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792A - 용착성 비즈 완구 - Google Patents

용착성 비즈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792A
KR20130083792A KR1020120044072A KR20120044072A KR20130083792A KR 20130083792 A KR20130083792 A KR 20130083792A KR 1020120044072 A KR1020120044072 A KR 1020120044072A KR 20120044072 A KR20120044072 A KR 20120044072A KR 20130083792 A KR20130083792 A KR 2013008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olyhedron
toy
weldabl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3304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837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Publication of KR2013008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 A63F2003/00324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with slidable parts of the playing surface
    • A63F2003/00328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with slidable parts of the playing surface underneath the playing surface and viewable through holes or windo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94Stereometric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용착성 비즈는 입상 비즈를 포함한다. 입상 비즈는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입상 비즈는 다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용착성 비즈 완구{FEASIBLE BEAD TOY}
본 발명은 비즈(bead)로 불리는 소립체(small particle)를 상호 용착(溶着)시켜서 즐길 수 있는 용착성 비즈를 포함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비즈 완구(bead toy)로 불리우는 수지제의 소구체(小球體) 또는 통형상체 등의 비즈를 상호 용착시켜, 여러 가지의 장식체 등을 형성함으로써 놀이를 하는 완구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39820호에 개시된 비즈 완구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입상(粒狀) 비즈 또는 단통(短筒, short tube) 형상 비즈에 의해 비교적 단순한 그림을 그리도록 비즈를 상호 접촉시켜 배열하고, 가열함으로써 인접한 비즈를 상호 용착한 것이다. 따라서, 색이 다른 비즈에 의해 그림 패턴(picture pattern)을 갖는 평판 형상의 수지판으로 하고, 또는 비즈를 배열하는 형상에 따라 모양을 갖는 장식체(accessory)가 형성된다.
또한, 본 출원인은 비즈를 가열하여 용착하지 않고, 수용성 수지에 의해 성형한 비즈를 상호 접촉시켜 배열하고, 수분을 공급하여 비즈의 표면을 용해시킨 후, 건조시킴으로써 각 비즈를 상호 용착시키는, 장식체 형성용 비즈 완구 세트 및치구(治具, jig)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그림 패턴을 갖는 평판 형상의 시트(sheet)나 장식체 등의 작품이 용이하게 형성된다(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등록 제 3131292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9-125232호 공보).
상술한 비즈 완구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의 비즈가 제공되고, 색상이 풍부한 그림 패턴을 갖는 장식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색이 다른 구형(球形)이나 단통형의 비즈만에 의한 비즈 완구에서는, 많은 장식체를 형성하는 경우, 다수의 비즈를 이용하여 그림 패턴의 변화를 설계하지 않으면 모양이나 형상이 이전의 작품과 근사하여 변화가 부족해진다. 그러므로, 장식체가 그 모양이나 형상에만 경험하게 되어,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오랫동안 놀고 있으면 싫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여, 장기간 싫증을 느끼는 일없이 즐겁게 놀 수 있는 새로운 비즈에 의한 비즈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용착성 비즈 완구는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만들어진 다면체 입상 비즈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서의 비즈의 일례로서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rhombic triacontahedron)의 형상을 갖는 비드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의 비즈의 일례로서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의 형상을 갖는 비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의 비즈의 사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의 비즈를 배열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에서의 비즈 형상의 여러 가지의 예를 나타내는 외관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는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만들어진 다면체 비드(10)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즈(10)에 적용된 예시된 다면체는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를 포함한다.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는 동일 크기의 마름모를 30개 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의 면(face) 또는 윤곽의 형상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도 1a는 소정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비즈(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서는, 비즈의 중앙 면(center face)과 4개의 인접한 면이 마름모로 보여지는 반면, 다른 면들은 직사각형과 불규칙한 모양의 마름모로 보여진다. 도 1b는 3개의 중앙 면이 마름모로 보여지는 반면, 그 주변의 면들은 마름모와 유사한 형상 또는 마름모와 다른 형상으로 보여진다. 도 1c는 다른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비즈(10)를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c에 도시한 비즈(10)는 마름모와 유사한 여러 가지의 다른 형상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는, 모든 꼭지점에서의 내부 각도가 둔각인 볼록 다면체이다.
용착성 비즈 완구의 비즈(10)는 예를 들면, 5mm의 입경(particle diameter)을 가지며, 이 입경은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비즈 완구의 구형 비즈의 입경과 유사하다.
