용 스트립의 가장자리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에 의해, 창유리를 닦도록 제공된 방풍유리 와이퍼가 유지 또는 보관되는 위치 영역에서, 대부분에 대해 와이퍼를 동결시킬 수 있는 부적절한 열 출력이 존재한다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은 유럽 특허 EP 1454509 B1에서 제안되어 있다. 여기 개시된 투명 창유리에서, 가열가능한 시야는 두 개의 집전용(current collecting) 트랙에 의해 둘러싸이는데, 이때 시야는 두 개의 집전용 트랙 중 하나에 의해 그리고 특히 추가 가열 영역의 제거된(stripped) 영역에 의해 분할된다. 상기 추가 가열 영역에서, 반대 극성의 추가 집전용 트랙은 시야 아래 마스킹 영역에서 창유리를 가열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과제는 유리하게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로서, 특히 와이퍼가 유지 또는 보관되는 위치 영역에서의 열 출력이 추가로 개선되는 투명 창유리를 추가로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 및 추가 과제는,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한 창유리에 의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의 특징들에 의해 제공된다.
투명 창유리는 적어도 창유리 표면의 상당 부분 위로, 특히 그의 중심 시야 위로 연장되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투명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은 하나 이상의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 두 개 이상의 코팅 구역, 즉 제 1 코팅 구역 및 제 2 코팅 구역으로 분할된다. 상기 두 개의 코팅 구역은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전류발생적으로(galvanically) 분리된다.
또한, 상기 코팅 구역은 각각의 경우에, 전원에 의해 제공되는 공급 전압이 적용된 후에, 각각의 경우 전류가 제 1 코팅 구역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가열 구역 및 제 2 코팅 구역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가열 구역 위로 흐르도록 둘 이상의 집전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코팅 구역 상에 적용된 공급 전압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동일한 것이고 상기 공급 전압은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전원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집전 전도체는 예를 들어, 스트립- 또는 밴드 형태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높은 옴(ohmic)의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옴 전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대개, 집전 전도체는 가열가능한 코팅과 비교하여 무시해도 될 정도의 옴 저항을 가지므로, 결과적으로 이들 전도체는 공급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눈에 띌 정도로 가열될 수 없고 따라서 실제적으로 창유리의 가열에 기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가 코팅 비함유 구역에 배치되는데, 상기 가열 요소는, 가열 요소로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표면 영역에서 가열될 수 있게 하는 옴 저항을 갖는다. 가열 요소에 적용된 공급 전압은 코팅 구역의 공급 전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동일한 공급 전압이 가열 요소 및 두 개의 코팅 구역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공급 전압은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전원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가열 요소로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실질적으로) 열 전도에 의해 그리고 (매우 작은 정도로는) 열 복사에 의해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 내에서 또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의 비(specific) 열 출력(예를 들어, W/dm2으로 표현된, 면적 당 열 출력)이 가열 구역의 비 열 출력보다 크다는 점에서 실현될 수 있는데, 표면 영역 중에 함유된 집전 전도체는 상기 가열 구역의 코팅 구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단에 의해, 유리하게는 코팅 비함유 구역이 가열될 뿐만 아니라, 이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를 갖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가열될 수 있는데, 상기 표면 영역에서는 가열가능한 코팅으로부터의 어떠한 눈에 띌 정도의 열 출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의 비 열 출력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가열 구역의 비 열 출력보다 적어도 20%까지, 특히 적어도 30%까지 더 크지만, 한편으로는 비 열 출력에서의 차는, 큰 열 응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창유리 가운데서 생성될 정도로는 크지 않아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코팅 비함유 구역에서의 비 열 출력이 최대 8 W/dm2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집전 전도체를 갖는 창유리의 인접한 표면 영역에서, 집전 전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 구역의 적어도 비 열 출력에 상응하는 가열 요소를 가열시킴으로써 비 열 출력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팅 비함유 구역에서부터 집전 전도체를 함유하는 인접한 표면 영역까지의 양호한 열 전달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와 인접한 표면 영역 중에 함유된 집전 전도체 간의 거리가 가능한 한 작은 것, 및 예를 들어 몇 밀리미터의 범위 내 및 구체적으로는 최대 1 밀리미터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자동차 방풍유리인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창유리는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전류발생적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코팅 구역을 포함하는데, 이 때 제 1 코팅 구역은 상기 창유리의 중심 시야 영역에 위치하고 제 2 코팅 구역은 방풍유리 와이퍼의 유지 또는 보관 위치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코팅 구역 및 상기 제 2 코팅 구역 둘 모두는 각각의 경우 둘 이상의 집전 전도체에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수단에 의해 제 1 가열 구역은 창유리의 중심 시야 영역에 형성되고 제 2 가열 구역은 방풍유리 와이퍼의 유지 또는 보관 위치 영역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집전 전도체는 밴드 또는 스트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창유리의 중심 시야에서의 제 1 가열 구역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갖는 두 개의 밴드 형태 집전 전도체에 의해 경계 형성될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 방풍유리는 그에 따라 전형적으로 제 1 가열 구역을 경계 형성시키는 상부 및 하부 집전 전도체를 갖는 창유리의 시야에 제 1 (상부) 가열 구역을 가지며,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전류발생적으로 분리되는 방풍유리 와이퍼의 유지 또는 보관 위치 영역에 제 2 (하부) 가열 구역을 갖는다. 