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94A -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294A
KR20130084294A KR1020137009826A KR20137009826A KR20130084294A KR 20130084294 A KR20130084294 A KR 20130084294A KR 1020137009826 A KR1020137009826 A KR 1020137009826A KR 20137009826 A KR20137009826 A KR 20137009826A KR 20130084294 A KR20130084294 A KR 20130084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vibration
washing machine
cylindrical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885B1 (ko
Inventor
토시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Abstract

진동 흡수 장치(10)는, 축부재(7)와, 축부재(7)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하여 마련된 차양부(7a)와, 축부재(7)의 차양부(7a)보다 하방측에 마련된 선단부(7b)와, 선단부(7b)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된 고무 원통부(11b) 및 고무 원통부(11b)의 상단에 마련된 고무측 플랜지부(11a)를 갖는 고무부재(11)와, 고무 원통부(11b)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고, 고무 원통부(11b)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원통 지지부(12a) 및 고무측 플랜지부(11a)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단면(12c)을 갖는 지지 부재(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VIBRATION ABSORB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높은 절수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수직이 아닌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이나 경사 방향 등)에 회전축을 갖는 수조와, 수조를 지지하는 수조(외조)를 구비하는 세탁기가 존재한다. 그와 같은 세탁기에 관해,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평 방향에 수조의 회전축을 갖는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특허 문헌 1의 세탁기(101)는, 바깥테두리(102)와, 바깥테두리(102)의 천장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마련되고, 소정의 가세력을 갖는 서스펜션 스프링(104)에 의해, 지지된 외조(105)와, 외조(105)에 의해 지지된 수조(106)를 포함한다. 외조(105)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재되고, 외조(105)와 세탁기 본체의 하저부(108)를 연결하는 댐퍼(107)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경사 방향에 수조의 회전축을 갖는 세탁기(이른바 「경사 드럼식 세탁기」이다)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1과 개략 마찬가지의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도, 경사 방향에 회전축을 갖는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고, 마찬가지의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5-13107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9-29712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9-297387호 공보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댐퍼를 채용하고 있다. 즉, 수직 방향에 마련되고, 수조를 지지하는 수조와 세탁기 본체의 하저부를 연결하는 댐퍼를 가지며, 이에 의해, 수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조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세탁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조의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회전축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생기는 수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수조나 수조의 중량에 의해 생기는 중력이 합성된 힘에 기인하여 공간적인 방향(3차원적인 방향)에 진동이 생긴다. 또한, 특히 수조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는, 수조에 수용된 빨래의 위치가 불규칙한 위치로 변위 되기 때문에, 수조 자체에 생기는 불규칙한 방향에 걸리는 힘(편심 하중)에 기인하여, 공간적인 방향으로 진동이 생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간적인 방향에 발생하는 힘에 대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되는 댐퍼는 수직 방향에 마련되어 있음에 의해, 수직 성분의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직 성분의 힘에 기인하는 진동에 관해서는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내지 3의 댐퍼에서는, 수평 성분의 힘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수평 성분의 힘에 기인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댐퍼는 매우 고가이므로, 시판의 세탁기에 상기한 댐퍼를 채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염가의 비용으로, 공간적인 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서의 진동 흡수 장치는, 회전하는 수조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외조와, 외조를 수용하는 바깥테두리를 포함한다. 이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는, 축부재와, 축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된 고무부재와,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고,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벽부재와, 고무부재의 축방향에 마련되고, 고무부재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2 벽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부재는, 제1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와, 제1 원통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제1 원통부보다 큰 제2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제1 벽부재가 제1 원통부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제2 벽부재가 제2 원통부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부재는, 축부재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제2 원통부와 접촉하는 차양부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무부재는,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다.
축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고무부재가 마련되고, 그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된 제1 벽부재가 그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부재가 탄성 변형함에 의해, 축부재에서의 지름 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고무부재의 축방향에 마련된 제2 벽부재가 고무부재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부재가 탄성 변형함에 의해, 축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즉, 종래와 같은 고가의인 댐퍼를 사용하는 일 없이, 축부재에서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진동을 고무부재로 흡수할 수 있고, 진동도 감쇠된다.
따라서 염가의 비용으로, 공간적인 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에서의 개략도, (B)는 세탁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우측에서의 측면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진동 흡수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에서의 단면도.