비즈(10)에 사용되는 수용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합성 수지이다.
비즈(10)의 색상은 예를 들면, 유색 투명(colored tranparent)으로 한다. 유색의 투명한 비즈(10)는 착색제에 의해 수용성 수지를 착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비즈(10)는 예를 들면, 투명성과 색상을 조화시키는 녹색, 청색, 적색, 노랑색 또는 보라색 등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그러나, 비즈(10)의 색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즈(10)는 무색의 투명한 것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즈(10)는 수용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인접한 비즈(10)들은 다음의 단계 (a) 내지 (c)에 의해 상호 용착할 수 있다. 즉, 단 계 a에서, 비즈(10)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배열한다. 단계 (b)에서, 비즈에 물 등의 액체를 도포하고 또는 물 등의 액체 속에 비즈를 침지함으로써 비즈(10)의 표면을 습윤 상태로 하여 용해시킨다. 단계 (c)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비즈(10)를 건조시킨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용착성 비즈 완구에서의 비즈(10)에 의해 장식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용착성 비즈 완구의 비즈(10)를 이용하여 장식체(30)를 형성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 형상의 베이스 트레이(base tray)(21), 삽화 시트(illustration sheet)(23) 및 투명한 판형상의 비즈 트레이(25)를 사용한다. 삽화 시트(23)는 베이스 트레이(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색상을 갖는 비즈 형상의 점 묘사(spot depiction)에 의해 그려진 그림 패턴을 포함한다. 비즈 트레이(25)는 베이스 트레이(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비즈(10)가 베이스 트레이(21) 또는 비즈 트레이(25)의 크기와 비교하여 크게 과장하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비즈 트레이(25)의 상면에는 오목부(dent)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 각각은 비즈(10)의 입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오목부는 비즈(10)의 입경과 실질적으로 같지만 그 입경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즈 트레이(25)의 인접한 오목부에 비즈(10)를 배열하면, 비즈(10)는 상호 접촉하는 상태에서 인접한 오목부의 위치에 안정되게 놓여진다.
장식체(30)는 다음의 과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삽화 시트(23)를 베이스 트레이(25)에 고정한다. 삽화 시트(23) 위에, 원하는 그림 패턴을 그린다. 다음으로, 삽화 시트(23)에 비즈 트레이(25)를 고정한다. 비즈 트레이(25)의 오목부에 원하는 색상의 비즈(10)를 놓아둠으로써 삽화 시트(23)에 그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에, 솔(brush)이나 스프레이어(sprayer)를 이용하여 비드(10)에 물을 도포하여 비드(10)를 습윤상태로 하고 나서, 비드(10)를 건조시킨다. 이에 따라, 삽화 시트(23)에 그려진 그림 패턴에 대응하는 장식체(30)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간소화를 위해,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의 다면체의 유색의 투명한 비즈(10)를 구형 형상(spherical shape)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비즈 완구에 사용되는 비즈(10)는 다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비즈(10)의 표면이 상호 접촉하면, 인접하는 2개의 비즈(10)는 다음의 상태 (i) 또는 (ii)로 상호 접촉한다. 상태 (i)에서는, 인접하는 비즈(10) 중 하나의 표면이 인접하는 비즈(10)의 다른 하나의 표면에 접촉한다. 상태 (ii)에서는, 인접하는 비즈(10) 중 하나의 꼭지점 또는 측면은 인접하는 비즈(10)의 다른 하나와 접촉한다.
인접하는 비즈(10)가 상태 (i)에서 상호 접촉하면, 인접하는 비즈(10)가 상호 접촉하는 영역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비즈(10)는 상호간에 강하게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비즈(10)에 의해 조립된 장식체는 거의 파손되지 않는다.