상기 코팅 비함유 구역은 코팅 비함유 구역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하며 제 1 가열 구역의 하부 집전 전도체를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은 실질적으로 열 전도를 기초로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하부 집전 전도체는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에서는, 가열가능한 코팅이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둘 이상의 가열 구역으로 분할되며, 이에 의해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상기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가열될 수 있고, 사실상 가열가능한 코팅은 갖지만 가열 구역의 일부는 아닌 창유리의 인접한 표면 영역은 특히 이 표면 영역에서 자동차 방풍유리의 동결을 신뢰성있게 방지하기 위해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산업적인 연속 제조에서, 가열가능한 코팅의 제거는 예를 들어, 원칙적으로 레이저 빔을 사용한 박리(ablation)가 또한 생각될 수 있는 연마 휠(grinding wheel)에 의해 기계적으로 실시된다. 대개, 기계적 제거는 창유리의 구조적인 약화 또는 박화를 동반한다. 또한, 코팅되고 제거된 표면 영역의 열 흡수 특성(IR 흡수)은, 창유리의 기하구조가 창유리를 밴딩시킬 때 제거된 표면 영역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되고 예를 들어 볼록함(bulging convexity)이 나타날 수 있도록,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두 개의 인접한 가열 구역 사이에 위치한 코팅 비함유 구역이, 예를 들어 밴드 형태의 코팅 비함유 구역의 비교적 작은 폭(이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치수)으로 표현되는 비교적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거를 위해 비교적 작은 순환 횟수(cycle times)를 갖는 연마 휠의 특정 폭이 필요하고 상기 연마 휠은 또한 대개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의 제거를 위해 창유리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적인 고려사항들로 인해 상기 노력에 제한이 가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제거된 구역은 실제로 적절한 반대수단없이 거기서 유사하게 창유리를 동결시키는 특정 폭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자동차 방풍유리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가열되지 않은 영역이, 제거된 구역에 인접한 하부 집전 전도체를 갖는 표면 영역에 의해 실제적으로 확장되도록 하부 집전 전도체가 제거된 구역에 인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팅 비함유 구역, 및 하부 집전 전도체를 함유하는 인접한 표면 영역 둘 모두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가열시켜서 동결이 신뢰성있게 그리고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집전 전도체는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그들의 낮은 옴 저항 때문에 단지 매우 적은 열을 방출하고 열 출력에 눈에 띌 정도로 기여하지 않는 반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집전 전도체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저항을 가지며 그에 따라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을 가열시킬 수 있는 데, 이 때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집전 전도체를 갖는 창유리의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이 또한 실질적으로 열 전도에 의해 가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요소는 코팅 비함유 구역 및 가능한 집전 전도체를 갖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의 가장 균일하고 완전한 가열을 실시하기 위해, 코팅 비함유 구역의 상당 부분 위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에서, 각각의 코팅 구역은 둘 이상의 집전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여기서 가열 구역이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코팅 구역의 두 개의 집전 전도체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집전 전도체는 특히 가열 구역을 경계 짓는다. 전원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극과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둘 이상의 코팅 구역의 집전 전도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두번째 경우에서,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전원과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둘 이상의 코팅 구역의 집전 전도체는 단일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구성된다.
원칙적으로, 코팅 구역 및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서로 분리된 외부 연결기를 가질 수 있고, 여기에 서로 독립적으로 전기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동일한 공급 전압을 코팅 구역 및 가열 요소로 함께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열 요소가, 전원의 다양한 극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코팅 구역의 둘 이상의 집전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수단에 의해, 가열 요소가 개별 외부 연결기에 연결될 필요가 없고 가열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이 항상 공급 전압에 의해 영향받고 그에 따라 가열되기 때문에, 창유리의 특히 간단한 기술적 구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각의 경우에 전원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극과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두 개의 코팅 구역의 집전 전도체가, 가열 요소가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과 함께 가열될 뿐 아니라 둘 이상의 가열 구역이 함께 가열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창유리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한 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제 1 집전 전도체는 제 1 코팅 구역에 연결된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 및 제 2 코팅 구역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은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부터 출발하여 적어도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는데, 이 때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 및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은, 예를 들어 45° 내지 135° 범위 내의 각을 형성한다. 한편, 다른 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제 2 집전 전도체는 제 1 코팅 구역에 연결된 제 3 집전 전도체 부분 및 제 2 코팅 구역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4 집전 전도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집전 전도체는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연장된다. 