도 4는 진동 흡수 장치에서의 고무부재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진동 흡수 장치에서의 고무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진동 흡수 장치에서의 고무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진동 흡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에서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1의 (B)는, 세탁기(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우측에서의 측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즉, 도 1의 (A)는 도 1의 (B)의 IA-IA로 나타나는 화살로 본 도면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B-IB로 나타나는 화살로 본 도면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상기 특허 문헌 2나 3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이른바 「경사 드럼식 세탁기」이고, 세탁기(1)의 앞면측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창부로부터 빨래가 수용되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 등으로부터 입력된 유저의 요구에 따르여,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기능을 실행한다.
이 세탁기(1)는, 바깥테두리(2)와, 바깥테두리(2)의 천장부분부터 하방을 향하여 마련되고, 소정의 가세력을 갖는 서스펜션 스프링(4)과, 특히 도 1의 (B)를 참조하면, 서스펜션 스프링(4)에 의해 매달리고, 후방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한 개략 원통형상의 외조(5)와, 외조(5)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외조(5)와 마찬가지의 개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후방부터 전방을 향하으로 상방에 경사한 회전축(P)을 가지며, 외조(5)의 후방에 마련된 회전 모터(15)에 의해, 외조(5)의 내벽면에 따라서 회전하는 수조(6)와, 외조(5)의 외벽면에 고정되고, 외벽면과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된 축부재(7), 및, 축부재(7)를 관통시켜, 바깥테두리(2)의 내벽면에 고정된 고정부재(20)와 나사 고정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해 고정된 받이부(8)를 포함하는 진동 흡수 장치(10)를 포함한다. 진동 흡수 장치(10)는,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조(5)의 하방에서의 좌측의 위치에도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1)는, 바깥테두리(2)의 하부에 마련된 다리 부재(9)에 의해, 마루(지면)상에 재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도 1의 (A)에서 도시한 고정부재(20)를 생략하고 있다.
외조(5) 및 수조(6)는, 앞면(윗면)측이 개구한 개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고, 전술한 도시하지 않은 창부로부터 수조(6)의 내부에 빨래를 수용 가능하다. 수조(6)는, 도시하지 않은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과 함께 빨래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 모터(15)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고, 세탁, 헹굼, 탈수를 실행한다. 또한, 이 때, 수조(6)를 지지하는 외조(5)는, 수조(6)의 회전에 의거하여 공간적인 방향으로 진동한다.
서스펜션 스프링(4)은, 수조(6)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외조(5)를 매달고, 스스로가 갖는 가세력과, 매달은 외조(5)나 수조(6) 등에 것리는 중력과, 진동 흡수 장치(10)의 지지력 등이 균형잡힌 위치를 기준의 위치(이하 「기준 위치」라고 한다)로 하여 외조(5) 등을 지지한다.
다음에, 진동 흡수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되는 진동 흡수 장치(10)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수조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외층 등이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진동 흡수 장치(1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축부재(7)와 받이부(8)를 포함한다.
축부재(7)는, 도 2 및 도 3의 상방에 위치하는 외조의 외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재(7)는, 수조의 회전에 의거한 외조의 진동에 수반하여 진동한다. 또한, 축부재(7)는, 도 2 및 도 3의 하방에 위치하는 바깥테두리측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재(7)의 주위(지름 방향)에 돌출하여 마련된 개략 원반 형상의 차양부(7a)를 갖는다. 차양부(7a)는, 바깥테두리측에서 개략 평면을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축부재(7)에서 차양부(7a)보다 바깥테두리측을 선단부(7b)라고 말한다.
받이부(8)는, 고무부재(11)와 지지 부재(12)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7)의 선단부(7b)를 관통시키는 구멍을 갖는다. 고무부재(11)는,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7b)에서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부재(11)는,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 원통부(11b)와, 고무 원통부(11b)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측 플랜지부(11a)를 포함한다. 고무 원통부(11b)는, 선단부(7b)를 삽입시켜서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가지며, 내벽면이 선단부(7b)의 외주와 면접촉하고 있다. 또한, 고무측 플랜지부(11a)는, 차양부(7a)와 개략 같은 형상의 면을 가지며, 차양부(7a)와 면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고무 원통부(11b)가 제1 원통부로서 작용하고, 고무측 플랜지부(11a)가 제2 원통부로서 작용한다.