물 등의 액체는 비즈(10)의 꼭지점 또는 그 측면에서 비즈(10)에 침입하기 쉽다. 그래서, 비즈(10)의 수지는 단시간에 용해 및 연화가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인접하는 비드(10)가 상태 (ii)에서 상호 접촉하면, 비즈(10)의 꼭지점 또는 그 측면은 비즈(10) 사이의 접촉 압력으로 인하여 크게 변형된다. 따라서, 비즈(10)는 상호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비즈(10)는 수용성으로 형성되고 다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이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비즈(10)가 상태 (i)와 (ii) 중 어느 하나로 배열되는 경우에도, 비즈(10)는 상호간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즈(10)는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형성되며 다면체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즈(10)를 이용하여 장식체(30)를 형성하면, 조사광(illuminating light)의 각도에 따라 표면 반사광이나 굴절광의 상태가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장식체(30)의 형상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휘도의 변화를 싫증나는 일없이 즐길 수 있는 장식체(3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즈(10)는 유색의 투명한 것이어서, 사용자가 다른 색상을 갖는 비즈(10)의 배열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장식체(30)의 다른 색상을 지닌 휘도의 변화를 싫증나는 일없이 즐길 수 있는 장식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즈(10)의 다면체의 형상이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인 경우, 그 형상이 구형상(sphere)에 가까우므로,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구형상의 비즈와 유사하게 비즈(10)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비즈(10)는 극히 작은 면들에 상호 강하게 용착되어 아름다운 휘도를 보여줄 수 있어, 장기간 동안 조립된 장식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비즈(10)는 5mm의 입경을 갖는다. 즉, 비즈(10)의 입경은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구형상의 비즈의 직경에 상응한다. 그러므로, 비즈(10)를 상기 구형상의 비즈와 결합하여 장식체(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면 광택으로 인한 상기 구형상의 비즈에 의해 형성된 색상 배열의 그림 패턴의 일부에 표면 반사광이나 굴절광으로 인한 휘도의 변화를 갖는 장식체(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즈(10)의 입경은 5mm에 한정되지 않으며, 3∼6mm이어도 좋다. 그 입경이 약 3mm이면, 장식체(30)는 세세한 그림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입경이 약 6mm이면, 다면체에 의한 반사 또는 굴절이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비즈(10)의 다면체 형상은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록 다면체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체에 가깝게 취급될 수 있는 다면체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그 다면체는 (1) 정십이면체 또는 정이십면체 등의 정오각형 및/또는 정삼각형을 조합하여 형성된 다면체, (2) 정다면체의 꼭지점을 절단하여 형성된 14면체 또는 32면체를 갖는 다면체, (3) 60면체 또는 62면체를 갖는 다면체, 또는 (4) 상기 다면체 (1)-(3)의 쌍대(雙對) 다면체이어도 좋다.
도 5b는 정십이면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5c는 정이십면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5d는 14면체를 갖는 상기 다면체의 일례로서 깍은 정이십면체(truncated icosahedron)를 도시한 것이고, 도 5e는 32면체를 갖는 상기 다면체의 일례로서 깍은 정이십면체(truncated icosahedron)를 도시한 것이고, 도 5f는 60면체를 갖는 상기 다면체의 일례로서 오각뿔 십이면체(pentakis dodecahedron)를 도시한 것이며, 도 5g는 62면체를 갖는 상기 다면체의 일례로서 부풀린 십이이십면체(rhombicosidodecahedron)를 도시한 것이다.
다면체의 면체의 수가 12보다 작으면, 그 다면체는 구체(球體)와 같이 취급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비즈(10)를 배열하여 놓을 때, 비즈(10)는 그 표면 방향에 의해 상호 접촉하여 용착되기 곤란하다. 한편, 다면체의 면체의 수가 62보다 크면, 비즈(10)가 약 3mm 내지 6mm의 입경을 갖는 경우, 표면 반사광이나 굴절광에 의해 생기는 휘도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면체 비즈에 의한 흥미가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다면체 비즈로서는, 12면체 내지 62면체를 갖는 볼록 다면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즈 완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즈를 결합하여 즐기는 것이므로, 비즈 완구는 복수의 비즈(10)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에 따라, 복수의 비즈(10)를 이용하여 장식체(30)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즈(10)를 강하게 결합시켜 아름다운 휘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체(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세트는 색상이 다른 비즈(10)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세트에 따라, 색상이 다른 휘도를 나타내는 장식체(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비즈(10)는 동일 형상의 다면체와 동일 크기의 입경을 가져도 좋다. 그래서, 다수의 비즈(10)를 함께 조합할 때, 상호 인접하는 비즈(10)를 상호 확실히 접촉하도록 쉽게 배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다음의 형태에 따라 비즈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형태는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다면체 입상 비즈를 포함함으로써 용착성 비즈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즈는 면체들 상의 표면 반사 또는 굴절광에 의한 아름다운 휘도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비즈는 조립한 장식체에 가해지는 빛에 따라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어, 사용자는 싫증나는 일없이 비즈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2면체 내지 62면체를 갖는 다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면체는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및 정다면체의 꼭지점을 절단하여 얻어진 깍은 정다면체 및 쌍대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즈는 구형 비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다이아몬드 컷(diamond cut)과 같은 아름다운 휘도를 발휘하여 사용자를 즐겁게 할 수 있다.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다면체가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인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극히 작은 면에서 비즈가 상호 강하게 용착하여, 아름다운 휘도를 발휘하며, 조립한 장식체로 장기간 즐기면서 놀 수 있다.