이 수단에 의해 두 개 코팅 구역의 집전 전도체의 전기적 연결이 특히 간단하게 기술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코팅 비함유 구역이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에 의해 두 개의 적어도 대략 동일한 크기의 구역 부분으로 분할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는데, 이 때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은 두 개의 제 4 집전 전도체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의 가장 효율적인 가열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가 각각의 구역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창유리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열 요소는,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또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수단에 의해, 심지어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의 비교적 차가운 표면 영역은 창유리의 열 출력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도록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창유리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열 요소는 하나의 그리고 집전 전도체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데, 이 때 상기 가열 요소는 특히 금속성의 인쇄용 페이스트, 특히 스크린인쇄용 페이스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창유리의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투명 창유리는 복합 창유리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 창유리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접착제 층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강성 또는 가요성의 내부 및 외부 창유리를 포함한다. 명백하게도, 상기 두 개의 개별 창유리는 반드시 유리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 상기 개별 창유리는 또한 비-유리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창유리는 자동차 방풍유리로 구현되는데, 이 때 가열 요소는 창유리를 닦도록 제공된 방풍유리 와이퍼가 유지 또는 보관되는 위치 영역에 위치한다. 코팅 비함유 구역의 영역 내에서 창유리를 가열시키는 능력 및 또한 집전 전도체를 갖는 인접한 표면 영역을 가열시키는 능력을 통해, 유지 또는 보관 위치에서의 와이퍼의 동결이 유리한 방식으로 특히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하고 투명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의 제조 방법으로 추가로 연장된다:
- 예를 들어 코팅을, 후에 그로부터 창유리가 형성되는 블랭크(blank)로 적용하거나, 또는 코팅을 사전형성된(preformed) 창유리로 적용하여, 가열가능한 코팅이 제공된 창유리를 생성시키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코팅 비함유 구역을 형성시키는데, 이에 의해 가열가능한 코팅이 하나 이상의 제 1 코팅 구역 및 하나의 제 2 코팅 구역으로 (전류발생적으로) 분할되는 단계;
- 공급 전압의 적용 후에, 각각의 경우 전류가 제 1 코팅 구역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가열 구역 및 제 2 코팅 구역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 2 가열 구역 위로 흐르도록, 두 개의 코팅 구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집전 전도체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 코팅 비함유 구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생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는 이 가열 요소로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 내에서 또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열 요소의 생성 단계.
상기 코팅 비함유 구역은 예를 들어, 가열가능한 코팅의 적용 전에 마스킹함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팅 비함유 구역은 가열가능한 코팅의 적용 후에 기계적인 박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요소가 집전 전도체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그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요소 및 집전 전도체는 예를 들어, 인쇄에 의해, 특히 스크린인쇄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지 완전함을 위해, 대안적으로, 금속 와이어 및/또는 금속 호일로부터 가열 요소를 또한 제조할 수 있을 것임이 언급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사용하여 그리고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축척되지 않은 간소화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자동차 방풍유리로서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는 도 1의 방풍유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방풍유리의 확장된 상세도면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3b는 도 1의 방풍유리의 예시적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다양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a 내지 3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1a 및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로, 전체적으로 참고 번호 1로 명명된 자동차 방풍유리를 나타내는데, 이 자동차 방풍유리에 대한 설명은 자동차에서의 전형적인 설치 위치에 상응한다. 상기 방풍유리(1)는 복합 창유리로 구현되는데, 그 구조는 도 1a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방풍유리(1)는 외부에 배치된 강성의 외부 창유리(2) 및 내부에 배치된 강성의 내부 창유리(3)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창유리(2) 및 내부 창유리(3) 둘 모두는 개별 창유리로 구현되고, 이들은 열가소성 접착제 층(4), 이 경우에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 필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필름(EVA), 또는 폴리우레탄 필름(PU)에 의해 서로에 접합된다. 상기 두 개의 개별 창유리는 대략 동일한 크기이고(내부 창유리가 약간 더 작다), 사다리꼴의 곡선화된 외형을 가지며, 예를 들어 유리로 제조되지만, 동일하게 또한 비-유리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방풍유리 이외의 용도에서, 상기 두 개의 개별 창유리는 또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창유리(2, 3)의 외형은 공통의 외부 가장자리(5)(이것은 이후 "창유리의 가장자리"로 지칭됨)에 의해 형성된다. 사다리꼴 형태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개별 창유리(2, 3)는 각각의 경우에 두 개의 반대되는 긴 측면을 가지는데, 이것은 설치 위치에서 창유리의 최상부 및 최하부 가장자리(5a)에 상응하며, 두 개의 반대되는 짧은 측면은 설치 위치에서 창유리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5b)에 상응한다.
방풍유리(1)의 전기적 가열을 위해 제공되는 투명한 가열가능한 코팅(6)은 접착제 층(4)에 접합되는 내부 창유리(3) 측 상에 배치된다. 가열가능한 코팅(6)은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에 걸쳐 내부 창유리(3)에 적용되는데, 이 때 가열가능한 코팅(6)의 내부 창유리(3) 및 외부 가장자리(8)(이것은, 이후 가열 층 가장자리(8)로 지칭함)의 모든 측면 상의 비-코팅된 둘레 가장자리 영역(7)은 창유리(5)의 가장자리에 대해 내측을 향해 역으로 설정된다. 이 수단은 가열가능한 코팅(6)의 외측을 향한 전기적 고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열가능한 코팅(6)은 창유리(5)의 가장자리로부터 관통되는 부식에 대해 보호된다.