지지 부재(12)는, 축부재(7)의 축방향으로 연재되는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12)는, 고무 원통부(11b)에서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지지부(12a)와, 원통 지지부(12a)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지름 방향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재되는 지지측 플랜지부(12b)를 포함한다. 원통 지지부(12a)는, 상단부의 단면(端面)(12c)과, 원통형상의 내측면의 측벽부(12d)를 가지며, 측벽부(12d)는 지름 방향 내측에서, 고무 원통부(11b)를 개재시켜서, 선단부(7b)의 외주와 대향하고 있다. 한편, 단면(12c)은, 고무측 플랜지부(11a)를 개재시켜서, 차양부(7a)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지지측 플랜지부(12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관통구멍(121a 내지 121c)을 가지며, 관통구멍(121a 내지 121c)에 삽입시키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전술한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상기한 고무부재(11)와 지지 부재(12)에서 서로 접촉하는 부분은, 면접촉하고 일체화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고무측 플랜지부(11a)와 단면(12c)과의 접촉부분은 접착되고, 고무 원통부(11b)와 측벽부(12d)와의 접촉부분은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2)는, 고정부재(20)에 의해 세탁기(1)의 바깥테두리(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12)와 일체화된 고무부재(11)는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측벽부(12d)가 고무 원통부(11b)에서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단면(12c)이 고무측 플랜지부(11a)에서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고무부재(11) 및 지지 부재(12)의 접촉부분에서의 접착 방법은, 인서트 성형 및 가황(加黃) 접착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부(12d)가 제1 벽부재로서 작용하고, 단면(12c)이 제2 벽부재로서 작용한다.
다음에, 진동 흡수 장치(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외조(5)의 진동에 응하여 축부재(7)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고무부재(11) 및 지지 부재(12)는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12)에 의해, 고무부재(11)의 움직임은 규제된다. 따라서,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부재(11)가 탄성 변형(압축 변형)함에 의해, 선단부(7b)를 갖는 축부재(7)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이 흡수된다.
구체적으로는, 차양부(7a)와 단면(12c)은 고무측 플랜지부(11a)를 개재시켜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12)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부재(11)의 고무측 플랜지부(11a)가 압축 변형함에 의해, 축부재(7)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진동 흡수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부재(7)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외조(5)의 진동에 응하여 축부재(7)가 지름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도, 고무부재(11)는 지지 부재(12)에 의해 움직임을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 원통부(11b)가 탄성 변형(압축 변형)함에 의해, 선단부(7b)를 갖는 축부재(7)의 지름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7b)와 측벽부(12d)는 고무 원통부(11b)를 개재시켜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12)에 의해 움직임이 규제된 고무부재(11)의 고무 원통부(11b)가 압축 변형함에 의해, 축부재(7)의 지름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진동 흡수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부재(7)의 지름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외조의 진동에 응하여 축부재(7)가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양자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축방향으로의 진동에 관해서는, 상기한 축방향으로의 진동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고무부재(11)가 탄성 변형(압축 변형)함에 의해, 선단부(7b)를 갖는 축부재(7)의 축방향으로의 진동이 흡수된다. 또한, 지름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설명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고무부재(11)가 탄성 변형(압축 변형)함에 의해, 선단부(7b)를 갖는 축부재(7)의 지름 방향으로의 진동은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흡수 장치(10)는, 축부재(7)에서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양자를 포함하는 공간적인 방향(3차원의 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상에 의해, 종래와 같은 고가의인 댐퍼를 사용하는 일 없이, 축부재에서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진동을 고무부재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의 비용으로, 공간적인 방향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고무부재(11)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고무부재(11)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무부재(11)의 강성을 조정하는, 즉, 사용하는 세탁기에 적합하도록 진동 흡수성을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무부재의 두께를 파내거나 리브를 마련한다.
도 4는 그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고무부재의 평면도(도 4의 (A))와, 도 4의 (A)에서 화살표(ⅣB-ⅣB)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도 4의 (B))이다. 여기서는, 축부재나 지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 변형례에서도, 고무부재(21)은, 관통구멍(21c)을 가지며,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 원통부(21b)와, 고무 원통부(21b)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측 플랜지부(21a)를 포함하고, 고무측 플랜지부(21a)의 상부에는, 각각이 지름 방향으로 연재되는 사각형의 4개의 돌출부(22a 내지 22d)가 상호 90°떨어저서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부의 수는 필요에 응하여 늘려도 좋고, 줄여도 좋다.