제4 형태는 제1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입상 비즈의 입경이 3mm 내지 6mm인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그 비즈를 시장에서 입수할 수 있는 구형 비즈와 조합하여 쉽게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제5 형태는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복수의 입상 비즈 세트를 포함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즈를 강하게 결합시켜 아름다운 휘도를 발휘하는 장식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형태는 제5 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입상 비즈가 유색의 투명하고, 입상 비즈의 세트가 다른 색상을 갖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색상이 다른 휘도를 발휘하는 장식체를 조립하여 즐겁게 놀 수 있다.
제7 형태는 제5 또는 제6 형태에 따른 용착성 비즈 완구에 있어서, 복수의 입상 비즈 세트 모두가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갖는 용착성 비즈 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든 비즈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인접한 비즈를 상호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장식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화나 변경을 행할 수도 있다.

Claims (7)

  1. 투명한 수용성 수지로 형성된 다면체 입상 비즈(particulate bead)를 포함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입상 비즈는 12면체 내지 62면체를 갖는 다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면체는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및 정다면체의 꼭지점을 절단하여 얻어진 깍은 정다면체 및 쌍대(雙對)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착성 비즈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가 마름모로 이루어진 삼십면체인 용착성 비즈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비즈의 입경이 3mm 내지 6mm인 용착성 비즈 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입상 비즈 세트를 포함하는 용착성 비즈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비즈가 유색의 투명하고, 상기 입상 비즈의 세트가 다른 색상을 갖는 용착성 비즈 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상 비즈 세트 모두가 동일 형상과 크기를 갖는 용착성 비즈 완구.
KR1020120044072A 2012-01-13 2012-04-26 용착성 비즈 완구 KR201300837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4920 2012-01-13
JP2012004920A JP5946169B2 (ja) 2012-01-13 2012-01-13 溶着性ビーズ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92A true KR20130083792A (ko) 2013-07-23

Family

ID=4633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072A KR20130083792A (ko) 2012-01-13 2012-04-26 용착성 비즈 완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5634B2 (ko)
JP (1) JP5946169B2 (ko)
KR (1) KR20130083792A (ko)
CN (1) CN103203106B (ko)
AU (1) AU2012202449B2 (ko)
CA (1) CA2775254A1 (ko)
GB (1) GB24984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494A (ko) * 2017-12-27 2020-08-05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용착성 비즈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0330B2 (en) 2012-10-30 2016-04-26 Ek Success Ltd. Beading board device for a tablet computer and tablet computer program for use with same
US20160271510A1 (en) * 2015-03-17 2016-09-22 Unique Trading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Instructional Figures
US10898821B2 (en) * 2015-06-02 2021-01-26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Adhesive toy beads
US20170087480A1 (en) * 2015-06-02 2017-03-30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Adhesive toy beads
USD796588S1 (en) 2015-06-02 2017-09-05 Moose Creative Management Pty Limited Bead
CN106810799A (zh) * 2015-11-30 2017-06-09 宁波宝林达进出口有限公司 一种可溶性魔术珠材料及其生产工艺
JP6047797B1 (ja) * 2016-02-29 2016-12-21 株式会社エポック社 装飾ビーズ玩具及びビーズ玩具セット
JP6095826B1 (ja) * 2016-04-11 2017-03-1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用スクレイパー
US10286331B2 (en) 2016-08-05 2019-05-14 Epoch Company, Ltd. Fusible toy bead joint member