가열가능한 코팅(6)은 가열 층 비함유의 가로 스트립(9)에 의해 전류발생적으로 분할된다. 가로 스트립(9)은 창유리의 최하부 가장자리(5a) 근처에 배치되고, 창유리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5b) 상의 가열층 비함유 가장자리 영역(7)에 대해 시종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가열가능한 코팅(6)은 서로로부터 전류발생적으로 분리되는, 제 1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0)(설치 위치에서는 상부) 및 제 2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1)(설치 위치에서는 하부)를 포함한다. 가장자리 영역(7) 및 가로 스트립(9)은, 각각의 경우에 가열가능한 코팅(6)의 후속적인 제거(스트립핑)에 의해, 또는 가열가능한 코팅(6)의 배치 전 상기 가장자리 및 가로 스트립의 영역 내 내부 창유리(3)를 마스킹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방풍유리(1)에는, 그 자체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열층 비함유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12)이 추가로 설치된다.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12)은 본 발명의 이해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서 더욱 상세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다.
투명한 가열가능한 코팅(6)은 공지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의 금속성 하위층, 바람직하게는 은(Ag), 및 임의적으로는 다른 하위층, 예컨대 반사방지 및 블록킹 층을 갖는 연속 층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연속 층은, 손상 없이 유리 창유리를 밴딩시키는데 필요한 고온, 전형적으로는 600℃ 초과의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높은 열 저항을 갖지만, 낮은 열 저항을 갖는 연속 층을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내부 창유리(3) 상으로 직접 적용하는 대신, 가열가능한 코팅은 예를 들어, 또한 외부 및 내부 창유리(2, 3)에 후속하여 접합되는 플라스틱 필름 상에 적용될 수도 있었다. 가열가능한 코팅(6)은 예를 들어, 스퍼터링(마그네트론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적용된다. 가열가능한 코팅(6)의 시트 저항은 예를 들어, 제곱미터 당 몇 옴만큼 클 수 있지만, 상기 시트 저항은 전형적으로 0.5 내지 6 Ω/㎡의 범위 내이다.
두 개의 가열 층 구역(10, 11)은 공통의 제 1 집전 전도체(13) 및 공통의 제 2 집전 전도체(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집전 전도체(13)는 전원(도시되지 않음)의 한 전극, 예를 들어 음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제 2 집전 전도체(14)는 전원(도시되지 않음)의 나머지 극, 예를 들어 양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두 개의 집전 전도체(13, 14)는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그들의 기능을 토대로 상이한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집전 전도체(14)는 창유리의 긴 상부 가장자리(5a)를 따라 연장되는 상부 가로 부분(15)(이는 도입부에서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지칭됨)을 가지며, 제 1 집전 전도체(13)는 창유리의 긴 하부 가장자리(5a)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가로 부분(16)(이는 도입부에서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지칭됨)을 갖는데, 상기 전도체들은 적어도 대략 평행한 코스를 갖는다. 두 개 가로 부분(15, 16)은 각각의 경우 상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0) 위에 적용되고, 상기 코팅 구역(10)과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된다. 상부 가로 부분(15)은 상부 가장자리 영역(7)과 인접한다; 하부 가로 부분(16)은 하부 가로 스트립(9)과 인접한다. 방풍유리(1)의 시야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0) 내부의 제 1 가열 구역(17)은 상기 두 개 가로 부분(15, 16)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경계 형성된다. 제 1 가열 구역(17)은 방풍유리(1)의 중심 시야에서 동결이 신뢰성있게 그리고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특히 상기 중심 시야를 덮는다.
특히 도 1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외부 창유리(2)에는 접착제 층(4)에 인접한 측면 상에 적용된 불투명 컬러 층(18)이 제공된다. 상기 컬러 층(18)은, 예를 들어 외부 상에서 전면 인쇄된 전면 인쇄 구역이 연결되는 점 격자(dot grid)로 구성되는 프레임 유사 둘레 점 격자 구역(27)으로 구성된다. 컬러 층(18)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창유리(2) 내로 베이킹될 수 있는 전기적 비전도성의 흑색 안료첨가된 재료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컬러 층에 의해 접착제 가닥(도시되지 않음)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 상기 접착제 가닥을 사용하여 방풍유리(1)가 자동차 차체 내로 접착제 접합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컬러 층은 사용된 접착제 물질에 대한 UV 보호를 제공한다. 컬러 층(18)은 특히 두 개의 가로 부분(15, 16), 및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12)을 덮어 씌운다(overlay). 프레임 유사 둘레 점 격자 구역(27)은 방풍유리(1)의 시야에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시야 및 제 1 가열 구역(15)은 실질적으로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다(congruent).
제 2 집전 전도체(14)는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약간 각진 하부 가로 부분(16)에 대해 적어도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좌측 세로 부분(19)(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제 4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지칭됨), 및 적어도 대략 평행한 코스를 갖는 상응하게 배치된 우측 세로 부분(20)(마찬가지로 이것은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제 4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지칭됨)을 추가로 갖는다. 두 개의 세로 부분(19, 20)은 각각의 경우에 하부 가열 층 구역(11) 상에 적용되고 상기 층 구역(11)과 함께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된다. 상기 세로 부분은 하부 가로 부분(16)으로 연장되며, 말단은 하부 가로 부분(16)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 가열 층 구역(11)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와 대략 동일 높이에 있다. 세로 부분(19, 20)은 방풍유리(1)의 짧은 가장자리(5b)에 대해 내측으로 오프셋된다.