도 5는 고무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고무부재의 평면도(도 5의 (A))와, 도 5의 (A)에서 화살표(VB-VB)로 나타내는 부분의 단면도(도 5의 (B))이다. 여기서도, 축부재나 지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 변형례에서도, 고무부재(41)는, 관통구멍(41c)을 가지며,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 원통부(41b)와, 고무 원통부(41b)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 고무측 플랜지부(41a)를 포함하고, 관통구멍(41c)에는 축방향으로 스플라인 홈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5를 조합하여서, 도 5에 도시한 고무측 플랜지부(41a)의 상부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각이 사각형의 4개의 돌출부(22a 내지 22d)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이 돌출부의 수를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고무부재가 축부재 및 지지 부재와 적어도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갖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고무부재의 표면에 요철형상을 마련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부재(30)의 고무측 플랜지부(31)의 하면(31b) 및 고무 원통부(32)의 내벽면(32a)에 오목형상(33)을 마련하고, 고무부재(30)의 고무측 플랜지부(31)의 윗면(31a) 및 고무 원통부(32)의 외벽면(32b)에 볼록형상(34)을 마련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상기한 실시 형태의 고무부재(11)와 비교하면, 축부재(7)의 진동의 진폭이 작은 경우(예를 들면, 진동의 초기 단계 등)에, 고무부재(30)의 각 표면에 마련된 오목형상(33) 및 볼록형상(34)에 의해 진폭이 작은 진동은 흡수된다. 즉, 진동에 따른 적절한 진동의 흡수 능력을 갖는 고무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무부재의 표면에서의 요철형상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고무부재(30)의 고무측 플랜지부(31)의 하면(31b) 및 고무 원통부(32)의 내벽면(32a)에 볼록형상(33)을 마련하고, 고무부재(30)의 고무측 플랜지부(31)의 윗면(31a) 및 고무 원통부(32)의 외벽면(32b)에 오목형상(34)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을, 고무부재의 동일면상에 혼합시켜서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어느 하나만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기에 진동 흡수 장치를 대칭적인 위치에 2개 마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진동 흡수 장치를 하나 또는 3개 이상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경우, 수조의 중앙을 통과한 수직선(도 1의 (A)에서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선분(T))을 대칭축으로 한 위치(즉, 수직선에 선대칭의 위치)에 복수의 진동 흡수 장치를 마련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좌우에 관해 대칭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조측에 축부재(7)를, 바깥테두리측에 진동 흡수 장치를 마련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외조측에 진동 흡수 장치를 마련하고, 바깥테두리측에 축부재를 마련하도록, 반대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외조에 축부재가 고정된 경우의 진동 흡수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외조측에도 진동 흡수 장치의 받이부를 마련하고, 축부재의 양단측에 받이부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외조의 외벽에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그 고정부재에 받이부의 지지측 플랜지부를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바깥테두리측에 마련된 받이부와 외조측에 마련된 받이부가 한 쌍이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바깥테두리측 및 외조측의 양 받이부의 관통구멍에 축부재를 삽입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축부재의 양단측에 마련된 2개의 받이부의 각각에서 진동의 흡수를 행하기 때문에,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함과 함께, 하나의 받이부에 걸리는 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 흡수 장치로서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받이부는, 바깥테두리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진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에서 위치를 유지할 것 같은 부재에 고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세탁기의 하저부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에 받이부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축부재와 탄성 부재와의 사이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여 진동 흡수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에 의해, 받이부와 떨어져 가는 방향으로의 축부재의 진동에 대해서도, 접착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진동을 보다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축부재의 차양부와 지지 부재의 측벽부 및 단면을 이용하여, 축부재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차양부를 갖지 않는 축부재와,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고,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지지 부재, 및, 고무부재의 축방향에 마련되고, 고무부재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지지 부재에 의한 복수의 지지 부재에 의해, 고무부재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축부재에 관해서는, 차양부(7b)를 마련하지 않는다. 고무부재에 관해서는, 고무측 플랜지부(11a)를 마련하지 않는다(즉, 고무 원통부만). 또한, 지지 부재에 관해서는, 고무 원통부(11b)의 하방(축방향)에서의 고무 원통부(11b)의 축방향으로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축부재의 축방향 및 지름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진동 흡수 장치에 포함되는 축부재 및 받이부는, 기본적으로 다른 부재이다. 따라서, 축부재와 받이부는 별개로 제작되고, 세탁기의 제작시에 있어서, 축부재와 받이부를 조합시킴에 의해, 진동 흡수 장치가 구성된다. 즉, 받이부를 독립하여 세탁기에 마련하여 두고, 후에 축부재와 받이부를 조합시켜서 진동 흡수 장치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진동 흡수 장치는, 이른바 경사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일 없이, 회전축을 수직 방향에 갖는 세탁기나, 회전축을 횡방향에 갖는 세탁기 등, 임의의 세탁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세탁기로 한하는 일 없이, 진동 흡수 장치는, 그 밖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의 고무부재는, 다른 고분자 탄성체라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세탁기 2 : 바깥테두리