JP6108650B1 (ja) * 2016-08-10 2017-04-05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用スクレイパー
JP6339272B1 (ja) * 2017-05-16 2018-06-06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用作成台
JP7112878B2 (ja) * 2018-04-25 2022-08-04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用装飾玩具及び溶着性ビーズ玩具セット
JP1624158S (ko) * 2018-08-24 2019-08-05
US11117065B2 (en) * 2020-01-03 2021-09-14 T. Dashon Howard Systems and methods for lynchpin structure applications
JP2020078686A (ja) * 2020-03-02 2020-05-28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JP6842580B2 (ja) * 2020-03-02 2021-03-17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JP7478589B2 (ja) * 2020-05-18 2024-05-07 株式会社エポック社 保持具
JP7082695B2 (ja) * 2021-01-12 2022-06-08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及び溶着性ビーズ玩具セット
JP2023060726A (ja) * 2021-10-18 2023-04-28 株式会社エポック社 溶着性ビーズ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292B2 (ja) 1992-07-15 2001-01-31 松下電工株式会社 生体信号検出装置
DE69730376T2 (de) * 1996-06-01 2005-08-18 Agfa-Gevaert (Photo)thermographisches Material mit verbesserten Transporteigenschaften
DE19963494C1 (de) 1999-12-28 2001-06-13 Streif Handelsgesellschaft M B Bausatz und Verfahren für den Zusammenbau eines Dekorationsgegenstandes
US20020102905A1 (en) 2001-01-30 2002-08-01 Shao-Chien Tseng Reusable ball units able to be repeatedly modeled
JP2003304913A (ja) * 2002-04-18 2003-10-28 Asahi Intecc Co Ltd 蓄光発光体と、それを用いて成る装身具・発光視認用構造物要素
WO2005119373A1 (ja) * 2004-06-01 2005-12-15 Zeon Corporation 画像形成方法
US7056651B1 (en) * 2005-04-18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Conductive underlayers for aqueous-based thermally developable materials
JP3131292U (ja) * 2007-02-15 2007-04-26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玩具セット
CN201052418Y (zh) 2007-03-08 2008-04-30 永福有限公司 珠子玩具套件
AU2007100449A4 (en) 2007-03-23 2007-08-02 Moose Enterprise Pty Ltd A bead dispensing system
JP4845136B2 (ja) 2007-11-21 2011-12-28 株式会社エポック社 ビーズ組立治具及び該ビーズ組立治具を備えたビーズ玩具セット
CN201201471Y (zh) * 2008-05-30 2009-03-04 吴浩 一种用钻石镶嵌或粘贴的装饰画
JP2011139820A (ja) 2010-01-08 2011-07-21 Tomy Co Ltd 溶着ビーズ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494A (ko) * 2017-12-27 2020-08-05 가부시키가이샤 에폭샤 용착성 비즈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02449B2 (en) 2014-02-20
GB201207394D0 (en) 2012-06-13
US9375634B2 (en) 2016-06-28
CN103203106B (zh) 2015-09-16
JP2013143986A (ja) 2013-07-25
GB2498410B (en) 2014-03-26
JP5946169B2 (ja) 2016-07-05
US20130183881A1 (en) 2013-07-18
NZ599578A (en) 2013-03-28
CN103203106A (zh) 2013-07-17
AU2012202449A1 (en) 2013-08-01
CA2775254A1 (en) 2013-07-13
GB2498410A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792A (ko) 용착성 비즈 완구
JP6047797B1 (ja) 装飾ビーズ玩具及びビーズ玩具セット
US11648459B2 (en) Fusible toy bead
US20090029625A1 (en) Sculptural construction system
JP2016129700A (ja) 溶着性ビーズ玩具
JP7082695B2 (ja) 溶着性ビーズ玩具及び溶着性ビーズ玩具セット
NZ599578B (en) Fusible bead toy
CN205127411U (zh) 一种闪亮彩泥造型群手工制作玩具
JP4734489B2 (ja) 卍ブロック積み木
JP6842580B2 (ja) 溶着性ビーズ玩具
CN211703685U (zh) 一种公主方形钻石
WO2016039335A2 (ja) 成形品
KR200420421Y1 (ko) 장신구용 이색 접합 구슬
CN2551301Y (zh) 立体拼图
CN104941214A (zh) 一种闪亮彩泥造型群手工制作玩具
JP3176198U (ja) ビーズアクセサリー
JP3006684U (ja) 天然のカラーダイアモンドの輝きの風合をもつ 無色透明のダイアモンド ペンダント。
TWD206566S (zh) 容器(二十二)
PL9751S2 (pl) Klocek
JP2005245996A (ja) 玩具用積み木
JPH02249576A (ja) 立体パズルブロック
JPH04301882A (ja) 立体表示器
PL62522Y1 (pl) Wyrób szklany z ozdobnym elementem powierzchni PL PL
JP2009053643A (ja) サング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27

Effective date: 20150323