좌측 세로 부분(19)은 좌측 전이 부분(21)을 통해 제 2 집전 전도체(14)의 상부 가로 부분(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응하여, 우측 세로 부분(20)은 우측 전이(transition) 부분(22)을 통해 제 2 집전 전도체(14)의 상부 가로 부분(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개 전이 부분(21, 22)은 두 개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0, 11) 사이에서의 단락이 방지되도록 주로 가장자리 영역(17)에서 형성된다.
제 1 집전 전도체(13)는 하부 가로 부분(16)에서 출발하여 적어도 대략 그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 세로 부분(23)(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제 3 집전 전도체 부분"으로 지칭됨)을 추가로 갖는다. 중심 세로 부분(23)은 가로 스트립(9)을 통해 하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1) 내로 연장되며, 상기 코팅 구역(11)에서 상기 중심 세로 부분(23)의 말단은 하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1)의 하부 세로 가장자리와 대략 동일 높이에 있다. 중심 세로 부분(23)은 가로 스트립(9)을 두 개의 스트립 부분(26)으로 분할한다. 중심 세로 부분(23)은 좌측 및 우측 세로 부분(19, 20) 사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며, 적어도 대략 그에 평행한 코스를 갖는다. 중심 세로 부분(23)은 하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1) 상에 적용되며, 상기 코팅 구역(11)과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된다. 한편, 좌측 세로 부분(19) 및 중심 세로 부분(23)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우측 세로 부분(20) 및 중심 세로 부분(23)에 의해, 각각의 경우 두 개의 제 2 가열 구역(24)이 특히 방풍유리(1)의 시야를 닦기 위한 방풍유리 와이퍼(도시되지 않음)의 불투명한 유지 및 보관 위치를 가열시키기 위해 하부 가열 층 구역(11) 내에서 둘러싸이거나 경계 형성된다. 제 2 가열 구역(24)은 가열 층 비함유 가로 스트립(9)에 의해 제 1 가열 구역(17)으로부터 전류발생적으로 분리된다. 3개의 세로 부분(19, 20, 23) 및 두 개의 전이 부분(21, 22)은 불투명한 컬러 층(18)에 의해 덮어 씌워진다.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가로 스트립(9) 내부에서, 개별 가열 요소(25)(옴 가열 전도체)는 각각의 경우에 중심 세로 부분(23)의 두 개의 측면 상에 또는 두 개의 스트립 부분(26) 내에 배치된다. 두 개 가열 요소(25)의 각각은 구불구불한 곡선화된 코스를 가지며, 제 2 집전 전도체(14)의 동일한 면의 전이 부분(21, 22)으로부터 출발하여 중심 세로 부분(23)으로 연장되고, 제 1 U 턴을 형성하고, 전이 부분(21, 22)으로 연장되고 제 2 U 턴을 형성하고, 중심 세로 부분(23)으로 연장되는데, 여기서 두 개 가열 요소(25)의 각각은 제 1 집전 전도체(13)의 하부 가로 부분(16) 내로 방사된다. 따라서 두 개 가열 요소(25)는 각각의 경우에 제 1 집전 전도체(13) 및 제 2 집전 전도체(14) 둘 모두에 직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개 가열 요소(25)는 똑같이 상이한 코스, 예를 들어 지그재그 코스를 가질 수 있을 것인데,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개 가열 요소(25)가 두 개 스트립 부분(26)의 구역을 적어도 대략 완전히 덮는다는 것이다.
두 개 집전 전도체(13, 14) 및 두 개 가열 요소(25)는, 예를 들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전도체 및 상기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인쇄시킴으로써, 특히 스크린 인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방풍유리(1)의 밴딩 동안에 베이킹된다. 상기 전도체 및 상기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스트립 형태 또는 밴드 형태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도체 및 상기 가열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특히 접착제 층(4) 위에 고정되고 외부 및 내부 창유리(2, 3)를 밴딩시키는 경우 가열가능한 코팅(6) 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적용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얇고 좁은 금속 호일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별 창유리의 밴딩 시에 열 및 압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전기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두 개 집전 전도체(13, 14) 상에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제 1 가열 구역(17) 및 두 개의 제 2 가열 구역(24)이 동시에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두 개 가열 요소(25)에 공급 전압이 공급되는데, 이 공급 전압에 의해 방풍유리(1)가 가열 층 비함유 가로 스트립(9)을 함유하는 구역 내에서 가열된다. 가열가능한 코팅(6)과 비교하여 무시해도 될 정도의 옴 저항 때문에, 집전 전도체(13, 14)는 실제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열 출력에 눈에 띌 정도로 기여하지 않는다. 그와는 다르게, 상응하는 열 출력을 얻기 위해 두 개 가열 요소(25)의 전기 저항은 집전 전도체(13, 14)의 전기 저항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열 요소(25)는 각각의 경우에 예를 들어 0.3 내지 2 mm 범위 내, 특히 0.5 내지 1 mm 범위 내로 측정되는, 그들의 길이에 대해 수직인 폭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동일한 층 두께 및 적어도 대략 필적하는 길이를 갖는 집전 전도체(13, 14)는, 예를 들어 16 내지 20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다. 제 1 가열 구역(17)을 경계 형성하는 제 1 집전 전도체(13)의 하부 가로 부분(16)은 또한, 심지어 하부 가로 부분(16)을 함유하는 방풍유리(1)의 표면 영역 내에서 동결이 신뢰성있게 그리고 안전하게 방지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두 개 가열 요소(25)에 의해 가열된다. 특히, 방풍유리 와이퍼는 하부 가로 부분(16)을 함유하는 방풍유리(1)의 동결된 표면 영역 위로 스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두 개 가열 요소(25)는, 적어도 제 1 가열 구역(17)의 비 열 출력에 상응하는 비 열 출력이 두 개 가열 요소(25)를 가열시킴으로써 하부 가로 부분(16)을 함유하는 방풍유리(1)의 표면 영역에서 얻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제 1 가열 구역(17)은, 12 내지 24 V의 탑재 전압에 의해 영향받는 경우 3 내지 4 W/dm2의 비 열 출력이 얻어지는 반면, 대조적으로 두 개 가열 요소(25)에 의해 각각의 경우 약 30%까지 더 높은 비 열 출력이 제거된 가로 스트립(9) 영역에서 얻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 응력의 방지와 관련하여, 제거된 가로 스트립(9) 내 비 열 출력이 최대 8 W/dm2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두 개 가열 요소(25) 및 하부 가로 부분(16) 사이의 거리는, 하부 가로 부분(16)을 함유하는 표면 영역의 특히 효과적인 가열이 달성될 수 있도록 최대 1 mm이다.