4 : 서스펜션 스프링 5 : 외조
6 : 수조 7 : 축부재
7a : 차양부 7b : 선단부
8 : 받이부 9 : 다리 부재
10 : 진동 흡수 장치 11, 30 : 고무부재
11a : 고무측 플랜지부 11b : 고무 원통부
12 : 지지 부재 12a : 원통 지지부
12b : 지지측 플랜지부 12c : 단면
12d : 측벽부

Claims (4)

  1. 회전하는 수조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외조와, 상기 외조를 수용하는 바깥테두리를 포함하는 세탁기에서의 진동 흡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조에 고정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된 고무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주위에 마련되고, 상기 고무부재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벽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축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고무부재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2 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부재는,
    제1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와,
    상기 제1 원통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원통부보다 큰 제2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재가 상기 제1 원통부의 지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제2 벽부재가 상기 제2 원통부의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원통부와 접촉하는 차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부재는, 표면에 요철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KR1020137009826A 2010-12-24 2011-10-04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KR101300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8394 2010-12-24
JP2010288394A JP5269871B2 (ja) 2010-12-24 2010-12-24 洗濯機の振動吸収装置
PCT/JP2011/072849 WO2012086287A1 (ja) 2010-12-24 2011-10-04 洗濯機の振動吸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94A true KR20130084294A (ko) 2013-07-24
KR101300885B1 KR101300885B1 (ko) 2013-08-27

Family

ID=4631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826A KR101300885B1 (ko) 2010-12-24 2011-10-04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69871B2 (ko)
KR (1) KR101300885B1 (ko)
CN (1) CN103154348B (ko)
TW (1) TWI412645B (ko)
WO (1) WO2012086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1919A (zh) * 2012-08-31 2013-01-02 海尔集团公司 洗衣机悬挂装置及洗衣机
JP6484461B2 (ja) * 2015-02-25 2019-03-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N107558104B (zh) * 2016-07-01 2023-09-19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波轮洗衣机
CN112460192B (zh) * 2020-11-27 2024-01-23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激振器噪声隔绝方法
CN113074215B (zh) * 2021-03-30 2022-04-26 厦门大学 一种高稳定性的stm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476A (ja) * 1992-03-13 1993-10-05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機の防音防振装置
JPH06304381A (ja) * 1993-04-23 1994-11-01 Tokai Rubber Ind Ltd 全自動洗濯機及び全自動洗濯機用防振装置
KR100366691B1 (ko) * 1998-06-17 2003-03-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진동 방지장치
JP2000356287A (ja) * 1999-06-16 2000-12-26 Daihatsu Motor Co Ltd パイプの継手構造
KR100904328B1 (ko) 2003-09-10 2009-06-23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축 시스템의 진동을 댐핑하는 장치 및 방법
JP4555755B2 (ja) * 2005-09-08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0585052C (zh) * 2007-01-23 2010-01-27 许继海 一种斜卧式滚筒洗衣机的减振支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885B1 (ko) 2013-08-27
CN103154348A (zh) 2013-06-12
TW201243125A (en) 2012-11-01
JP5269871B2 (ja) 2013-08-21
TWI412645B (zh) 2013-10-21
JP2012135367A (ja) 2012-07-19
CN103154348B (zh) 2014-06-04
WO2012086287A1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85B1 (ko) 세탁기의 진동 흡수 장치
US9279207B2 (en) Washing machine with a suspension having a friction damper
EP2050857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00114877A (ko) 삼중 동작형 마찰 쇽 업소버
JP2000342891A (ja) 洗濯機のダンパー装置
US20160024705A1 (en) Non-cylindrical damping element suspension
RU2537131C2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A028128B1 (ru) Амортизатор, содержащий улучшенный фри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JP2008142524A (ja) 洗濯機用振動吸収装置
KR20100129164A (ko) 세탁장치
KR101596104B1 (ko) 진동을 감쇠하는 프레임이 내장된 세탁기 구조체.
CN108866944B (zh) 一种洗衣机减振吸振装置及滚筒洗衣机
JP6484461B2 (ja) 洗濯機
EP2628840B1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amper apparatus
KR102318757B1 (ko) 세탁기의 댐핑장치
JP2012192096A (ja) 洗濯機の振動吸収部材および洗濯機
JP494145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00129170A (ko) 세탁장치
KR102269278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JP2004084921A (ja) 防振支持装置
KR20150142363A (ko) 세탁기
KR1023230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9537474A (ja) 洗濯機のダンパー及び洗濯機
KR20160029518A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EP2354291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