단지 완전함을 위해, 집전 전도체(13, 14)와 상이한 재료로 가열 요소(25)를 형성시키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할 것임이 언급된다.
도 3a 내지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방풍유리(1)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및 내부 창유리(2, 3)를 유리 블랭크로부터 목적하는 사다리꼴 외형을 갖도록 절단시킨 다음, 내부 창유리(2)를 스퍼터링에 의해 가열가능한 코팅(6)으로 코팅시키는데, 이 때 가장자리 영역(7)은 마스킹에 의해 코팅되지 않는다(단계 I). 대안적으로, 블랭크를 우선 내부 창유리로 코팅시킨 다음, 그로부터 절단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 후, 이러한 방식으로 미리가공된 내부 창유리(2)를 제거하여 가로 스트립(9) 및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12)을 형성시키는데, 이는 예를 들어 기계적 제거 연마 휠을 사용하여 산업적인 연속 제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장자리 구역(7) 또한 제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단계 II). 도 3a는 내부 창유리(3)의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을 도시한다. 특히, 가로 스트립(9)에 의해 분리된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10, 11)이 확인될 수 있다. 가로 스트립(9)은 예를 들어, 10 내지 20 mm 범위 내로 측정되는 그의 길이에 교차되는 폭을 지닐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두 개 집전 전도체(13, 14) 및 두 개 가열 요소(25)가 인쇄, 예를 들어 인쇄용 페이스트, 예를 들어 은 인쇄용 페이스트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내부 창유리(3) 상에 인쇄된다(단계 III). 이 수단에 의해, 두 개 가로 부분(15, 16) 또는 제 1 가열 구역(17)의 버스 바, 및 3개의 세로 부분(19, 20, 23) 또는 두 개의 제 2 가열 구역(24)의 버스 바가 형성된다. 두 개 가열 요소(25)는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가로 스트립(9) 중에 위치한다.
그 후, 인쇄용 페이스트를 미리 베이킹시킨 다음, 고온에서 창유리(2, 3)를 밴딩시키고, 접착제 접합시키고, 외부 연결부(도시되지 않음)를 납땜시키면서, 또한 내부 및 외부 창유리(3, 2)를 함께 위치시키고, 이 창유리들을 접착제 층(4)을 사용하여 접합시킨다(단계 IV).
본 발명에 의해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로서, 상기 코팅이 전류발생적으로 분할되어 하나 이상의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 두 개 이상의 가열 구역을 형성시키며, 가열가능한 코팅 비함유 구역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투명 창유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지만 집전 전도체를 함유하며 열 출력에 눈에 띌 정도로 기여하지 않고 가열 구역의 일부가 아닌 창유리의 인접한 표면 영역이 또한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 수단에 의해, 특히 방풍유리의 방풍유리 와이퍼의 유지 또는 보관 위치의 표면 영역에서 창유리의 동결방지(deicing)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1 복합 창유리
2 외부 창유리
3 내부 창유리
4 접착제 층
5 창유리의 가장자리
5a 창유리의 긴 가장자리
5b 창유리의 짧은 가장자리
6 가열가능한 코팅
7 가장자리 영역
8 가열 층 가장자리
9 가로 스트립
10 상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
11 하부의 가열가능한 코팅 구역
12 커뮤니케이션용 유리창
13 제 1 집전 전도체
14 제 2 집전 전도체
15 상부 가로 부분
16 하부 가로 부분
17 제 1 가열 구역
18 컬러 층
19 좌측 세로 부분
20 우측 세로 부분
21 좌측 전이 부분
22 우측 전이 부분
23 중심 세로 부분
24 제 2 가열 구역
25 가열 요소
26 제거 부분
27 점 격자 구역
28 전면 인쇄 구역

Claims (15)

  1. 창유리 표면의 적어도 일부, 특히 상기 표면의 시야(visual field) 위로 연장되는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투명 코팅(6)을 갖는 투명 창유리(1)로서,
    가열가능한 코팅(6)이 하나 이상의 코팅 비함유 구역(9)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 1 코팅 구역(10) 및 제 2 코팅 구역(11)으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 코팅 구역(10, 11)은 각각의 경우,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 전압을 적용한 후에, 각각의 경우 전류가 제 1 코팅 구역(10)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가열 구역(17) 위로 그리고 제 2 코팅 구역(11)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가열 구역(24) 위로 흐르도록, 둘 이상의 집전 전도체(13, 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팅 비함유 구역(9)에, 옴 저항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이 가열 요소(25)에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코팅 비함유 구역(9)을 함유하는 표면 영역에서 가열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이 가열 요소(25)에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또한 코팅 비함유 구역(9)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13)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 내에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투명 창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25)가 집전 전도체(13, 14) 중 둘 이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집전 전도체는 전원의 상이한 극으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투명 창유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원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제 1 코팅 구역(10)의 하나 이상의 집전 전도체(15, 19, 20) 및 제 2 코팅 구역(11)의 하나 이상의 집전 전도체(16, 2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투명 창유리.
  4. 제3항에 있어서, 한 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제 1 집전 전도체(13)가 제 1 코팅 구역에 연결된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16) 및 제 2 코팅 구역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23)을 포함하고,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23)은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16)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16)에 대해 적어도 일정한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며, 다른 극으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제 2 집전 전도체(14)는 제 1 코팅 구역(10)에 연결된 제 3 집전 전도체 부분(15) 및 제 2 코팅 구역(1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4 집전 전도체 부분(20, 2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2 집전 전도체(14)는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집전 전도체 부분(16)으로 연장되는, 투명 창유리.
  5. 제4항에 있어서, 코팅 비함유 구역(9)이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23)에 의해 두 개의 적어도 대략 동일한 크기의 구역 부분(26)으로 분할되고, 제 2 집전 전도체 부분(23)은 두 개의 제 4 집전 전도체 부분(20, 21)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 창유리.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각각의 구역 부분(26) 내에 배치되는, 투명 창유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제 1 집전 전도체 부분(16)을 함유하는 창유리의 표면 영역이 또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투명 창유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25)가 하나의 그리고 집전 전도체(13, 14)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투명 창유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요소(25)가 금속성의 인쇄용 페이스트로부터 제조되는, 투명 창유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 창유리로 구성되는, 투명 창유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방풍유리로 구현되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창유리를 닦도록 제공된 방풍유리 와이퍼의 유지 또는 보관 위치 영역 내에 위치하는, 투명 창유리.
  12. -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투명 코팅(6)이 제공된 창유리(1)를 생성시키는 단계;
    - 코팅(6) 내 하나 이상의 코팅 비함유 구역(9)을 형성시키는데, 이에 의해 가열가능한 코팅(6)이 하나 이상의 제 1 코팅 구역(10) 및 하나의 제 2 코팅 구역(11)으로 분할되는 단계;
    - 공급 전압의 적용 후에, 각각의 경우 전류가 제 1 코팅 구역(10)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1 가열 구역(17) 및 제 2 코팅 구역(11)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가열 구역(24) 위로 흐르도록, 두 개의 코팅 구역(10, 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집전 전도체(13, 14)를 생성시키는 단계;
    - 코팅 비함유 구역(9) 내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를 생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요소(25)에 의해 코팅 비함유 구역(9)을 함유하는 창유리(1)의 표면 영역이 가열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는 이 가열 요소(25)에 공급 전압을 적용하여 상기 창유리가 또한 코팅 비함유 구역(9)에 인접한, 집전 전도체(13)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영역 내에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열 요소(25)의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창유리(1)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코팅 비함유 구역(9)이 기계적 박리에 의해 제거되는,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가 집전 전도체(13, 14)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이 집전 전도체(13, 14)와 함께 형성되는,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25) 및 집전 전도체(13, 14)가 인쇄에 의해, 특히 스크린인쇄에 의해 제조되는, 제조 방법.
KR1020127029402A 2010-05-10 2011-05-10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3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2471.6 2010-05-10
EP10162471 2010-05-10
PCT/EP2011/057565 WO2011141487A1 (de) 2010-05-10 2011-05-10 Transparente scheibe mit heizbarer beschichtung, sowie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600A true KR20130084600A (ko) 2013-07-25
KR101493577B1 KR101493577B1 (ko) 2015-02-13

Family

ID=4273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402A KR101493577B1 (ko) 2010-05-10 2011-05-10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302451B2 (ko)
EP (1) EP2569189B1 (ko)
JP (1) JP5600364B2 (ko)
KR (1) KR101493577B1 (ko)
CN (1) CN102753403B (ko)
BR (1) BR112012022794B1 (ko)
DE (1) DE212011100044U1 (ko)
EA (1) EA022157B1 (ko)
ES (1) ES2613036T3 (ko)
MX (1) MX2012012079A (ko)
PL (1) PL2569189T3 (ko)
PT (1) PT2569189T (ko)
WO (1) WO20111414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280A (ko) * 2014-09-04 2017-04-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KR20170094393A (ko) * 2014-12-16 2017-08-1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 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28449B1 (ru) * 2010-09-09 2017-11-30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Прозрачное стекло с нагреваемым покрытием
BE1020223A3 (fr) * 2011-10-06 2013-06-04 Agc Glass Europe Pare-brise chauffant.
MX362002B (es) * 2014-04-17 2019-01-03 Saint Gobain Cristal transparente con recubrimiento calentable.
BR112017001656B1 (pt) * 2014-08-08 2022-03-08 Saint-Gobain Glass France Vidraça transparente com um revestimento eletricamente condutor aquecível, método para produzir uma vidraça transparente e uso da vidraça transparente
ES2699846T3 (es) * 2014-08-08 2019-02-13 Saint Gobain Luna transparente con capa de calentamiento eléctric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y su uso
CN105357784B (zh) * 2015-09-17 2018-02-16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雨刷静止位置均匀电加热的汽车夹层玻璃
CN105376884B (zh) * 2015-09-17 2018-07-17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带有分流母线的电加热汽车夹层玻璃
WO2017151348A1 (en) * 2016-02-29 2017-09-08 Illinois Tool Works, Inc. Hybrid heater for vehicle sensor system
EP3220716A1 (en) * 2016-03-14 2017-09-20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window pane with electrical heating layer
USD814371S1 (en) * 2016-11-02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ndshield
USD803118S1 (en) * 2016-11-02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ndshield
USD805978S1 (en) * 2016-12-19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ndshield
USD805977S1 (en) * 2016-12-19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ndshield
JP6922210B2 (ja) * 2016-12-20 2021-08-18 Agc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
KR102058865B1 (ko) * 2018-04-12 2019-12-24 (주)아이엠 초가속 열소재를 이용한 발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51810B2 (en) * 2018-06-12 2024-04-09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Windshield
CN110733463B (zh) * 2019-10-30 2020-11-2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汽车除冰雪的预温系统
CN112047648B (zh) * 2020-09-01 2021-10-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透明导电层的前挡风玻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384A (en) 1991-07-22 1995-07-18 Ppg Industries, Inc. Coated windshield with special heating circuit for wiper arm storage area
US6492619B1 (en) * 2001-04-11 2002-12-10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Dual zone bus bar arrangement for heatable vehicle window
DE10160806A1 (de) * 2001-12-11 2003-06-26 Saint Gobain Sekurit D Gmbh Heizscheibe mit einer elektrisch leitenden Oberflächenbeschichtung
US6995339B2 (en) * 2002-09-18 2006-02-07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per rest area for a transparency
CN2891574Y (zh) * 2006-03-30 2007-04-18 崔海宁 一种电加热除霜风挡玻璃
EP1951001A1 (en) * 2007-01-24 2008-07-30 Pilkington Italia S.p.A. Heatable vehicle glazing
DE102007008833A1 (de) 2007-02-23 2008-08-28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DE102007050286A1 (de) 2007-10-18 2009-04-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elektrisch heizbaren Beschichtung
DE102008018147A1 (de) 2008-04-10 2009-10-1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trukturen
DE102008029986B4 (de) 2008-06-24 2017-03-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280A (ko) * 2014-09-04 2017-04-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KR20170094393A (ko) * 2014-12-16 2017-08-17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 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3403B (zh) 2016-09-07
EA022157B1 (ru) 2015-11-30
BR112012022794B1 (pt) 2020-07-07
BR112012022794A2 (pt) 2016-07-19
JP5600364B2 (ja) 2014-10-01
US9302451B2 (en) 2016-04-05
ES2613036T3 (es) 2017-05-22
WO2011141487A1 (de) 2011-11-17
DE212011100044U1 (de) 2012-10-04
KR101493577B1 (ko) 2015-02-13
EP2569189A1 (de) 2013-03-20
MX2012012079A (es) 2012-11-29
EP2569189B1 (de) 2016-11-02
PL2569189T3 (pl) 2017-04-28
US20130161309A1 (en) 2013-06-27
EA201291146A1 (ru) 2013-04-30
PT2569189T (pt) 2017-02-08
CN102753403A (zh) 2012-10-24
JP2013526443A (ja)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577B1 (ko)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42274B2 (ja) 加熱コーティングを備える透明な窓ガラス
US8431871B2 (en) Transparent window pane provided with a resistive heating coating
CA2894012C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US9100996B2 (en) Transparent panel having a heatable coating
KR101523867B1 (ko) 전기 가열층을 갖춘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CA2955702C (en) Transparent pane having an electrical heating lay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CA2955732C (en) Transparent pane having an electrical heating lay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90115733A (ko) 가열 코팅을 구비한 투명 유리
US10694586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 heatable coating
KR101999460B1 (ko) 전기 가열 층을 갖는 투명 판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79985B1 (ko)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패널
JP6509329B2 (ja) 加熱被覆を備えた透明のウィンドガラス
JP2023518746A (ja) 加熱可能な合わせサイドガラス
MXPA97010183A (en) Assembly for heating the window cleaning area of a vehic's windshield wi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